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479A -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3479A KR20230033479A KR1020210116494A KR20210116494A KR20230033479A KR 20230033479 A KR20230033479 A KR 20230033479A KR 1020210116494 A KR1020210116494 A KR 1020210116494A KR 20210116494 A KR20210116494 A KR 20210116494A KR 20230033479 A KR20230033479 A KR 202300334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pulling
- exercise
- support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튜브(20); 상기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24);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30);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24)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24)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정용 운동기구 및 헬스장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운동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운동기구는 몸의 체중을 지탱해야 하고,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무거운 하중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무겁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한편, 일반 헬스장에서 근력 운동을 하려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손으로 들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 헬스장에서 근력 운동을 하려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손으로 들고 내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손에서 놓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이 초래된다. 특히, 노인과 같이 신체가 허약한 사람이 근력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 일반적인 헬스장의 바벨이나 덤벨 등을 직접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건강한 일반 성인이 바벨이나 덤밸 등을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위험이 있게 된다.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들면서 운동하다가 바벨이나 덤벨 등을 놓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튜브; 상기 튜브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튜브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고리부를 구비한 베이스 고리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고리부에 걸려지는 중간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링 지지부는,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지지구; 상기 연결 지지구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풀링 작동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지지구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을 벗어난 위치에 제1인서트 돌편과 제1인서트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을 벗어난 위치에 제2인서트 돌편과 제2인서트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끼리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1인서트 돌편에는 상기 제2인서트홈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서트홈에는 상기 제2인서트 돌편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이 만나서 상기 연결 지지구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와 상기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가 안쪽면끼리 맞닿도록 결합되어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는 나팔관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구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팔관의 내부에 상기 연결 지지구가 받쳐져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고리부는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분기 베이스 고리부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근력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의 상기 베이스 고리부에는 고리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홈에는 탄성부재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가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당겼다가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의 상기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는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시트(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탄성부재에 연결된 풀링 작동 지지체를 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을 주어서 당겨주기 때문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 부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복합 운동 기구의 시트에 앉아서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의자 체조 운동부와 벤드 체조 운동부를 이용하여 전신의 상하지, 관절 및 전신의 근육 운동을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이 안전하게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 및 제2반절 코어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근력 운동 풀링 기구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고리부재와 중간 고리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걸고리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걸고리부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 및 제2반절 코어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근력 운동 풀링 기구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고리부재와 중간 고리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걸고리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걸고리부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절 코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지지구를 구성하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와 제1반절 코어부재 및 제2반절 코어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근력 운동 풀링 기구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고리부재와 중간 고리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걸고리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걸고리부를 채용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는 튜브(20)에 탄성부재(24)가 내장되고, 상기 탄성부재(24)의 양단부에 풀링 지지부(30)와 걸고리부(4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튜브(20)은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된다. 상기 튜브(20)은 양단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튜브(20)가 양단부가 개방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20)은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된다. 예들 들어, 상기 튜브(20)은 복합 운동 기구에서 팔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와 어깨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 등에 장착된다. 주요부인 튜브(20)가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본 발명이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4)는 튜브(20)에 내장된다. 탄성부재(24)는 고무줄(탄성이 있는 벤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4)는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근력 운동을 위해 탄성부재(24)를 당길 때에 탄성부재(24)에 탄성력이 생겨서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는 것이다. 탄성부재(24)를 당길 때에 탄성력으로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하기 위한 근육 부분(예를 들어, 팔근육 등)에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풀링 지지부(30)는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풀링 지지부(30)가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풀링 지지부(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4)를 당길 때에 근육에 일정한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탄성부재(24)의 탄성력으로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원하는 신체의 근육에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풀링 지지부(30)는 사용자가 근력 운동을 할 때에 손으로 안정적이고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풀링 지지부(30)는 튜브(20)의 일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지지구(32)와, 상기 연결 지지구(32)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포함한다. 이때, 풀링 작동 지지체(3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다리 부분 또는 발 부분을 걸어줄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구(32)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는 반구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을 벗어난 위치에 제1인서트 돌편(32FIP)과 제1인서트홈(32FIG)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은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상기 제1인서트홈(32FIG)과 제1인서트 돌편(32FIP)은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의 양쪽에 구비된다. 두 개의 제1인서트홈(32FIG)과 두 개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이 연결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는 근력 운동을 하기 원하는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가 구비된다.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의 기단부가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는 반구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을 벗어난 위치에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제2인서트홈(32SIG)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상기 제2인서트홈(32SIG)과 제2인서트 돌편(32SIP)은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의 양쪽에 구비된다. 두 개의 제2인서트홈(32SIG)과 두 개의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은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는 근력 운동을 하기 원하는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가 구비된다.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의 기단부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와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의 안쪽면도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1인서트홈(32FIG)과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제2인서트홈(32SIG)과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홈(32SIG)과 마주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과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와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의 안쪽면이 맞닿도록 결합하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탄성부재(24) 결합홈과 탄성부재(24)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삽입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 지지부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결합하기 이전에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쪽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연결 지지구(32)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내부에는 제1반절 코어부재(36FCM)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내부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은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이 연결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양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반절 윙편은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 형성된 제1윙편 삽입홈에 안치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내부에는 제1코어부재 안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한 쌍의 제1반절 윙편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코어부재 안치홈과 제1윙편 삽입홈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는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에 연통된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측 탄성부재(24)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측 탄성부재(24) 삽입홀을 통하여 탄성부재(24)가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결합에 의해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내부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이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내부에는 제2반절 코어부재(36SCM)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내부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이 연결되고,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은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양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반절 윙편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형성된 제2윙편 삽입홈에 안치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내부에는 제2코어부재 안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와 한 쌍의 제2반절 윙편이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코어부재 안치홈과 제2윙편 삽입홈에 각각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는 상기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연통된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측 탄성부재(24)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측 탄성부재(24) 삽입홀을 통하여 탄성부재(24)가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결합에 의해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내부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이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안쪽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와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의 안쪽면도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1인서트홈(32FIG)과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제2인서트홈(32SIG)과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제1반절 코너부재 내부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은 제2반절 연결부재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마주하고,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홈(32SIG)과 마주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와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안쪽면과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과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와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의 안쪽면이 맞닿도록 결합하면 상기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탄성부재(24) 결합홈과 탄성부재(24)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홈(32FIG)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삽입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제1인서트 돌편(32FIP)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 지지부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결합하기 이전에 제1반절 코어부재(36FCM)의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FHH)과 제2반절 코어부재(36SCM)의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32SHH)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쪽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정리하면,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1인서트 돌편(32FIP)에는 제2인서트홈(32SIG)이 결합되고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상기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제2탄성부재(24) 결합홈이 만나서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24) 결합홈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와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가 안쪽면끼리 맞닿도록 결합되어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는 나팔관(5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구(32)에 탄성부재(24)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된다. 상기 연결 지지구(32)는 구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연결 지지구(32)바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다. 연결 지지구(32)가 나팔관(50)의 내부에 받쳐져서 지지됨으로써 연결 지지구(32)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정위치에서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걸고리부(40)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걸고리부(40)는 튜브(20)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부(40)가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탄성부재(24)를 튜브(20)의 타단부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걸고리부(40)는 베이스 고리부재(42)와 중간 고리부재(4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는 좌우 양쪽의 한 쌍의 연결 고리 바아(43)와, 한 쌍의 연결 고리 바아(43)에 연결된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는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 구조이다. 즉, 베이스 고리부재(42)의 한 쌍의 연결 고리 바아(43)가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어 베이스 고리부재(42)가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고, 베이스 고리부재(42)는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 구조이며,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을 베이스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에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중간 고리부재(46)는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탄성부재(24)의 타단부라 함은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연결된 일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이며, 이러한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중간 고리부재(46)는 힌지에 의해 결합 오프닝 바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 오프닝 바아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를 닫아주도록 회동되고, 상기 결합 오프닝 바아가 눌려지면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가 열려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에 상기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줌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중간 고리부재(46)를 매개로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쪽에 있는 베이스 고리부재(4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오프닝 바아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이 눌려져 있는 탄성력에 의해 결합 오프닝 바아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원래 위치로 회동되면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의 결합 개방부를 닫아준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간 고리부재(46)에는 연결 브라켓이 결합되고, 연결 브라켓은 탄성부재(24)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볼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연결 브라켓과 지지볼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탄성부재(46)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중간 고리부재(46)가 탄성부재(46)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데,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에 본 발명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복합 운동 기구에서 팔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와 어깨 근력 운동이 필요한 위치 등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근력 운동 풀링 기구가 복합 운동 기구에서 근력 운동 부위에 대응되도록 필요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탄성부재(24)가 탄성력이 있어서,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을 주어서 당겨주어야 하기 때문에,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 부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합 운동 기구의 시트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위쪽에 배치된 본 발명의 두 개의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당겨주면 사용자는 어깨 부분의 근육에 대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운동 기구의 시트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앞쪽에 배치된 본 발명의 두 개의 근력 운동 풀링 기구의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손으로 잡고 신체 쪽으로 당겨주면 팔과 어깨 부분의 근육에 대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는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 당겨서 탄성부재(24)를 일정한 힘을 주어서 펼쳐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헬스장에서 바벨이나 덤벨과 같이 중량물을 손으로 직접 들고 운동할 때에 생기는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노인과 같이 신체가 허약한 사람이 근력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 일반적인 헬스장의 바벨이나 덤벨 등을 직접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건강한 일반 성인이 바벨이나 덤밸 등을 들어서 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위험이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복합 운동 기구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서 탄성부재(24)를 늘려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허약한 노인이 근력 운동을 하거나 재활 운동을 할 때에 매우 안전한 효과가 있다. 허약한 노인이 바벨이나 덤벨 등의 중량물을 직접 들면서 운동하다가 바벨이나 덤벨 등을 놓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복합 운동 기구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잡고서 탄성부재(24)를 늘려주는 방식으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벨이나 덤벨 등을 직접 들고 운동하다가 놓쳐서 생길 수 있는 심각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 지지구(32)를 두 개의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를 결합하여 탄성부재(24)에 연결하고, 탄성부재(24)의 일단부를 연결 지지구(32)에 의해 튜브(20)의 일단부쪽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는 베이스 고리부재(42)와 중간 연결 고리를 매개로 튜브(20)의 타단부에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탄성부재(24)와 연결 지지구(32) 사이의 결합 구조가 신속하고 간편하며, 탄성부재(24)와 튜브(20) 사이의 결합 구조도 신속하고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튜브(20)의 일단부에는 나팔관(50)이 구비되어,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됨으로써 연결 지지구(32)가 위치 틀어짐이 없이 정위치에서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나팔관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팔이나 다리를 움직여서 상기 탄성부재를 모든 각도로 당겨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이 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를 마음데로 당겨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연결 지지구를 당겨서 탄성부재를 튜브의 바깥으로 당겨줄 때에 나팔관은 360° 모든 방향으로 벌어진 관형상이므로, 상기 탄성부재는 나팔관의 내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받쳐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방향으로 연결 지지구와 탄성부재를 무리없이 당겨주어서 원하는 모든 방향으로 근력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고리부(44)는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각각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튜브(20)의 타단부)에서 이격된 거리가 각각 다르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고리부(44)가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와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와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가 제일 작고,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는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에 비하여 더 크고,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는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이 튜브(20)의 끝단에서 이격된 거리에 비하여 더 크다.
상기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에 탄성부재(24)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주면, 근력 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늘려주기 위하여 당겨주는 힘이 제일 작고, 상기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에 탄성부재(24)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주면,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늘려주기 위하여 당겨주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24)가 중간 고리 부재(46)에 의해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의 고리홈에 걸려져 있을 때에 사용자가 당겨주는 힘에 비하여 더 크고, 상기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의 고리홈에 탄성부재(24)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를 걸어주면, 사용자가 탄성부재(24)를 늘려주기 위하여 당겨주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24)가 중간 고리부재(46)에 의해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의 고리홈에 걸려져 있을 때에 사용자가 당겨주는 힘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4)의 탄성력을 근력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힘으로 근력 운동을 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고리부(40)는 베이스 고리부재(42)와 중간 고리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는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는 고리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홈에는 탄성부재(30)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상기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 구비된 고리홈에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개방부의 폭(DI)이 상기 중간 고리부재(46)의 직경(46D)에 비하여 더 작고,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는 탄성이 있는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고리홈의 개방부를 통과하여 억지 끼움되어 상기 고리홈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서 중간 고리부재(46)가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걸고리부(40)를 구성하는 베이스 고리부재(42)의 베이스 고리부(44)에 구비된 고리홈에 탄성부재(30)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되어서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베이스 고리부재(42)는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하는데,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각각의 고리홈에도 상기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의 각각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에 구비딘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고리부(44)가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와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와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고리부재(46)는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 또는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 또는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급속하게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F) 또는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S) 또는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44BRT)에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튜브
30. 탄성부재
30. 풀링 지지부 32. 연결 지지구
32FC. 제1반구형 연결부재 32FCG.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
32FHH.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 32FIG. 제1인서트홈
32FIP. 제1인서트 돌편 32SC. 제2반구형 연결부재
32SCG.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 32SHH.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
32SIG. 제2인서트홈 32SIP. 제2인서트 돌편
34. 풀링 작동 지지체 34FP.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
34SP.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 36FCM. 제1반절 코어부재
36SCM. 제2반절 코어부재 40. 걸고리부
42. 베이스 고리부재 43. 연결 고리 바아
44. 베이스 고리부 44BRF.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
44BRS.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 44BRT.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
46. 중간 고리부재 50. 나팔관
30. 풀링 지지부 32. 연결 지지구
32FC. 제1반구형 연결부재 32FCG.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
32FHH. 제1반절 탄성부재 삽입홀 32FIG. 제1인서트홈
32FIP. 제1인서트 돌편 32SC. 제2반구형 연결부재
32SCG.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 32SHH. 제2반절 탄성부재 삽입홀
32SIG. 제2인서트홈 32SIP. 제2인서트 돌편
34. 풀링 작동 지지체 34FP.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
34SP.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 36FCM. 제1반절 코어부재
36SCM. 제2반절 코어부재 40. 걸고리부
42. 베이스 고리부재 43. 연결 고리 바아
44. 베이스 고리부 44BRF. 제1분기 베이스 고리부
44BRS. 제2분기 베이스 고리부 44BRT. 제3분기 베이스 고리부
46. 중간 고리부재 50. 나팔관
Claims (7)
- 복합 운동 기구에 장착되는 튜브(20);
상기 튜브(2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근력 운동을 위한 힘을 가하게 되는 탄성부재(24);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풀링 지지부(30);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4)가 당겨질 때에 상기 탄성부재(2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걸고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풀링 지지부(30)를 사용자가 당겨서 상기 탄성부재(24)를 늘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신체 부위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부(40)는,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고리부(44)를 구비한 베이스 고리부재(42);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 걸려지는 중간 고리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지지부(30)는,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지지구(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구(32)에는 풀링 작동 지지체(3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지지구(32)는,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에는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의 안쪽면에는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을 벗어난 위치에 제1인서트 돌편(32FIP)과 제1인서트홈(32FIG)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에는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과, 상기 제2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SCG)을 벗어난 위치에 제2인서트 돌편(32SIP)과 제2인서트홈(32SIG)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반구형 연결부재(32FC)와 상기 제2반구형 연결부재(32SC)의 안쪽면끼리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1인서트 돌편(32FIP)에는 상기 제2인서트홈(32SIG)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서트홈(32FIG)에는 상기 제2인서트 돌편(32SIP)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탄성부재 결합홈(32FCG)과 상기 제2탄성부재(24) 결합홈이 만나서 상기 연결 지지구(32)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24) 결합홈에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이 걸려져서 결합되고,
상기 제1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FP)와 상기 제2반절 풀링 작동 지지체(34SP)가 안쪽면끼리 맞닿도록 결합되어 상기 풀링 작동 지지체(3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의 일단부에는 나팔관(5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구(32)에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팔관(50)의 내부에 상기 연결 지지구(32)가 받쳐져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리부(44)는 내부의 고리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기 베이스 고리부(44)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분기 베이스 고리부(44)의 고리홈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4)의 탄성력을 근력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리부재(42)의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에는 고리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홈에는 탄성부재(30)에 연결된 중간 고리부재(46)가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겼다가 놓았을 때에 중간 고리부재(46)가 상기 베이스 고리부(44)의 상기 고리홈에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494A KR102696851B1 (ko) | 2021-09-01 | 2021-09-01 |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494A KR102696851B1 (ko) | 2021-09-01 | 2021-09-01 |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479A true KR20230033479A (ko) | 2023-03-08 |
KR102696851B1 KR102696851B1 (ko) | 2024-08-20 |
Family
ID=8550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6494A KR102696851B1 (ko) | 2021-09-01 | 2021-09-01 |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685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47484A (en) * | 1994-11-21 | 1995-09-05 | Chandler; Jerry W. | Rope exercise apparatus |
US7695413B1 (en) * | 2007-05-10 | 2010-04-13 | Christian Cruz |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band |
US20100255966A1 (en) * | 2009-04-06 | 2010-10-07 | Aucamp Frederick P | Portable exercise equipment |
KR200461887Y1 (ko) | 2010-11-16 | 2012-08-10 | 박연화 | 다목적 복합운동기구 |
KR101864064B1 (ko) | 2017-01-06 | 2018-06-01 | 구경식 | 다기능 운동기구 |
KR102263354B1 (ko) * | 2020-01-23 | 2021-06-09 | 박향미 | 어깨의 재활과 근력을 단련시키는 운동기구 |
-
2021
- 2021-09-01 KR KR1020210116494A patent/KR1026968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47484A (en) * | 1994-11-21 | 1995-09-05 | Chandler; Jerry W. | Rope exercise apparatus |
US7695413B1 (en) * | 2007-05-10 | 2010-04-13 | Christian Cruz |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band |
US20100255966A1 (en) * | 2009-04-06 | 2010-10-07 | Aucamp Frederick P | Portable exercise equipment |
KR200461887Y1 (ko) | 2010-11-16 | 2012-08-10 | 박연화 | 다목적 복합운동기구 |
KR101864064B1 (ko) | 2017-01-06 | 2018-06-01 | 구경식 | 다기능 운동기구 |
KR102263354B1 (ko) * | 2020-01-23 | 2021-06-09 | 박향미 | 어깨의 재활과 근력을 단련시키는 운동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6851B1 (ko) | 202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59612B2 (en) |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 |
CA2551734C (en) |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 |
US6168557B1 (en) | Complex exerciser structure | |
US7708670B2 (en) | Seated row exercise system | |
US8403818B1 (en) | Exercise resistance system | |
US7998042B2 (en) |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 |
US20100048368A1 (en) |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 |
US20130212857A1 (en) |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 |
US20140031182A1 (en) |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 |
US9283426B2 (en) | Portable multi-purpose exercise unit | |
US20150141217A1 (en) |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 |
US20140018215A1 (en) |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 |
US7381168B2 (en) |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 |
US8808152B1 (en) | Exercise resistance machine | |
JP2009502262A (ja) |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 |
US20110287908A1 (en) |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 |
TWM587065U (zh) | 健身器材 | |
US20150031508A1 (en) | Multifaceted linear training device | |
KR102696851B1 (ko) |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 |
CN105664423A (zh) | 腿挂杠铃负重器 | |
KR102696850B1 (ko) |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 |
US9764189B2 (en) | Handheld exercise apparatus | |
KR20190037090A (ko) | 종합 헬스기구 | |
TWI380835B (zh) | 使用健身抗力索之健身系統 | |
KR101379266B1 (ko) | 장애인용 야외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