KR200473950Y1 - 다용도 줄넘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줄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50Y1
KR200473950Y1 KR2020130006238U KR20130006238U KR200473950Y1 KR 200473950 Y1 KR200473950 Y1 KR 200473950Y1 KR 2020130006238 U KR2020130006238 U KR 2020130006238U KR 20130006238 U KR20130006238 U KR 20130006238U KR 200473950 Y1 KR200473950 Y1 KR 200473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andle body
front cap
rope
rea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회
Original Assignee
구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회 filed Critical 구대회
Priority to KR2020130006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다용도 줄넘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다용도 줄넘기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1 전방캡과,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1 후방캡을 포함하는 좌측손잡이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2 전방캡과,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2 후방캡을 포함하는 우측손잡이부;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메인줄;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좌측보조줄; 및,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우측보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각각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좌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손잡이부,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보조줄, 상기 우측보조줄 중 임의의 것을 상호 조립하여 줄넘기 운동기구형태 또는 탄력밴드 기구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줄넘기{MULTI-FUNCTIONAL JUMP ROPE}
본 고안은 줄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줄넘기 운동 뿐 아니라, 근력운동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탄성밴드기구로 변형이 가능한 다양도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 운동은 양손으로 줄의 끝을 잡고 발아래에서 머리위로 돌리면서 그 줄을 뛰어넘는 운동을 말한다.
이러한 줄넘기 운동에 사용되는 줄넘기 운동기구(이하 '줄넘기'라 함)는 통상적으로 줄의 양측에 줄넘기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서, 사용자가 줄넘기 손잡이를 잡아 손쉽게 운동을 하도록 고안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줄넘기는 줄넘기 운동 이외의 근력운동은 할 수 없는 구조여서, 근력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기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근력운동기구 중에서 탄력밴드기구('튜빙밴드', '레지스턴드밴드', '근력밴드' 라고도 함)가 있으며, 탄력밴드의 양끝을 잡아 당겨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8에는 나이키 업체에서 제품화한 출시한 탄력밴드기구 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탄력밴드기구는 일자형, 8자형, O형 등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근력운동의 형태에 따라, 알맞은 탄력밴드기구를 골라 사용하였다.
이처럼, 종래에는 이두근, 삼두근 등, 전체적으로 근육을 골고루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일자형, 8자형 O형 등의 많은 탄력밴드기구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줄넘기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변형이 가능한 다용도 줄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1 전방캡과,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1 후방캡을 포함하는 좌측손잡이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2 전방캡과,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2 후방캡을 포함하는 우측손잡이부;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메인줄;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좌측보조줄; 및,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우측보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각각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좌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손잡이부,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보조줄, 상기 우측보조줄 중 임의의 것을 상호 조립하여 줄넘기 운동기구형태 또는 탄력밴드 기구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손잡이본체 양측단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단에는 수나사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각각에는 상기 수나사산들에 결합가능한 암나사산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산들과 상기 암나사산들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보조줄, 상기 우측보조줄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줄의 일단은 상기 제 1 전방캡의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전방캡 내에서 매듭지어져 상기 제 1 전방캡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메인줄의 타단은 상기 제 2 전방캡의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전방캡 내에서 매듭지어져 상기 제 2 전방캡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줄넘기 형태로 조립되거나, 상기 좌측손잡이부 또는 상기 우측손잡이부의 하나의 양측에 상기 메인줄의 양단을 연결함으로써,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 형태도 조립되거나, 상기 좌측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좌측보조줄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우측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우측보조줄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좌측보조줄과 상기 우측보조줄이 "8"고리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 형태로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1 전방캡과,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1 후방캡을 포함하는 좌측손잡이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2 전방캡과,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2 후방캡을 포함하는 우측손잡이부; 한 쌍의 반구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된 좌측연결볼; 한 쌍의 반구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된 우측연결볼;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 좌측연결볼, 우측연결볼에 고정가능한 메인줄;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 상기 우측연결볼 고정가능한 좌측 제 1 및 제 2 보조줄; 및,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 상기 우측연결볼에 고정가능한 우측 제 1 및 제 2 보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및,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좌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연결볼, 상기 좌측연결볼, 상기 메인줄, 상기 제 1 및 제 2 좌측보조줄, 상기 제 1 및 제 2 우측보조줄 중 임의의 것을 상호 조립하여 줄넘기 운동기구형태 또는 탄력밴드동기구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는 수나사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및,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각각에는 상기 수나사산들에 결합가능한 암나사산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산들과 상기 암나사산들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 제 1 및 제 2 보조줄, 상기 우측 제 1 및 제 2 보조줄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아령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손잡이부 또는 상기 우측손잡이부의 양측단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무게원반;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각 운동에 맞게 여러개의 운동기구를 함께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를 통해 줄넘기 운동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변형하여 다양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종래의 나이키에서 출시된 탄력밴드운동기구 세트를 나타낸 사진이고,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다용도 줄넘기는 좌측손잡이부(10), 우측손잡이부(20), 메인줄(30), 좌측보조줄(40), 우측보조줄(50)을 포함한다.
좌측손잡이부(10)는 제 1 손잡이본체(11),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을 포함한다.
제 1 손잡이본체(11)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11a,11b)이 형성된다.
제 1 전방캡(13)은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11a,11b)에 나사결합가능한 암나사산(13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통공(13b)이 관통형성된다.
제 1 후방캡(15)은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11a,11b)에 나사결합가능한 암나사산(15a)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통공(13b)이 관통형성된다.
제 1 손잡이 본체(11),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은 외경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좌측손잡이부(10)는 제 1 손잡이본체(11)의 수나사산(11a,11b)들과 제 1 전방캡(13)의 암나사산(13a) 제 1 후방캡(15)의 암나사산(15a)이 호환가능하도록 동일규격으로 형성되어, 제 1 전방캡(13)의 암나사산(13a)을 제 1 손잡이본체(11)의 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1a)에 결합가능할 뿐 아니라, 제 1 손잡이본체(11)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1b)에 결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1 후방캡(15)의 암나사산(15a)도 제 1 손잡이본체(11)의 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1a)에 결합가능할 뿐 아니라, 제 1 손잡이본체(11)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1b)에 결합가능하다.
우측손잡이부(20)는 좌측손잡이부(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우측손잡이부(20)는 제 2 손잡이본체(21), 제 2 전방캡(23), 제 2 후방캡(25)을 포함한다.
제 2 손잡이본체(21)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21a,21b)이 형성된다.
제 2 전방캡(23)은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21a,21b)에 나사결합가능한 암나사산(23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통공(23b)이 관통형성된다.
제 2 후방캡(25)은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21a,21b)에 나사결합가능한 암나사산(25a)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통공(23b)이 관통형성된다.
제 2 손잡이 본체(21), 제 2 전방캡(23), 제 2 후방캡(25)은 외경은 동일하고, 제 2 손잡이 본체(21), 제 2 전방캡(23), 제 2 후방캡(25)의 외경과도 동일하다.
본 고안의 우측손잡이부(20)는 제 2 손잡이본체(21)의 수나사산(21a,21b)들과 제 2 전방캡(23)의 암나사산(23a) 제 2 후방캡(25)의 암나사산(25a)이 호환가능하도록 동일규격으로 형성되어, 제 2 전방캡(23)의 암나사산(23a)을 제 2 손잡이본체(21)의 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21a)에 결합가능할 뿐 아니라, 제 2 손잡이본체(21)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21b)에 결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2 후방캡(25)의 암나사산(25a)도 제 2 손잡이본체(21)의 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21a)에 결합가능할 뿐 아니라, 제 2 손잡이본체(21)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산(21b)에 결합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서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에 형성된 암나사산들(13a,15a,23a,25a)은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어, 제 1 손잡이본체(11) 및 제 2 손잡이본체(11)에 형성된 수나사산(11a,11b,21a,21b) 어디에도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메인줄(30)은 고무, 우레탄, 합성밴드와 같이,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에 형성된 통공(13b,15b,23b,25b)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로부터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좌측보조줄(40)은 고무, 우레탄, 합성밴드와 같이 고탄력재질로 이루어지고, 메인줄(30)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좌측보조줄(40)은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에 형성된 통공(13b,15b,23b,25b)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우측보조줄(50)은 고무, 우레탄, 합성밴드와 같이 고탄력재질로 이루어지고, 좌측보조줄(40)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우측보조줄(50)은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에 형성된 통공(13b,15b,23b,25b)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제 1 전방캡(13), 제 1 후방캡(15), 제 2 전방캡(23) 및, 제 2 후방캡(25)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는 좌측손잡이부(10), 우측손잡이부(20), 메인줄(30), 좌측보조줄(40), 우측보조줄(50)의 운동형태에 따라 상호 조립하여 , 줄넘기 운동기구 형태나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줄넘기는 줄넘기 운동기구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다용도 줄넘기를 형태변형하여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형태로 재조립한 상태를 나타낸다.
다용도 줄넘기를 운동기구형태로 조립해 사용할 경우, 메인줄(30)의 일측단을 제 1 전방캡(13)에 형성된 통공(13b)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줌으로써, 메인줄(30)의 일측단이 제 1 전방캡(13)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메인줄(30)의 타측단을 제 2 전방캡(23)에 형성된 통공(23b)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줌으로써, 메인줄(30)의 일측단이 제 1 전방캡(13)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전방캡(13)을 제 1 손잡이본체(11)의 전단부에 나사결합하고, 제 2 전방캡(23)을 제 2 손잡이본체(21)의 전단에 나사결합한다. 제 1 후방캡(15)은 제 1 손잡이본체(11)의 후단에 나사결합하고, 제 2 후방캡(25)은 제 2 손잡이본체(21)의 수단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가 운동기구 형태로 조립 완성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는 좌측 및 우측 보조줄(40,50)이 제 1 후방캡(15) 및 제 2 후방캡(25)으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줄넘기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보조줄(40,50) 각각을 좌측손잡이부(10) 및 우측손잡이부(20) 내부에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다용도 줄넘기를 근육운동을 위한 다양한 탄력밴드기구 형태로 조립해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메인줄(30)의 양단을 좌측손잡이부(10)의 양단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메인줄(30)의 양단을 제 1 전방캡(13)의 통공(13b) 및 제 1 후방캡(15)의 통공(13b)에 각각 집어 넣어 매듭지어주고, 제 1 전방캡(13) 및 제 1 후방캡(15)을 제 1 손잡이본체(1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나사결합시켜줌으로써, 하나의 탄력밴드기구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은 형태로 조립된 경우, 사용자는 한손 근력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좌측손잡이부(10)의 양측에 좌측보조줄(40)을 연결하고, 우측손잡이부(20)의 양측에 우측보조줄(50)을 연결하며, 좌측보조줄(40)과 우측보조줄(50)이 서로 "8"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탄력밴드기구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보조줄(40)의 양단은 좌측손잡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통공(13b,15b)을 통해 집어넣어 매듭지어진 형태가 되고, 우측보조줄(40)의 양단은 우측손잡이부(20)의 양측에 형성된 통공(23b,25b)을 통해 집어넣어져 매듭지어진 형태가 되어 고정된다.
도 3의 (b)와 같은 형태로 조립된 경우, 사용자는 좌측손잡이부(10) 및 우측손잡이부(20)를 양손을 잡고 서로 벌렸다가 오무렸다를 반복함으로써 양손 근력운동을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의 (c)와 같이 메인줄(30)의 양단을 좌측손잡이부(10)의 일측과 우측손잡이부(20)의 일측에 결합하고, 좌측손잡이부(10)와 우측손잡이부(20)의 각각의 타측으로부터 좌측보조줄(40) 및 우측보조줄(50)을 고리형태로 만들어 메인줄(30)에 걸린 형태가 되도록 조립하여 다른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변형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3의 (d)와 같이, 좌측보조줄(30)을 좌측손잡이부(10) 및 우측손잡이부(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조립하여 또 다른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변형해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는 줄넘기 운동기구형태로 조립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변형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운동형태에 따라 다수의 운동기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가 4가지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변행될 수 있는 예를 설명해 보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 가능한 다른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로 재조립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서, 좌측연결볼(60), 우측연결볼(70)을 구비하고, 추가로 좌측보조줄(40)과 우측보조줄(50)과 동일한 좌측보조줄(80)과 우측보조줄(90)을 더 구성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연결볼(60)과 우측연결볼(70)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좌측연결볼(60)은 한 쌍의 반구부(61,63)가 서로 나사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있는 구형상을 갖는다. 좌측연결볼(60)의 한쌍의 반구부(61,63)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산(61a)과 암나사산(63a)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연결볼(60)의 한 쌍의 반구부(61,63) 각각에는 통공(61b,63b)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우측연결볼(70)은 한 쌍의 반구부(71,73)가 서로 나사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있는 구형상을 갖는다. 우측연결볼(70)의 한쌍의 반구부(71,73)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산(71a)과 암나사산(73a)이 각각 형성되고, 우측연결볼(70)의 한 쌍의 반구부(71,73) 각각에는 통공(71b,73b)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각각의 수나사산(61a,71a)과 암나사산(63a,73a)은 좌측손잡이부(10) 및 우측손잡이부(20)에 형성된 수나사산(11a,11b,21a,21b)과 암나사산(13a,15a,23a,25a) 들과 호환되도록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메인줄(30), 제 1 좌측보조줄(40), 제 2 좌측보조줄(80), 제 1 우측보조줄(50), 제 2 우측보조줄(90)을 좌측연결볼(60)의 한 쌍의 반구부(61,63)에 형성된 통공(61b,63b) 또는 우측연결볼(70)의 한 쌍의 반구부(71,73)에 형성된 통공(71b,73b)에 집어넣어 빠지지 않게 매듭지어주는 방식으로 조립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줄넘기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용도 줄넘기는 줄넘기 운동기구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4의 다용도 줄넘기를 형태변형하여 근력운동을 위한 다양한 탄력밴드기구형태로 재조립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를 줄넘기 운동기구형태로 조립해 사용할 경우, 제 2 좌측보조줄(80)로 좌측손잡이부(10)의 일측과 좌측연결볼(60)을 연결하고, 제 2 우측보조줄(90)로 우측손잡이부(20)의 일츨과 우측연결볼(70)을 연결하고, 상기 좌측연결볼(60) 및 우측연결볼(70)을 메인줄로(30)로 연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가 운동기구 형태로 조립 완성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는 제 1 좌측보조줄(40) 및 제 1 우측보조줄(50)이 제 1 후방캡(15) 및 제 2 후방캡(25)으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줄넘기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보조줄(40,50) 각각을 좌측손잡이부(10) 및 우측손잡이부(20) 내부에 집어넣어 보관한 상태에서 줄넘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를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형태로 조립해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좌측연결볼(60)과 좌측손잡이부(10)가 제 1 및 제 2 좌측보조줄(40,80)로 연결되고, 우측연결볼(70)과 우측손잡이부(20)가 제 1 및 제 2 우측보조줄(50,90)로 연결된 구조로 조립하여 두 개의 탄력밴드기구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좌측손잡이부(10)의 양단에 메인줄(30)을 연결한 형태의 탄력밴드기구, 도 6의 (c)와 같이, 좌측손잡이부(10)의 양단이 제 2 좌측보조줄(80) 및 제 2 우측보조줄(90)이 연결되고, 그 제 2 좌측보조줄(80) 및 제 2 우측보조줄(90)에 각각 좌측연결볼(60)과 우측연결볼(70)이 결합 연결되며, 좌측연결볼(60)과 우측연결볼(70)이 메인줄(30)에 의해 연결한 형태의 탄력밴드기구, 도 6의 (d)와 같이, 좌측손잡이부(10)의 양단에 제 2 좌측보조줄(80)이 고리형태로 연결되고, 우측손잡이부(20)의 양단에 제 2 우측보조줄(90)이 고리형태로 연결되며, 이때, 제 2 좌측보조줄(80)과 제 2 우측보조줄(90)이 서로 '8'고리 형태로 연결된 형태의 탄력밴드기구, 도 6의 (e)와 같이, 좌측연결볼(60) 양측에 제 2 좌측 및 우측보조줄(80,90)이 연결결합되고, 이 제 2 좌측 및 우측보조줄(80,90)의 끝단에 좌측손잡이부(10)와 우측손잡이부(20)가 연결된 형태의 탄력밴드기구, 도 6의 (f)와 같이, 좌측손잡이부(10)와 우측손잡이부(20)를 제2좌측보조줄(80)로 연결한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는 각각의 구성을 도 6의 (g) 및 도 6의 (h)와 같은 형태로 조립해, 또 다른 형태의 탄력밴드기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용도 줄넘기는 한 쌍의 무게추(1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좌측손잡이부의 제 1 손잡이본체(11)에서 제 1 전방캡(13)과 제 1 후방캡(15)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 1 손잡이본체(11)의 양측에 중공부(101)를 갖는 중량원반(100)을 끼운 다음, 다시 제 1 전방캡(13)과 제 1 후방캡(15)을 제 1 손잡이 본체(11)의 양측에 나사결합하여 한 쌍의 중량원반(100)을 고정해줌으로써, 아령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좌측손잡이부
11...제 1 손잡이본체
13...제 1 전방캡
15...제 1 후방캡
20...우측손잡이부
21...제 2 손잡이본체
23...제 2 전방캡
25...제 2 후방캡
30...메인줄
40...좌측보조줄
50...우측보조줄
60...좌측연결볼
70...우측연결볼
80...제 2 좌측보조줄
90...제 2 우측보조줄

Claims (8)

  1.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1 전방캡과,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1 후방캡을 포함하는 좌측손잡이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2 전방캡과,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2 후방캡을 포함하는 우측손잡이부;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메인줄;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좌측보조줄; 및,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에 고정가능한 우측보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각각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좌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손잡이부,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보조줄, 상기 우측보조줄 중 임의의 것을 상호 조립하여 줄넘기 운동기구형태 또는 탄력밴드 기구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손잡이본체 양측단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단에는 수나사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각각에는 상기 수나사산들에 결합가능한 암나사산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산들과 상기 암나사산들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보조줄, 상기 우측보조줄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줄의 일단은 상기 제 1 전방캡의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전방캡 내에서 매듭지어져 상기 제 1 전방캡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메인줄의 타단은 상기 제 2 전방캡의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전방캡 내에서 매듭지어져 상기 제 2 전방캡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줄넘기 형태로 조립되거나,
    상기 좌측손잡이부 또는 상기 우측손잡이부의 하나의 양측에 상기 메인줄의 양단을 연결함으로써,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 형태도 조립되거나,
    상기 좌측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좌측보조줄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우측손잡이부의 양측에 상기 우측보조줄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좌측보조줄과 상기 우측보조줄이 "8"고리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근력운동을 위한 탄력밴드기구 형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5.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1 전방캡과, 상기 제 1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1 후방캡을 포함하는 좌측손잡이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손잡이본체와,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통공이 구비된 제 2 전방캡과,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통공이 마련된 제 2 후방캡을 포함하는 우측손잡이부;
    한 쌍의 반구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된 좌측연결볼;
    한 쌍의 반구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된 우측연결볼;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 좌측연결볼, 우측연결볼에 고정가능한 메인줄;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 상기 우측연결볼 고정가능한 좌측 제 1 및 제 2 보조줄; 및,
    고탄력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줄보다 길이가 작도록 구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 상기 우측연결볼에 고정가능한 우측 제 1 및 제 2 보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및,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각각은 상기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가능함으로써,
    상기 좌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손잡이부, 상기 우측연결볼, 상기 좌측연결볼, 상기 메인줄, 상기 제 1 및 제 2 좌측보조줄, 상기 제 1 및 제 2 우측보조줄 중 임의의 것을 상호 조립하여 줄넘기 운동기구형태 또는 탄력밴드동기구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손잡이본체 양측 및 상기 제 2 손잡이본체의 양측에는 수나사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및,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각각에는 상기 수나사산들에 결합가능한 암나사산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산들과 상기 암나사산들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줄, 상기 좌측 제 1 및 제 2 보조줄, 상기 우측 제 1 및 제 2 보조줄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전방캡, 상기 제 1 후방캡, 상기 제 2 전방캡 및, 상기 제 2 후방캡, 상기 좌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 상기 우측연결볼의 한 쌍의 반구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아령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손잡이부 또는 상기 우측손잡이부의 양측단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무게원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줄넘기.


KR2020130006238U 2013-07-26 2013-07-26 다용도 줄넘기 KR200473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38U KR200473950Y1 (ko) 2013-07-26 2013-07-26 다용도 줄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38U KR200473950Y1 (ko) 2013-07-26 2013-07-26 다용도 줄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950Y1 true KR200473950Y1 (ko) 2014-08-12

Family

ID=5198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38U KR200473950Y1 (ko) 2013-07-26 2013-07-26 다용도 줄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563Y1 (ko) * 2015-11-26 2016-06-08 이강섭 근력운동 및 줄넘기 기구 세트
WO2022039317A1 (ko) * 2020-08-19 2022-02-24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로프 고정용 스토퍼
KR102660058B1 (ko) * 2023-10-05 2024-05-08 주식회사 스포츠스타클럽 휴대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 줄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19Y1 (ko) * 1992-11-19 1995-09-11 권희연 완력기능을 구비한 줄넘기
JP2003102867A (ja) 2001-09-28 2003-04-08 Rabi:Kk 運動具用握り
KR200357181Y1 (ko) 2004-03-30 2004-07-23 임경재 줄넘기
KR200451841Y1 (ko) 2010-10-21 2011-01-14 김기홍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19Y1 (ko) * 1992-11-19 1995-09-11 권희연 완력기능을 구비한 줄넘기
JP2003102867A (ja) 2001-09-28 2003-04-08 Rabi:Kk 運動具用握り
KR200357181Y1 (ko) 2004-03-30 2004-07-23 임경재 줄넘기
KR200451841Y1 (ko) 2010-10-21 2011-01-14 김기홍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563Y1 (ko) * 2015-11-26 2016-06-08 이강섭 근력운동 및 줄넘기 기구 세트
WO2022039317A1 (ko) * 2020-08-19 2022-02-24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로프 고정용 스토퍼
KR102660058B1 (ko) * 2023-10-05 2024-05-08 주식회사 스포츠스타클럽 휴대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 줄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8731A1 (en) Wrist and forearm strengthening device
US7713177B2 (en) Buffering apparatus
US11338170B2 (en) Exercise bar
US20140228180A1 (en) Multi-function Jump Rope and Resistance Band
US20100216613A1 (en) Multiple Layered Resistance Cables With Built In Resistance Handles And Interchangeable Hand Grips With Attachments
US8152697B2 (en) Exercise tool
US9050484B2 (en) Exercise device and handle for same
US10874894B2 (en) Fitness equipment
US20180001127A1 (en) Bow shaped exercise bar
US9713734B1 (en) Elastic exercise device
US20140045658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70203145A1 (en) Conditioning Rope with Exchange Handle
KR200473950Y1 (ko) 다용도 줄넘기
CA2471047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 expander type exercise device
US20200289865A1 (en) Hands and feet pull exerciser
US9610470B1 (en) Resistance torque bar system
US9550086B1 (en) Exercise apparatus
KR200468939Y1 (ko) 휴대용 운동기구
KR20190000320U (ko) 핸들 운동 장치 및 운동 장치 세트
JP3203488U (ja) ロープ状トレーニング具
US20130252789A1 (en) Weighted exercise bar
JP2003102867A (ja) 運動具用握り
GB2520440A (en) Fitness training device
KR20070099258A (ko) 줄넘기
CN204522121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