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80B1 -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80B1
KR102627080B1 KR1020230103183A KR20230103183A KR102627080B1 KR 102627080 B1 KR102627080 B1 KR 102627080B1 KR 1020230103183 A KR1020230103183 A KR 1020230103183A KR 20230103183 A KR20230103183 A KR 20230103183A KR 102627080 B1 KR102627080 B1 KR 10262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vehicle
elastic
coupling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재
Original Assignee
황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재 filed Critical 황선재
Priority to KR102023010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차량의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일 측의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을 막아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지지통공; 및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노출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A LICENSE PLATE HOLDER}
본 발명은 차량 번호판의 원터치 결합 방식을 위한 탄성 지지홀더 및 지지통공을 별도로 구성하여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은 공식적인 식별을 목적으로 차량에 부착해 다니는 금속의 패널로 제공되며, 등록 식별자는 번호나 문자, 숫자 조합으로 되어 있으며, 지역 데이터베이스 안의 자동차를 식별하는 고유한 코드를 갖는다.
차량별로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차량등록번호가 새겨진 차량 번호판은 보통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 등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차량의 번호판은 상기 번호판의 테두리를 감싸고 보호하는 케이스를 통해 차량에 부착된다. 상기 케이스는 번호판의 흠집이나 찌그러짐 등을 방지하고, 번호판 디자인의 심미성을 높이기 위한 포인트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상기한 차량의 번호판은 케이스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볼트를 통해 차량에 결합되며, 차량의 후면 번호판 일 측의 볼트는 봉인이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관련법 개정 등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차량의 번호판(반사 필름부착방식)이 도입되고, 동시에 볼트체결 없이 혹은 이 외의 방식으로 번호판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볼트 체결 없이 구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조립-결합하거나, 탄성을 이용한 원터치 장착 번호판 결합장치(번호판보조대)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탄성을 이용한 번호판 결합장치 중, 원터치 장착 번호판보조대는 탄성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번호판이 상기 탄성부에 탄성 지지되면서 번호판 결합장치에 간단한 동작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에 의한 번호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볼트 없이 번호판을 결합하는 번호판 결합장치(번호판보조대)는 또한 이전의 볼트결합이 갖고 있던 문제점 등을 개선하였다. 일련의 볼트 조임 작업은 번호판 부착을 불편하고 번거롭게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특히, 차량 소유 이전 및 사고 등을 이유로 하는 번호판 교체 시, 볼트를 풀어낸 후, 차량으로부터 번호판을 탈거하고 새로운 번호판을 볼트 체결해야 하는 일련의 과정은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번호판의 볼트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볼트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한 경우, 볼트 풀림이 어려워져 번호판 교체가 더욱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탄성을 이용하는 번호판 결합장치 중 상기 탄성부를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제품들은, 탄성력 및 탄성 회복력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번호판 수용능력에 한계가 있고 또한 외기 온도변화에 따라 탄성부가 함께 팽창, 수축함으로 번호판 결합력 및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번호판 탈락, 분실 등)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만 별도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컨대 차량 접촉사고가 발생하여 탄성부만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번호판 결합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이로 인해 교체 비용이 증가하므로 번호판 결합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 증가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4587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번호판의 원터치 결합 방식을 위한 탄성 매개체를 별개의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차량 번호판을 장착하는 베이스에 상기 탄성 매개체의 탈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번호판 받침 및 탄성력 제공이 한 군데에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번호판을 장착하는 베이스에 탄성 매개체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 돌기, 결합홀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파트 구조를 갖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차량의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일 측의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을 막아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지지통공; 및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노출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지지통공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지지통공은, 상기 베이스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 시,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가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면,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 돌출된다.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는 커버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돌기는,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지지통공의 제1 영역을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파트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력 제공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장착 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면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복원된다.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접촉되며, 상기 번호판의 타 측과 접촉되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번호판 받침부로 정의되고, 상기 번호판 받침부의 최고 돌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판의 일 측에는 상기 번호판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번호판의 타 측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돌기는 차령의 번호판 일측을 막도록 상기 테부리부에 형성된 이탈 방지편들의 사이에서 상기 이탈 방지편들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판 타측을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리세스에 위치하며, 고리형의 곡선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곡선 영역의 하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1형태; 상기 리세스를 가로지며 골 영역과 마루 영역을 구비하며, 양 끝에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2형태; 폐곡선의 한지점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3형태; 상기 리세스의 일 측과 타 측을 향해 다단 절곡된 제4형태; 곡선 영역을 구비하며, 양 끝에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5형태; 및 상기 리세스의 양측에서 서로를 향해 라운드진 한 쌍의 호(arc) 형태로 형성되는 제6형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파트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셀프 탭핑 인서트(Self Tapping Insert)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파트는 중공 형태의 결합홈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벽을 마주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보다 큰 둘레로 형성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파트는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가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되면, 상기 몸체가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사이에서 상기 걸림 돌기에 걸려 상기 제2결합파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정도 혹은 상기 외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정도가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벽을 마주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보다 큰 둘레로 형성되는 외측벽;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연결되는 테두리면;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몸체의 전방과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와 마주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테두리면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탄성 지지홀더를 독립 부재로 구성하여, 탄성기능 즉, 번호판 수용 및 결합능력을 최대화하며, 또한 탄성 지지홀더를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따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탄성 지지홀더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번호판 결합력, 내구성 및 유지 보수에 대한 편의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탄성 지지홀더는 번호판을 지지하는 기능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이 동일 선상에서 제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번호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베이스와 탄성 지지홀더의 결합 구조를 결합 돌기, 결합홀, 셀프 탭핑 인서트 및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제1결합파트와 제2결합파트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에 탄성 지지홀더의 탈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시 진동이나 떨림 그리고 가벼운 충격 등에 의해 탄성 지지홀더가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분해하여 배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테두리부와 탄성 지지홀더 부분을 확대 및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정면과 저면에서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이탈 방지편과 지지통공이 형성된 부위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형성된 상부 이탈 방지편을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형성된 지지통공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의 모습들을 나타낸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의 모습들을 나타낸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의 모습들을 나타낸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의 모습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 번호판을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원터치 고정 방식을 위한 탄성 매개체를 별도로 구성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탄성 지지홀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차량의 번호판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이때, 베이스(100)의 재질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베이스(10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ABS 수지, 폴리스티렌(P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를 이루는 수지들은 200 내지 600kgf/cm2 사이의 적절한 인장강도와 15 내지 35kgf/cm2 내외의 탄성계수를 갖는 소재들로서 베이스(100)로 제작 시, 차량 번호판 결합장치가 차량의 번호판(P)을 장착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결합상태와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100)에는 차량의 번호판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차량의 번호판과 베이스(100) 사이의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 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 보상 부재(121)는 합성수지의 재질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베이스(100)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배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탈 방지편(115)에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밀착시키는 외력을 작용할 수 있다.
베이스(100)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110)는 베이스(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베이스(100)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이 수용될 수 있는 번호판 수용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두리부(110)는 차량 번호판의 둘레에서 상단과 하단을 마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110)는 상부 테두리부(110a) 및 하부 테두리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테두리부(11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부(110a) 및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테두리부(11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번호판 수용부(120)에 수용된 차량의 번호판 상부에 대응되는 부위 즉, 상부 테두리부(110a)를 테두리부(110)의 일 측이라 하고, 차량의 번호판 하부에 대응되는 부위 즉, 하부 테두리부(110b)를 테두리부(110)의 타 측이라 할 때, 테두리부(110)의 타 측 배면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111)과, 외측벽(112)과, 테두리면(1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벽(111)은 베이스(100)의 하부에서 번호판 수용부(120)와 단차지게 형성되며, 번호판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외측벽(112)은 내측벽(111)에 비해 큰 둘레로 형성되며, 내측벽(111)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벽(112)과 내측벽(111) 사이에는 외측벽(112)과 내측벽(111)의 둘레 크기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외측벽(112)과 내측벽(111)을 연결하는 테두리면(113)이 형성된다.
이때, 내측벽(111)과 외측벽(112) 사이에는 연결부(114)가 형성된다.
연결부(114)는 후술하는 탄성 지지홀더(200)의 날개부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며, 내측벽(111)과 외측벽(11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14)는 테두리면(113)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연결부(114)는 테두리면(11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연결부(1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통공(130)을 중심으로 지지통공(130)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4)는 테두리면(113)의 후면으로부터 테두리면(113)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이격 공간(114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4)의 단부는 상기 지지통공(130)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14b)은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 양측을 가이드하여 탄성 지지홀더(200)가 더욱 용이하게 상기 지지통공(130)이 형성된 테두리부(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해 제1 결합파트와 제2 결합파트가 이용된다. 테두리부(110)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에는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11)과 상기 외측벽(112)에는 걸림 돌기(111a, 11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테두리부(110)에 결합되면, 몸체(210)가 내측벽(111)과 외측벽(112)의 사이에서 걸림 돌기(111a, 112a)에 걸려 제2 결합파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 돌기(111a, 112a)는 후술하는 탄성 지지홀더(200)의 몸체(210) 상단과 하단에서 배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테두리부(110)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111a, 112a)는 상기 테두리부(110)에 대한 탄성 지지홀더(200)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벽(111)으로부터의 돌출 정도 혹은 상기 외측벽(112)으로부터의 돌출 정도가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측면은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을 향해 경사면이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장착 시, 상기 경사면을 이용하여 탄성 지지홀더(200)의 몸체(210)를 살짝 밀어 넣는 방법으로 편리하게 탄성 지지홀더(200)를 테두리부(110)에 장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외측벽(112)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홀(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홀은 베이스(100) 사출 성형 시, 금형 지그(Zig)가 삽입되는 부위로써, 베이스(100)의 저면에 외측벽(112)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홀(100a)은 이격 공간(114a)에 연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그홀을 통해 탄성 지지홀더(200)의 날개부(212)가 연결부(114)에 마주하는 위치까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테두리부(110)에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 일부를 막아 베이스(100)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편(115)은 일 측의 테두리부(110)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편(115)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의 테두리부(110)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 방지편(115)의 전면은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편(115)의 전면은 경사면(115a)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 부착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은 이탈 방지편(115)의 상기 경사면(115a)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의 후방에 형성된 번호판 수용부(120)에 원활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탈 방지편(115)의 전면은 경사면(115a)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면(115a)은 곡면 및/또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편(115)의 후면은 경사면(115b)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15b)도 곡면 및/또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리브(115c)는 이탈 방지편(115)의 후면과 테두리부(110)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15c)는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리브(115c)가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이탈 방지편(115)을 지지한다.
이러한 경사면(115b)과 지지리브(115c)는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 부착 시, 더 큰 탄성력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더욱 안정적인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편(115)의 후면의 테두리부(110)에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일측이 더욱 큰 힘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일측면과 맞닿아 밀착되는 지지 돌기(115d)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에는 지지통공(130)이 형성된다.
지지통공(130)은 후술하는 탄성 지지홀더(200)를 번호판 수용부(120)에 노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100)와 테두리부(110)의 경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통공(130)은 번호판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베이스(100)의 적어도 일부와, 테두리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통공(130)은 베이스(100)의 하부에서 베이스(100)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통공(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서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영역(131)과, 테두리부(110)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1)은 베이스(100)의 후방에서 탄성 지지홀더(200)를 테두리부(110)에 장착 시, 탄성 지지홀더(200)의 일부를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는 영역이다.
제2 영역(132)은 번호판의 가압에 의해 탄성 지지홀더(200)가 상하로 탄성 변형되는 영역으로써, 탄성 지지홀더(200)가 테두리부(110)에 장착되면 탄성 지지홀더(200)의 일부가 제2 영역(132)을 통해 번호판 수용부(120)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통공(130)은 상기 제1 영역(131)과 상기 제2 영역(132)에 의해 독특한 입체 공간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통공(130)의 입체 공간 구조는 탄성 지지홀더(200)를 번호판 수용부(120)에 노출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100)와 차량의 번호판(P) 사이의 접촉면을 감소시켜,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번호판의 유동이나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통공(130)은 후술하는 탄성 지지홀더(200)의 탄성력 제공부(220)가 차량의 번호판(P)의 장착 시 또는 외부 진동 발생에 의해 탄성 변형될 경우, 탄성력 제공부(220)의 원활한 탄성 변형을 위한 소정의 빈 공간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홀더(200)가 더욱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탄성 지지홀더(200)는 상기 제1 영역(131)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132)에서 상하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테두리부(110)의 타 측에는 커버 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돌기(116)는 베이스(100)의 지지통공(130)에 결합된 탄성 지지홀더(200)를 가려주는 역할과 더불어, 탄성 지지홀더(200)의 탄성 작용시,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이다.
즉, 탄성 지지홀더(200)는 번호판의 가압에 의해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서 상하로 탄성 작용이 발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탄성력 제공부(220)는 베이스(100)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탄성력 제공부(220)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커버 돌기(116)는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탄성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탄성 지지홀더(2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 돌기(116)는 상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고온, 냉기, 습기, 수분, 오염물질 등에 의해 탄성 지지홀더(200)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커버 돌기(1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측의 테두리부(110)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돌기(116)는 상기 타 측의 테두리부(110)에서 제1 영역(131)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편(115)과 상기 커버 돌기(116)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커버 돌기(1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P) 일측을 막도록 상기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이탈 방지편(115)들의 사이에서 상기 이탈 방지편(115)들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판(P) 타측을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 방지편(115)과 상기 커버 돌기(116)는 차량의 번호판(P)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교번적(alternative)인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차량의 양측을 막아 고정하게 된다. 교번적이라는 의미는, 베이스(100)의 일 측에서 타측으로 가는 방향(베이스의 일 단변부에서 타 단변부로 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탈 방지편(115)과 상기 커버 돌기(116)가 번갈아 형성됨을 의미하며, 마치 영문자 더블유(W)의 각 꼭지점마다 이탈 방지편(115) 또는 커버 돌기(116)가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P)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이탈 방지편(115)과 상기 커버 돌기(116)의 교번적 고정구조에 의해 양측에서 응력을 받는 부위가 고르게 분산되어 차량의 번호판(P)에 대한 진동과 떨림을 최소화하고, 베이스(10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차량의 번호판을 테두리부(1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제공되며, 번호판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을 탄성 지지하여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이탈 방지편(115)이 베이스(100)로부터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막아 차량의 번호판(P)이 번호판 수용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탄성 지지홀더(200)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일 측의 테두리부(110)에 밀착시켜 차량의 번호판(P)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베이스(100)에 장착 시, 후술하는 연결부(114)와 밀착 결합되어는 구조로 인해 양측 방향에서 응력이 가해지며, 동시에 번호판을 지지하는 구조로 인해 탄성력 제공부(220)등에는 상하 방향의 높은 응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높은 탄성계수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 지지홀더(200)는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높은 기계적 강도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A), 폴리카보네이트(PC), 모노 캐스트 나일론(Mono Cast Nylon) 및 나일론-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지들은 550 내지 800kgf/cm2 사이의 높은 인장강도와 20 내지 30kgf/cm2 내외의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소재들로서 탄성 지지홀더(200), 특히 탄성력 제공부(220) 등에 높은 기계적 강도와 탄성계수를 부여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베이스(100)와 별개로 독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에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와 일체가 아닌, 분리 가능한 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탄성 지지홀더(200)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100)와 다른 이종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100)는 보다 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고, 탄성 지지홀더(200)는 보다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4)에 결합된 탄성 지지홀더(200)의 일부는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이 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117a, 117b, 117c)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117a, 117b, 117c)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213a, 213b, 213c)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는 상기 제1결합파트(117a, 117b, 117c)와 상기 제2결합파트(213a, 213b, 213c)의 결합을 통해 베이스(100)의 테두리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더욱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탄성력 제공부(220)와, 번호판 받침부(230)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연결부(114)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탄성력 제공부(220)의 탄성 변형을 위한 공간인 리세스(211)를 형성한다.
리세스(211)는 몸체(210)의 중간에 형성되며, 몸체(210)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절개된 요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210)에는 상기 제2결합파트(213a, 213b, 231c)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제1결합파트(117a, 117b, 117c)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테두리부(110)에 상기 몸체(210)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0)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의 전방과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날개부(212)가 형성된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테두리부(110)에 결합되면, 날개부(212)는 연결부(114)와 마주하게 된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거리에 따라 날개부(212)는 연결부(114)에 밀착될 수 있다.이 경우 날개부(212)는 탄성력을 갖고 오므라지거나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연결부(114)에 억지 끼움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212)는 몸체(210)의 양단부에서 몸체(210)의 전방과 후방을 향해 연장된 탄성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210)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12) 사이의 거리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114) 사이의 거리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되며, 몸체(210)의 양단과 상기 날개부(212)가 수축하며 형성한 상기 두 날개부(212) 사이의 거리는 상기 두 연결부(114) 사이의 거리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몸체(210)의 양단과 상기 날개부(212)는 수축하면서 연결부(11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210)의 양단과 상기 날개부(212)가 다시 복원되면서 탄성 지지홀더(200)가 연결부(114)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212)는 상기 몸체(21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날개부(212)는 테두리부(110)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상기 테두리부(110)쪽과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단면상 T 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10)의 타측에 형성되는 날개부(212)는 상기 테두리부(110)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다시 외측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어 절곡 날개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절곡 날개부가 상기 연결부(114)의 이격공간(114a)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측의 날개부(212) 구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탄성 지지홀더(200)는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날개부(212)에 형성된 절곡 날개부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타측 연결부(114)의 이격공간(114a)에 먼저 편리하게 삽입한 후,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단면상 T자형 날개부(212)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일측 연결부(114)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더욱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220)는 몸체(210)에 연결되며 신축 작용을 하면서 번호판 받침부(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탄성력 제공부(220)는 안정적인 탄성 변형을 위해 앞서 언급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20)는 곡선 영역을 구비하며, 양 끝이 몸체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탄성력 제공부(220)가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11)의 바닥 중앙에서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한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20)의 좌우 리세스(211)에는 탄성력 제공부(220)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갭(gap)이 형성된다.
번호판 받침부(230)는 탄성력 제공부(22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된다.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력 제공부(220)가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탄성력 제공부(220)의는 탄성 변형에 의해 번호판 받침부(230)도 탄성력 제공부(220)를 따라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력 제공부(220)가 탄성 복원되면서 번호판 받침부(230)는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번호판(P)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120)에 수용되면, 상기 번호판 받침부(230)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22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30)의 최고점은 리세스(211)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30)의 최고점이 리세스(211)로부터 몸체(2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30)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220)가 차량의 번호판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30)가 반대쪽 테두리를 향해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번호판 받침부(230)와 탄성력 제공부(220)는 베이스(100)의 판면 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번호판을 지지하는 기능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이 동일 선상에서 제공되므로, 번호판에 의해 번호판 받침부(230)가 가압될 때 번호판 받침부(230)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번호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번호판을 지지하는 기능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이 서로 다른 선상에서 제공되는 경우보다,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30)의 상면은 평평한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30)의 상면이 평판으로 형성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30)는 차량의 번호판(P) 저면과 접촉 면적을 늘려 차량의 번호판(P)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30)의 평판 일 측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2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231)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2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231)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220)와 번호판 받침부(23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220)와 번호판 받침부(230)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220)와 번호판 받침부(230) 중 어느 하나를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20)와 번호판 받침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의 적절한 위치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230)와 탄성력 제공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2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10)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2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2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날개부(212)들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면서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번호판 받침부(230)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을 향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도 8a 및 도8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30)에 위치시킨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저부는 이탈 방지 돌기(231)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30)를 가압시킨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20)는 차량의 번호판(P)의 가압에 의해, 리세스(211)에서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제2 영역(132)에서 수축된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30)는 탄성력 제공부(220)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커버 돌기(116)에 막혀 있으므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 측으로 가이드 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번호판 받침부(230)와 탄성력 제공부(220)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30)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수축되어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력 제공부(220)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일부는 이탈 방지 돌기(231)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 주변에 형성되는 제1결합파트(117a, 117b, 117c)와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몸체(210)에 형성되는 제2결합파트(213a, 213b, 213c)는 다양한 결합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파트(117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213a)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결합시키는 결합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돌기 형태의 제1결합파트(117a)를 상기 결합홀 형태의 제2결합파트(213a)에 삽입시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파트(117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가 셀프 탭핑 인서트(Self Tapping Insert)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213b)는 상기 셀프 탭핑 인서트 구조의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결합시키는 결합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프 탭핑 인서트 구조의 결합 돌기로 이루어진 제1결합파트(117a)를 상기 결합홀 형태의 제2결합파트(213a)에 부드럽게 삽입시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파트(117c)는 중공 형태의 결합홈(117ca)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213c)는 상기 결합홈(117ca)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파트(117c)의 상기 결합홈(117ca)에 상기 테두리부(110)를 향해 돌출된 제2결합파트(213c)를 삽입시켜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몸체(210)와, 탄성력 제공부(240)와, 번호판 받침부(250)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240)는 몸체(210)에 연결되며 신축 작용을 하면서 번호판 받침부(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탄성력 제공부(240)는 몸체(21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리세스(211)를 가로 질러 형성되며, 마루 영역(241)과 골 영역(242)을 구비하며 양 끝에서 몸체(210)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루 영역(241)은 리세스에서 몸체(21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골 영역(252)은 마루 영역(241)과 번호판 받침부(250) 사이에 형성되며, 번호판 받침부(2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골 영역(242)은 리세스(211)에서 마루 영역(241)과 번호판 받침부(250) 사이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진 'U'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240)는 탄성 변형을 위해 앞서 설명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50)는 탄성력 제공부(24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50)의 최고점은 리세스(211)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50)의 최고점이 리세스(211)로부터 몸체(2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50)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24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의 상면은 평판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P)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의 평판 일 측에는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25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251)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2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251)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240)와 번호판 받침부(25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240)와 번호판 받침부(250)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240)와 번호판 받침부(250) 중 어느 하나를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40)와 번호판 받침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250)와 탄성력 제공부(24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2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10)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번호판 받침부(250)와 탄성력 제공부(240)는 리세스(211)에서 몸체(2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형성한 후, 몸체(210)의 최외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2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2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복원된 날개부(212)는 원위치 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탄성 지지홀더(200)는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의 제1결합파트(117c)와 몸체(210)에 형성된 제2결합파트(213c)를 통해서도 결합상태가 추가 구현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결합상태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들과 연결부(114)들 사이의 밀착 구조 및 상기 제1결합파트(117c)와 제2결합파트(213c)의 결합 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50)에 위치시킨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저부는 이탈 방지 돌기(251)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50)를 가압시킨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는 리세스(211)의 바닥을 향해 수축이 되며, 번호판 받침부(250)의 하부는 리세스(211)의 양측으로 벌어진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40)의 골 영역(242)은 리세스(211)의 양측으로 밀려나고, 마루 영역(241)은 리세스(211)를 향해 휘어지면서 탄성력 제공부(240)의 수축 작용이 발생한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는 탄성력 제공부(240)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커버 돌기(116)에 막혀 있으므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 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번호판 받침부(250)와 탄성력 제공부(240)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50)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하 측으로 수축되어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력 제공부(240) 및 번호판 받침부(250)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일부는 이탈 방지 돌기(251)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몸체(210)와 탄성력 제공부(260)와, 번호판 받침부(270)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260)는 폐곡선의 한 지점이 몸체(210)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제3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각각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된 타원형인 것을 예로 한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60)는 몸체(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리세스(21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70)는 탄성력 제공부(26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70)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70)의 최고점은 리세스(2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70)의 최고점이 리세스(211)로부터 몸체(2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70)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26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70)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70)의 평판 일 측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27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271)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2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271)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260)와 번호판 받침부(27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260)와 번호판 받침부(270)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260)와 번호판 받침부(270) 중 어느 하나를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60)와 번호판 받침부(27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270)와 탄성력 제공부(26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2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60)는 몸체(210)의 일면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60)의 두께만큼 몸체(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번호판 받침부(270)는 탄성력 제공부(260)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60)와 동일하게 몸체(2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 제공부(260)와 번호판 받침부(270)의 두께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다르게, 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몸체(210)의 일면에서부터 독립된 두께를 형성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2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2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복원된 날개부(212)는 원위치 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탄성 지지홀더(200)는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의 제1결합파트(117b)와 몸체(210)에 형성된 제2결합파트(213b)를 통해서도 결합상태가 추가 구현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결합상태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들과 연결부(114)들 사이의 밀착 구조 및 상기 제1결합파트(117b)와 제2결합파트(213b)의 결합 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70)에 위치시킨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저부는 이탈 방지 돌기(271)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70)를 가압시킨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60)는 차량의 번호판(P)에 의해 리세스(211)를 향해 휘어지고, 번호판 받침부(270)는 리세스(211)를 향해 하강된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70)는 탄성력 제공부(260)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커버 돌기(116)에 막혀 있으므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 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번호판 받침부(270)와, 탄성력 제공부(260)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70)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하 측으로 수축되어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력 제공부(260) 및 번호판 받침부(270)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일부는 이탈 방지 돌기(271)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4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몸체(210)와 탄성력 제공부(280)와, 번호판 받침부(281)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280)는 리세스(211)의 일 측과 타 측을 향해 다단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즉, 탄성력 제공부(280)는 리세스(211)의 일 측에 형성된 후, 상기 일 측으로부터 리세스(211)의 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었다가, 상기 일 측을 향해 재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력 제공부(280)는 리세스(211)에서 다단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리세스(211)의 바닥을 기준으로 상 측으로 신축공간(280a)을 형성하면서 신축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번호판 받침부(281)는 탄성력 제공부(28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1)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81)는 탄성력 제공부(280)의 상부에 형성되며, 번호판 받침부(281)의 최고점은 리세스(2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81)의 최고점이 리세스(211)로부터 몸체(2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81)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28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1)와 탄성력 제공부(280) 사이에는 번호판 받침부(281)의 탄성 작용을 위한 탄성공간(28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81)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1)의 평판 일 측에는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281b)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281b)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2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281b)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280)와 번호판 받침부(281)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280)와 번호판 받침부(281)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280)와 번호판 받침부(281) 중 어느 하나를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80)와 번호판 받침부(28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281)와 탄성력 제공부(28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2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2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2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복원된 날개부(212)는 원위치 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탄성 지지홀더(200)는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의 제1결합파트(117a)와 몸체(210)에 형성된 제2결합파트(213a)를 통해서도 결합상태가 추가 구현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결합상태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들과 연결부(114)들 사이의 밀착 구조 및 상기 제1결합파트(117a)와 제2결합파트(213b)의 결합 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50)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81)에 위치시킨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저부는 이탈 방지 돌기(281b)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81)를 가압시킨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80)는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리세스(211)의 바닥을 향해 하강하면서 상기 신축공간(280a)의 간격을 상하 방향으로 좁힌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1)는 탄성력 제공부(280)가 상기와 같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커버 돌기(116)에 막혀 있으므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 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번호판 받침부(281)와, 탄성력 제공부(280)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81)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하 측으로 수축되어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력 제공부(280) 및 번호판 받침부(281)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일부는 이탈 방지 돌기(271)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5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몸체(210)와 탄성력 제공부(285)와, 번호판 받침부(286)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285)는 리세스(211)에서 곡선 영역을 구비하며, 양 끝은 몸체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탄성력 제공부(285)는 리세스(211)의 바닥에서 상 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반원 형태인 것을 예로 한다.
번호판 받침부(286)는 탄성력 제공부(285)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6)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86)는 탄성력 제공부(285)의 상부에 형성되며, 번호판 받침부(286)의 최고점은 리세스(2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86)의 최고점이 리세스(211)로부터 몸체(2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86)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285)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6)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86)의 평판 일 측에는 필요에 따라,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2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제작 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285)와 번호판 받침부(286)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285)와 번호판 받침부(286)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285)와 번호판 받침부(286) 중 어느 하나를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85)와 번호판 받침부(286)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286)의 두께는 몸체(2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번호판 받침부(286)는 탄성력 제공부(285)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2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2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복원된 날개부(212)는 원위치 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탄성 지지홀더(200)는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의 내측벽(111)과 외측벽(112)에 각각 형성된 걸림 돌기(111a, 112a)를 통해서도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결합상태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들과 연결부(114)들 사이의 밀착 구조 및 상기 몸체(210)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후크(111a, 112a)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 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6)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86)에 위치시킨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저부는 이탈 방지 돌기(281b)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86)를 가압시킨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285)는 차량의 번호판(P)의 가압에 의해 리세스(211)의 바닥을 향해 하강하면서 리세스(211)의 양 측을 향해 볼록하게 탄성 변형된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86)는 탄성력 제공부(285)가 상기와 같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커버 돌기(116)에 막혀 있으므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 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된 번호판 받침부(286)와, 탄성력 제공부(285)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86)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리세스(211)의 양 측으로 볼록하게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력 제공부(285)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이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6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200)는 몸체(210)와 탄성력 제공부(290)와, 번호판 받침부(291)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290)는 리세스(211)의 양 측에서 서로를 향해 라운드진 한 쌍의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290)는 리세스(211)의 바닥 양 측에서 상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중간 지점에서부터 서로를 향해 라운드진 한 쌍의 호(arc) 형태인 것을 예로 한다.
번호판 받침부(291)는 탄성력 제공부(29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91)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291)는 탄성력 제공부(290)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며, 탄성력 제공부(290)의 라운드진 방향 반대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291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291)의 최고점은 리세스(2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91)의 최고점이 리세스(211)로부터 몸체(2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291)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29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91)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평판은 경사면(291a)과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291)의 평판 일 측에는 필요에 따라,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2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제작 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290)와 번호판 받침부(291)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21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2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290)와 번호판 받침부(291)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290)와 번호판 받침부(291) 중 어느 하나를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290)와 번호판 받침부(29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291)의 두께는 몸체(2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번호판 받침부(291)는 탄성력 제공부(290)로부터 몸체(210)의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2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2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2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복원된 날개부(212)는 원위치 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탄성 지지홀더(200)는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의 내측벽(111)과 외측벽(112)에 각각 형성된 후크(111a, 112a)를 통해서도 결합상태가 추가 구현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결합상태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들과 연결부(114)들 사이의 밀착 구조 및 상기 몸체(210)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후크(111a, 112a)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 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91)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91)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91)를 가압시킨다.
이때, 한 쌍의 탄성력 제공부(290)는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서로를 향해 휘어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번호판 받침부(291)는 서로를 향해 근접된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291)는 탄성력 제공부(290)가 상기와 같이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커버 돌기(116)에 막혀 있으므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 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된 번호판 받침부(291)와, 탄성력 제공부(290)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291)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서로를 향해 휘어져 있던 한 쌍의 탄성력 제공부(290)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이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7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300)는 한 쌍의 몸체(310)와, 탄성력 제공부(320)와, 번호판 받침부(321)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320)는 양단이 한 쌍의 몸체(310)에 연결되어 신축 작용을 하면서 번호판 받침부(3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탄성력 제공부(320)는 길게 연장된 하나의 로드의 중심이 둔각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 구조이다. 또한, 이러한 로드의 절곡된 부위가 번호판 받침부(321)로 기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300)는 제작이 용이하며 단순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몸체(310)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3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부(3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부(311)에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320)의 단부가 단순 억지 끼움 구조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접착제나 접착 필름 등의 추가 결합력 확보를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 고정상태가 확보될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320)는 안정적인 탄성 변형을 위해 앞서 언급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321)는 탄성력 제공부(24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321)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321)의 최고점은 상기 한 쌍의 몸체(310)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321)의 최고점이 상기 한 쌍의 몸체(310)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321)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32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몸체(310)는 날개부(312)에 상기 베이스(100)의 후방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 구조에 의해 상기 날개부(312)는 상기 연결부(114)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테두리부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탄성 지지홀더(200)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312)를 오므려 한 쌍의 날개부(312)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킨 후, 베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므리고 있던 날개부(312)를 놓아 수축되어 있던 날개부(312)를 복원시킨다. 이때, 복원된 날개부(312)는 원위치 되면서 연결부(114)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탄성 지지홀더(200)는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의 내측벽(111)과 외측벽(112)에 각각 형성된 후크(111a, 112a)를 통해서도 결합상태가 추가 구현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홀더(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결합상태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312)들과 연결부(114)들 사이의 밀착 구조 및 상기 몸체(210)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후크(111a, 112a)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 구조에 의해 이중으로 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321)는 지지통공(130)의 제2 영역(1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통공(130)의 제1 영역(131)을 통해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베이스(100)에 탄성 지지홀더(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탄성 지지홀더(2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을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 차량의 번호판(P) 저부를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321)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을 하측으로 눌러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321)를 가압시킨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320)는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양측이 휘어지면서 탄성 변형된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321)는 탄성력 제공부(320)가 상기와 같이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한쌍의 몸체(3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하측으로도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된 번호판 받침부(321)와, 탄성력 제공부(320)는 번호판 수용부(120)에 차량의 번호판(P)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홀더(200)와 이탈 방지편(115) 사이의 상하 간격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이탈 방지편(115)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편(115)에 일부 간섭되더라도 이탈 방지편(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탈 방지편(115)을 유연하게 지나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차량의 번호판(P) 상부를 이탈 방지편(115)의 배면과 번호판 수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탄성 지지홀더(200)의 번호판 받침부(321)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가압에 의해 서로를 향해 휘어져 있던 한 쌍의 탄성력 제공부(320)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차량의 번호판(P) 상부는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차량의 번호판(P) 상부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편(115)에 의해 차폐된다.
이로써, 차량의 번호판(P)은 베이스(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400)는 몸체(410)와, 탄성력 제공부(440)와, 번호판 받침부(450)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440)는 몸체(410)에 연결되며 신축 작용을 하면서 번호판 받침부(4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탄성력 제공부(440)는 몸체(31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리세스(411)를 가로 질러 형성되며, 마루 영역(441)과 골 영역(442)을 구비하며 양 끝에서 몸체(410)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루 영역(441)은 리세스에서 몸체(41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골 영역(442)은 마루 영역(441)과 번호판 받침부(450) 사이에 형성되며, 번호판 받침부(4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골 영역(442)은 리세스(411)에서 마루 영역(441)과 번호판 받침부(450) 사이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진 'U'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440)는 탄성 변형을 위해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50)는 탄성력 제공부(34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50)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450)의 최고점은 리세스(411)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450)의 최고점이 리세스(411)로부터 몸체(4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450)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44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350)는 평편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50)의 상면은 평판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P)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50)의 평판 일 측에는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45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451)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4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451)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력 제공부(440)와 번호판 받침부(45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410)로부터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4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440)와 번호판 받침부(450)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440)와 번호판 받침부(450) 중 어느 하나를 몸체(4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40)와 번호판 받침부(45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450)와 탄성력 제공부(44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3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410)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번호판 받침부(450)와 탄성력 제공부(440)는 리세스(411)에서 몸체(4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형성한 후, 몸체(410)의 최외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력 제공부(440)는 양단부로부터 몸체(4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4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443)는 탄성력 제공부(440)에 집중되는 응력을 몸체(410)에 좀더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탄성력 제공부(440) 탄성 제공 성능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443)는 몸체(410)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하단 리브(413)와 하단이 연결되어 몸체(410)의 전체적인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4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12)가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후크(412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310)의 전방 측 탄성편(412a)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410)의 양측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412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측의 날개부(412) 구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탄성 지지홀더(400)는 상기 타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결합 돌기(412c)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타측 연결부(114)에 먼저 편리하게 삽입한 후, 상기 일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후크(412b)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일측 연결부(114)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지지홀더(4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더욱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400)는 몸체(410)와 탄성력 제공부(460)와, 번호판 받침부(470)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460)는 폐곡선의 한 지점이 몸체(410)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제9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각각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된 타원형인 것을 예로 한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460)는 몸체(410)의 일면에 형성되어 리세스(41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70)는 탄성력 제공부(46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70)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470)의 최고점은 리세스(4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470)의 최고점이 리세스(411)로부터 몸체(4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470)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46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70)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70)의 평판 일 측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47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471)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4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471)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460)와 번호판 받침부(470)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410)로부터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4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460)와 번호판 받침부(470)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460)와 번호판 받침부(470) 중 어느 하나를 몸체(4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60)와 번호판 받침부(47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470)와 탄성력 제공부(46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4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460)는 몸체(410)의 일면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60)의 두께만큼 몸체(4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번호판 받침부(470)는 탄성력 제공부(460)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60)와 동일하게 몸체(4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410)는 상기 리세스(411)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 리브(4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416)는 탄성력 제공부(460)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력 제공부(460)의 변형시 탄성력 제공부(460)의 양측을 지지하여 탄성력 제공부(460)와 몸체(410)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416)는 몸체(410)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하단 리브(413)와 하단이 연결되어 몸체(410)의 전체적인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9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4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12)가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후크(412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410)의 전방 측 탄성편(412a)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410)의 양측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412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측의 날개부(412) 구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탄성 지지홀더(400)는 상기 타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결합 돌기(412c)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타측 연결부(114)에 먼저 편리하게 삽입한 후, 상기 일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후크(412b)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일측 연결부(114)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지지홀더(4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더욱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9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400)는 몸체(410)와 탄성력 제공부(480)와, 번호판 받침부(481)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480)는 폐곡선의 한 지점이 몸체(410)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제10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각각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된 반원형인 것을 예로 한다. 제10실시예에 따른 탄성력 제공부(480)는 양측의 폐곡선 영역이 전체적으로 신선로 형상의 반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력 제공부(480)는 몸체(410)의 일면에 형성되어 리세스(41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81)는 탄성력 제공부(48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81)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481)의 최고점은 리세스(4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481)의 최고점이 리세스(411)로부터 몸체(4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481)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48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81)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81)의 평판 일 측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48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481a)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4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481a)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480)와 번호판 받침부(481)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410)로부터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4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480)와 번호판 받침부(481)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480)와 번호판 받침부(481) 중 어느 하나를 몸체(4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80)와 번호판 받침부(48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481)와 탄성력 제공부(48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4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480)는 몸체(410)의 일면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80)의 두께만큼 몸체(4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번호판 받침부(481)는 탄성력 제공부(480)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80)와 동일하게 몸체(4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410)는 상기 리세스(411)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 리브(4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416)는 탄성력 제공부(480)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력 제공부(480)의 변형시 탄성력 제공부(480)의 양측을 지지하여 탄성력 제공부(480)와 몸체(410)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416)는 몸체(410)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하단 리브(413)와 하단이 연결되어 몸체(410)의 전체적인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0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4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12)가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후크(412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410)의 전방 측 탄성편(412a)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410)의 양측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412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측의 날개부(412) 구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탄성 지지홀더(400)는 상기 타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결합 돌기(412c)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타측 연결부(114)에 먼저 편리하게 삽입한 후, 상기 일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후크(412b)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일측 연결부(114)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지지홀더(4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더욱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11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지지홀더(400)는 몸체(410)와 탄성력 제공부(490)와, 번호판 받침부(491)를 포함한다.
탄성력 제공부(49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름모 하단의 절곡 부위가 몸체(410)에 연결되고, 마름모 상단의 절곡 부위에는 번호판 받침부(491)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490)는 몸체(410)의 일면에 형성되어 리세스(411)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91)는 탄성력 제공부(490)에 연결되어 지지통공(130)을 통해 노출되며, 베이스(100)에 차량의 번호판(P) 장착시,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베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게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91)는 차량의 번호판(P) 일 측이 이탈 방지편(115)을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면서 차량의 번호판(P) 타 측을 이탈 방지편(115) 측의 테두리부(110)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번호판 받침부(491)의 최고점은 리세스(411)의 상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호판 받침부(491)의 최고점이 리세스(411)로부터 몸체(410)의 최고점 보다 상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번호판 받침부(491)와 베이스(100) 상부의 테두리부(110)간 간격이 좁혀져 탄성력 제공부(490)가 차량의 번호판(P)을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번호판 받침부(491)의 상면은 차량의 번호판(P) 저부와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평평한 평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받침부(491)의 평판 일 측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기(49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491a)는 차량의 번호판(P) 하부가 탄성 지지홀더(4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량의 번호판(P) 하부 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P) 하부를 막아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탈 방지 돌기(491a)는 차량의 번호판(P)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490)와 번호판 받침부(491a)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410)로부터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홀더(40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특성상, 탄성력 제공부(490)와 번호판 받침부(491a)의 위치도 베이스(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바, 탄성력 제공부(490)와 번호판 받침부(491a) 중 어느 하나를 몸체(4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90)와 번호판 받침부(491a)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통공(130)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의 두께 방향에서, 번호판 받침부(491a)와 탄성력 제공부(49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는 몸체(41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력 제공부(490)는 몸체(410)의 일면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90)의 두께만큼 몸체(4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번호판 받침부(491)는 탄성력 제공부(490)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력 제공부(490)와 동일하게 몸체(4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410)는 상기 리세스(411)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몸체(4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 리브(4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416)는 탄성력 제공부(490)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력 제공부(490)의 변형시 탄성력 제공부(490)의 양측을 지지하여 탄성력 제공부(490)와 몸체(410)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416)는 몸체(410)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하단 리브(413)와 하단이 연결되어 몸체(410)의 전체적인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1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홀더(4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12)가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후크(412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탄성편(412a)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410)의 전방 측 탄성편(412a)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410)의 양측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412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측의 날개부(412) 구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탄성 지지홀더(400)는 상기 타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결합 돌기(412c)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타측 연결부(114)에 먼저 편리하게 삽입한 후, 상기 일측 날개부(412)에 형성된 후크(412b)를 상기 테두리부(110)의 일측 연결부(114)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지지홀더(400)를 상기 테두리부(110)에 더욱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100a : 지그홀
110 : 테두리부 111 : 내측벽
112 : 외측벽 113 : 테두리면
114 : 연결부 114a : 이격 공간
115 : 이탈방지편 116 : 커버 돌기
120 : 번호판 수용부 121 : 유격 보상 부재
130 : 지지통공 131 : 제1 영역
132 : 제2 영역 200, 300 : 탄성 지지홀더
210, 310 : 몸체 211 : 리세스
212, 312 : 날개부
220,240,260,280,285,290,320 : 탄성력 제공부
230,250,270,281,286,291,321 : 번호판 받침부
231,251,271,281b : 이탈 방지 돌기 241 : 마루 영역
242 : 골 영역 280a : 신축공간
281a : 탄성공간 291a : 경사면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차량의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일 측의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을 막아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지지통공; 및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노출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파트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력 제공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장착 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면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복원되며,
    상기 제1결합파트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홀로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공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공은,
    상기 베이스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 시,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가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면,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 돌출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는 커버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돌기는,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지지통공의 제1 영역을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접촉되며,
    상기 번호판의 타 측과 접촉되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번호판 받침부로 정의되고,
    상기 번호판 받침부의 최고 돌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일 측에는 상기 번호판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번호판의 타 측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돌기는 차량의 번호판 일측을 막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이탈 방지편들의 사이에서 상기 이탈방지편들과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판 타측을 막도록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리세스에 위치하며, 고리형의 곡선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곡선 영역의 하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1형태;
    상기 리세스를 가로지며 골 영역과 마루 영역을 구비하며, 양 끝에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2형태;
    폐곡선의 한지점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3형태;
    상기 리세스의 일 측과 타 측을 향해 다단 절곡된 제4형태;
    곡선 영역을 구비하며, 양 끝에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제5형태; 및
    상기 리세스의 양측에서 서로를 향해 라운드진 한 쌍의 호(arc) 형태로 형성되는 제6형태;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형태를 포함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셀프 탭핑 인서트(Self Tapping Insert)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0.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차량의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일 측의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을 막아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지지통공; 및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노출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파트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력 제공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장착 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면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복원되며,
    상기 제1결합파트는 중공 형태의 결합홈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파트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지지홀더를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를 향해 돌출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1.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차량의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일 측의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을 막아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지지통공; 및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노출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파트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력 제공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장착 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면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복원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벽을 마주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보다 큰 둘레로 형성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파트는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가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되면, 상기 몸체가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사이에서 상기 걸림 돌기에 걸려 상기 제2결합파트의 역할을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정도 혹은 상기 외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정도가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3.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차량의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일 측의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차량의 번호판 일 측을 막아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지지통공; 및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노출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또는 상기 테두리부의 후방 주변에는 상기 탄성 지지홀더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홀더에는 상기 제1결합파트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파트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력 제공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공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장착 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의 일 측이 상기 이탈 방지편을 지나가면 상기 탄성력 제공부가 탄성 복원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는 번호판의 타 측벽을 마주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보다 큰 둘레로 형성되는 외측벽;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연결되는 테두리면;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홀더는,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몸체의 전방과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와 마주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테두리면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230103183A 2023-08-07 2023-08-07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62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183A KR102627080B1 (ko) 2023-08-07 2023-08-07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183A KR102627080B1 (ko) 2023-08-07 2023-08-07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080B1 true KR102627080B1 (ko) 2024-01-18

Family

ID=8971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183A KR102627080B1 (ko) 2023-08-07 2023-08-07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20029326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458792B1 (ko) 2021-01-14 2022-10-26 (주)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520003B1 (ko) * 2022-11-09 2023-04-11 조태환 자체 탄성 결속구조를 갖는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20029326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458792B1 (ko) 2021-01-14 2022-10-26 (주)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520003B1 (ko) * 2022-11-09 2023-04-11 조태환 자체 탄성 결속구조를 갖는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13A (en) Clip
JP2537083B2 (ja) 車用バンパ―
US6241317B1 (en) Modular chair construction
EP2836399B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US6523974B2 (en) Lamp cover
KR20070091569A (ko) 고정구
EP0627564A2 (en) Panel locator and attachement apparatus
KR102213118B1 (ko) 차선분리대의 지주와 횡대의 체결 보강장치
KR102627080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US5538210A (en) Fastener for fixing longitudinal members
US6247709B1 (en) Device for retaining a boot on a gliding board
KR20010040347A (ko)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KR102627081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US5401073A (en) Sun visor for vehicles with mirror attachment
US5664877A (en) Decorative lamp string assembly
KR101880208B1 (ko) 데크 조립체와 이의 조립방법
JPH0870947A (ja) 家具用構造板
CN209760713U (zh) 一种踢脚线
JP2008154632A (ja) 商品関連具固定具
JP3581999B2 (ja) ガラスの固定構造
KR20160102631A (ko) 루프랙 체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루프랙 조립체
KR200419956Y1 (ko) 판재 고정용 클립홀더
KR102200610B1 (ko) 번호판의 테두리 보호구조를 갖도록 체결되는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CN210103175U (zh) 卡销及具有卡销的组合式绕线盘
KR102130350B1 (ko) 벤딩 성형용 멘드렐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