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449B1 -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 Google Patents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449B1
KR102627449B1 KR1020210014506A KR20210014506A KR102627449B1 KR 102627449 B1 KR102627449 B1 KR 102627449B1 KR 1020210014506 A KR1020210014506 A KR 1020210014506A KR 20210014506 A KR20210014506 A KR 20210014506A KR 102627449 B1 KR102627449 B1 KR 10262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cargo
transport
transporter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1361A (en
Inventor
김병노
Original Assignee
김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노 filed Critical 김병노
Priority to KR102021001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4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creation unit (21) in which a cargo requester who needs to transport cargo creates an order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for cargo transport, and a transport process monitoring unit (22) that monitors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cargo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 a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transporter performing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and an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that receives the completion of cargo transport by order, and is used by the cargo owner. , cargo owner terminal (20) communicating with GPS interlocking server (10);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s members, and a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set transport routes including a single origin and multiple destinations for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2), and a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including a transport fare calculation unit (11-3) that simultaneously sets the transport fee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 route, and an order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orders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12), a voice conversion unit (13) for converting text orders among the received orders into voice orders, and a voice transmission unit (14) for transmitting voice orders and the converted voice orders among the orders received from the order reception unit (12). , an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processes the order, selects a transporter, and communicates with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rrangement company's GPS linked server (10); and a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that plans the transport route set in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and an order that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transmitting unit 14,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and transmits it as a signal. The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when order acceptance is determin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receives an order acceptance signal from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transmits an order completion signal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omprising an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used by a transporter who own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and comprising a transporter terminal (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GPS linked server (10). It relates to cargo transportation systems and methods.

Description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creation unit (21) in which a cargo requester who needs to transport cargo creates an order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for cargo transport, and a transport process monitoring unit (22) that monitors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cargo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 a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transporter performing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and an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that receives the completion of cargo transport by order, and is used by the cargo owner. , cargo owner terminal (20) communicating with GPS interlocking server (10);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s members, and a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set transport routes including a single origin and multiple destinations for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2), and a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including a transport fare calculation unit (11-3) that simultaneously sets the transport fee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 route, and an order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orders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12), a voice conversion unit (13) for converting text orders among the received orders into voice orders, and a voice transmission unit (14) for transmitting voice orders and the converted voice orders among the orders received from the order reception unit (12). , an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processes the order, selects a transporter, and communicates with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rrangement company's GPS linked server (10); and a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that plans the transport route set in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and an order that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transmitting unit 14,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and transmits it as a signal. The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when order acceptance is determin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receives an order acceptance signal from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transmits an order completion signal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omprising an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used by a transporter who own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and comprising a transporter terminal (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GPS linked server (10). It relates to cargo transportation systems and methods.

종전의 화물 운송시스템에 있어서는, 화물 운송시의 출발지는 운송자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할 수 있으나 목적지는 운송자의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화물 운송이 요구될 때가 많았다.In the previous cargo transportation system, the departure point for cargo transportation could be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nsporter, but the destination often required cargo transpor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ransporter's expectations.

따라서,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기 위해서 어떤 화물차는 부산에서 공차로 서울로 올라오는 차도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차는 반대로 서울에서 부산으로 공차로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에 사전에 미리 계획 노선을 설정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가 없기 때문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return to the garage or hometown, some trucks come from Busan to Seoul by empty car, while other cars go the opposite way and come down from Seoul to Busan by empty ca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re is no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in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that sets the planned route in advance.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의 접수 방식도 하기와 같이 비체계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화물 의뢰자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면 그때 비로소 화물 운송자들에게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에 대한 문자 알림이 전송되고 그때 화물 운송자들은 문자 알림 찬스를 놓치지 않을려고 안전운전에 주의를 기울이기보다 전송된 문자 알림에 의한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에 대한 결정 및 오더 통지를 더 우선시하느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먼저 결정 및 오더 통지부터 해놓고 보자는 식의 행위로 인하여 어쩔수없이 먼 거리를 빨리 달려오는 운송자의 화물차도 있고 심지어는 달려오다가 더 좋은 화물 운송 오더가 나오면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도 많다. 이는 마치 신호등 없는 사거리에서 진입부터 먼저하고 보자 식의 무질서한 운행 형태와 유사하다.The method of receiving inquiries about acceptance of cargo transport orders is also operated in an unsystematic manner as shown below. In other words, when a cargo requester requests the transport of cargo, a text notification is sent to cargo transporters to inquire about acceptance of the cargo transport order, and at that time, cargo transporters pay attention to safe driving so as not to miss the opportunity to receive text notifications. Not only is there a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prioritizing decisions and order notifications on inquiries about acceptance of cargo transport orders through text notifications, but it is also unavoidable due to the practice of making decisions and order notifications first. There are transporters' trucks that travel long distances quickly without any help, and there are even many cases where they give up midway when a better cargo transport order comes along. This is similar to the disorderly driving pattern of entering first at an intersection without traffic lights.

이러한 비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인한 결과로 공차 운행이 많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가 많이 있었다.As a result of this unsystematic system, there were many empty vehicles, which resulted in fine dust generation and economic waste such as time and transportation costs.

더욱 심각하게는 문자로 전송되는 화물 운송 오더를 보고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에 대한 결정 및 오더 통지를 하느라 안전운전에 심대한 지장을 주는 사례도 빈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More seriously, there are frequent cases of serious disruption to safe driving due to the need to look at cargo transport orders sent via text message, make decisions on whether to accept cargo transport orders, and make order notifications.

또한, 거래가 빈번하지 않은 화물주가 주선사로 화물의뢰를 해오면 지나치게 높은 요금을 징수하고 높게 책정된 요금 부분은 주선사 수수료로 공제하고 운송자 에겐 보편화된 요금만 제공하는 사례도 빈번한 사실이다.In addition, when a cargo owner with infrequent transactions makes a request for cargo to a forwarding company,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an excessively high fee is collected, the portion of the high rate is deducted as the forwarding company's commission, and only the generalized rate is provided to the transport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6935호 "물류 정보 흐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86935 “Logistics information flow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3511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93511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shippers and carriers and transport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설정할 때 또는 먼저 운송노선을 설정을 해두고 있을 때 화물주가 화물오더를 미리 접수해 두었거나 또는 접수하는 과정상에 있는 화물오더 중에서 운송자가 계획한 운송노선과 일치하는 운송자에게 만 수락여부를 문의하고 운송자가 수락을 결정하면 그때부터 운송이 개시되기 때문에 공차 운행은 감소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는 절감되며, 투명하고 합리적인 화물운송 체계 구축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극대화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a process in which the cargo owner has received or receives a cargo order in advance when the transporter sets the transport route or sets the transport route in advance. Among the cargo orders on the table, only the transporter that matches the transport route planned by the transporter is asked whether to accept it, and if the transporter decides to accept it, transport begins from then on, which reduces idle time, resulting in fine dust and transport costs, etc. The main problem is to reduce economic waste and provide a cargo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logistics flow that maximizes economic benefits by establishing a transparent and reasonable cargo transport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운송 오더가 음성으로 송출되고 수락여부도 음성으로 결정됨으로서 운송자가 안전에 집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that allows transporters to focus on safety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by transmitting cargo transport orders by voice and deciding whether to accept them or not. Another solution is to provide a cargo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t is being done.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rder creation unit 21 in which a cargo requester who needs to transport cargo creates an order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for cargo transport, and a transport process monitoring unit 22 that monitors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cargo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It includes a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er performing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order, and an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that receives the completion of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order, and is used by the cargo owner and is linked to GPS. Cargo owner terminal (20) communicating with server (10);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s members, and a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set transport routes including a single origin and multiple destinations for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2), and a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including a transport fare calculation unit (11-3) that simultaneously sets the transport fee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 route, and an order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orders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12), a voice conversion unit (13) for converting text orders among the received orders into voice orders, and a voice transmission unit (14) for transmitting voice orders and the converted voice orders among the orders received from the order reception unit (12). , an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processes the order, selects a transporter, and communicates with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rrangement company's GPS linked server (10); and a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that plans the transport route set in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and an order that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transmitting unit 14,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and transmits it as a signal. The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when order acceptance is determin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receives an order acceptance signal from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transmits an order completion signal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It includes an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is used by a transporter who own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and includes a transporter terminal (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GPS interlocking server (10).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 및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der reception unit 12 allows you to enter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condition,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as an order. Cargo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2-1); And when the order is received by voice over the phon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andard character organizer (12-4) that organizes the voice into a standardized character organizer table.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der reception unit 12 includes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2 that receives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a stopover order reception unit 12-3 that receives an additional stopover order generated at a stopover passing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상기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으로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으로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하는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는 오더 접수단계(S2);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하는 오더 송출단계(S3);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가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운송자 선정단계(S4);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는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가 통지되고, 선정된 운송자가 오더를 실행하는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that improves the logistics flow with the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nd the transporter himself is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through the transportation route planning unit 31. Plan the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the member registration section (11-1) and the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section (11-2) of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section (11), respectively, and select the transportation route you wish to operate at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A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1) of directly setting a plurality of transport routes; An order reception step (S2) in which the cargo owner's order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is received through the order reception unit 12; An order transmission step (S3) in which the order received i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is converted into voice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13 and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 transporter selection step (S4) in which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selects the transporter with the transport route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 terms of distance among the transport routes set by a plurality of transporters; An order acceptance decision step (S5) in which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nd when order acceptance is decid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 order completion signal is notified from the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and the selected transporter executes the ord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step (S6).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출발지로부터 5km 반경 이내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을 먼저 한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출발지로부터 5km 이상의 반경 내에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최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ransporter selection stage (S4), when there are multiple transporters who have set up the same transport route within a radius of 5km from the departure point,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to the transporter who made the transport route reservation first, and the same transport route is selected within a radius of 5km or more from the departure point. When there are multiple transporters who have set ,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to the transporter who is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상기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하는 화물정보 접수단계(S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status,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can be entered as an ord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rgo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1) in which the cargo information is input as an order in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1.

또한,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에서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단계(S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에서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S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includes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step (S2-2) in which additional orders are received by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2) that receives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a stopover additional order reception step (S2-3) in which an additional stopover order is received by the stopover order reception unit (12-3), which receives an additional stopover order generated at a stopover passing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운송자 본인이 운행을 하고져 하는 계획 노선을 1,2,3,4 단계로 직접 설정하는 단계로서, 운송자는 운송자의 단말기를 통해 주선사 서버 시스템 노선 설정부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노선 예약을 설정 하는 단계로 반드시 출발지는 단수 이어야 하고 도착지는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을 하고 혹시 설정한 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 도착지를 전국이라고 설정하거나 또는 60km 이내라는 좁은 영역을 설정을 하는 4단계 까지 희망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가지므로 우선적으로 희망 경로로 운송을 하게 되거나 최종 수단에 의해 종전의 방식과 같은 도착지를 특정할 수 없는 경로로 최소한 선택은 이루어지게 되고, 운송자가 직접 계획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4단계로 도착지 방향성을 설정하는 단계도 있고, 또 시간대를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위치에서 바로 노선 설정이 가능한 현재노선 설정 단계와 또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화물의 도착지로 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 할 수 있는 부분도 포함이 되는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노선을 계획 할 수 있는 당일 노선 설정 단계도 함께 주어지며 금일 이후 내일 예약 노선 설정도 가능하게 하는 명일 예약 노선 설정 단계도 부여하는 단계를 갖지며, 즉 도착지 방향성 설정 4단계와 시간대로 설정 가능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s a step in which the transporter directly sets the planned route he/she wants to operate in steps 1, 2, 3, and 4, and the transporter sets the route on the arranger's server system through the transporter's terminal. This is the step of setting up a route reservation including the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The departure point must be singular, and the destination must be set in two different directions in case the set route is not accep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 are stages of setting the desired route up to the 4th stage, where the destination is set to be nationwide or a narrow area of 60 km or less, so transportation is carried out on the desired route first, or the destination can be specified as a final method as in the previous method. At least a choice is made with an impossible route, and in the step of setting the planned route directly, there is a step of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in four steps as above, and in more detail the time zone, the route is set directly from the current location. There is also a current route setting step that can be set, and a same-day route setting step that allows you to plan a rout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f the day, which also includes a part where you can plan in advance to reserve a return route from the destination of the cargo currently being transported. It is given together and has a step of giving a day reservation route setting step that allows setting a reservation route for tomorrow after today. That i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4 steps for setting the destination direction and a step that can be set as a time zone.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고 간단한 약어 음성으로 콜을 건텍하는 단계로서, 화물 주선사 운영서버 시스템은 화물 의뢰자로 부터 접수된 문자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전환하고 GPS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들 중에 화물주와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 에게 전환된 음성 화물정보를 운송자 단말기로 문자와 음성으로 동시에 송출되게 하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전화 접수일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먼저 정리를 하고 다시 음성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거처 운송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to improve logistics flow involves transmitting cargo information by voice and making a call with a simple abbreviation, and the cargo broker's operation server system converts text carg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rgo requester into voice. It has a component that transmits voice cargo information converted to the transporter closest to the cargo owner among multiple transporters by a GPS location information system to the transporter terminal simultaneously in text and voice, and standardizes the voice in case of phone reception. It includes first organizing the text into a text table, converting it back to voice, and then transmitting it to the transporter as voice,

운송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면 운송자는 단말기상에서 주선사 서버 시스템에 음성으로 yes 또는 no로서 콜을 결정하는 단계를 구성하고 이때 운송자의 콜 컨텍은 일반 대화 과정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는 간략화 된 약어를 사용하여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cargo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voice through the transporter's terminal, the transporter configures the step of deciding to call yes or no by voice to the arranging company's server system on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transporter's call contact is not commonly used in the general conversation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simplified abbreviations to prevent confusion with general speech and to provide simplicity.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주선사 운영서버상에서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계획하고 화물주가 화물정보를 접수하는 과정에서 요금산출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져 화물을 운송하고자하는 운송자 와 화물을 의뢰하는 화물주간 직거래 운송 중계도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s a process in which the transporter plans the transport route on the brokerage company's operation server, the cargo owner receives cargo information, and even the fee calcul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the transporter who wants to transport the cargo and the cargo requesting cargo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possibility of direct weekly cargo transport relay.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출발지와 경유지 추가 오더를 효율적이고 순조롭게 접수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최초 주 오더 운송 시간을 지나치게 지연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와 경유지 주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범위를 제한하고 한정 하여야 하는데 그 범위 설정 방법은,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 접수 가능 범위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총 거리에 20% 내에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과 1시간 거리에 해당하는 60km 거리 이내에서 주선사 운영서버 화물 정보 접수부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 역시 주 오더 도착지로 부터 총 잔여 거리에 20%를 적용하며, 상기의 설정 범위는 상황에 따라 달리 할 수도 있는데, 실시의 예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총 500km이라면 서울에서 주변 오더 추가 수집이 가능한 반경은 100km 내지 60km가 되며, 즉 서울 전 지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출발지에서 도착지 주변으로 운송을 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때도 총 거리에서 20%와 60km 설정하게 되며 즉 부산 전 지역이 해당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발지와 도착지 반경은 넓고 경유지는 목적지에 가까울수록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추가 오더 접수로 인한 지나친 시간 지연 사례를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s to perform economical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in the stage of efficiently and smoothly receiving additional orders at the departure point and transit point and to prevent excessive delays in the transportation time of the first main order. In terms of how to receive orders and additional orders around the transit point, the scope must be limited and limited. The method of setting the scope is: The range of additional orders around the departure point is accepted within 20% of the total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of the first order to the destination. This is only possible for cargo received through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section of the brokerage company's operation server within a distance of 60km, which is equivalent to 1 hour away from the cargo being shipped. Additional orders for transit points are also applied at 20% of the total remaining distance from the main order destination. The setting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if the total distance from Seoul to Busan is 500km, the radius from which additional orders around Seoul can be collected is 100km to 60km, that is, the entire Seoul area is possible, and conversely, the starting point The range of transportation around the destination must also be limited. In this case, 20% of the total distance is set to 60km, meaning the entire Busan are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adius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is wider and the transit point is closer to the destination. The scope is narrowed, limiting cases of excessive time delays due to receiving additional orders.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업무의 연속성과 편리성 추구를 위하여 출발지 자동 등록 기능이 부과되는 단계로서,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종결 보고를 하면 새로운 오더를 접수받거나 새롭게 계획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데 업무 종결 보고를 하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재설정 하지 않을 경우 최종 도착지는 자동으로 출발지가 되어지고 도착지의 한정된 반경 내에서 단거리 운송 오더를 접수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오더 접수 가능한 범위는 선행 오더의 총 거리의 20% 이내 범위 또는 60km 이내 거리로 자동 설정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의 실시의 예를 적용하게 되면 도착지 주변 도시에서 단거리 운송을 하다가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는 회귀 노선에 대한 오더를 폭넓게 접수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일과 시간을 폭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도모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s a step in which an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at the origin is imposed to pursue business continuity and convenience. When the transporter arrives at the final destination, closes the order, and reports the completion, a new order is accepted. You can either receive or set a new planned route, but if you report the end of work and do not reset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points, the final destination automatically becomes the departure point and you can receive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orders within a limited radius of the destination. At this time, orders can be accepted. The range is automatically set to a range within 20% of the total distance of the preceding order or a distance within 60km. If the above example is applied, the return route returns to the garage or hometown after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in a city near the destination. It is an opportunity to receive a wide range of orders and promotes ways to utilize work and time broadly.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장거리 운송자에 대한 회귀 경로 사전 예약 권리 부여 단계로서, 장거리 운송자는 목적지 도착 시간을 추정하여 미리 동일 노선 경로로 회귀하는 노선에 대한 예약을 하는 권리도 당일 노선 설정 단계에 접속하여 부여받을 수 있는데 예약 성공율 확장 차원에서 출발지에서 출발 보고와 함께 미리 예약 설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순조로운 운송체게 정립을 위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총 거리에 시속 70km 이내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하차 1시간을 더하고 운송 시간 2시간에 20분 휴식 시간을 더해서 합산을 한 총 시간 이후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거나 또 다른 방식에 의한 정양적 거리를 기준으로 100km 이내는 2시간 이후 부터, 200km 이내는 4시간 이후 부터, 300km 이내는 6시간 이후 부터 등 100km 증가에 2시간을 더 감안한 여유시간을 적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정양적 부분은 조정되어도 무방한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s a step of granting the right to pre-reserve a return route to long-distance transporters, and long-distance transporters have the right to make reservations for routes returning to the same route in advance by estimating the arrival time at the destination on the same day. It can be granted by accessing the route setting stag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ervation success rate, reservations can be set in advance along with the departure report at the departure point. At this time, in order to establish a smooth transportation system, the total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is within 70 km per hour. It can be set based on the total time by adding 1 hour of disembarkation to the time and adding 20 minutes of rest time to the 2 hours of transportation time, or starting from 2 hours within 100km based on the quantitative distance by another method. It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an additional time of 2 hours for an increase of 100 km, such as after 4 hours for within 200 km, and after 6 hours for within 300 km, but in some cases, the quantitative part can be adjusted in stages. Do it as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대도시 간 소형 화물운송 차량 간 중간지점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을 실현화하는 단계로서, 도시와 도시간에 상호 교차 운송이 실현되고 있는 경우가 아주 많은데, 즉 어떤 차는 서울에서 인천으로 가고 있고 반대로 인천에서 서울로 가는 화물 차도 있으며, 운송 주선사 GPS 연동 서버 시스템에 의해 상호 경로와 위치가 파악되고, 이때 화물 차주 간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었다면 특정의 중간 지점에서 상호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이 가능해 지며, 이때 상호 거리 만큼 가산하여 요금을 조정하면 굳이 중간 지점이 아니어도 실현이 가능해지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is a step toward realizing intermediate point cargo exchange relay transportation between small cargo transport vehicles between large cities,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cross-transportation is realized between cities, that is, which vehicles There are cargo trucks going from Seoul to Incheon, and conversely, there are cargo trucks going from Incheon to Seoul, and the mutual routes and locations are identified by the transport broker's GPS-linked server system. In this case, if the cargo owner's expression of intent has been requested in advance by the transport broker, a specific intermediate Mutual exchange relay relay transport becomes possible at the branch, and at this time, if the fare is adjusted by adding the mutual di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age where it can be realized even if it is not an intermediate point.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운송자의 계획적인 화물 운송이 이루어지므로 공차 운행은 감소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은 줄어들고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도 절감되며, 상호 공지된 운송요금 체계로 투명하고 합리적인 화물운송 문화가 정착이 되며, 특히 운송자는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율이 높아져 생활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사회적 기본 요소인 가정에서 가정생활이 윤택해지며, 타지에서 주차, 숙식 등의 문제점이 많이 개선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기본으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the transporter's planned cargo transport is carried out, empty driving times ar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and economic waste such as time and transport costs, and a transparent and reasonable cargo transport culture is established with a mutually announced transport fee system. In particular, transporters are more likely to return to their garage or hometown, which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ir lives, improves their family life at home, which is a basic social element, and improves their quality of life as problems such as parking, lodging, and food in other places are greatly improved. Basically,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argo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logistics flow.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운송 오더가 음성으로 송출되고 운송자도 음성으로 콜을 수락결정 하게 되므로 운송자가 안전운전에 집중을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시 교통 혼잡 등의 사회적 폐해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물류흐름개선용 화물 운송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ransport order is transmitted by voice and the transporter also decides to accept the call by voice, so the transporter can focus on safe driving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thereby reducing social harmful effec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ans of transporting cargo to improve logistics flow.

본 고안을 통하여 주선사 운영서버가 자동 시스템화가 가능해져 차주와 화주 간 직거래가 가능해지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is desig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argo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by enabling automatic systemization of the brokerage company's operating server and enabling direct transactions between borrowers and shipp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더 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추가 오더 접수부와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숩부가 추가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화물 맞교환 릴레이운송 실현화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접수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of Figure 1.
Figure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order reception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and a stopover order contact unit are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5 is a flowchart of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in which a cargo exchange relay transport realization step is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ure 5.
Figure 7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order reception step in the embodiment of Figure 5.
Figure 8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tep of applying a departure location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is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ure 6.
FIG. 9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in which a metropolitan short-distance urban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step is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 8.
Figure 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order notification and execution step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5.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s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더 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추가 오더 접수부와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숩부가 추가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cargo transport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port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order reception unit of Figure 1. It is a block diagram,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and a stopover order contact unit are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 3.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은,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은, 화물주 단말기(20),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go owner terminal (20) and a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 and a transporter terminal 30.

상기 화물주 단말기(20)는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오더 생성부(21)에 의해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관한 오더를 발주하고, 운송자 정보접수부(23)를 통하여는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를 통해서는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해지며 운송자가 운송 종료와 함께 운송자 단말기(30) 상에서 주선사 운영서버 오더종결 처리부(16)로 운송 종료보고를 하면 화물주의 단말기(20)의 오더종결 수신부(24)로 통지가 되므로 운송 종료가 되었음을 확인이 가능하다.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cludes an order generation unit 21 where a cargo requester who needs to transport cargo creates an order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for cargo transport, and a transport unit that monitors the cargo transport process according to the generated order. It includes a process monitoring unit 22, a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transporter performing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and an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that receives the completion of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order. . In this way, the cargo requester who needs to transport cargo places an order for cargo transport through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and the transporter who performs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generated order is sent through the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and through the transport process monitoring unit 22, it is also possible to monitor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cargo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and the transporter places an order on the transporter terminal 30 at the end of transport. When the completion of transportation is reported to the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the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of the cargo owner's terminal 20 is notified,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transportation has been completed.

상기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한다.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includes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s members, and a transport route including a single departure point and multiple destinations on a specific date by multiple transporters. A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including a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unit (11-2) that sets a specific time zone, and a transportation fare calculation unit (11-3) that simultaneously sets the transportation fare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ation route, creating an order. An order reception unit 12 that receives orders sent from the order reception unit 21, a voice conversion unit 13 that converts text orders among the received orders into voice orders, and voice orders among the orders received in the order reception unit 12. It includes a voice transmission unit 14 that transmits the converted voice order, an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that receives the order completion signal, and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that receives the order completion signal and processes the order completion, and the transporter is selec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cargo owner terminal (20).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운송회원 등록부(11)에 회원으로 가입한 운송자에 의해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운송노선 설정부에서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이 이루어지므로 이처럼 운송노선 예약 설정이 이루어진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운송노선 중 화물주가 원하는 일자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운송노선을 화물주가 화물주 단말기(20)를 통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a transporter who has registered as a member in the transport member register 11 In the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section of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a transportation route reservation is made to set a specific time zone on a specific date including a single departure point and multiple destinations, so the transportation route reservation is set as a single departure point and a plurality of destinations. It becomes possible for the cargo owner to select, through the cargo owner terminal (20), the transport route corresponding to the time zone on the date desired by the cargo owner among the transport routes in a specific time zone on a specific date including the destination.

오더 접수부(12)에서는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생성된 오더를 접수하며, 음성 전환부(13)에서는 접수된 오더가 문자인 경우 이러한 문자를 음성으로 전환하고, 음성 송출부(14)에서는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며, 이에 운송자가 오더수락 결정부(32)를 통해 송출된 오더에 대해 음성으로 수락 결정을 하면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에서는 운송자 정보를 화물주 단말기(20)의 운송자 정보접수부(23)에 제공하고 이후 운송 업무는 운송자에 의해 개시가 되고 운송을 종료하게 되면 운송자는 오더종결 보고부(33)을 통해 오더종결 처리부(16)로 보고를 하면 화물주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통하여 결과를 받게 되고 이로서 모든 운송 업무는 종결되어진다.The order reception unit 12 receives the order generated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the voice conversion unit 13 converts the text into voice when the received order is a text, and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converts the order into voice. Among the orders received at the reception unit 12, a voice order and the converted voice order are transmitted, and when the transporter decides to accept the order transmitted through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by voice,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 transport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of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nd thereafter, transport work is initiated by the transporter, and when transport is completed, the transporter reports to the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through the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When a report is made to (16), the cargo owner receives the result through the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and all transportation work is completed.

복수의 운송자들이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의 예로는,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현재의 위치로부터 반경 60km 범위 내 현재 위치에서 바로 운송노선 설정이 가능한 것과,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목적지로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할 수 있는 것, 현재 바로 운송노선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운송노선을 계획할 수 있는 것, 및 금일 운송 업무 종료 이후 내일 예약 운송노선 설정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how multiple transporters can set a transport route including a single point of origin and a plurality of destinations for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through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It is possible to set a transportation route right from the current location within a 60km radius from the current location, and to plan in advance to reserve a return route from the destination where transporta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Instead of setting the transportation route right away, it is possible to set up a transportation route at a specific time of the day. This includes being able to plan transportation routes accordingly, and setting up reserved transportation routes for tomorrow after today's transportation work is over.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는 목적지 도착 시간을 추정하여 미리 동일 노선 경로로 회귀하는 운송노선에 대한 설정도 가능한데, 이러한 설정은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며 예약 설정 성공율 확장 차원에서 출발지에서 출발 보고와 함께 미리 예약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약에 미리 화물오더를 생성하는 화물주가 있다면 운송자의 화물 운송차가 출발하는 순간부터 오더 접수가 가능해 진다, 이러한 운송체계 확장을 위해 화물 운송차의 출발 수 시간 전에 미리 예약을 하는 화물주에게는 시간 낭비와 공차 운행을 최소화해 준 인센티브적 할인율을 적용해주어 이익을 도모해 주고, 운송자는 차기 운송이 섭외되지 않아 복잡한 도심에서 노심초사 기다림이 없게 되는 선 순환적 형태가 점점 확장 구축 되어지게 된다.For long-distance transporters of more than 100km one way,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rrival time at the destination and set up a transport route that returns to the same route in advance. This setting is possible by planning the transport rout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f the da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reservation settings. You can make reservations in advance with a departure report at the departure point. If there is a cargo owner who creates a cargo order in advance, orders can be accepted from the moment the transporter's cargo vehicle departs. To expand this transportation system, it is a waste of time for cargo owners who make reservations several hours before the departure of the cargo truck. Profit is promoted by applying an incentive discount rate that minimizes idle driving, and the virtuous cycle in which transporters do not have to wait anxiously in crowded city centers because they are not selected for the next transport is gradually expanded and established.

운송자 단말기(30)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고,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한다. 운송자 단말기(30)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고 있어서, 오더수락 결정부(32)는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는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 처리부(16)로 오더 종결 보고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 화물주는 오더종결 수신부(24)에서 오더종결 수신부(24)로부터 송신되는 오더 종결 보고를 받게 된다.The transporter terminal 30 is used by a transporter who own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communicates with the GPS linked server 10, and is a transport route that plans the transport route set in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Order acceptance is determined in the planning unit 31, an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that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and transmits it as a signal, and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It includes an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that receives the order acceptance signal from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transmits an order completion signal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The transporter terminal 30 is used by a transporter who own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and communicates with the GPS linked server 10, so that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transmitter 14.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order, determine whether to accept the order, and transmit it as a signal, and the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receives an order acceptance signal from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when order acceptance is determin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send an order completion report to the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and then the cargo owner receives the order completion report transmitted from the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자는,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하는 제1 운송노선 및 제2 운송노선과, 설정한 제1, 2 운송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도착지를 전국으로 설정하는 제3 운송노선, 도착지의 범위를 60 km 이내의 협소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4 운송노선까지의 희망 운송노선을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주가 운송자들의 희망 운송노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화물주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운송자들에게는 선택의 기회가 많아진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porter, through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sets a first transport route and a second transport route that set the destin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and a set first, 2 In case the transport route is not accep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set a desired transport route up to the 3rd transport route, which sets the destination nationwide, and the 4th transport route, which sets the destination range to a narrow area of less than 60 km. do. According to this, by allowing cargo owners to choose one of the transport routes desired by transporters, the range of choices for cargo owners is expanded and transporters have more opportunities to choose.

또한,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는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회귀하는 노선을 미리 예약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가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회귀하는 노선을 미리 예약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원래의 출발지 또는 원래의 출발지 부근으로 회귀하는 경우에도 공차 운행을 저감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dditionally,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can pre-set a return route for long-distance transporters of 100 km or more one way. In this way, the transport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can pre-set the route on which long-distance transporters of more than 100 km one-way return to, thereby reducing idle operation even when long-distance transporters of more than 100 km one-way return to the original point of departure or near the original point of departur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fine dust and economic waste such as time and transportation costs.

도 2를 참조하면,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 및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고,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통해서는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표준문자 정리부(12-4)의 역할은 전화상 긴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여 음성으로 쉽게 도출하는 사전 정리단계의 일환이기도 하다.Referring to FIG. 2, the order reception unit 12 provides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condition,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1) that can be entered as an order; And when the order is received by voice over the phone, it includes a standard character organizing unit (12-4) that organizes the voice into a standardized character organization table and displays it. According to this,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2-1) provides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status,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as an order. It can be entered, and through the standard character organizer (12-4), when an order is received by voice over the phone, the voice can be organized and displayed in a standardized character organizer table. The role of the standard text organizer (12-4) is also part of the pre-organizing stage to briefly organize long contents on the phone and easily derive them by voic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추가 오더 접수부(12-2)를 통해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통해서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입력된 오더에 따라 화물주의 화물이 운송자의 화물차에 적재되고 나서도 운송자의 화물차에 여전히 빈 공간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추가 오더와 경유지 추가 오더에 의한 화물로 빈 공간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shown in Figure 3, the order reception unit 12 includes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2 that receives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it further includes a stopover order reception unit 12-3 that receives an additional stopover order generated at a stopover passing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In this way,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re received through the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2, and additional stopover orders are additionally created at the stopover passing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through the stopover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3. It becomes possible to receive additional orders and transit points even if there is still empty space in the transporter's truck even after the cargo owner's cargo is loaded into the transporter's truck according to the order entered in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1). It becomes possible to load and use empty space as cargo by additional order.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는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등록부(11-1)에 의해서는 운송자 신상과 운송자 차종 내역을 비롯한 운송자에 대한 회원 등록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의해서는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송요금 산출부(11-3)에 의해서는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한다. 이렇한 운송요금 산출부(11-3)에 의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거리나 도시간 거리에 따른 공지된 기본요금과, 화물의 부피, 중량 등의 화물의 특수성이 감안된 차종에 따른 공지된 기본요금이 병합 합산된 기본요금이 정하여져 운송자의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요금까지 포함되어지고 화물주가 오더 접수부(12)에 오더를 접수시킬 당시에 정하여져 운송자와 화물주간 직거래를 가능하게 한다.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of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includes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s members, and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 single origin and multiple destinations. It includes a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that sets the transport route included in a specific time zone on a specific date, and a transport fare calculation unit (11-3) that simultaneously sets the transport fee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 route. Through the member register (11-1), it is possible to register as a member of the transporter, including the transporter's identity and details of the transporter's vehicle, and through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multiple transporters can have a single departure point and It is possible to set a transport route including multiple destinations at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and the transport fee calculation unit 11-3 allows the transport fee to be set simultaneously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 route. The basic rate announced by the transportation rate calculation unit (11-3)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or the distance between cities, and the announced basic rate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argo such as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cargo. This combined basic fee is set and included at the time the transporter sets the transport route, and is set at the time the cargo owner submits the order to the order reception unit 12, enabling direct transactions between the transporter and the cargo.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운송자 단말기(30)들의 이동 경로와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화물주 단말기(20)와 운송자 단말기(30) 사이의 거리 및 이동시간을 자동으로 연산하여 복수의 운송자가 미리 설정해둔 복수의 운송노선 중에서 화물주가 원하는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들 중에서 화물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운송자를 선정할 수 있다.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운송자 단말기(30)들의 이동 경로와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파악 상태를 기반으로 화물주 단말기(20)와 운송자 단말기(30) 사이의 거리 및 이동시간을 자동으로 연산하여 복수의 운송자가 미리 설정해둔 복수의 운송노선 중에서 화물주가 원하는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들 중에서 화물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상반되게는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설정할 때 화물주가 미리 화물의뢰를 해둔 운송노선과 일치가 되는 운송노선에 대해서 화물 운송을 할 수 있는 운송자로 지정이 된다.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movement path and location of the transporter's terminals (30). In addition, the cargo forwarding company's GPS-linked server 10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distance and travel time between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nd the transporter terminal 30, and selects the cargo price among a plurality of transport routes preset by a plurality of transporters. Among the transporters with the desired transport route, the transporter located closest to the cargo owner can be selected.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movement path and location of the transporter terminals (30) and determines the distance and travel time between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nd the transporter terminal (30) based on the statu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and select the transporter closest to the cargo owner among transporters with the transport route desired by the cargo owner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routes set in advance by multiple transporters. Conversely, it is possible for the transporter to select the transport route that is closest to the cargo owner. When setting up, the cargo owner is designated as a transporter capable of transporting cargo on a transport route that matches the transport route for which the cargo owner has made a cargo request in advanc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화물 맞교환 릴레이운송 실현화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접수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of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in which a cargo exchange relay transport realization step is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ure 5, and Figure 7 is a It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order reception step of the embodiment of Figure 5, and Figure 8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of departure point is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ure 6, and Figure 9 is a metropolitan short-distance urban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in the embodiment of Figure 8. This is a flowchart of the embodiment with added steps, and FIG. 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order notification and execution steps of the embodiment of FIG. 5.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상기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으로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으로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하는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는 오더 접수단계(S2);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하는 오더 송출단계(S3);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운송자 선정단계(S4);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는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가 통지되고, 선정된 운송자가 오더를 실행하는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that improves logistics flow with the cargo transportation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er plans the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the transportation route planning department (31), registers as a member through the member register (11-1) and the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department (11-2) of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1), and operates. A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1) of directly setting the desired transport route as a plurality of transport routes in a specific time zone on a specific date; An order reception step (S2) in which the cargo owner's order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is received through the order reception unit 12; An order transmission step (S3) in which the order received i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is converted into voice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13 and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 transporter selection step (S4) of selecting the transporter with the transport route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 terms of distance from among the transport routes established by a plurality of transporters by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An order acceptance decision step (S5) in which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nd when order acceptance is decid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 order completion signal is notified from the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and the selected transporter executes the order. Includes step S6.

위 구성에 따르면,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에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함으로써 화물주가 원하는 운송노선과의 적합성 또는 근접성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고, 오더 접수단계(S2)에서는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며,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가 선정됨으로써 운송자의 화물차가 화물주를 향해 주행하는데 따른 시간과 운송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오더 송출단계(S3)에서는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운송자가 안전운전에 집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에서는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고,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에서는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통지가 되고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에서 운송자의 정보를 운송자 정보접수부(23)로 통지가 이루어지면 운송자는 운송업무를 개시하고, 이후 운송업무를 종료하여 오더종결 보고부(33)을 통해 주선사 운영서버(10)의 오더종결 처리부(16)로 보고를 하게 되면 화물주는 화물주 단말기(30)의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통하여 운송 결과를 통보받게 되면서 운송자에 의한 모든 운송업무는 종료가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1), the transporter plans the transport route through the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and sets the transport route with the member register (11-1) of the transport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By registering as a member through Part (11-2) and directly setting the transportation route you wish to operate as multiple transportation routes in a specific time period on a specific date, the cargo owner has a wide range of choices regarding suitability or proximity to the desired transportation route. In the order reception stage (S2), the cargo owner's order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is received through the order reception unit (12), and in the transporter selection stage (S4), the freight forwarder's GPS-linked server (10) ), the transporter with the closest transport route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 terms of distance is selected among the transport routes set by a plurality of transporters, so that the time and transportation cost for the transporter's truck to drive toward the cargo owner can be reduced, In the order transmission stage (S3), the order received in the order reception stage (S2) is converted into a voice at the voice conversion unit 13 and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llowing the transporter to focus on safe driving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step (S5),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nd in the order notification and execution step (S6),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is made. When order acceptance is decided in the unit 32,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is notified, and when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notifies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to the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e transporter performs transportation duties. After starting, and then completing the transportation service and reporting it to the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of the brokerage company operation server 10 through the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the cargo owner receives the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of the cargo owner terminal 30 ( When the transportation results are notified through 24), all transportation work by the transporter comes to an end.

여기서, 상기 운송자 본인이 운송자 단말기((30)의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것의 예로는, 운송노선 설정부에 현재의 위치에서 바로 운송노선 설정이 가능한 것과,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목적지로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할 수 있는 것, 현재 바로 운송노선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운송노선을 계획할 수 있는 것, 및 금일 운송 업무 종료 이후 내일 예약 운송노선 설정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of how the transporter himself can directly set the transport route he wants to operate through the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of the transporter terminal (30) as a plurality of transport routes on a specific date and at a specific time, transport route setting It is possible to set up a transport route right from the current location, and to plan in advance to reserve a return route from the destination where transport is currently in progress. Rather than setting up a transport route right now, the transport route can be set up at a specific time of the day. This includes things that can be planned, and setting up a reserved transportation route for tomorrow after today's transportation work is over.

또한,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출발지로부터 5km 반경 이내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을 먼저 한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출발지로부터 5km 이상의 반경 내에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최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가 여러명 있을 때에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운송자 선정시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porter selection stage (S4), when there are multiple transporters who have set up the same transport route within a radius of 5km from the point of departure,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to the transporter who set the transport route reservation first, and the same transporter within a radius of 5km or more from the point of departure is given priority for selection. When there are multiple transporters who have set a transport route,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to the transporter that is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re are several transporters whose transport routes are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 terms of distance among the transport routes set by a plurality of transporters by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Confusion when selecting a transporter can be prevented by setting standards.

또한,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는,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특정의 위치에서 출발지는 단수로 설정하고 도착지의 방향은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하는 제1 운송노선 및 제2 운송노선과, 설정한 제1, 2 운송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도착지를 전국으로 설정하는 제3 운송노선, 도착지의 범위를 60 km 이내의 협소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4 운송노선까지의 희망 운송노선을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주가 운송자들의 희망 운송노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화물주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1), through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the departure point is set as a singular number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direction is set in two directions with different directions. The 1st and 2nd transportation routes, and the 3rd transportation route that sets the destination nationwide in case the established 1st and 2nd transportation routes are not accep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range of the destination is narrow, less than 60 km. Set the desired transportation route up to the 4th transportation route set in one area. According to this, the range of choices for cargo owners can be expanded by allowing cargo owners to choose one of the transport routes desired by transporters.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화물운송 경로에 존재하는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를 서로 반대의 경로로 운행하는 운송자의 화물차들의 상호 운행 경로와 위치가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파악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송자들 사이의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의 특정한 중간 지점에서 화물의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을 실현하는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 실현화단계(S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의 특정한 중간 지점에서 화물의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이 실현될 수 있음으로써 운송자의 화물차들의 원래 운행 경로상의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시간과 비용을 저감하고 공차 운행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eight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tual operation path of freight vehicles of transporters operating on opposite routes between one city and another city on the freight transportation route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If an expression of intent between transporters is requested in advance by the freight forwarding company while the location is identified by the freight forwarding company's GPS-linked server (10), at a specific midpoint between one city and the other city. It further includes a freight exchange relay transport realization step (S7) to realize exchange relay relay transport of cargo.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xchange relay relay transportation of cargo can be realized at a specific intermediate point between one city and another city,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driving the transporter's trucks to the destination on the original travel route. Empty driving can also be prevented.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상기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하는 화물정보 접수단계(S2-1)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다.I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status,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can be entered as an order. It includes a cargo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1) in which the cargo information is input as an order in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1. According to this, cargo information can be input as an order in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1.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에서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단계(S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에서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S2-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물정보 접수단계(S2-1)에서 입력된 오더에 따라 화물주의 화물이 운송자의 화물차에 적재되고나서도 운송자의 화물차에 여전히 빈 공간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추가 오더와 경유지 추가 오더에 의한 화물로 빈 공간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order reception step (S2) includes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step (S2-2) in which additional orders are received by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2) that receives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it further includes a stopover order reception step (S2-3) in which an additional stopover order is received by the stopover order reception unit (12-3), which receives an additional stopover order generated at a stopover passing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cargo of the cargo owner is loaded into the transporter's truck according to the order entered in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1), and there is still empty space in the transporter's truck, additional orders and additional stopover orders are placed. It becomes possible to load and use empty space as cargo.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 범위는 출발지에서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총거리의 20% 이내의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과 1시간 거리에 해당하는 60km 거리 이내에서 오더 접수부(12)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 범위는 경유지에서는 경유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총 잔여 거리의 20% 이내의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추가 오더와 경유지 추가 오더에 따른 운송 시간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사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range in which additional orders can be accepted is within 20% of the tot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point of origin of the first order received to the destination at the point of origin, and within 60km, which is equivalent to a 1-hour distance, to the order reception department (12). This is possible only for cargo that is received, and the range of acceptance of additional orders at transit points is only available for cargo that is received within 20% of the total remaining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ransit point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economical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and prevent cases where transportation time is excessively delayed due to additional orders and additional orders at transit points.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 범위의 예로는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거리가 총 500km라면 서울에서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한 반경은 100km 내지 60km가 된다. 즉, 서울 전 지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출발지에서 도착지 주변으로 운송을 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때도 총 거리에서 20%와 60km를 설정하게 된다. 즉, 부산 전 지역이 해당된다.As an example of the range in which additional orders can be received, if the total distance from Seoul to Busan is 500km, the radius in which additional orders can be received in Seoul is 100km to 60km. In other words, the entire Seoul area is possible, and conversely, the range of transportation from the point of origin to the area around the destination must be limited. In this case, 20% of the total distance is also set to 60km. In other words, it applies to the entire Busan area.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목적지와 경유지를 입력을 하지 않았을 경우 최종 목적지가 자동으로 출발지가 되어 한정된 반경 60km 내에서 단거리 운송 오더를 접수받는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S8)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다시 다른 목적지와 경유지를 확인하고 입력하는데 따른 노력과 시간을 저감하는 것이고 도착지 주변 도시에서 단거리 운송 업무를 좀 더 하다가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는 수단으로 작용되어 회귀노선 오더를 폭 넓게 접수받는 기회가 되고 일과시간을 폭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도모 해 주는 방안이 된다.In addition, in the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orter arrives at the final destination and closes the order and does not enter the destination and transit point, the final destination automatically becomes the departure point and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is carried out within a limited radius of 60 km. It further includes a departure point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application step (S8) for receiving orders. According to this, the transporter arrives at the final destination, closes the order, reduces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to check and enter other destinations and transit points, and performs more short-distance transport work in cities around the destination and then returns to the garage or hometown. This serves as an opportunity to receive a wide range of return route orders and a way to promote ways to utilize work time more broadly.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S8)에서 오더 접수 가능한 범위는 선행하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총 거리의 20% 이내 범위 또는 60km 이내 거리로 자동 설정된다. 이러한 자동 설정에 의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S8)에서의 접수 오더에 따른 운송 시간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사례를 방지하며 업무의 연속성과 편리성 추구가 이루어진다.In the departure point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application step (S8), the range in which an order can be accepted is automatically set to a range within 20% of the tot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of the preceding first order order to the destination, or a distance within 60km. This automatic setting enables economical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prevents cases where transportation time is excessively delayed according to orders received in the departure point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application step (S8), and pursues business continuity and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메뉴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연결하여 대도시에서 단거리 시내운송을 전담하는 운송자의 화물차에 대한 배차가 이루어져서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이 설정되는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S9)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 전담차량의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the transporter in the closest distance by registering in the menu of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so that the transporter in charge of short-distance urban transport in a large city can It further includes a metropolitan short-distance intra-city transport route setting step (S9) in which dispatch of trucks is made and a metropolitan short-distance intra-city transport route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is, efficient transportation of vehicles dedicated to short-distance urban transportation in large cities is possible.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에서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노선에 대한 예약노선을 미리 사전에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로 예약 설정한다. 이처럼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에서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노선에 대한 예약노선을 미리 사전에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로 예약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원래의 출발지로 회귀하는 경우에도 공차 운행하는 것을 저감 내지 방지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를 저감 내지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1), the transport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makes a reservation route for a long-distance route of 100 km or more one way in advance through the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of the freight forwarder's GPS linked server (10). Make a reservation at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desk (11). In this way, the reservation route for a long-distance route of 100 km or more one way is sent to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section 11 of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through the transportation route planning section 31 in advance in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By being able to set reservations, it is possible to reduce or prevent long-distance transport of more than 100km one way from running empty even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departure point, thereby reducing or preventing economic waste such as fine dust and time and transportation costs.

운송자 단말기(30)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었을 때 운송자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를 통해 운송자 단말기(30) 상에서 음성으로 수락 또는 거절로서 오더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고, 운송자의 음성정보의 송출은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하도록 간략화된 약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운송자 단말기(30)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었을 때 운송자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를 통해 운송자 단말기(30) 상에서 음성으로 수락 또는 거절로서 오더의 수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운송자가 안전운전에 집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간략화된 약어의 사용으로 운송자의 음성정보의 송출은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된다.When cargo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voice through the transporter terminal (30), the transporter decides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e order by voice on the transporter terminal (30) through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 Transmission of transporter's voice information uses simplified abbreviations to prevent confusion with general voice and to ensure simplicity. In this way, when the cargo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voice through the transporter terminal 30, the transporter indicates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e order by voice on the transporter terminal 30 through the cargo broker's GPS linked server 10. By making this decision, the transporter can focus on safe driving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by using simplified abbreviations,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porter's voice information prevents confusion with general voice and provides simplicity.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송자의 간략화된 약어 음성은 오더 수락의 의미인 K1(케이 원), 오더 보류의 의미인 K2(케이 투), 오더 거절의 의미인 K3(케이 쓰리)를 포함한다. 이처럼 간략화된 약어의 사용으로 오더에 대한 수락, 보류, 또는 거절의 의사를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porter's simplified abbreviated voice includes K1 (K one) for order acceptance, K2 (K two) for order pending, and K3 (K three) for order rejection. The use of these simplified abbreviations allows you to simply indicate your intention to accept, withhold, or reject an order.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는, 오더의 수락 결정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서 비로소 화물주 단말기(20)에게 운송자 정보를 제공하는 운송자의 정보제공 단계(S6-1); 운송자 단말기(30)가 운송자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S6-2); 및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S6-2)에 의거하여 운송자가 화물 출발지를 향하는 화물차에 화물을 상차하는 화물 상차 및 이송단계(S6-3)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오더의 수락 결정시 운송자의 정보제공 단계(S6-1)에서 화물주 단말기(20) 그리고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S6-2)에서 운송자 단말기(30)에 각각 운송자 정보가 제공 및 접수되어 이에 의거하여 운송자가 화물 출발지를 향하는 화물차에 화물을 상차할 수 있다.The order notification and execution step (S6) includes a transporter's information provision step (S6-1) in which transport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only from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when deciding to accept the order; A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step (S6-2) in which the transporter terminal 30 receives the transporter information; And it includes a cargo loading and transfer step (S6-3) in which the transporter loads the cargo on a freight car heading to the cargo departure point based on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reception step (S6-2). According to this, when deciding to accept an order, the transporter information is provided and received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provision step (S6-1) and to the transporter terminal 30 in the transporter's information reception step (S6-2). Based on this, the transporter can load the cargo on a truck heading to the cargo departure poi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clarifi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 11. 운송자 정보접수부
11-1. 회원 등록부 11-2. 운송노선 설정부
11-3. 운송요금 산출부 12. 오더 접수부
12-1. 화물정보 접수부 12-2. 추가 오더 접수부
12-3.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 12-4. 표준문자 정리부
13. 음성전환부 14. 음성송출부
15. 오더종결신호 접수부 16. 오더종결 처리부
20. 화물주 단말기 21. 오더 생성부
22. 운송과정 모니터링부 23. 운송자 정보접수부
24. 오더종결 수신부 30. 운송자 단말기
31. 운송노선 계획부 32. 오더수락 결정부
33. 오더종결 보고부
S1.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 S2. 오더 접수단계
S2-1. 화물정보 접수단계 S2-2. 추가 오더 접수단계
S2-3.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 S3. 운송자 선정단계
S4. 오더 송출단계 S5.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
S6.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 S6-1. 운송자의 정보제공 단계
S6-2.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 S6-3. 화물 상차 및 이송단계
S7.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 실현화단계
S8.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
S9.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
10. Cargo forwarding company’s GPS linked server 11.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1-1. Member Register 11-2.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department
11-3. Transportation fee calculation department 12. Order reception department
12-1. Cargo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2-2. Additional order reception desk
12-3. Additional stopover order reception desk 12-4. Standard character organizer
13. Voice conversion unit 14. Voice transmission unit
15.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department 16. Order completion processing department
20. Freight owner terminal 21. Order creation department
22. Transportation process monitoring department 23.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24.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30. Transporter terminal
31. Transportation route planning department 32. Order acceptance decision department
33. Order completion report department
S1.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2. Order submission stage
S2-1. Cargo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2. Additional order reception steps
S2-3. Additional stopover order submission step S3. Transporter selection stage
S4. Order transmission step S5. Decision stage to accept order
S6. Order notification and execution step S6-1. Transporter's information provision stage
S6-2. Transporter's information reception step S6-3. Cargo loading and transfer stage
S7. Cargo exchange relay transport realization stage
S8. Steps to apply departure point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S9. Steps to set up short-distance urban transportation routes in large cities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 되,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포함 하고,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으로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으로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하는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는 오더 접수단계(S2);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하는 오더 송출단계(S3);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가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운송자 선정단계(S4);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는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가 통지되고, 선정된 운송자가 오더를 실행하는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화물운송 경로에 존재하는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를 서로 반대의 경로로 운행하는 운송자의 화물차들의 상호 운행 경로와 위치가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파악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송자들 사이의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의 특정한 중간 지점에서 화물의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을 실현하는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 실현화단계(S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n order creation unit 21 in which a cargo requester who needs to transport cargo creates an order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for cargo transport, and a transport process monitoring unit 22 that monitors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cargo according to the created order. It includes a transporter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er performing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order, and an order completion reception unit 24 that receives the completion of cargo transport according to the order, and is used by the cargo owner and is linked to GPS. Cargo owner terminal (20) communicating with server (10);
A member register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can register as members, and a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1) where multiple transporters set transport routes including a single origin and multiple destinations for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te. 2), and a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 including a transport fare calculation unit (11-3) that simultaneously sets the transport fee at the time of setting the transport route, and an order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orders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12), a voice conversion unit (13) for converting text orders among the received orders into voice orders, and a voice transmission unit (14) for transmitting voice orders and the converted voice orders among the orders received from the order reception unit (12). , an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unit 16 that receives an order completion signal and processes the order, selects a transporter, and communicates with the cargo owner terminal 20. Arrangement company's GPS linked server (10); and
The transport route planning unit 31, which plans the transport route set in the transport route setting unit 11-2,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transmitting unit 14,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and transmits it as a signal. The decision unit 32, and an order for receiving an order acceptance signal from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when order acceptance is decid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d transmitting an order completion signal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It includes a termination reporting unit (33), is used by a transporter who own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and includes a transporter terminal (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GPS interlocking server (10) ,
The order reception unit 12,
Cargo information reception area (12-1) where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status,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can be entered as an order. );
When an order is received by voice over the phone, it includes a standard character organizer (12-4) that organizes the voice into a standardized character organizer table ,
Additional order reception department (12-2) that receives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A cargo transport system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further comprising a stopover order reception unit (12-3) for receiving additional stopover orders generated at stops passing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As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The transporter plans the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the transportation route planning department (31), registers as a member through the member register (11-1) and the transportation route setting department (11-2) of the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1), and operates. A transporter's information input step (S1) of directly setting the desired transport route as a plurality of transport routes in a specific time zone on a specific date;
An order reception step (S2) in which the cargo owner's order sent from the order generation unit 21 is received through the order reception unit 12;
An order transmission step (S3) in which the order received i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is converted into voice by the voice conversion unit 13 and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A transporter selection step (S4) in which the cargo broker's GPS-linked server (10) selects the transporter with the transport route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in terms of distance among the transport routes set by a plurality of transporters;
An order acceptance decision step (S5) in which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order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unit 14;
When order acceptance is decided in the order acceptance decision unit 32, an order completion signal is notified from the order completion reporting unit 33 to the order completion signal reception unit 15, and the order notification and execution stage in which the selected transporter executes the order. (S6); and
The mutual operation routes and locations of the transporter's cargo vehicles running on opposite routes between one city and another city on the cargo transport route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are determined by the cargo broker's GPS linked server (10). In the case where the expression of intent between the transporters is requested in advance by the arranger in a known state, the cargo exchange relay transport realization step is to realize the exchange relay transport of cargo at a specific intermediate point between one city and another city. (S7);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출발지로부터 5km 반경 이내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을 먼저 한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출발지로부터 5km 이상의 반경 내에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최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In the transporter selection stage (S4),
When there are multiple transporters who have set up the same transport route within a radius of 5km from the point of departure,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to the transporter who made the reservation for the transport route first, and if there are multiple transporters who have set up the same transport route within a radius of 5km or more from the point of departure.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for selection is given to the transporter who is closest to the cargo owner terminal (20).
제4항에 있어서,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상기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하는 화물정보 접수단계(S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In the order reception step (S2), cargo information including origin to destination, cargo owner name, phone number, product name, packaging status, volume, weight,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onsignee, phone number, and arrival time can be entered as an order.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omprising a cargo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1) of inputting the cargo information as an order in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1).
제6항에 있어서,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에서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단계(S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에서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S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order reception stage (S2) is,
An additional order reception step (S2-2) in which additional orders are received at the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2), which receives additional orders generated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It further includes a waypoint additional order reception step (S2-3) in which a waypoint additional order reception unit (12-3) receives a waypoint additional order generated at a waypoint passing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haracterized by:
제4항에 있어서,
운송자 본인이 운행을 하고져 하는 계획 노선을 1,2,3,4 단계로 직접 설정하는 단계로서, 운송자는 운송자의 단말기를 통해 주선사 서버 시스템 노선 설정부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노선 예약을 설정 하는 단계로 반드시 출발지는 단수 이어야 하고 도착지는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을 하고 혹시 설정한 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 도착지를 전국이라고 설정하거나 또는 60km 이내라는 좁은 영역을 설정을 하는 4단계 까지 희망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가지므로 우선적으로 희망 경로로 운송을 하게 되거나 최종 수단에 의해 종전의 방식과 같은 도착지를 특정할 수 없는 경로로 최소한 선택은 이루어지게 되고,
운송자가 직접 계획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4단계로 도착지 방향성을 설정하는 단계도 있고, 또 시간대를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위치에서 바로 노선 설정이 가능한 현재노선 설정 단계와 또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화물의 도착지로 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 할 수 있는 부분도 포함이 되는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노선을 계획 할 수 있는 당일 노선 설정 단계도 함께 주어지며 금일 이후 내일 예약 노선 설정도 가능하게 하는 명일 예약 노선 설정 단계도 부여하는 단계를 갖지며, 즉 도착지 방향성 설정 4단계와 시간대로 설정 가능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is is the step where the transporter directly sets the planned route he/she wants to operate in steps 1, 2, 3, and 4. The transporter sets up a route reservation including the origin and destination in the route setting section of the arranger's server system through the transporter's terminal. As a step, the departure point must be singular, and the destination must be set in two different directions. In case the set route is not accep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destination must be set as nationwide or within a narrow area of 60km. There is a step of setting the desired route up to the fourth step of setting, so transportation is preferentially carried out on the desired route, or at least a selection is made on a route where the destination cannot be specified as in the previous method as a final means,
In the stage where the transporter directly sets the planned route, there is a stage of setting the direction of destination in four stages as above, and in more detail the time zone, there is a stage of setting the current route where the route can be set directly from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stage of setting the current route where the route can be set directly from the current location. It also includes a part where you can plan in advance to reserve a return route from the destination of the cargo in progress. A same-day route setting step is also provided to plan the rout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f day. You can also set a route for tomorrow after today.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haracterized by having a step of assigning a day reservation route setting step, that is, four steps of setting the destination direction and a step of setting a time zone.
제4항에 있어서,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고 간단한 약어 음성으로 콜을 건텍하는 단계로서, 화물 주선사 운영서버 시스템은 화물 의뢰자로 부터 접수된 문자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전환하고 GPS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들 중에 화물주와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 에게 전환된 음성 화물정보를 운송자 단말기로 문자와 음성으로 동시에 송출되게 하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전화 접수일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먼저 정리를 하고 다시 음성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거처 운송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운송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면 운송자는 단말기상에서 주선사 서버 시스템에 음성으로 yes 또는 no로서 콜을 결정하는 단계를 구성하고 이때 운송자의 콜 컨텍은 일반 대화 과정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는 간략화 된 약어를 사용하여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is is the step of transmitting cargo information by voice and making a call with a simple abbreviation voice. The cargo forwarding company operation server system converts the text carg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rgo requester into voice and sends the cargo information to multiple transporters using a GPS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ystem. When receiving a phone call, the voice cargo information converted to the transporter closest to the cargo owner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as text and voice to the transporter's terminal. In the case of a phone call, the voice is first organized into a standardized text table and then converted back to voice. It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voice to the transpor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step of doing so,
When cargo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voice through the transporter's terminal, the transporter configures the step of deciding to call yes or no by voice to the arranging company's server system on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transporter's call contact is not commonly used in the general conversation process.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haracterized by using simplified abbreviations to prevent confusion with general speech and to provide simplicity.
제4항에 있어서,
주선사 운영서버상에서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계획하고 화물주가 화물정보를 접수하는 과정에서 요금산출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져 화물을 운송하고자하는 운송자 와 화물을 의뢰하는 화물주간 직거래 운송 중계도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On the brokerage company's operating server, the transporter plans the transportation route, the cargo owner receives cargo information, and even calculates the fee automatically, making it possible to relay direct transaction between the transporter who wants to transport the cargo and the cargo requesting cargo. Freight transportation method to improve logistics flow.
제4항에 있어서,
출발지와 경유지 추가 오더를 효율적이고 순조롭게 접수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최초 주 오더 운송 시간을 지나치게 지연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와 경유지 주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범위를 제한하고 한정 하여야 하는데 그 범위 설정 방법은,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 접수 가능 범위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총 거리에 20% 내에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과 1시간 거리에 해당하는 60km 거리 이내에서 주선사 운영서버 화물 정보 접수부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 역시 주 오더 도착지로 부터 총 잔여 거리에 20%를 적용하며,
상기의 설정 범위는 상황에 따라 달리 할 수도 있는데, 실시의 예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총 500km이라면 서울에서 주변 오더 추가 수집이 가능한 반경은 100km 내지 60km가 되며, 즉 서울 전 지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출발지에서 도착지 주변으로 운송을 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때도 총 거리에서 20%와 60km 설정하게 되며 즉 부산 전 지역이 해당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발지와 도착지 반경은 넓고 경유지는 목적지에 가까울수록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추가 오더 접수로 인한 지나친 시간 지연 사례를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In order to efficiently and smoothly receive additional orders at departure points and stopover points, in order to perform economical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and prevent cases of excessive delay in the transportation time of the first main order, there is a method of receiving additional orders around the departure point and stopover points. The scope must be limited and limited, and the method for setting the scope is:
The scope for accepting additional orders near the departure point is only for cargo received within 20% of the total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of the initial order to the destination, and cargo received at the cargo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of the brokerage company's operation server within 60km, which is equivalent to a 1-hour distance. It is possible,
When accepting an additional order for a stopover, 20% of the total remaining distance from the main order destination is applied.
The above setting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if the total distance from Seoul to Busan is 500km, the radius from which additional orders around Seoul can be collected is 100km to 60km, that is, the entire Seoul area is possible,
Conversely, the range of transportation from the point of origin to the area around the destination must be limited. In this case, it is also set at 20% and 60km of the total distance, which means the entire Busan are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adius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is wide, and the range of the transit point becomes narrow the closer it is to the destination, thereby limiting cases of excessive time delay due to receiving additional orders.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제4항에 있어서,
업무의 연속성과 편리성 추구를 위하여 출발지 자동 등록 기능이 부과되는 단계로서,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종결 보고를 하면 새로운 오더를 접수받거나 새롭게 계획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데 업무 종결 보고를 하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재설정 하지 않을 경우 최종 도착지는 자동으로 출발지가 되어지고 도착지의 한정된 반경 내에서 단거리 운송 오더를 접수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오더 접수 가능한 범위는 선행 오더의 총 거리의 20% 이내 범위 또는 60km 이내 거리로 자동 설정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의 실시의 예를 적용하게 되면 도착지 주변 도시에서 단거리 운송을 하다가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는 회귀 노선에 대한 오더를 폭넓게 접수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일과 시간을 폭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도모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In order to pursue business continuity and convenience, this is the stage where the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of departure point is imposed. When the transporter arrives at the final destination, closes the order, and reports the completion, a new order can be received or a new planned route can be set. If you do not reset the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the final destination automatically becomes the departure point and short-distance transport orders can be accepted within a limited radius of the destination. In this case, the range in which orders can be accepted is within 20% of the total distance of the preceding order. Or, it has a stage where the distance is automatically set to within 60km,
Applying the above example of implementa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eive a wide range of orders for return routes that return to the garage or hometown after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in cities around the destination, and promote ways to utilize work and time broadly.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장거리 운송자에 대한 회귀 경로 사전 예약 권리 부여 단계로서,
장거리 운송자는 목적지 도착 시간을 추정하여 미리 동일 노선 경로로 회귀하는 노선에 대한 예약을 하는 권리도 당일 노선 설정 단계에 접속하여 부여받을 수 있는데 예약 성공율 확장 차원에서 출발지에서 출발 보고와 함께 미리 예약 설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순조로운 운송체게 정립을 위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총 거리에 시속 70km 이내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하차 1시간을 더하고 운송 시간 2시간에 20분 휴식 시간을 더해서 합산을 한 총 시간 이후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거나 또 다른 방식에 의한 정양적 거리를 기준으로 100km 이내는 2시간 이후 부터, 200km 이내는 4시간 이후 부터, 300km 이내는 6시간 이후 부터 등 100km 증가에 2시간을 더 감안한 여유시간을 적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정양적 부분은 조정되어도 무방한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As a step in granting return route advance reservation rights to long-distance transporters,
Long-distance transporters can also estimate the destination arrival time and be granted the right to make reservations for routes that return to the same route in advance by accessing the same-day route setting stage. To increase the reservation success rate, reservations can be set in advance along with the departure report at the departure point. In this case, in order to establish a smooth transportation system, 1 hour of disembarkation is added to the total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within 70 km per hour, and a 20-minute rest time is added to the 2 hours of transportation time. Based on the quantitative distance that can be set as a standard or by another method, within 100km, after 2 hours, within 200km, after 4 hours, and within 300km, after 6 hours, etc., an additional 2 hours is taken into account for an increase of 100km.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which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time, but in some cases, the quantitative part may be adjusted.
제4항에 있어서,
대도시 간 소형 화물운송 차량 간 중간지점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을 실현화하는 단계로서, 도시와 도시간에 상호 교차 운송이 실현되고 있는 경우가 아주 많은데, 즉 어떤 차는 서울에서 인천으로 가고 있고 반대로 인천에서 서울로 가는 화물 차도 있으며, 운송 주선사 GPS 연동 서버 시스템에 의해 상호 경로와 위치가 파악되고, 이때 화물 차주 간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었다면 특정의 중간 지점에서 상호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이 가능해 지며, 이때 상호 거리 만큼 가산하여 요금을 조정하면 굳이 중간 지점이 아니어도 실현이 가능해지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As a step towards realizing intermediate point cargo exchange relay transport between small cargo transport vehicles between large citi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mutual cross transport is being realized between cities, that is, some cars are going from Seoul to Incheon and conversely, some cars are going from Incheon to Seoul. There are also cargo trucks, and their mutual routes and locations are identified by the transport broker's GPS-linked server system. In this case, if the expression of intent between cargo borrowers has been requested in advance by the arranger, exchange relay relay transport becomes possible at a specific intermediate point. A cargo transportation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age where it can be realized without necessarily being an intermediate point by adjusting the fee by adding the mutual distance.




KR1020210014506A 2021-02-02 2021-02-02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KR102627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06A KR102627449B1 (en) 2021-02-02 2021-02-02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06A KR102627449B1 (en) 2021-02-02 2021-02-02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61A KR20220111361A (en) 2022-08-09
KR102627449B1 true KR102627449B1 (en) 2024-01-23

Family

ID=8284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06A KR102627449B1 (en) 2021-02-02 2021-02-02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6605B (en) * 2023-07-26 2024-03-19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Data oper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KR102619054B1 (en) * 2023-09-21 2023-12-28 주식회사 팀즈에이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deal with freight order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35B1 (en) 2004-11-17 2007-02-27 정현철 Method and System for Logistics Information Flow Management
KR101475829B1 (en) * 2013-04-15 2014-12-24 (주)전국24시콜화물 Cargo Order Acceptance System Using Recorded Voice Data
KR20160071202A (en) * 2014-12-11 2016-06-21 태상로지스틱스(주) Method of Efficient Delivery Schedule Management and Delivery Schedule Management System
KR101695550B1 (en) * 2015-06-24 2017-01-11 (주)전국24시콜화물 Transfortation order providing system and, transfortation order providing method
KR102093511B1 (en) 2019-08-02 2020-03-25 신나는 주식회사 Transport management system between consignor-carrier and transpor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61A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6748B2 (en) Communication analysis for obtaining loads
US9996814B2 (en) Transportation service matching with arrival estimation adjusted for external factors
US9691091B2 (en) Transportation service matching with location tracking and arrival estimation
US10074065B2 (en) Obtaining loads for next leg or backhaul
US560467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personal transportation
KR102627449B1 (en)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US20150161698A1 (en) Predicting multi-city or direct backhaul
KR101910045B1 (en) Real-time Sharing Method of Cargo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rough Cargo Information Sharing Community centered on Cloud Hub with Dynamic Routing and Safe Driving Requirements
US20150006072A1 (en) Dynamically Optimized Transportation System
EP3330157B1 (en) Transportation demand-and-supply matching system and transportation demand-and-supply matching method
KR20160120898A (en) Rental system of car using partnership method
KR101910050B1 (en) Real-time Sharing Method of Cargo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rough Cargo Information Sharing Community centered on Cloud Hub with State Change Adaptabiliy and Safe Driving Requirements
KR20160120901A (en) Forecast and selection system for variable path of transporting vehicle
KR101783702B1 (en) Forecast and selection system for variable path of transporting vehicle
KR101740029B1 (en) Viriable path system for segment transporting vehicle
CN112085347A (en) Digital al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 truck fleet
KR20170023058A (en) Rental system of car using partnership method
KR101044511B1 (en) System for Joint Allocating Freight Cars Using LBS and Allocating Method Thereof
Minot Transportation network companies as cost reduction strategies for paratransit
KR102184100B1 (en)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of Mobility Sharing Using App Meter,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KR20180029990A (en) Rental system of car using partnership method
KR101037529B1 (en) Empty vehicle runnig automatic guidance method using navigatioin for vehicle
KR101867453B1 (en) Real-time Sharing Method of Cargo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rough Cargo Information Sharing Community centered on Cloud Hub with the Enforced Dynamic Routing and State Change Adaptability
KR102023807B1 (en)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plural route vehicles and system thereof
KR102023806B1 (en)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