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04B1 -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04B1
KR102627004B1 KR1020230085526A KR20230085526A KR102627004B1 KR 102627004 B1 KR102627004 B1 KR 102627004B1 KR 1020230085526 A KR1020230085526 A KR 1020230085526A KR 20230085526 A KR20230085526 A KR 20230085526A KR 102627004 B1 KR102627004 B1 KR 10262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attached
bus bar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길상용
Original Assignee
덕부화학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부화학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덕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가 개시된다.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는,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와, 버스바의 일부분에 테이핑된 테이프부재와, 테이프부재의 표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완충 접착부재와, 완충 접착부재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절연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BATTERY PACK SHOCK ABSORBING BUSBAR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는 배터리팩의 버스바의 완충 구조의 부착된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므로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용량 전력저장장치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의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전지 등 다른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증가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다수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출력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툴, 전기 자전거, 전력저장장치, UPS등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이차전지는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팩으로 구현되어,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전원 공급을 위한 버스바가 설치되며,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케이스와의 사이에 간섭을 방지하며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요구된다.
그러나 완충부재는 버스바에 부착되는 접착력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부착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9223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절연 완충부재와 테이프부재의 사이에 완충 접착부재를 부착하여, 보다 접착력과 접착된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의 구조의 구현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와, 버스바의 일부분에 테이핑된 테이프부재와, 테이프부재의 표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완충 접착부재와, 완충 접착부재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절연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완충 접착부재는, 제1 표면은 상기 테이프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 부분을 보상하는 완충부가 형성되고,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에는 절연 완충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접착부재의 완충부는, 테이프부재의 돌출된 부분을 보상하는 쿠션부이고, 부착부는 절연 완충부재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편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접착부재는,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테이프부재와 절연 완충부재의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완충부재가 완충 접착부재의 완충 작용에 의해 버스바의 상측에 부착되는 바, 불균일한 표면의 테이프부재의 상부에 충분한 접착력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여 부착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의 절연 완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버스바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는 배터리팩(미도시)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팩의 케이스와 단자의 사이의 완충이 가능하여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한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배터리팩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단자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의 절연 완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100)는,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10)의 단부에 테이핑된 테이프부재(20)와, 테이프부재(20)의 표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완충 접착부재(30)와, 완충 접착부재(30)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절연 완충부재(40)를 포함한다.
버스바(10)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팩에서 전원 공급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10)의 단부에는 설치된 내구성의 확보를 위해 테이프부재(20)가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부재(20)는 버스바(10)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의 외표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버스바(10)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감은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부재(20)의 표면에는 완충 접착부재(3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접착부재(30)는 테이프부재(20)의 표면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 버스바(10)의 단부에 부착된 테이프부재(20)의 불균일한 표면에도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다.
즉, 완충 접착부재(30)는 버스바(10)의 단부에 테이프부재(20)가 감긴 상태로 부착되는 바, 테이프부재(20)의 감겨진 표면의 불균일한 표면을 보상하면서 부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발포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충 접착부재(30)의 제1 표면은 테이프부재(20)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 부분을 보상하는 완충부(31)가 형성되고,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에는 절연 완충부재(40)에 부착되는 부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31)는 완충 접착부재(30)의 제1 표면에서 테이프부재(20)와 면접촉되는 부분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테이프부재(20)의 불균일한 표면의 보상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접착부재(30)의 제2 표면은 절연 완충부재(40)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편평한 제2 표면에 대응하여 편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접착부재(30)는 발포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테이프부재(20)의 불균일한 표면에 부착되는 바, 후술하는 절연 완충부재(40)가 테이프부재(2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완충 접착부재(30)는 테이프부재(20)와 절연 완충부재(40)의 사이에 단일개로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 완충부재(4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완충 접착부재(30)의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완충부재(40)가 부착될 수 있다.
절연 완충부재(40)는, 일측은 완충 접착부재(30)에 부착된 상태로 배터리 팩의 케이스와의 사이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완충부재(40)는 완충 접착부재(30)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어 버스바(10)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는 바, 보다 안정적이고 높은 접착력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여 부착된 상태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절연 완충부재(40)는 케이스와의 사이에서 절연 및 완충 작용이 안정적으로 가능하도록 절연 스펀지(EPD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100)는, 절연 완충부재(40)가 완충 접착부재(3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버스바(10)의 상측에 부착되는 바, 불균일한 표면의 테이프부재(20)의 상부에 충분한 접착력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여 부착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200)는, 버스바(10)의 대향하는 양측에 완충 접착부재(30)와 절연 완충부재(40)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미도시)의 사이에 버스바(10)가 더욱 절연 및 완충된 상태로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버스바 20...테이프부재
30...완충 접착부재 31...완충부
33...부착부 40...절연 완충부재

Claims (4)

  1.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의 일부분에 테이핑된 테이프부재;
    상기 테이프부재의 표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완충 접착부재; 및
    상기 완충 접착부재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절연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접착부재는, 제1 표면은 상기 테이프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 부분을 보상하는 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에는 상기 절연 완충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 접착부재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테이프부재의 돌출된 부분을 보상하는 쿠션부이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절연 완충부재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는 편평면으로 형성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접착부재는, 발포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부재와 상기 절연 완충부재의 사이에 부착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KR1020230085526A 2023-07-03 2023-07-03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KR10262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526A KR102627004B1 (ko) 2023-07-03 2023-07-03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526A KR102627004B1 (ko) 2023-07-03 2023-07-03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004B1 true KR102627004B1 (ko) 2024-01-23

Family

ID=8971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526A KR102627004B1 (ko) 2023-07-03 2023-07-03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467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1526766B1 (ko) * 2013-12-2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바 및 절연 커버
KR101922304B1 (ko) 2016-03-14 2018-11-28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KR20210049018A (ko) * 2019-10-24 2021-05-04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내진동성이 우수한 배터리팩
KR2021014109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467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1526766B1 (ko) * 2013-12-2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바 및 절연 커버
KR101922304B1 (ko) 2016-03-14 2018-11-28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KR20210049018A (ko) * 2019-10-24 2021-05-04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내진동성이 우수한 배터리팩
KR2021014109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9366A1 (en) Battery pack, tool battery and battery operated tool
EP3067959B1 (en) Battery pack including bushing for connecting end plate
KR102330872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2319537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1632339B1 (ko)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10225020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WO2020013120A1 (ja) バッテリシステムと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
WO2021033476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7055487B2 (ja) 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US20220393290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JP7200223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102627004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완충 버스바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527004B1 (ko) 배터리 모듈
US20230042717A1 (en) Battery pack, energy storage system, and vehicle
US20210296727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KR20220101475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120368A (ko) 배터리 모듈
KR102111767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EP4290661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EP3989340A1 (en) Battery pack having handle
KR102201333B1 (ko) 내부 텐션-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01266816A (ja) パック電池
JPH08250087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