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951B1 -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951B1
KR102627951B1 KR1020230099946A KR20230099946A KR102627951B1 KR 102627951 B1 KR102627951 B1 KR 102627951B1 KR 1020230099946 A KR1020230099946 A KR 1020230099946A KR 20230099946 A KR20230099946 A KR 20230099946A KR 102627951 B1 KR102627951 B1 KR 10262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tem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sub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주)더더법률민원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더법률민원서비스 filed Critical (주)더더법률민원서비스
Priority to KR102023009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9Phrasal analysis, e.g. finite state techniques or chunking
    • G06F40/295Named entity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매핑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자동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DOCUMENT FILLING OUT SERVICE}
본 발명은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내 항목에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문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부채증명서는 개인의 모든 대출현황과 신용에 대한 부분이 모두 망라되어 있는 문서이다. 부채증명서는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6조제6항 전단에 따른 증명서로 사회복지사업의 소득기준을 파악할 때, 토지거래 및 이용에 관한 규제에 따른 토지를 거래하고자 할 때, 민간임대주택을 매입할 때, 주택연금의 세제혜택을 받을 때, 한부모가족의 지원을 신청할 때, 보건소 의료비 지원을 받거나 생활비 등을 지원받을 때, 개인파산 및 면책절차에서 채권자목록을 작성할 때 등에 요구된다. 개인파산 및 면책절차에서 이러한 부채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채무자는 채권액 및 원인, 채권자의 성명 및 주소 등이 기재된 자료를 채권자로부터 받아 채권자목록의 첨부서류로 제출해야 한다(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47조제1항 및 제448조제1항). 이때, 부채증명서를 위한 신청서를 작성할 때 다중채무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신청서에 기입해야 하는 정보는 동일하지만 양식이 모두 달라 각 문서에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기입해야 한다.
이때, 서류의 양식에 맞게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거나 문서양식을 표준화한 후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7-0067020호(2007년06월27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9601호(2009년08월24일 공개)에는, 회사서류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서류의 양식에 맞게 자동으로 문서를 작성하도록, 사용자 단말에서 회사정보, 사업정보, 재무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사업계획서, 제안서, 기획서, 보고서, 정책자금 신청서를 포함한 문서를 작성해주는 구성과, 표준문서양식을 구축하고, 표준문서양식의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표시해주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구성 모두 자사의 문서에 자사의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일 뿐, 타사의 문서에 자사의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이 아니다. 기업이 직접 구축한 문서의 경우 각 문서의 필드 및 항목이 모두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기업의 정보만 넣으면 바로 입력할 수 있지만, 부채증명서를 위한 신청서와 같이 각 금융사, 은행 및 대부업체의 서로 다른 양식 및 서식의 문서를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을 반복하여 기재해야 한다. 또 다중채무와 같이 각 금융사 및 대부업체에 부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채무가 존재하는 각 금융사 및 대부업체의 양식을 다운로드받아 프린트 한 후 수기로 작성하거나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열어 동일한 정보를 반복적으로 기입해야 한다. 이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으면 문서에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일괄기입함으로써 문서를 생성하는 솔루션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로부터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서 데이터 불러오기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한 후 문서를 일괄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문서를 파일 또는 프린트로 출력해줄 수 있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문서의 종류를 선택하여 자동 생성된 문서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매핑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종류의 문서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자동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로부터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서 데이터 불러오기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한 후 문서를 일괄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문서를 파일 또는 프린트로 출력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엑세스를 허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분류부(320), 추출부(330), 생성부(340), 전송부(350), 빅데이터화부(360), 오류 검증부(370), 개인정보 보호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로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 서비스가 적용되는 개인회생절차 및 개인회생절차를 진행하기 위하여 채무자가 제출해야 할 서류의 목록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한 민원을 처리하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는지, 또 많은 신청서에 동일한 사용자 정보를 넣는 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인 일인지에 대한 도출배경을 설명한다. 물론, 이하에서 개인회생절차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 서비스는 개인회생절차에 한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한다.
<개인회생채권자목록>
개인회생채권자목록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89조제2항제1호에 의하여 개인회생절차의 개시신청서에 반드시 첨부되어야 할 문서로서 이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채권자의 성명 및 주소와 채권의 원인 및 금액이 기재되어야 한다. 개인회생절차개시신청서에는 채무자의 성명ㆍ주민등록번호 및 주소, 신청의 취지 및 원인, 채무자의 재산 및 채무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서류를 첨부해야 하는데 개인회생채권자목록(채권자의 성명 및 주소와 채권의 원인 및 금액이 기재된 것을 말한다), 재산목록, 채무자의 수입 및 지출에 관한 목록, 급여소득자 또는 영업소득자임을 증명하는 자료, 진술서, 신청일 전 10년 이내에 회생사건ㆍ화의사건ㆍ파산사건 또는 개인회생사건을 신청한 사실이 있는 때에는 그 관련서류, 그 밖에 대법원규칙이 정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개인회생채권자목록은 채무자가 부담하는 개인회생채권의 내용과 규모를 파악하여 변제계획 작성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1차적 목적으로 한다(법 제611조). 그리고 개인회생신청부터 면책여부의 결정에 이르기까지 개인회생절차의 각 단계마다 목록의 제출여부나 개별 개인회생채권자의 채권의 기재여부, 개인회생채권액의 합계 여하 등에 일정한 법적효과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개인회생절차 전반에 걸쳐 채권자나 채무자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문서 중의 하나이다. 다만, 개인회생채권자목록의 기재는 정확할 것이 요구되지만, 채무자는 금융기관과 같은 채권자로부터의 부채확인서 등을 입수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비협조적인 경우가 많아 상당한 애로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개인회생절차를 신청하고자 하는 채무자가 부채를 증명할 자료를 수집하려고 노력을 하였으나 결국 여의치 않아 제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규칙 제82조에서 개인회생채권자목록의 작성 및 수정에 참고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개인회생채권자에게 개인회생 채권의 존부 및 액수, 담보채권액 및 피담보재산의 가액 평가, 담보부족전망액에 관한 자료의 송부를 청구할 수 있고(제1항), 개인회생채권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자료송부 청구가 있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이에 응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제2항), 채무자는 개인회생채권에 관한 자료송부의 청구서 사본을 붙이는 방법으로 먼저 소명자료에 대신할 수도 있다. 이후 채권자가 채무액에 관한 자료를 송부하여 올 경우에 지체 없이 법원에 제출하여야 하며, 혹시 채권자의 송부자료와 차이점이 있다면 개인회생채권자목록의 기재를 수정하여 다시 제출하여야 한다(개인회생예규 제4조 제2항, 제3항).
이를 위하여 도 3f 및 도 3g와 같이 개인회생채권자목록 및 채무자재산목록을 작성해야 하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각종 서류를 각 채권자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각 채권자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을 위해서는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신청서를 제출할 때 이하 표 1과 같은 개인회생을 위한 서류 또는 표 2와 같은 개인파산을 위한 서류를 수집하기 위한 신청서를 제출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의뢰한 사용자 한 명 당 최소 수 십 장의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고, 한 장의 신청서 당 성명,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입한다고 가정할 때 발급해야 할 서류가 50 장이어서 신청서가 50 장이라고 가정하면 50 장×4=200 번의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해야 한다. 또,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플랫폼에 의뢰를 한 경우를 가정하므로, 위임장을 받아 처리하는 담당자의 성명,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을 넣는다고 가정하면, 50 장×8=400 번의 복사 및 붙여넣기가 필요하게 된다.
구분 구비서류
동사무소 1. 가족관계증명서
2. 혼인관계증명서
3. 주민등록등본(과거주소 전체)
4. 주민등록초본(과거주소 전체)
5.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전 세목 포함, 최근 10년)
6. 자동차등록원부(갑구&을구)
7. 출입국사실증명원(최근 5년)
8. 수급자 증명원(기초생활, 연금수급)
9. 장애인 증명원
10. 인감증명서(채권자수 + 3부), 인감도장, 신분증
11. 사망한 가족 :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말소자초본, 제적등본
세무서 1. 소득금액증명원(최근 5년)
2. 사업자등록증
3. 폐업사실확인원
4. 부가가치세표준증명원(최근 3년)
5. 매출,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6. 사실증명원(사업자 유무, 납세증명, 체납, 무소득)
국민연금공단 1. 연금정산용 가입내역 확인서
2. 연금 납부내역서
건강보험공단 1. 자격득실 확인서(FAX 가능)
2. 사업자, 직장가입자 외 해당 : 최근 1년 보험료 확인서(직접방문)
구청 1. 토지소유현황 또는 토지미등록자현황(토지과)
2. 지방세 납부확인서(세무과)
위텍스 1. 지방세 납부확인서
생명보험협회 & 손해보험협회 ※ 생명/손해 보험협회의 보험가입 확인조회서에 나타난 보험현황 확인 → 각 보험사에 전화 후 서류발급요청(FAX 가능)
1. 보험가입 확인조회서
2. 가상보험 해지환급금 증명서
3. 보험납입현황
4. 해지, 실효 증명서
통장 1. 과거 3년부터 현재까지의 채무자의 금융거래내역서
(공과금, 카드사용, 급여이체 등이 기재된 통장 제출, 가족명의의 통장으로 거래되었다면 가족의 금융거래내역서 제출)
2. 과거 5년간 채무자의 사업용 금융거래내역서
(채무자가 과거 5년 전부터 현재까지 개인사업장을 운영한 경우 채무자가 사업용으로 사용한 금융거래내역서)
급여소득자 1. 재직증명서
2. 급여증명서(1년)
3.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4. 퇴직예정확인서
5. 예상퇴직금확인서
6. 현금수령확인서
7. 수입상황보고서
기타 1. 임대차계약서 사본
2. 무상거주사실 확인서
3. 진술서
4. 해당기관 발급의 미납(체납)증명서
5. 환급계좌 통장 앞면 사본
6. 진단서
7. 부과세과표 근거 월평균 소득산출(사업자 해당)
- 본인이 부채증명서 발급시 각 채권사 별로 부채증명원 및 신용카드 거래내역서 발급
- 재산처분 내역(ex. 거래내역서, 완납증명서, 매매계약서, 차량처분계약서 등)
- 사업장 내외부 사진 5장
- 무상거주지 소유자의 신분증 사본
- 사업장의 사업자등록증 및 사업주의 신분증 사본
- 배우자 명의의 담보가 있는 경우, 배우자 명의의 실 채무 부채증명원
- 신용회복, 워크아웃 진행했던 채무자는 신용회복위원회에 포함되어 있는 채무확인서
- 과거 채무자 재산을 경매처분 했다면, 배당표, 사건별 수불내역서, 공탁금출급증명원
- 과거 3년간 채무자 거주지의 임대차 계약서 사본(채무자가 임차인인 경우에만)
- 과거 3년간 채무자 거주지 매매계약서 사본
- 과거 3년간 매매대금 및 임차보증금 출처, 사용처에 관한 금융자료(ex. 통장사본, 계약이체내역서 등)
- 현재 거주지 사진 안, 밖
구분 구비서류
동사무소 1.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2. 주민등록초본 1부(주소 변동 내역 포함)
3. 주민등록등본 1부
4. 지방세 세목별과세증명서(본인) 1통(배우자) 1통
5. 인감증명서(채권자수 + 2통 여유분으로 발급)
6. 인감도장, 신분증
7.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수급통장
세무서 1. 근로(사업)소득신고 사실증명 또는 종합소득세신고 사실증명
국민건강보험공단 1. 지역의료보험증 사본, 보험료(부과)산정 내역서, 미납증명서
2. 직장의료보험증 사본, 보험료 납부내역서 발급
국민연금관리공단 1.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국민연금 납부증명서
2. 미납증명서
3. 미가입증명서(가입사실이 없을 경우 발급) 본인과 배우자
은행 1. 최근 1년간 통장거래내역
주거관계 1. 무상거주 사실 확인서
2. 임대차 계약서(전세, 월세)
부채증명서 부채증명서, 카드이용내역서
병원(질병) 진단서, 소견서, 장애인 증명서
더욱이 각 공공기관, 금융사, 은행, 대부업체 등의 양식이 서로 달라서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한다고 할지라도 성명,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및 주소의 위치를 모두 사람의 눈으로 찾고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해야 한다. 게다가 사용자인 채무자가 취약차주여서 다중채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채권자로부터 부채증명서를 받아야 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수 만큼 작성해야 하는 신청서는 배수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서를 각 공공기관 및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후, 문서 내 존재하는 각 항목 및 위치를 식별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각 항목별로 분류되도록 저장한 후,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류발급을 위한 신청서를 작성할 때, 신청서, 즉 문서 내 각 항목의 사용자 정보가 자동으로 일괄삽입될 수 있도록 각 항목별 데이터 불러오기 기능 및 데이터 위치지정기능을 제공하며, 이렇게 사용자 정보가 삽입된 문서를 일괄적으로 파일로 저장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는 출력기능을 포함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도 4b 내지 도 4d와 같이 이름, 전화번호(연락처),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메일, 핸드폰통신사, 공동인증서, 공동인증서를 발급한 은행 및 비밀번호, 신분증 등일 수 있는데, 이 중 문서에 기입되는 것은 텍스트에 대응하는 개인정보이고, 공동인증서, 은행, 비밀번호 및 신분증 등은 서류 발급에 이용되는 자료이므로 문서에는 삽입되지 않는다.
매핑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와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도 3e와 같이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각 문서를 등록할 때,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이 입력되는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도 3e의 노란색 박스인 셀(Cell)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다. 이렇게 각 문서의 항목 및 위치를 저장하고, 위치는 노란색 박스인 셀이 위치하는 영역을 지정하기 위하여 각 꼭짓점의 XY 좌표를 4 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시작점의 좌측 상하단 꼭짓점만을 설정한 후, 동일한 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행의 끝단의 상하단 꼭짓점만을 설정하여, 동일한 행을 넘어가는 경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글자의 크기나 자간 또 장평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셀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은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문서가 워드파일이라면 텍스트 검색으로, 문서가 이미지 파일이라면 OCR을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하고 셀이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수동으로, 예를 들어 셀을 클릭 또는 선택한 후, 위치를 조정하거나, 높이 및 너비를 드래그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사용자등록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회생 및 개인파산의 경우에는 대부분 법무법인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접 민원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자동입력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각 문서의 각 항목 및 위치에는 데이터 불러오기 기능 및 데이터 위치변경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셀을 기준으로 데이터 불러오기를 실행하면, 항목이 이름인 경우 사용자의 이름을, 항목이 주민등록번호인 경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불러오게 된다. 여기서 텍스트 입력을 하면 각 문서, 예를 들어, 신청서 양식에 자동으로 입력만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저장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입력 방법 또한 불러오는 기능 외에도 추가로 텍스트 입력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생성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 많은 이벤트에 등록할 때 양식자동완성이 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정보를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아도 되도록 할 수도 있고, 관공서 페이지에서 서로 다른 양식에 동일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은행에 대출서류 등 서로 다른 양식에 동일한 정보를 입력할 때에도, 또 회사에서 서로 다른 양식에 동일한 정보를 입력할 때에도, 또 로펌에서 법원제출서류에 동일한 정보를 입력할 때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기본정보 외 사용자가 지정하는 텍스트 입력도 가능하다. 더불어, 도장스캐너에서 스캔한 도장 이미지의 경우에도 이를 이용하여 한 번에 서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부채증명서를 위한 신청서라면, 신청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 3b의 신청서에는 자동입력부(340)에서 일괄입력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본 출원의 명세서 도면 내 개인정보를 포함시킬 수는 없기에 이를 삭제한 후 캡쳐한 도면이다. 만약 표 1 및 표 2와 같은 신청서가 작성되어야 한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일괄자동입력으로 사용자의 서류발급대행을 처리하는 담당자의 업무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문서를 저장할 때 클라우드 또는 웹하드를 이용하는데, 각각의 문서를 도 4w와 같이 첨부파일 행의 파일선택을 클릭한 후 업로드를 하거나, 기 설정된 클라우드, 예를 들어 네이버박스 등에 업로드를 하는 것도 문서가 수 십 장일 때에는 인력 및 시간의 소모가 극심해진다. 이에, 자동입력부(340)에서 일괄입력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신청서의 경우, 자동으로 도 4w의 첨부파일로 첨부되도록 하거나 기 설정된 경로 또는 폴더에 저장이 되도록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RP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담당자, 즉 사용자의 서류발급대행을 처리하는 담당자가 그룹웨어나 ERP 등을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때, 개별 업무 단계에 관한 이벤트 데이터가 저장된다. 프로세스 마이닝(Process Mining)은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기록된 이벤트 로그를 분석하여 해당 조직의 프로세스 모델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프로세스 마이닝의 입력 데이터인 이벤트 로그는 이벤트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이벤트 로그의 각 행은 발생한 이벤트, 즉 수행된 업무 단계를 나타낸다. 업무 프로세스는 서로 다른 수행자(담당자)에 의해 서로 다른 실행경로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별적 실행 건을 케이스(Case)라고 한다. 각 케이스의 시작에서 종료까지 모든 과정을 언제, 누구에 의해 수행되었는지 순차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가 실제 수행된 흐름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RPA가 수행하도록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스크립트를 RPA가 수행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제대로 구동은 되는지 또 업무효율이 실제로 개선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출처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저장할 때, 적어도 하나의 문서가 제출되는 기관 및 기업을 제출처 태그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과 같은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고 가정할 때 A 문서가 B 제출처에 제출되어야 한다는 것이 기록되지 않는 경우, 도 4n의 양식자동인쇄에서 어떠한 문서를 호출해야 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때, 양식자동인쇄란 A 제출처의 문서가 저장되어 있고, 이 문서에 상술한 사용자 정보가 자동으로 일괄입력된 결과를 프린터 또는 파일저장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담당자는 사용자 정보를 일일이 넣지 않고 양식자동인쇄만 누르면 사용자 정보가 이미 입력된 문서(신청서)가 출력되므로, 사용자 정보를 일일이 넣지 않고 출력된 문서(신청서)와 위임장을 들고 각 제출처에 제출만 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문서-제출처]가 매핑되어야 하고, 제출처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문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채증명생성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의 종류가 부채증명신청서인 경우, 기 구축된 적어도 하나의 채권사 리스트 중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로 조회한 채무내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권사의 부채증명신청서를 로딩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부채증명신청서에 일괄입력하여 부채증명신청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최근 정부24에서는 개인채무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마련하고 있으며, 대출기관, 대출잔액, 잔여이자, 시효완성여부, 보증인유무, 대출이자, 대출상품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기타 금융공공기관 채무는 한국신용정보원 크레딧포유에서 일괄조회할 수도 있고,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금융공공기관으로부터 채무내역을 조회할 수도 있고, 국민행복기금에서 인수한 채권은 국민행복기금 등에서 조회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사이트 외에도 다양한 사이트가 더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출력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종류의 문서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출력하도록 프린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제출처의 접수방법은 우편, 팩스, 이메일, 방문접수 등 다양하다. 이때, 우편, 팩스 및 방문접수를 하기 위해서는 출력을 해야 한다. 이때, 각 제출처에 따른 제출방법은 제출처부(360)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우편, 팩스, 방문접수를 하는 경우에는 바로 프린터에 출력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제출방법이 이메일 및 파일업로드의 경우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해줄 수 있다. 이때, 각 제출처별로 요구하는 파일의 포맷도 모두 다를 수 있다. 어떤 제출처는 JPG, PDF, DOC만을 요청하거나, 기관, 특히 공공기관과 같은 경우에는 DOC 파일은 쓰지 않고 한글로 통일인 경우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제출처부(360)에서 [제출처-제출방법-제출포맷-제출용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한 경우, 제출포맷에 따라 문서를 변환해줄 수 있다. 또, 제출포맷 뿐만 아니라 제출용량도 한정되어 있는 경우, 제출용량에 맞게 해상도를 낮추거나 압축을 함으로써 업로드를 RPA가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출력시부터 제출포맷 및 제출용량에 맞게 출력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위치맞춤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따른 셀(Cell)을 드래그로 조정하도록 조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문서가 파일로 된 문서라면 도 3d와 같이 각 항목, 예를 들어, 개인(주민등록번호) 옆 노란색 셀 영역이 자동으로 위치가 지정되는데, 이 셀 영역이 자동으로 지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주민등록번호)의 행 및 열에 맞지 않게 배치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의 수량 1통 발급에 노란색 박스의 행이 잘못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데이터 불러오기 기능이 내장된 노란색 셀 영역이 잘못 배치된 경우에는 이를 삭제하거나 열이나 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셀을 클릭한 후 각 항목에 대응하는 자리에 지정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각 담당자나 관리자는 자동으로 지정된 셀 영역을 드래그하여 위치를 조정하거나 셀 영역의 우측 하단을 잡아당기거나 줄이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가칭, 우리민원)에서는 도 4i의 하단과 같이 의뢰인인 사용자의 공인인증서 뿐만 아니라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까지 요청하여 관리하게 되므로, 개인정보 암호화는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각 담당자나 관리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개인정보유출까지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암호화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는 담당자 단말(미도시)에서 제로트러스트모델(Zero Trust Model)이 구동되도록 담당자 단말에 제로트러스트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개인정보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암호화에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키의 특성에 따라 대칭키(비밀키) 알고리즘, 공개키 알고리즘, 해시 알고리즘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암호화의 경우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와 같이 질의처리 시 마다 암호화 및 복호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속도가 빠른 알고리즘이 적당하고,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같이 복호화가 필요없는 항목인 경우에는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칭키 알고리즘인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 및 DES(Data En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불규칙적 숫자인 원주율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강화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주민등록번호 등에 대응하는 컬럼은 사전에 미리 암호화를 수행한 데이터를 적재할 수 있다.
① AES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 키를 생성하는데, 키는 0과 1의 난수 15×27개로 이루어진 파일을 이용한다. 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주율을 응용할 수 있다. 원주율의 소수 첫째자리부터 시작하여 27번째 자리까지의 값만큼 키 파일에서의 숫자를 추출한다. 마지막 자리는 128비트를 채우기 위하여 2비트만을 사용한다. 이하 표 3은 키 파일의 사용구조를 나타낸다.
001101000101010
010010011110101
101011110010000
...
101100110011111
키를 생성하고 나서 암호화할 데이터를 AE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암호화 한다. AES 알고리즘은 아파치 재단에서 오픈소스로 제공하고 있는 commons-codec-1.x.ja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그 다음은 ② DES 알고리즘 초기 치환 적용인데, AES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나서 생성된 암호문을 64비트씩 묶어 DES 알고리즘의 초기치환을 수행한다. 초기치환을 하는 경우 초기치환표가 생성되는데, 초기치환표의 첫째 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시작하여 마지막 줄 오른쪽이 마지막 64번째 비트에 해당되며, 첫 번째 비트는 58번째 비트의 값, 두 번째 비트는 50번째 비트의 값으로 치환한다. 초기치환을 수행하는 64비트의 블록은 난수 배열인 원주율의 값에 따라 블록사이에 공간을 띄운다. 원주율 3.1415926535...로부터 첫 번째 블록에서 3비트를 띄고 다음 64비트의 블록을 초기치환하고, 그 다음 1비트를 띄고 64비트의 블록을 치환하여 수행하고 64비트 미만의 비트가 존재할 경우 초기치환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암호문에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 다음은 ③ DES 알고리즘 최종 치환 적용인데, 암호화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선 같은 방식으로 복호화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64 비트의 블록 단위로 DES 알고리즘의 최종치환을 수행하고 각 블록 사이는 원주율 값인 3.1415926535...에 의한 비트를 띄운다. 이렇게 최종치환을 한 후 생성되는 최종치환표 역시 초기치환과 같은 순서로 시작되며 첫 번째 비트는 40번째 비트의 값, 두 번째 비트는 8번째 비트의 값으로 치환한다. 그 다음은 ④ AES 알고리즘 복호화 적용인데, DES 알고리즘의 최종치환을 수행한 데이터는 아파치 재단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복호화 하며 이때 사용한 키는 ①의 AES 암호화 알고리즘에 사용한 키와 동일하다. 상술한 프로세스를 정리하면 이하 표 4와 같다.
원문데이터 ---------AES 알고리즘 수행------→ 1차 암호문
64 64 64 64 64 N
3 1 4 1 5
↓DES 알고리즘 초기치환수행↓
최종암호문
데이터베이스
최근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여 연산 수행속도가 나날이 빨라지고 있다. 이에, 단순히 하나의 암호화 알고리즘 만으로는 전사공격 등 여러가지 공격방법으로 인해 정보유출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AES 알고리즘과 DES 알고리즘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덧붙여 불규칙적 난수의 조합인 원주율을 사용하여 한 번 더 연산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설령 암호문과 AES 알고리즘에 사용된 키를 탈취하였더라도 복호화 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내부적 연산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프로그램 내부 연산에 속해있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간에도 연산정보가 유출되는 일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키 추출 알고리즘이나 DES의 초기 및 최종 치환시 64비트 블록 사이에서 사용되는 원주율의 시작위치 같은 강화된 암호화에 사용되는 연산들은 개발자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프로그램을 새로 배포하여 키 등을 갱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로트러스트모델>
제로트러스트는 컴퓨팅 자원에 접근하는 내·외부 담당자 및 관리자에 대해 [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를 전제로 한 개념적 모델로서 컴퓨팅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권한과 권한의 유효성을 반드시 입증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용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중 AWS(Amazon Web Services)의 스토리지 서비스인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 S3)를 대상으로 보안 모델을 설계하고, 제로트러스트 기술로 접근 제어 목록(Access Control List, ACL) 및 키 관리 서비스(Key Management Service, KMS)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자원 요청 위치에 따른 제로트러스트 기술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WS 클라우드 내부 및 외부에서 각각 자원 요청을 발생시키고, 메모리, 웹, 네트워크 포렌식을 통해 보안 기술 유형별 적용 효과 및 담당자 및 관리자의 자원 사용 흔적을 추적할 수 있다.
<ACL>
ACL은 파일 저장소인 S3의 버킷(Bucket)과 저장된 각 파일을 의미하는 객체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S3 접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정책으로 동작한다. S3 버킷에 ACL 기능을 활성화하면 S3 버킷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하여 누구나 S3 버킷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객체에 ACL을 적용하면 각 객체에도 접근 가능하다. S3 버킷의 ACL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는다면 객체의 ACL은 디폴트(Default)로 활성화되지 않으므로 S3 버킷과 객체의 권한을 소유한 사용자(담당자 또는 관리자)만 S3 관리 콘솔(Management Console)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S3 버킷을 생성하고, ACL 활성화 정책을 다르게 설정하여 ACL 여부에 따른 버킷 및 객체의 보안성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AWS 리전(Region) 중, 오레곤(US-West-2) 지역에는 두 개의 S3를 생성하여 각각 ACL 활성화, 비활성화하여 운영하고, 버지니아 북부(US-East-1)에는 하나의 버킷을 생성하여 KMS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CL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KMS>
AWS KMS는 AWS 서비스에 맞게 조정된 암호화 및 키 관리 서비스로서 광범위한 AWS 서비스에서 손쉽게 키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암호화 사용을 제어할 수 있다. KMS는 담당자 또는 관리자가 생성, 소유 및 관리할 수 있는 고객 관리형 키와 AWS 서비스에서 자원 보호를 위하여 고객 대신 생성, 관리 및 사용하는 AWS 관리형 키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기밀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인증된 암호화를 지원하는 대칭 KMS인 고객 관리형 키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S3 버킷에 객체 업로드 시, 객체 암호화를 먼저 수행하기 위하여 KMS를 이용할 수 있고, 담당자 또는 관리자별 AWS 자원 접근을 허용하는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을 위한 제기능을 통해 각 담당자 또는 관리자에게 KMS 권한을 부여한다. IAM은 KMS 읽기, 태그 지정, 쓰기, 권한관리 등을 부여하여 KMS를 생성, 제어 및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KMS 권한을 가진 담당자 또는 관리자에게 최소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암호화된 객체를 열람할 수 있는 읽기 권한만 부여할 수 있다.
<AWS 클라우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클라우드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하는 S3 접근 요청을 모두 고려하기 위하여 AWS 클라우드 내부에도 웹 서버를 구축하고, 웹 서버를 통한 S3 접근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 AWS 클라우드 내부에 웹 서버를 구축하기 위하여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능인 AWS VPC(Virtual Private Cloud)를 생성하여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배치할 수 있고, Amazon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를 사용하여 RedHat Linux 기반의 웹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AWS 클라우드 내부 아키텍처는 우선, 클라이언트부터 S3 버킷까지 이어지는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VPC 내부의 웹 서버를 통해 S3 버킷에 자원을 요청할 수 있으며 웹 서버를 통하지 않고 클라우드 외부에서 S3 버킷에 접근한다면 직접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클라우드는 AWS 외에도 다양하므로 AW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고 다른 제로트러스트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부(393)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에 접속하여, 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에 변경이 없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변경이 발생한 경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n 및 도 4t를 보면 개인회생 또는 파산을 위한 1차 서류로 표 1 및 표 2와 같은 서류를 업로드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신청서가 각 신용정보원,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보험사, 세무서, 국세청 홈택스, 금융사, 대부업체 등 다양한 기관 및 기업에 다양하게 산재해있다. 만약, 대부업체에서 신청서의 양식을 바꿨다면 이에 맞는 양식을 업로드해두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각 기관 및 기업으로부터 문서(신청서)를 수집할 때 심층 웹 수집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심층 웹 수집은 검색 양식에 입력된 질의어의 결과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결과를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월드 와이드 웹에서 심층 웹 정보 수집은 까다로우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정적인 방식에서는 웹페이지가 새로 고쳐지기 전까지 변화된 정보를 반영할 수 없다. 동적 웹은 웹페이지를 새로 불러오지 않아도 실시간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화로 웹은 검색 양식으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메뉴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동적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웹 정보 수집 도구인 크롤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첫째, 동적 웹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웹 크롤러의 방문주기에 따라 웹의 변화된 정보를 수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즉, 크롤러가 웹페이지를 방문했을 때 특정 시간 이후 정보가 갱신되기 때문에 기존 크롤러는 페이지의 전체 내용을 수집하지 못한다. 둘째, 동적으로 제작된 게시판은 일반적으로 웹페이지의 주소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게시물을 로드한다. 예를 들어 게시물을 클릭하면 관련 스크립트가 실행되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웹페이지에 반영하고 웹페이지 내용을 변경한다. 셋째, 일반적인 웹 크롤러는 URL을 수집하고 방문한다. 스크립트 형태의 주소는 URL 형태가 아니므로 크롤러는 스크립트를 URL로 수집하지 못한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수집하기 어려운 형태의 웹페이지를 심층 웹이라고 한다. 이에, 심층 웹에 있는 정보들을 크롤러를 이용해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는 크롤링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심층 웹 자동 문서수집>
우선 각 금융사, 기관, 대부업체 등의 홈페이지와 같이 방문해야 할 웹페이지의 Seed URL을 방문하여 문서를 분석한다. 분석한 문서에서 링크 정보를 분류하여 다음 방문을 위해 Seed URL에 추가하고 Seed URL 수집이 끝나면 순차적으로 URL에 접속하여 다시 링크 관련 정적 주소와 스크립트를 수집한다. 수집한 주소는 방문 여부를 확인하여 URL Stack에 저장하고, 스크립트 정보는 Script Queue에 저장한다. 주소 체계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실행되지 않고, 웹브라우저가 내장하고 있는 스크립트 인터프린터가 실행함으로, 자동 수집알고리즘은 웹 문서의 페이지 이동 관련 스크립트를 추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웹 문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스크립트가 동적으로 웹 기록물을 생성하는 동안 대기하였다가 생성된 심층 웹 기록물을 수집한다. 이동할 페이지 주소는 A 태그의 Href 속성에 표기되어 있거나 A 태그 내의 Onclick 속성 뒤에 표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립트로 실행될 때 A 태그의 href 속성은 “http://”로 시작하지 않으며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형태를 보인다. 스크립트를 수집할 페이지에서 관련 명령어들을 수집하여 하나씩 실행하면서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수집된 스크립트는 수집된 문서에서만 실행할 수 있으므로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페이지에서 수집되었으며 실행되어야 하는지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먼저 웹페이지에서 추출된 [Web Page URL]은 [URL Stack]에 저장된다. 또한 해당 웹페이지에서 수집된 스크립트는 Script Queue에 저장하고 URL Stack에 저장된 URL과 연결한다. 가장 최근 방문한 웹사이트의 주소 먼저 방문하여 문서를 수집하고 Script Queue에 저장된 스크립트들을 실행하면서 변경된 정보들을 수집한다. 저장된 스크립트는 입력 순서대로 실행된다. 스크립트는 내장된 브라우저에서 [URL Stack]에서 추출한 페이지가 로드되면 실행하게 되고, 스크립트 실행으로 페이지 내용이 변경되면 변경된 문서를 분석한다. 다시 방문할 필요가 있는 페이지는 [URL Stack]에 저장되며 아직 실행하지 않은 스크립트가 발견되면 [스크립트 Queue]로 저장된다. [스크립트 Queue]가 모두 실행되면 [URL Stack]에서 다음 URL을 가져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수집 Page URL Stack]에 정보가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심층 웹 문서는 실행 결과에 따라 주소가 변경되기도 하고 변경되지 않기도 한다. 정적인 주소의 경우 주소가 변경되나, 스크립트가 실행될 때는 웹 주소가 변경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웹페이지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소의 변경 여부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변경 내용도 확인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페이지의 변화와 주소 변경 여부에 따라 모든 스크립트가 실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웹페이지 주소나 내용 변경 여부에 따라 스크립트를 실행할 것인지 페이지를 이동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먼저, 주소와 내용이 모두 변경된 경우는 새로운 페이지에서 새로운 내용이 로드된 경우로 해당 내용을 새로운 페이지와 같이 취급하여 주소와 스크립트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주소의 내용이 변경되었는데 내용이 변경되지 않거나 스크립트 실행 후에도 주소나 내용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게시판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 페이지의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하였음에도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경우이다. 이 같은 경우는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한 것으로 하고 스크립트 Queue에서 다음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주소가 변경되지 않았는데 내용이 변경된 경우, 페이지에서 스크립트가 실행된 경우임으로 내용을 수집하고 다음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키워드와 관련 없이 사이트에 대한 스크립트 분석 과정을 거친 후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웹 문서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자필입력부(395)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에 자필로 기재되어야 하는 항목을 추출하여 자필 태그를 부착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자필 사용자 정보를 자필 태그가 부착된 항목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자필로 기재되어야 항목은 인감도장 및 사인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서류발급대행을 맡길 때 위임장을 첨부하게 되므로 사인이 필요없을 수도 있다. 사인이나 이름을 자필로 기재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미지로 문서에 입력되도록 합성할 수 있다. 자필 영역을 제외한 배경을 투명처리함으로써 자필로 기재되어야 하는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 이미지가 문서에 합성되더라도 배경이 자필 이미지에 가려 보이지 않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다만, 인감도장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플랫폼의 담당자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인감도장의 영역은 합성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출력부(397)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의 제출처의 제출방법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문서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제출방법에 따라 제출이 되도록 제출방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n의 세무서를 보면, 제출방법이 방문발급이고, 어떠한 제증명을 발급해야 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제출방법이 방문이라면 바로 프린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부(399)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이미지로 저장하고,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딥러닝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개체명을 식별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부(399)는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따른 셀이 위치한 영역의 행(Row)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측정하고,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맞도록 상기 사용자 정보의 텍스트의 폰트크기, 자간 및 장평을 조절하며, 폰트크기, 자간 및 장평이 조절된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한 후, 이미지 내 기 존재하는 텍스트의 기울기인 회전율을 파악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파악된 회전율만큼 회전시키며, 셀이 위치한 영역에 부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신청서인 문서가 도 4p, 도 4q, 도 4s, 도 4v와 같이 약간 기울어져 스캔된 경우에는 텍스트도 기울어진 방향 및 각도에 맞게 기울여서 합성해야 한다. 이에 따라 문서가 회전된 회전율을 문서 내 텍스트, 예를 들어, 도 4p에서는 표 또는 텍스트의 행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회전율로 파악한 후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이미지, 예를 들어, 이름이 입력된 이미지에 회전율을 적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OCR의 경우 이미지 내 문자를 인식하는데, 다층의 인공신경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딥러닝의 적용을 통해 정확도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다만, 문서 처리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이미지 내 각 항목 간 관계를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와 같은 문서의 경우 표(Table)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항목들의 위치 관계가 중요하지만, OCR만을 통해서는 이러한 위치관계를 처리할 수 없고, 별도의 후처리 과정이 더 필요하다. 하나의 문서만을 처리하는 업무 형태에서는 각각의 항목의 영역들을 지정함으로써 문서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지만, 표 1 및 표 2와 같은 서로 다른 기관 및 서로 다른 기업의 신청서 양식과 같은 다양한 문서 형태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방법을 사용하기 매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CNN(Convolution Nerual Network)이 포함된 인공신경망을 통해 표 등의 문서 내 구조를 인식하는 연구가 존재하지만, CNN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문서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딥러닝 OCR>
이를 위하여 딥러닝 OCR을 이용하여 이미지 내 글자를 인식하고, 각 글자에 대응하는 항목의 가로 및 세로 위치를 통하여 동일한 행 및 열에 위치한 항목을 찾은 후, 이를 바탕으로 문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검출된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각의 항목에 대응하는 셀 영역의 행 및 열을 지정하고, 지정된 행 및 열에 대응하는 셀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문서 내 이미지에서 각 항목에 대응하는 단어 블록(Block)을 추출하고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다. 단어 블록을 검출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DBNet(Discriminative Bimod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고, 각 단어 블록들 내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VGG16을 백본으로 하는 CRNN(Convolutional to Recurrent Neural Network) 구조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열 항목 검출>
검출된 단어 블록에서 같은 열에 위치하는 블록들을 검출한다. 같은 열에 위치하는 단어 블록들을 검출하는 기준으로는 단어 블록이 차지하는 영역의 X 좌표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두 단어 블록의 좌측단부, 우측단부 또는 중앙 중 하나의 X 좌표가 일치한다면 두 개의 단어 블록은 같은 열에 속한다고 판단하고 같은 항목에 추가할 수 있다.
<행 항목 검출>
행 항목을 검출하기 위해 단어 블록 상단의 Y 좌표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다른 항목에 속한 단어 블록 간 줄 간격이 다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문서 내 셀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문서 구조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각각의 행 내의 문자 줄 간격이 달라 동일한 열 내의 항목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Y 축을 기준으로 두 단어 블록이 겹치는지를 측정하여 같은 열 항목을 검출한다. 이때 한 단어 블록에서 다른 열에 속한 두 개 이상의 항목들이 겹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최상단에 있는 단어 블록을 같은 열 항목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행 및 열을 검출하는 경우 상술한 회전율도 바로 파악이 가능하다. 화면의 상단을 기준으로 행이나 열이 어느 방향으로 어느 각도로 기울어졌는지를 파악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각 항목의 위치, 행 및 열이 설정된 경우 셀(Cell) 영역, 즉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어야 하는 영역이 고정되고 이에 따라 스캔된 신청서일지라도 사람이 일일이 셀 영역을 지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셀 영역을 설정하고, 여기에 데이터 불러오기 기능을 삽입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람은 스캔만 하면 사용자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되게 된다.
<CTPN>
또는, 상술한 CRNN 외에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 CTPN(Detecting Text in Natural Image with Connectionist Text Proposal Network)과 Text Recognition 분야의 State of the Art인 Craft를 이용할 수도 있다. CTPN은 텍스트를 문장 단위로 인식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텍스트 분류에 용이하다. 하지만 CTPN은 존재하는 Text Detection 네트워크와 호환성이 낮아, 텍스트 분류가 중요한 초음파 영상에 적용되기엔 한계가 존재한다. 서류가 스캔된 경우 Detection 단계에서 사용한 CLOVA와 호환성이 좋은 Craft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Craft의 경우 서류 내 텍스트를 단어 단위로 인식한다. 단어 단위로는 각 항목의 개체명을 분류할 수 없으므로, 이를 처리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 CTPN의 모델을 바로 적용하기엔 성능이 낮지만, Craft와 달리 모델을 직접 학습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실제로, 직접 학습시킬 경우 Craft보다 Detection 실패율이 줄어든다.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방법은 실제 금융사 문서에 입력되는 형태와 유사한 사용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약정 날짜 등의 더미 텍스트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이를 서류 내 텍스트 정보의 위치를 겹치는 경우를 포함하여 배치할 수 있고, 텍스트의 폰트, 크기 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탐지(Detect)된 텍스트는 경계박스(Bounding Box) 형태로 저장되는데, 경계박스의 좌표로부터 이미지를 크롭하고, CLOVA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한 텍스트로부터 항목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기입된 데이터의 형태를 구분해야 한다. 우선, 기입된 데이터가[Age: 25]와 같이 키 값 페어[Key-Value Pair]의 형태를 띤다면 키 값을 찾아내는 것으로 충분하다. 만약 데이터가 Key-Value Pair가 아니더라도 Age와 Sex 같은 정보는 간단한 휴리스틱(Heuristic)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날짜나 이름과 같은 정보는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NLP 모듈인 spaCy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이 아니더라도 각 정보를 추출, 식별 및 자동으로 기입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출사 서버(400)로부터 신청서에 대응하는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각 담당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신청서 양식인 문서를 업로드하도록 함으로써 문서를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와 같은 문서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a의 (b)와 같이 문서의 제출처와 종류를 저장할 때 도 3d 및 도 3e와 같이 문서 내 항목 및 위치를 지정한다. (c) 그 다음 사용자 단말(100)이나 관리자 또는 담당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한 후 (d)와 같이 문서 내 사용자 정보를 항목 및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일괄입력한 후 양식자동인쇄를 통하여 담당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파일로 저장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y는 본 발명의 플랫폼(가칭, 우리민원)의 웹페이지 화면이다. 도 4에 걸쳐 개인정보가 포함된 경우 모두 삭제처리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생성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모두 입력되었음을 분명히 한다. 도 4a와 같이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담당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로그인을 하는 경우 도 4b와 같은 화면을 도출시킨다. 이때, 의뢰사, 즉 사용자, 즉 파산을 신청하거나 회생을 신청하는 사용자가 법무법인에 의뢰를 했고, 법무법인에서 본 발명의 플랫폼에 서류발급대행을 맡겼다면 의뢰사는 법무법인이다. 만약, 사용자 개인이 직접 본 발명의 플랫폼에 서류발급대행을 맡겼다면 의뢰인은 사용자이다. 이름, 연락처 등의 입력란은 모두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란이다. 도 4b 내지 도 4e와 같이 사용자가 어떠한 목적으로 서류발급대행을 요청했는지, 어떠한 서류발급이 필요한지 등을 체크하게 되고 사용자의 채권자가 누구인지 등을 기입하게 된다. 그리고 신분증, 공인인증서, 채권자목록 등을 파일로 첨부받는다. 이때 도 4f와 같이 담당자 또는 관리자가 채권사를 입력할 때 드롭박스 내 채권자 리스트 중 사용자의 채권사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카드내역, 은행내역, 보험내역을 추가할 때에도 도 4g와 같은 드롭박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직접 입력하여 검색 및 그 결과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개인채권사는 채무자인 사용자밖에 알지 못하므로 이는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없고 이는 도 4h와 같이 별도로 관리자 또는 담당자가 기입한다.
도 4i는 신청현황 화면인데 [박XX]이 사용자, 즉 의뢰인이고, 의뢰사는 법무법인XXX이다. 그리고 담당자는 [송XX] 이다. 연락처와 주민등록번호 모두 기재된 화면이나 개인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모두 삭제처리되었다. 신청현황을 보면 도 4j 및 도 4k와 같이 어떠한 서류가 준비가 되고 되지 않았는지, 또 문서는 어디에 저장이 되었는지가 표시된다. 도 4l은 관리자 화면인데, 민원서비스 및 채권사목록의 메뉴를 포함한다. 이 화면 외에도 대시보드에 접수된 건, 처리중인 건, 완료된 건을 모두 리스트업한 화면이 있으나 본 명세서에 첨부되지 않았다. 도 4l과 같이 각 건에 대한 담당자 지정, 처리현황, 완료여부 및 정산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도 4m과 같이 의뢰사는 누구인지, 담당자는 누구인지, 의뢰인(사용자)은 누구인지 등을 볼 수 있다. 또 도 4n 및 도 4o의 민원서비스 상세보기에는 본 건에 대한 담당자를 할당할 수 있고, [양식자동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각 신청서인 문서에 사용자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도 4p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다. 이때, 위임인인 [박XX]와, 담당자인 [이XX]가 기재된 채로 출력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4q와 같이 국민연금 증명서 발급 신청서에도 의뢰인 성명 및 담당자 성명이 각각 입력되어 있고 주소, 주민등록번호가 이에 대응하는 셀 영역에 모두 입력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r나 도 4s의 국세 증명발급 등 민원신청서와 개인신청자용 지적전산자료 이용신청서에 담당자 및 신청인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모두 자동으로 입력되어 화면에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신청서의 자동작성이 완료되었다면 도 4t 및 도 4u와 같이 담당자는 이를 제출처의 제출방법에 따라 출력하게 된다. 만약 방문접수라면 프린트를 한 후 인감도장을 찍어서 문서수발담당자에게 넘기게 된다. 또, 부채증명서를 신청하는 신청서를 작성할 때에도 도 4v와 같이 사용자(의뢰인)의 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 등에 자동으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것을 볼 수 있다. 또 담당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은 도 4w와 같이 의뢰사(법무법인)에 전달해야 할 문서라면 클라우드나 웹하드에 저장했다는 코멘트를 남길 수 있다. 도 4x는 채권사목록이고 이는 관리자 단말에서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렇게 의뢰 및 처리된 현황은 도 4y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한다(S5300).
또,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고(S54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매핑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자동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저장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가 제출되는 기관 및 기업을 제출처 태그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제출처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종류의 문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문서를 기 구축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이미지 포맷으로 출력하여 기 설정된 URL에 업로드되도록 하거나, 프린터로 프린트를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출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수집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출처 서버에 접속하여, 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에 변경이 없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변경이 발생한 경우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업데이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를 이미지로 저장하고,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딥러닝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개체명을 식별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를 포함하는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매핑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항목과 관련한 박스 형태의 셀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 박스 형태의 영역에서 시작점의 좌즉 상하단 꼭짓점만을 설정한 훈, 동일한 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행의 끝단의 상하단 꼭짓점만을 설정하여, 동일한 행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글자의 크기나 자간 또는 장평을 조절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출력부는,
    우편, 팩스, 이메일 및 방문접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출방법과, 제출포맷과, 제출용량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의 제출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문서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제출처에 따른 상기 제출방법과 상기 제출포맷과 상기 제출용량에 따라 제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업데이트부는,
    심층 웹 자동 문서수집 기능을 통해, 각 금융사, 기관 및 대부업체의 홈페이지를 포함하는 방문해야 할 웹페이지의 Seed URL을 방문하여 문서를 분석하고, 분석한 문서에서 링크 정보를 분류하여 다음 방문을 위해 Seed URL을 추가하고, Seed URL 수집이 끝나면 순차적으로 URL에 접속하여 다시 링크 관련 정적 주소와 스크립트를 수집하고, 수집한 주소는 방문 여부를 확인하여 URL Stack에 저장하고, 스크립트 정보는 Script Queue에 저장하고, 주소 체계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실행되지 않고, 웹브라우저가 내장하고 있는 스크립트 인터프린터가 실행하여 자동 수집알고리즘이 웹 문서의 페이지 이동 관련 스크립트를 추출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웹 문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스크립트가 동적으로 웹 기록물을 생성하는 동안 대기하였다가 생성된 심층 웹 기록물을 수집하고, 스크립트를 수집할 페이지에서 관련 명령어들을 수집하여 하나씩 실행하면서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수집된 스크립트는 수집된 문서에서만 실행할 수 있으므로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페이지에서 수집되었으며 실행되어야 하는지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부는,
    상기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따른 셀이 위치한 영역의 행(Row)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측정하고, 상기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맞도록 상기 사용자 정보의 텍스트의 폰트크기, 자간 및 장평을 조절하며, 상기 폰트크기, 자간 및 장평이 조절된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한 후, 상기 이미지 내 기 존재하는 텍스트의 기울기인 회전율을 파악하고,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상기 파악된 회전율만큼 회전시키며, 상기 셀이 위치한 영역에 부착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의 종류가 부채증명신청서인 경우, 기 구축된 적어도 하나의 채권사 리스트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조회한 채무내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권사의 부채증명신청서를 로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부채증명신청서에 일괄입력하여 상기 부채증명신청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부채증명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및 위치에 따른 셀(Cell)을 드래그로 조정하도록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위치맞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관리하는 개인정보보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는 담당자 단말에서 제로트러스트모델(Zero Trust Model)이 구동되도록 상기 담당자 단말에 제로트러스트모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문서에 자필로 기재되어야 하는 항목을 추출하여 자필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필 사용자 정보를 상기 자필 태그가 부착된 항목에 삽입하도록 하는 자필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99946A 2023-07-31 2023-07-31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2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946A KR102627951B1 (ko) 2023-07-31 2023-07-31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946A KR102627951B1 (ko) 2023-07-31 2023-07-31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951B1 true KR102627951B1 (ko) 2024-01-24

Family

ID=8971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946A KR102627951B1 (ko) 2023-07-31 2023-07-31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9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5395A (ja) * 2014-02-28 2015-09-17 株式会社リコー 書式自動記入用携帯装置、書式自動記入用命令を記憶する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書式自動記入方法
KR20180065112A (ko) * 2016-12-07 2018-06-18 남기원 개인정보 저장소와 연동된 스마트 문서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21919A (ja) * 2019-12-25 2021-08-26 株式会社Robon 決算処理支援システム、決算処理支援方法、及び決算処理支援プログラム
KR20210116947A (ko) * 2020-03-18 2021-09-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전자 동의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20230013846A (ko) * 2021-07-20 2023-01-27 강상훈 문서 작성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5395A (ja) * 2014-02-28 2015-09-17 株式会社リコー 書式自動記入用携帯装置、書式自動記入用命令を記憶する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書式自動記入方法
KR20180065112A (ko) * 2016-12-07 2018-06-18 남기원 개인정보 저장소와 연동된 스마트 문서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21919A (ja) * 2019-12-25 2021-08-26 株式会社Robon 決算処理支援システム、決算処理支援方法、及び決算処理支援プログラム
KR20210116947A (ko) * 2020-03-18 2021-09-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전자 동의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20230013846A (ko) * 2021-07-20 2023-01-27 강상훈 문서 작성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5935B2 (en) Third party information transfer
US20170116560A1 (en) Real estate construction loa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field inspector interface and geotag verification
US84126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gal document authoring and electronic court filing
US20170116669A1 (en) Real estate construction loan management system with field inspector interface and geotag verification
CN111868768A (zh) 用于资产管理的访问受控分布式账本系统
US20130297488A1 (en) System, method,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aking and processing paperless mortgage loan applications
US200502099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ument processing
US20210174458A1 (en) Accounting Platform Functionalities
WO2015056256A1 (en) Method of automating a business loan life cycle
US11675807B1 (en) Database interface system
US119288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main aware document classification and information extraction from consumer documents
US20210166330A1 (en) Accounting Platform Functionalities
US20130332374A1 (en) Fraud prevention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US11544799B2 (en) Comprehensive tax return preparation system
US9087389B2 (en) Reducing image size at point of capture
Pongnumkul et al. Proof-of-concept (PoC) of land mortgaging process in blockchain-based land registration system of Thailand
KR20220084739A (ko) 부동산 등기 처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등기 신청 방법
KR102627951B1 (ko) 문서 자동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114656B2 (ja) 支払不能情報処理装置および支払不能情報処理方法
KR101869653B1 (ko) 온-나라 연계 행정업무 전산화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행정업무 전산화 처리 방법
US8934701B2 (en) Bulk image retrieval
US8913820B2 (en) Store images at point of capture
KR20190139453A (ko) 세무 처리 장치 및 세무 처리 장치의 세금 신고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80057311A (ko) 세무 처리 시스템
US20160140543A1 (en) Secure Payment and Repor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