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167B1 -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167B1
KR102627167B1 KR1020210142408A KR20210142408A KR102627167B1 KR 102627167 B1 KR102627167 B1 KR 102627167B1 KR 1020210142408 A KR1020210142408 A KR 1020210142408A KR 20210142408 A KR20210142408 A KR 20210142408A KR 102627167 B1 KR102627167 B1 KR 10262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base station
clock signal
station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780A (ko
Inventor
송민석
이진성
최진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5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with photonic or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2Synchronisation for 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 기지국과,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제1 백홀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합국과, 제2 기지국과,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공급장치와 제2 클럭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제공하며 제1 백홀장치와 연결되어 제1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2 클럭신호를 제1 백홀장치를 통해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제2 백홀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합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A system for supplying a clock to a base station using an optical line}
본 발명은 클럭 공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4세대 및 5세대 네트워크의 진화에 따라 클럭 공급 방식도 전통적인 GPS방식에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IEEE 1588v2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의 형태가 출현하고 있다.
5G 서비스는 4G 서비스 대비 기지국 및 인빌딩(예컨대, 스마트 공장, 쇼핑몰과 같은 대규모 실내 시설)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 시설 수가 최소 10배 이상 많다. 예컨대, GPS 사용시 안테나, 케이블 및 스필리터에 대한 투자 비용이 과다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확장성 및 비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IEEE 1588v2 기술을 활용한 시간위상(Time&Phase) 클럭 공급 방식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G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기지국이 소형화되고 지하, 옥내를 벗어나 옥외 철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구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클럭 고장 발생시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따른 완벽한 클럭 안정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서비스 환경으로 인하여 양질의 백업 클럭 제공이 가능한 망을 구축하여 5G 네트웍에 대해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클럭을 공급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833894호 2018년 02월 2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 제공되는 1차 클럭이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인접한 통합국과 연결된 광 선로를 통해 2차 클럭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클럭을 공급할 수 있는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제1 백홀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합국,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제공하며 상기 제1 백홀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제1 백홀장치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제2 백홀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합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백홀장치와 상기 제2 백홀장치는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통합국은 상기 제1 통합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는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시간위상(Time&Phase)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은 각각이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클럭 신호를 연동된 기지국에 제공하는 백홀장치를 포함하면서, 상호 간에 백홀장치 간을 광 선로를 통해 연결하여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통합국 중 어느 하나의 통합국의 클럭공급장치의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통합국에 이웃하는 이웃 통합국의 클럭공급장치가 생성한 클럭 신호인 백업 클럭 신호를 상기 이웃 통합국의 백홀장치가 상기 클럭 신호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통합국의 백홀장치를 통해 연동된 기지국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통합국은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 링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통합국은 백홀장치 간 광선로를 통해 지리적 위치에 따라 순차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 중 어느 하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통합국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이 존재하면,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 상호 간은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럭 신호는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시간위상(Time&Phase)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광 선로를 활용한 인접한 통합국의 클럭공급장치에 대한 백업을 구축하여 이용한 대규모 통신 시설의 안정 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클럭공급장치의 실시간 감시 프로세서 기능을 추가하여 시설 안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 감시하여 빠른 대응으로 서비스 중단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통합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품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 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통합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클럭공급시스템)은 복수의 통합국(10)을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통합국(10)은 기지국(300), 예컨대, DU-H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300)은 5G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시간위상 클럭(Time&Phase Clock)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통합국(10)은 기지국(300)에 시간위상 클럭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국(10)은 클럭공급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백홀장치(200)를 포함한다.
클럭공급장치(100)는 시간위상 클럭(Time&Phase Clock)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클럭공급장치(100)는 IEEE 1588v2를 준용하여 시간위상 클럭(Time&Phase Clock)을 생성한다. 이러한 클럭공급장치(100)는 GM(Grand Master) 클럭 공급 장치가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지국(300)은 네트워크 구간에서 클럭 품질 시간 오류(TE: Time Error) 허용 오차(Budget) ±1,500ns 이내의 IEEE 1588v2 기술을 활용한 패킷을 통하여 시간위상 클럭을 공급 받아야 한다. 따라서 클럭공급장치(100)는 IEEE 1588v2에 따라 백홀장치(200)와 연동하여 패킷을 통하여 클럭 제공 품질이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1차 시간위상 클럭을 제공한다.
백홀장치(200)는 클럭공급장치(100)가 생성한 클럭, 즉, 시간위상 클럭을 패킷을 통해 연결된 기지국(30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백홀장치(200)는 IP Virtual Center (IVC), IP BackHaul Cnter (IBC), IP Virtual Remote (IVR), IP BackHaul Remote (IBR)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클럭공급장치(100)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문제로 인해 기지국(300)에 클럭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통합국(10)의 백홀장치(200)에 수용된 모든 기지국(300)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럭 품질 지표인 TE가 ±1,500ns 이상 편차가 벌어지는 시점에, 기지국(300) 및 중계기(미도시) 간 서비스를 중단(service off: Tx Off)하기 때문에 5G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통합국(10)에 여분의 클럭공급장치(100)를 구비하거나, GPS를 추가 설치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여분의 클럭공급장치(100)를 대체 운용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설치 및 구축 비용이 2배 이상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완적으로, 통합국(10)의 상위국(교환국, 미도시)에 설치된 최상위단 백홀장치(IVC)에 의해 연동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패킷을 통해 2차 클럭을 공급 할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5G 특성상 30Km 이상 교환국과 떨어진 통합국(10)의 경우, 인터페이스(Interface) 100G 이상의 서비스 이용 시, 선로 직접 연결이 불가능하여 교환국의 백홀장치(IVC(IBC))와 통합국(10)의 백홀장치(IVR(IBR)) 간 연동이 가능하도록 ROTN/ROADM 장치(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100G 또는 10G 인터페이스로 연동된 선로를 통해 ROTN/ROADM장치를 경유하여 통합국(10)에 설치된 기지국(300)에 클럭을 공급하는 경우, 음성 혹은 데이터 트래픽과 달리 클럭 트래픽(Time&Phase Clock Traffic)은 동기 지연(Sync. Delay) 왜곡 현상으로 클럭 품질(TE) 저하 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액티브(Active) 클럭으로 운용 시 통합국(10)에 수용된 기지국(300)의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다양한 방식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통합국(10)의 백홀장치(200)를 광 선로를 통해 연결하고, 연결된 광 선로를 통해 2차 클럭(Time&Phase Clock)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공급시스템은 복수의 통합국(10: 11, 12), 즉, 제1 통합국(11)과 제1 통합국(1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통합국(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통합국(12)은 제1 통합국(1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
제1 통합국(11)은 기본적으로, 제1 기지국(301)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 통합국(11)은 제1 클럭공급장치(101)와, 제1 백홀장치(201)를 포함한다. 제1 클럭공급장치(101)는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제1 클럭 신호는 클럭 제공 품질이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시간위상 클럭이다. 제1 백홀장치(201)는 제1 클럭공급장치(101)가 생성한 제1 클럭 신호를 제1 기지국(301)에 제공한다.
제2 통합국(11)은 기본적으로, 제2 기지국(301)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클럭공급장치(102)는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제2 클럭 신호는 클럭 제공 품질이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시간위상 클럭이다. 제2 백홀장치(202)는 제2 클럭공급장치(102)가 생성한 제2 클럭 신호를 제2 기지국(302)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백홀장치(201)와 제2 백홀장치(202)는 광 선로(OF: optical fiber)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백홀장치(202)는 제1 클럭공급장치(101)가 생성하는 제1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2 클럭공급장치(102)가 생성한 제2 클럭신호를 제1 백홀장치(201)를 통해 제1 기지국(301)에 제공할 수 있다. 역으로, 제1 백홀장치(201)는 제2 클럭공급장치(102)가 생성하는 제2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1 클럭공급장치(101)가 생성한 제1 클럭신호를 제2 백홀장치(202)를 통해 제2 기지국(3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통합국(10)의 백홀장치(100)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고장, 에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인접한 통합국(10)의 백홀장치(100)가 생성한 클럭으로 즉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300)은 1차 클럭 공급 중단시 2차 클럭 공급을 통해 서비스 중단 없이 운용이 가능하다. 특히, 서로 인접한 통합국(10)의 백홀장치(200) 간이 광 선로(OF)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광 선로(OF)의 특성상 신호의 왜곡, 지연, 혹은 패킷 유실 없이 클럭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통합국(10) 각각이 네트워크의 노드로 가정했을 때, 복수의 통합국(10)을 광 선로(OF)를 통해 링 네트워크(Ring Network)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합국(10)은 기본적으로,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링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통합국(10)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순차로 인접한 통합국(10)과 연결된다. 이때, 서로 인접한 통합국(10)의 백홀장치(200) 간 광 선로(OF)를 통해 연결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제1, 제2 및 제3 통합국(10)은 메인 링 토폴로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통합국(10)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통합국(11, 12, 13)은 순차로 연결된다. 즉, 제1 통합국(11)의 백홀장치(200)와 제2 통합국(12)의 백홀장치(200)가 제1 광선로(OF1)를 통해 연결되며, 즉, 제2 통합국(12)의 백홀장치(200)와 제3 통합국(13)의 백홀장치(200)가 제2 광선로(OF2)를 통해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10)에 부가적으로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통합국(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통합국(10)은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어느 하나의 통합국(10)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통합국(10)은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10) 상호 간은 연결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제4 및 제5 통합국(14, 15)은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통합국(10)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통합국(14)은 제1 통합국(11)에 연결되며, 제5 통합국(15)은 제2 통합국(12)에 연결된다. 하지만, 제4 통합국(14)과 제5 통합국(15)은 상호 간에 연결되지 않는다. 즉, 제1 통합국(11)의 백홀장치(200)와 제4 통합국(14)의 백홀장치(200)가 제3 광선로(OF3)를 통해 연결되며, 제2 통합국(12)의 백홀장치(200)와 제5 통합국(15)의 백홀장치(200)가 제4 광선로(OF4)를 통해 연결되지만, 제4 통합국(14)의 백홀장치(200)와 제5 통합국(15)의 백홀장치(200)는 연결되지 않는다(NC).
링 네트워크(Ring Network)를 구성하는 복수의 통합국(10) 각각은 클럭공급장치(100) 및 백홀장치(200)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클럭공급장치(100)는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백홀장치(200)는 연동된 기지국(300)에 클럭 신호를 전달한다. 하지만, 복수의 통합국(10) 중 어느 하나의 통합국(10)의 클럭공급장치(100)의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어느 하나의 통합국(10)에 이웃하는 이웃 통합국(10)의 클럭공급장치(100)가 생성한 클럭 신호인 백업 클럭 신호를 이웃 통합국(10)의 백홀장치(200)가 클럭 신호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통합국(10)의 백홀장치(200)를 통해 해당 기지국(300)에 제공한다. 이러한 백업 클럭 신호는 지역우선순위(PTP Local-Priority) 방식을 사용하여 인접한 통합국(10)에 전달될 수 있다. 지역우선순위(PTP Local-Priority)는 백업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백홀장치(200)에 설정되는 파라미터이며, 이러한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홉 카운트(Hop Count) 보다 우선되어 백업 클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럭 품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품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공급장치(100)의 클럭 품질을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클럭공급장치(100)와 백홀장치(200) 간 모니터링 프로브를 연결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브는 제1 모니터링프로브(P1) 및 제2 모니터링프로브(P2)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브(P1, P2)는 클럭공급장치(100)와, 백홀장치(200) 간을 OJC(Optical Connector, Optical Jumper Cord)를 통해 연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니터링프로브(P1)는 분배기(110)를 통해 입력되는 GPS 신호 대비 오실레이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백홀장치(200)는 이러한 제1 모니터링프로브(P1)를 통해 GPS 신호 대비 오실레이트를 측정하여 클럭의 품질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제2 모니터링프로브(P2)는 GPS 신호 대비 클럭공급장치(100) 및 백홀장치(200)의 클럭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백홀장치(200)는 이러한 제2 모니터링프로브(P2)를 통해 GPS 신호 대비 클럭공급장치(100) 및 백홀장치(200)의 클럭(Time&Phase Clock)을 측정하여 클럭의 품질을 모니터링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통합국(10) 간 광 선로(OF)에 대해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및 BFD(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PF(Open Shortest Path First)를 적용함으로써, 링 오픈 감지와 동일 수준의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FD를 적용함으로써, 50ms 4회 연속 패킷 드롭 시, OSPF neighbor down발생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리고, 백홀장치(200)에 대해 인터페이스 IP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백홀장치(200)에 대해 인터페이스 IP를 설정함으로써,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OSPF 및 BFD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기지국에 제공되는 1차 클럭이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인접한 통합국과 연결된 광 선로를 통해 2차 클럭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 선로를 활용한 인접한 통합국의 클럭공급장치에 대한 백업을 구축하여 이용한 대규모 통신 시설의 안정 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클럭공급장치의 실시간 감시 프로세서 기능을 추가하여 시설 안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 감시하여 빠른 대응으로 서비스 중단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11, 12, 13, 14, 15: 통합국
100, 101, 102: 클럭공급장치
110: 분배기
200, 201, 202: 백홀장치
300, 301, 302: 기지국

Claims (8)

  1. 제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제1 백홀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합국;
    제2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기지국에 제공하는 제2 백홀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합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백홀장치와 상기 제2 백홀장치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것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2 백홀장치는 연결된 상기 제1 백홀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백홀장치와 상기 제2 백홀장치는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합국은
    상기 제1 통합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는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시간위상(Time&Phase)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5. 각각이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공급장치와 상기 클럭 신호를 연동된 기지국에 제공하는 백홀장치를 포함하며, 상호 간에 백홀장치 간을 광 선로를 통해 연결하여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합국 중 어느 하나의 통합국의 클럭공급장치의 클럭 신호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통합국에 이웃하는 이웃 통합국의 클럭공급장치가 생성한 클럭 신호인 백업 클럭 신호를 상기 이웃 통합국의 백홀장치가 상기 클럭 신호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통합국의 백홀장치를 통해 연동된 기지국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합국은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은 백홀장치 간 광선로를 통해 지리적 위치에 따라 순차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 중 어느 하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통합국을 더 포함하며,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이 존재하면, 서브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합국 상호 간은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PRTC(Primary Reference Time Clock) ±100ns(Nano-second)를 만족하는 시간위상(Time&Phase)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10142408A 2021-10-25 2021-10-25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62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408A KR102627167B1 (ko) 2021-10-25 2021-10-25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408A KR102627167B1 (ko) 2021-10-25 2021-10-25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780A KR20230058780A (ko) 2023-05-03
KR102627167B1 true KR102627167B1 (ko) 2024-01-18

Family

ID=8638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408A KR102627167B1 (ko) 2021-10-25 2021-10-25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1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9525A1 (en) * 2012-04-20 2013-10-24 Qun Zheng Ring Based Precise Time Data Network Clock Phase Adjustm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61A (ko) * 1995-08-24 1997-03-29 김광호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클럭원 설정 방법
KR100636329B1 (ko) * 2004-11-08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06713141B (zh) * 2015-11-18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获得目标传输路径的方法和网络节点
KR101833894B1 (ko) 2016-09-12 2018-03-02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솔루션즈 수동 광 네트워크의 시각 동기화 방법
KR102592663B1 (ko) * 2018-05-25 2023-10-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트래픽 분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메인 기지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9525A1 (en) * 2012-04-20 2013-10-24 Qun Zheng Ring Based Precise Time Data Network Clock Phase Adjus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780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4086C1 (ru) Конфигурация сети синхронизации
US10356011B2 (en) Partial software defined network switch replacement in IP networks
US7639615B2 (en) Communication path restoration method based on preplanned network note configuration
US6711411B1 (en) Management of synchronization network
JP2005159434A (ja) 迂回通信経路設計方法
CN104509044A (zh) 用下游通知分组增强协议无关多播(pim)快速重新路由方法
CN104662851A (zh) 用上游激活分组增强pim快速重新路由
JPWO2014199670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プロテクション方法
JP2013511181A (ja) 光バースト交換式(OpticalBurstSwitched:OBS)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仮想的光学経路の監視のための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219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protection switching
KR102627167B1 (ko) 광 선로를 이용한 기지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US20060013126A1 (en) Tunnel failure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25154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rotection
US7522837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001186159A (ja) リング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スケルチ方法
US6632032B1 (en) Remote data network acces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tilizing overhead channels
JP4030880B2 (ja) 同期用クロック供給システムおよび同期用クロック供給方法
US20220069932A1 (en) Robust distribution of ip timing signals
JP5006342B2 (ja) 交換システム
US11483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hop sessions in satellite system
JP2017152816A (ja) ノード装置及び冗長ネットワークの通信方法
WO2014205843A1 (zh) 一种多域网络保护方法、系统和节点
US20190246331A1 (en)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2350425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クロック同期化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通信ネットワーク
JP3261141B2 (ja) 迂回経路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