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77B1 - 클립형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클립형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77B1
KR102627077B1 KR1020210100497A KR20210100497A KR102627077B1 KR 102627077 B1 KR102627077 B1 KR 102627077B1 KR 1020210100497 A KR1020210100497 A KR 1020210100497A KR 20210100497 A KR20210100497 A KR 20210100497A KR 102627077 B1 KR102627077 B1 KR 10262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tainer
suction
modu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676A (ko
Inventor
강상훈
Original Assignee
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훈 filed Critical 강상훈
Priority to KR102021010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7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the nozzles co-operating with a check valve in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or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형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립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펌프부; 상기 클립본체부에 마련되며, 용기 또는 봉투와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노즐부; 상기 클립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펌프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펌프부와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흡입부; 및 상기 클립본체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본체부와 상기 클립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부재와 축부재를 포함하는 힌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본체부는, 상기 흡입노즐부와 마주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클립본체부에 가해질 때 상기 클립본체부와 접촉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고정본체부와 상기 제2 영역과 마주하는 클립본체부 사이에 상기 클립본체부의 회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클립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스프링에 의해 흡입구가 밀폐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진공포장기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더라도 흡입노즐부와 용기 또는 봉투의 공기배출밸브의 밀폐가 유지되어 용이하게 진공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에 의해 봉투 및 용기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까지만 감압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립형 진공포장기{CLIP TYPE VACUUM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클립형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식품이나 의류 등이 공기 중의 미생물, 산소, 습기 등에 노출되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들이 담긴 진공팩을 진공포장하는 기기이다.
기존의 진공포장기는 대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휴대가 어려웠기에 휴대용 진공포장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기존 휴대용 진공포장기는 테이블 위에 설치되어 봉투를 진공포장기 내부에 삽입하고 진공포장기를 눌러 봉투를 진공포장하거나, 막대형으로 마련되어 테이블 위에 놓인 봉투에 막대형 진공포장기를 압착함으로써 봉투를 진공포장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진공포장기는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힘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진공포장이 용이하게 가능한 진공포장기가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음식물은 봉투보다는 용기에 주로 보관한다는 점에서 봉투 뿐만 아니라 용기의 진공포장이 가능한 진공포장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계속하여 장치를 누르지 않더라고 봉투 및 용기 내의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진공포장을 가능하게 하는 클립형 진공포장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립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펌프부; 상기 클립본체부에 마련되며, 용기 또는 봉투와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노즐부; 상기 클립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펌프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펌프부와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흡입부; 및 상기 클립본체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본체부와 상기 클립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부재와 축부재를 포함하는 힌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본체부는, 상기 흡입노즐부와 마주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클립본체부에 가해질 때 상기 클립본체부와 접촉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고정본체부와 상기 제2 영역과 마주하는 클립본체부 사이에 상기 클립본체부의 회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설치되는, 클립형 진공포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흡입노즐부는, 상기 클립본체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용기흡입모듈과, 상기 클립본체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봉투와 결합되는 봉투흡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부는, 상기 용기흡입모듈과 상기 봉투흡입모듈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는 고무밸브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펌프부의 소비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소비전류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모터펌프부와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클립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스프링에 의해 흡입구가 밀폐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진공포장기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더라도 흡입노즐부와 용기 또는 봉투의 공기배출밸브의 밀폐가 유지되어 용이하게 진공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에 의해 봉투 및 용기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까지만 감압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전기적 결합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봉투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용기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전기적 결합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봉투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용기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전기적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는 고정본체부(110)와 클립본체부(120)와 힌지모듈(130)과 모터펌프부(140)와 흡입노즐부(150)와 공기흡입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고정본체부(110)는 내부에 후술하는 모터펌프부(140)와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클립본체부(120)와 힌지모듈(13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본체부(110)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후술하는 모터펌프부(140)와 제어부(170)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클립본체부(120)는 상술한 고정본체부(110)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힌지모듈(1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클립본체부(120)에는 후술하는 흡입노즐부(150)와 공기흡입부(160)가 마련된다.
여기서 클립본체부(120)는 도 1(a)와 같은 형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면 도 1(b)와 같은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도 1(a)의 형태에서는 클립본체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흡입노즐부(150) 중 후술하는 봉투흡입모듈(1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110)에 닿음으로써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클립본체부(120)의 타측에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가 도 1(b)의 형태가 되는 경우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은 외부와 연통이 된다.
또한, 클립본체부(12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과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을 연통시키는 관통홀(h)이 마련된다. 봉투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h)은 고무밸브(v)에 의해 차폐된다. 여기서, 고무밸브(v)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는 경우에는 고무밸브(v)를 제거하여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과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이 연통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힌지모듈(130)은 상술한 클립본체부(120)가 회동가능하도록 상술한 고정본체부(110)와 상술한 클립본체부(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클립본체부(120)의 상술한 일측과 상술한 타측 사이에 마련된다.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에 비틀림하중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이 없는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봉투흡입모듈(1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110)에 닿아 밀폐된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이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모듈(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축부재(131)와 상술한 축부재(131)에 설치되며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에 비틀림하중을 가하는 스프링부재(132)로 마련된다.
여기서 스프링부재(132)는 상술한 축부재(13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장력이 다른 스프링부재(132)를 설치하여 도 1(a)의 형상에서부터 도 1(b)의 형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외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모터펌프부(140)는 상술한 고정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공기흡입부(160)에 의해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 또는 봉투흡입공간(s2)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 또는 봉투흡입공간(s2) 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모터펌프부(140)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모듈(141)과 모터모듈(141)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모듈(142)이 포함된다. 여기서 배터리모듈(142)은 알카라인, 망간 건전지, 니켈-수소 충전지, 니켈-카드뮴 충전지, 버튼셀,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모듈(142)은 상술한 모터모듈(141)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어부(170)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142) 상부에는 배터리모듈(142)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충격방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노즐부(150)는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봉투 또는 용기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 또는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부(150)는 클립본체부(12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며 용기 내 기체를 배출시키도록 용기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용기흡입모듈(151)과 클립본체부(120)의 일측 하부에 마련되며 봉투 내 기체를 배출시키도록 봉투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봉투흡입모듈(1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흡입모듈(151)에 감압을 시키고자 하는 용기가 결합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용기와 용기흡입모듈(151)과 클립본체부(120)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이 형성된다. 또한, 봉투흡입모듈(152)에 갑압을 시키고자 하는 봉투가 결합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봉투와 봉투흡입모듈(152)과 클립본체부(120)에 의해 봉투흡입공간(s2)이 형성된다.
또한, 흡입노즐부(150)에는 후술하는 용기 또는 밸브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 내에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마련될 수 있다.
흡입노즐부(150)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흡입노즐부(150)가 봉투 또는 용기와 결합될 경우 접촉면이 압착됨으로써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봉투흡입모듈(152)에 봉투가 결합되어 봉투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경우 상술한 고무밸브(v)가 상술한 관통홀(h)을 차폐시킴으로써 상술한 관통홀(h)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용기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고자 상술한 용기흡입모듈(151)에 용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술한 용기와 상술한 용기흡입모듈(151)과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이 형성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공기흡입부(160)가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봉투흡입모듈(152)에만 형성되는 경우, 용기 내의 압력을 감압시킬 때는 상술한 고무밸브(v)를 상술한 관통홀(h)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가 사용된다.
즉, 사용자의 외력이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타측에 가해지지 않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의 형태도 도 1(a)의 형태가 되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h)에 의해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 연통되게 되고,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상술한 용기와 용기흡입모듈(151)과 클립본체부(120)와 봉투흡입모듈(152)과 고정본체부(11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공기흡입부(160)는 용기흡입모듈(151)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흡입모듈(151)과 봉투흡입모듈(152)에 공기흡입부(160)가 모두 마련되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h)과 상술한 고무밸브(v)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흡입부(160)는 상기 클립본체부(120)에 마련되는 구성으로, 상기 모터펌프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펌프부(140)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공기흡입부(160)는 상술한 용기흡입모듈(151)과 상술한 봉투흡입모듈(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흡입부(160)가 상술한 용기흡입모듈(151)과 상술한 봉투흡입모듈(152)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는 경우 공기흡입부(160)가 설치되지 않은 쪽에서 압력을 가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통홀(h)을 통해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부(160)가 상술한 용기흡입모듈(151)에도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용기흡입모듈(151)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흡입공간(s1)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커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의 모터모듈(141)을 작동시키고, 기설정된 압력과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의 모터모듈(1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171)과 상술한 배터리모듈(142)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인 충전모듈(17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모듈(171)은 ON/OFF의 선택이 가능한 스위치나 버튼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모듈(172)은 무선충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소비전류를 측정하여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을 유추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술한 모터모듈(141)이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을 감압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소비전류가 사용되나,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소비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모터모듈(141)의 소비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소비전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스위치모듈(171)을 OFF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170)는 모터모듈(141)의 소비전류가 30% 내지 40% 감소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통해 소비전류의 감소를 감지함으로써 스위치모듈(171)을 OFF 상태로 전환하여 모터모듈(1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술한 배터리모듈(142)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상술한 스위치모듈(171)의 ON/OFF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위치모듈(171)에 의해 OFF 상태가 되는 경우 상술한 배터리모듈(142)은 상술한 모터모듈(141)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지 않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가 도 1(a)의 상태이더라도 상술한 모터모듈(141)이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작동에 대해 봉투감압 및 용기감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봉투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용기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1) 봉투감압
i)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타측에 외력을 가하여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봉투흡입모듈(1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110)에서 떨어져 도 1(b) 및 도 6(a)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ii)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하고자 하는 봉투를 상술한 봉투흡입모듈(152)과 상술한 고정본체부(110) 사이에 인입함으로써 봉투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자는 외력을 제거하여 상술한 봉투흡입모듈(152)이 상술한 봉투에 닿아 상술한 고정본체부(110)를 압착하도록 하여, 봉투흡입공간(s2)이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흡입노즐부(150)에 마련되는 투명창을 통해 봉투흡입공간(s2)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iii) 사용자는 스위치모듈(171)을 ON 상태로 변환하여 모터모듈(141)이 작동하도록 한다.
iv)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흡입부(160)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과 봉투 간의 압력차이에 의해 봉투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개방된다.
v) 개방된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봉투 내의 기체가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기체는 상술한 공기흡입부(16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봉투흡입공간(s2)과 봉투 내의 압력은 기설정된 압력까지 감압된다. 이때, 모터모듈(141)은 봉투 내의 액체를 공기흡입부(160)를 통해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vi) 상술한 제어부(170)에 의해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여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소비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어부(170)에 의해 상술한 스위치모듈(171)이 OFF 상태가 되고,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작동이 중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봉투흡입공간(s2)과 봉투 내의 압력이 동일해지면서 봉투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차폐된다.
vii)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타측에 다시 외력을 가하여 상술한 클립본체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봉투흡입모듈(1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110)에서 떨어져 도 1(b) 및 도 6(d)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봉투를 봉투흡입공간(s2)으로부터 제거한다.
viii) 사용자는 외력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가 도 1(a)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마무리한다.
2) 용기감압
i) 용기흡입모듈(151)을 감압하고자 하는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에 삽입함으로써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클립본체부(120)에 마련되는 관통홀(h)을 차폐하는 고무밸브(v)는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이에 따르면, 용기흡입공간(s1)은 봉투흡입공간(s2)과 연통되지만, 용기흡입공간(s1)과 봉투흡입공간(s2)은 용기와 용기흡입모듈(151)과 봉투흡입모듈(152)과 클립본체부(120)와 고정본체부(11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이때, 사용자는 흡입노즐부(150)에 마련되는 투명창을 통해 용기흡입공간(s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ii) 사용자는 도 1(a) 및 도 7의 상태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의 스위치모듈(171)을 ON 상태로 변환하여 모터모듈(141)을 작동시킨다.
iii)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흡입부(160)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과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의 기체도 봉투흡입공간(s2)을 통해 공기흡입부(160)로 배출된다.
iv)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용기 간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개방된다.
v) 개방된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용기 내의 기체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기체는 상술한 공기흡입부(16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용기흡입공간(s1)과 용기 내의 압력은 기설정된 압력까지 감압된다.
vi) 상술한 압력센서부(190)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여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소비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170)에 의해 스위치모듈(171)이 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술한 모터모듈(141)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흡입공간(s1)과 용기 내의 압력이 동일해지면서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차폐된다.
vii) 사용자는 용기흡입모듈(151)과 용기와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를 용기로부터 제거하여 사용을 마무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본체부(110), 클립본체부(120), 힌지모듈(130), 모터펌프부(140), 흡입노즐부(150), 공기흡입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100)에 따르면, 본체가 클립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스프링에 의해 흡입구가 밀폐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진공포장기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더라도 흡입노즐부와 용기 또는 봉투의 공기배출밸브의 밀폐가 유지되어 용이하게 진공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봉투 및 용기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까지만 감압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전기적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는 고정본체부(210)와 클립본체부(220)와 힌지모듈(230)과 모터펌프부(240)와 흡입노즐부(250)와 공기흡입부(260)와 접촉센서부(270)와 제어부(280)와 압력센서부(290)를 포함한다.
고정본체부(210)는 내부에 후술하는 모터펌프부(240)와 제어부(280)와 압력센서부(2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클립본체부(220)와 힌지모듈(23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본체부(210)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후술하는 모터펌프부(240)와 제어부(280)와 압력센서부(290)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클립본체부(220)는 상술한 고정본체부(210)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힌지모듈(2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클립본체부(220)에는 후술하는 흡입노즐부(250)와 공기흡입부(260)가 마련된다.
여기서 클립본체부(220)는 도 8(a)와 같은 형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면 도 8(b)와 같은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도 8(a)의 형태에서는 클립본체부(220)의 일측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흡입노즐부(250) 중 후술하는 봉투흡입모듈(252)이 후술하는 접촉센서부(270)에 닿음으로써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클립본체부(220)의 타측에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가 도 8(b)의 형태가 되는 경우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은 외부와 연통이 된다.
또한, 클립본체부(22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과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을 연통시키는 관통홀(h)이 마련된다. 봉투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h)은 고무밸브(v)에 의해 차폐된다. 여기서, 고무밸브(v)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는 경우에는 고무밸브(v)를 제거하여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과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이 연통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힌지모듈(230)은 상술한 클립본체부(220)가 회동가능하도록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와 상술한 클립본체부(2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클립본체부(220)의 상술한 일측과 상술한 타측 사이에 마련된다.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에 비틀림하중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이 없는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봉투흡입모듈(252)이 후술하는 접촉센서부(270)에 닿아 밀폐된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이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모듈(23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축부재(231)와 상술한 축부재(231)에 설치되며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에 비틀림하중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32)로 마련된다.
여기서 스프링부재(232)는 상술한 축부재(23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장력이 다른 스프링부재(232)을 설치하여 도 8(a)의 형상에서부터 도 8(b)의 형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외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모터펌프부(240)는 상술한 고정본체부(210)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공기흡입부(260)에 의해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 또는 봉투흡입공간(s2)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 또는 봉투흡입공간(s2) 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모터펌프부(240)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모듈(241)과 모터모듈(241)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모듈(242)이 포함된다. 여기서 배터리모듈(242)은 알카라인, 망간 건전지, 니켈-수소 충전지, 니켈-카드뮴 충전지, 버튼셀,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모듈(242)은 상술한 모터모듈(241)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접촉센서부(270)와 후술하는 제어부(280)와 후술하는 압력센서부(290)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흡입노즐부(250)는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봉투 또는 용기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용기흡입공간(s1) 또는 후술하는 봉투흡입공간(s2)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부(250)는 클립본체부(22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며 용기 내 기체를 배출시키도록 용기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용기흡입모듈(251)과 클립본체부(220)의 일측 하부에 마련되며 봉투 내 기체를 배출시키도록 봉투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봉투흡입모듈(2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흡입모듈(251)에 감압을 시키고자 하는 용기가 결합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용기와 용기흡입모듈(251)과 클립본체부(220)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이 형성된다. 또한, 봉투흡입모듈(252)에 갑압을 시키고자 하는 봉투가 결합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봉투와 봉투흡입모듈(252)과 클립본체부(220)에 의해 봉투흡입공간(s2)이 형성된다.
흡입노즐부(250)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흡입노즐부(250)가 봉투 또는 용기와 결합될 경우 접촉면이 압착됨으로써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에 봉투가 결합되어 봉투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경우 상술한 고무밸브(v)가 상술한 관통홀(h)을 차폐시킴으로써 상술한 관통홀(h)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용기 내의 압력을 감압시키고자 상술한 용기흡입모듈(251)에 용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술한 용기와 상술한 용기흡입모듈(251)과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이 형성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공기흡입부(260)가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하부에 마련되는 봉투흡입모듈(252)에만 형성되는 경우, 용기 내의 압력을 감압시킬 때는 상술한 고무밸브(v)를 상술한 관통홀(h)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가 사용된다.
즉, 사용자의 외력이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타측에 가해지지 않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의 형태도 도 8(a)의 형태가 되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h)에 의해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 연통되게 되고,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상술한 용기와 용기흡입모듈(251)과 클립본체부(220)와 봉투흡입모듈(252)과 접촉센서부(27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공기흡입부(260)는 용기흡입모듈(251)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흡입모듈(251)과 봉투흡입모듈(252)에 공기흡입부(260)가 모두 마련되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h)과 상술한 고무밸브(v)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흡입부(260)는 상기 클립본체부(220)에 마련되는 구성으로, 상기 모터펌프부(24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펌프부(240)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공기흡입부(260)는 상술한 용기흡입모듈(251)과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흡입부(260)가 상술한 용기흡입모듈(251)과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는 경우 공기흡입부(260)가 설치되지 않은 쪽에서 압력을 가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통홀(h)을 통해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부(260)가 상술한 용기흡입모듈(251)에도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용기흡입모듈(251)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흡입공간(s1)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커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접촉센서부(270)는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을 압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촉센서부(270)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을 압착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센서부(270)는 후술하는 제어부(280)에 전기적신호를 전달하여 상술한 모터모듈(241)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센서부(270)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에서 떨어져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접촉센서부(270)는 후술하는 제어부(280)에 전기적신호를 전달하여 상술한 모터모듈(2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봉투 또는 용기를 감압하는 과정에서 버튼 또는 스위치를 지속적으로 누를 필요가 없어 봉투 또는 용기의 진공포장 혹은 감압이 용이해진다.
또한, 접촉센서부(270)는 상술한 배터리모듈(242)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의 모터모듈(241)을 작동시키고, 기설정된 압력과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의 모터모듈(2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술한 배터리모듈(242)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술한 고정본체부(210) 또는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통해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을 수치 혹은 게이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상술한 접촉센서부(270)에 의해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80)는 별도의 스위치모듈(281)이 마련되어 상술한 배터리모듈(242)로부터 상술한 모터모듈(241)과 상술한 접촉센서부(270)와 후술하는 압력센서부(290)에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위치모듈(281)이 OFF 상태가 되는 경우 상술한 배터리모듈(242)은 상술한 모터모듈(241)과 상술한 접촉센서부(270)와 후술하는 압력센서부(290)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지 않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가 도 8(a)의 상태가 되어 봉투흡입모듈(252)이 접촉센서부(270)에 닿더라도 상술한 모터모듈(241)과 상술한 접촉센서부(270)와 후술하는 압력센서부(290)가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측정되지 않을 수 있다.
압력센서부(290)는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용기 혹은 봉투의 압력을 감압하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압력 미만으로 압력이 내려가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어부(280)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여 상술한 모터모듈(24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르면, 용기 혹은 봉투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까지만 감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부(290)는 상술한 표시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측정된 용기흡입공간(s1) 또는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을 표시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봉투 또는 용기 내의 압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작동에 대해 봉투감압 및 용기감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봉투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의 용기 감압 작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1) 봉투감압
i)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타측에 외력을 가하여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봉투흡입모듈(2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에서 떨어져 도 8(b) 및 도 13(a)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ii)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하고자 하는 봉투를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과 상술한 접촉센서부(270) 사이에 인입함으로써 봉투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자는 외력을 제거하여 상술한 봉투흡입모듈(252)이 상술한 접촉센서부(270)를 압착하도록 한다.
iii) 사용자는 스위치모듈(281)을 ON 상태로 변환하여 모터모듈(241)이 작동하도록 한다.
iv)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흡입부(260)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과 봉투 간의 압력차이에 의해 봉투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개방된다.
v) 개방된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봉투 내의 기체가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기체는 상술한 공기흡입부(26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봉투흡입공간(s2)과 봉투 내의 압력은 기설정된 압력까지 감압된다.
vi) 상술한 압력센서부(290)에 의해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모터모듈(241)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봉투흡입공간(s2)과 봉투 내의 압력이 동일해지면서 봉투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차폐된다.
vii)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타측에 다시 외력을 가하여 상술한 클립본체부(2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봉투흡입모듈(252)이 상술한 고정본체부(210)에서 떨어져 도 8(b)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봉투를 봉투흡입공간(s2)으로부터 제거한다.
viii) 사용자는 스위치모듈(281)을 OFF 상태로 변환하여 모터모듈(241)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는 외력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가 도 8(a)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마무리한다.
2) 용기감압
i) 용기흡입모듈(251)을 감압하고자 하는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에 삽입함으로써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클립본체부(220)에 마련되는 관통홀(h)을 차폐하는 고무밸브(v)는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이에 따르면, 용기흡입공간(s1)은 봉투흡입공간(s2)과 연통되지만, 용기흡입공간(s1)과 봉투흡입공간(s2)은 용기와 용기흡입모듈(251)과 봉투흡입모듈(252)과 클립본체부(220)와 접촉센서부(27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ii) 사용자는 도 8(a) 및 도 14의 상태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의 스위치모듈(281)을 ON 상태로 변환한다. 이때, 봉투흡입모듈(252)이 접촉센서부(270)에 닿은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모듈(241)이 작동한다.
iii)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흡입부(260)에 의해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술한 봉투흡입공간(s2)과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의 기체도 봉투흡입공간(s2)을 통해 공기흡입부(260)로 배출된다.
iv)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과 용기 간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개방된다.
v) 개방된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용기 내의 기체가 상술한 용기흡입공간(s1)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기체는 상술한 공기흡입부(26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용기흡입공간(s1)과 용기 내의 압력은 기설정된 압력까지 감압된다.
vi) 상술한 압력센서부(290)에 의해 용기흡입공간(s1)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상술한 모터모듈(241)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흡입공간(s1)과 용기 내의 압력이 동일해지면서 용기에 마련되는 공기흡입밸브가 차폐된다.
vii) 사용자는 스위치모듈(281)을 OFF 상태로 변환하여 모터모듈(241)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는 용기흡입모듈(251)과 용기와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를 용기로부터 제거하여 사용을 마무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본체부(210), 클립본체부(220), 힌지모듈(230), 모터펌프부(240), 흡입노즐부(250), 공기흡입부(260), 접촉센서부(270), 제어부(280), 압력센서부(29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200)에 따르면, 본체가 클립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스프링에 의해 흡입구가 밀폐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진공포장기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더라도 흡입노즐부와 용기 또는 봉투의 공기배출밸브의 밀폐가 유지되어 용이하게 진공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봉투 및 용기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까지만 감압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
110 : 고정본체부
120 : 클립본체부
130 : 힌지모듈
131 : 축부재
132 : 스프링부재
140 : 모터펌프부
141 : 모터모듈
142 : 배터리모듈
150 : 흡입노즐부
151 : 용기흡입모듈
152 : 봉투흡입모듈
160 : 공기흡입부
170 : 제어부
171 : 스위치모듈
172 : 충전모듈
20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진공포장기
210 : 고정본체부
220 : 클립본체부
230 : 힌지모듈
231 : 축부재
232 : 스프링부재
240 : 모터펌프부
241 : 모터모듈
242 : 배터리모듈
250 : 흡입노즐부
251 : 용기흡입모듈
252 : 봉투흡입모듈
260 : 공기흡입부
270 : 접촉센서부
280 : 제어부
281 : 스위치모듈
282 : 충전모듈
290 : 압력센서부
h : 관통홀
v : 고무밸브
s1 : 용기흡입공간
s2 : 봉투흡입공간

Claims (5)

  1.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립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펌프부;
    상기 클립본체부에 마련되며, 용기 또는 봉투와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노즐부;
    상기 클립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펌프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펌프부와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흡입부; 및
    상기 클립본체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본체부와 상기 클립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부재와 축부재를 포함하는 힌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본체부는,
    상기 흡입노즐부와 마주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클립본체부에 가해질 때 상기 클립본체부와 접촉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고정본체부와 상기 제2 영역과 마주하는 클립본체부 사이에는,
    상기 클립본체부의 회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설치되는, 클립형 진공포장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부는,
    상기 클립본체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용기흡입모듈과, 상기 클립본체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봉투와 결합되는 봉투흡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진공포장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부는,
    상기 용기흡입모듈과 상기 봉투흡입모듈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는 고무밸브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진공포장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펌프부의 소비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소비전류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모터펌프부와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진공포장기.
KR1020210100497A 2021-07-30 2021-07-30 클립형 진공포장기 KR10262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97A KR102627077B1 (ko) 2021-07-30 2021-07-30 클립형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97A KR102627077B1 (ko) 2021-07-30 2021-07-30 클립형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76A KR20230018676A (ko) 2023-02-07
KR102627077B1 true KR102627077B1 (ko) 2024-01-18

Family

ID=8522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497A KR102627077B1 (ko) 2021-07-30 2021-07-30 클립형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13B1 (ko) * 2015-10-26 2016-08-08 주식회사 롤팩 진공장치
CN211108209U (zh) * 2019-11-14 2020-07-28 深圳典之成产品开发有限公司 一种多功能真空封口机
KR102185835B1 (ko) * 2020-09-04 2020-12-02 주식회사 위하임 식품용 진공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6393A2 (en) * 2005-01-12 2006-07-20 Uno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nd sealing conta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13B1 (ko) * 2015-10-26 2016-08-08 주식회사 롤팩 진공장치
CN211108209U (zh) * 2019-11-14 2020-07-28 深圳典之成产品开发有限公司 一种多功能真空封口机
KR102185835B1 (ko) * 2020-09-04 2020-12-02 주식회사 위하임 식품용 진공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76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836Y1 (ko) 진공용기 커버
KR102627077B1 (ko) 클립형 진공포장기
CN108861111A (zh) 一种智能真空存储罐
WO2020192583A1 (en) A bowl cover, a bowl, and a food processor
CN107978821A (zh) 一种锂电池的防爆装置
CN207236691U (zh) 一种料理机杯盖
CN209529977U (zh) 气阻类电控系统以及包括该电控系统的气阻训练器
CN208402079U (zh) 耳机盒
CN211811105U (zh) 一种自动抽真空的真空储物容器
CN108688971A (zh) 一种智能真空存储罐
CN108773579A (zh) 一种智能真空储存罐
CN216546921U (zh) 一种夹型真空包装机
CN209038179U (zh) 一种智能真空储存罐
CN210106089U (zh) 一种多功能气泵
CN217893835U (zh) 一种存储装置
CN210576160U (zh) 一种新型软包锂离子电池
CN213263061U (zh) 一种充电式可调温真空封口机
CN209915973U (zh) 一种泄气装置及血压计
KR200393731Y1 (ko) 보조용기가 장착된 진공용기
JP4686833B2 (ja) 電池パック
JP2010034086A (ja) 電池装置
CN214323407U (zh) 一种真空吸盘夹具
CN217228661U (zh) 储物桶
CN215533858U (zh) 一种自动充气浴缸
CN214932390U (zh) 一种内外抽真空的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