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894B1 -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894B1
KR102626894B1 KR1020210162608A KR20210162608A KR102626894B1 KR 102626894 B1 KR102626894 B1 KR 102626894B1 KR 1020210162608 A KR1020210162608 A KR 1020210162608A KR 20210162608 A KR20210162608 A KR 20210162608A KR 102626894 B1 KR102626894 B1 KR 10262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ckaging box
cartridge
cushioning materi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920A (ko
Inventor
노일훈
Original Assignee
노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일훈 filed Critical 노일훈
Priority to KR102021016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8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포장박스용 완충장치가 개시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는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구성된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공기충전식완충재를 포함하고, 공기충전식완충재는 공기주입구, 공기배출구 및 공기배출구가 밀폐되도록 부착된 공기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완충장치{Shock-absorbing apparatus for box}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포장박스의 내용물을 보호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박스 내 상품 등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이나 공기가 주입된 에어캡 등을 사용한다. 스티로폼의 경우 내용물의 크기에 맞도록 주문 제작하거나 또는 작은 크기의 스티로폼을 포장박스 내부를 가득 채워 사용한다. 그러나 스티로폼의 경우 1회성 사용으로 많은 쓰레기를 배출하므로 환경 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에어캡의 경우 상품을 일일이 감싸서 포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포장박스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장박스 내 내용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품을 보호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는,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공기충전식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는, 공기주입구; 공기배출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가 밀폐되도록 부착된 공기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장박스 내에서 부풀어진 공기충전식완충재를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내용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공기충전식완충재를 재사용 가능한 카트리지에 탈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포장박스를 열면 공기충전식완충재의 공기가 자동으로 빠지도록 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와 이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공기를 자동 배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8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공기배출구가 카트리지와 공기충전식완충재 사이에 존재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공기배출구가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아랫면에 존재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공기배출구가 카트리지와 공기충전식완충재 사이에 위치한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설치하고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공기배출구가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아래에 위치한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설치하고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결합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포장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에 대한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와 이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는 카트리지(110) 및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포함한다. 제1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커버(14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커버(1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커버(140)는 포함 또는 미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10)는 플라스틱류, 금속류, 종이류 등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종류의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110)는 포장박스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구성된다.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카트리지의 크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크기의 카트리지가 존재하고, 포장상자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카트리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카트리지(110)의 모양으로 직사각형 모양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카트리지(110)는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또는 별모양이나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비닐류(예를 들어, LDPE 필름 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도 2와 같이 하나의 상면 및 하나의 하면으로 구성되어 공기 주입시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복수의 구분된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영역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어 오르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하나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공기주입구가 필요하고, 복수의 내부 공간으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내부 공간을 위한 각각의 공기주입구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하나의 내부 공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카트리지(110)에 부착된다. 본 실시 예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접어진 상태로 카트리지에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으며, 접는 방법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접어지지 않은 상태로 카트리지(11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아래로 흘러내려 포장박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존재하므로, 본 실시 예를 포함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접어진 상태로 카트리지(110)에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다양한 예가 도 2,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로, 카트리지(110)와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서로 부착되어 탈착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카트리지(110)의 재사용이나 쓰레기 분리 배출 등을 위하여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카트리지(11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일부 영역(126)이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을 통해 카트리지(11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일부 영역(126)에 존재하거나 이와 대응되는 카트리지의 일부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접착제는 스티커나 셀로판 테이프 등에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종류의 접착제일 수 있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122),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구(124) 및 공기배출구(124)를 밀폐하는 공기개폐부(130)를 포함한다. 공기주입구(122)와 공기배출구(124)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구성하는 상면이나 하면의 일측 또는 상면과 하면이 만나는 모서리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는 등 공기주입구(122)의 위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공기주입구(122)는 튜브나 헬륨 풍선 등의 공기주입구와 같이 종래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배출구(124)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상면이나 하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공기배출구(124)의 크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공기배출구(124)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에서 카트리지(110)와 맞닿는 면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공기배출구(124)는 도 7과 같이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카트리지(110)와 맞닿는 면의 반대편 면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공기배출구(124)가 개방되었을 때 공기가 잘 빠질 수 있도록 카트리지(110)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공기배출구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카트리지(110)의 일부 영역(126)에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부착되고, 공개배출구(124)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카트리지(110)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영역(도 5의 5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포장상자의 상면이 열렸을 때 공기배출구(124)가 카트리지(110)에 의해 막히지 않으므로 공기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7과 같이 카트리지(110)에 의해 공기 배출이 방해받지 않도록 공기배출구(124)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아랫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개폐부(130)는 공기배출구(124)가 위치한 영역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공기배출구(124)를 밀폐한다. 공기개폐부(130)는 비닐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배출구(124)의 둘레 또는 공기개폐부(130)에서 공기배출구의 둘레에 맞닿는 부분에 존재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공기개폐부(130)는 공기배출구(124)를 밀폐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스티커 등의 접착제와 같이 공기개폐부(130)를 당겼을 때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이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를 포장박스에 설치한 후 포장박스를 열었을 때 공기개폐부(130)가 공기배출구(124)로부터 자동으로 떨어져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개폐부(130)는 공기배출구(124)를 밀폐하는 스티커 영역(134)과, 스티커 영역(134)으로부터 카트리지(110)의 일측 모서리 밖으로 연장된 일정 길이의 길이연장부(136)와, 포장상자의 일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연장부(136)의 끝부분에 형성된 고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공기개폐부(130)를 당겼을 때 스티커 영역(134)이 공기배출구(124)로부터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스티커 영역(134)는 길이연장부(136)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접혀진 형태로 공기배출구(124)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개폐부(130)는 스티커 영역(134)과 길이연장부(136)가 일체형의 하나의 긴 끈 모양으로 구현되고,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한 스티커 영역(134)을 아래쪽 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공기배출구(124)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부(132)은 구멍, 자석, 밸크로, 단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132)를 포장상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예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공기개폐부(130)는 공기배출구(124)를 밀폐할 수 있도록 길이연장부(136) 없이 공기배출구(124)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개폐부(130)의 일측에는 사용자 등이 공기개폐부(130)를 손쉽게 당겨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일정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커버(140)는 카트리지(110)와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비닐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커버(14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하나의 커버로만 구성할 수 있다. 커버(140)에는 힘이 가해지면 쉽게 떨어지는 절취선(142)이 존재한다. 절취선(142)은 커버의 아랫면에 점선칼처리가 되어 있어 힘이 가해지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커버(140)를 포함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의 변화과정의 예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110)는 포장박스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1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 탈부착수단(11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를 포함한 이하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탈부착수단(112)이 존재하는 카트리지(110)의 예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탈부착수단(112)은 모서리에 움푹 들어간 홈, 가장자리에 뚫린 구멍, 벨크로, 자석, 단추 및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홈으로 구성된 탈부착수단(112)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양한 탈부착수단의 예가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다각형 모양의 일정 면적을 가진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과 하면이 만나는 모서리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122)가 존재하고, 상면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구(124)가 존재한다.
본 실시 예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릴 경우 둥근 형태가 되도록 8각형 모양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포장박스의 체적 이상으로 부풀려질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정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공기배출구(124)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카트리지(1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1번부터 5번까지 점선을 따라 순번대로 바깥 방향으로 접으면 도 1과 같은 사각형 모양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카트리지(110)의 면적에 맞도록 접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로,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카트리지(110)의 면적보다 더 작은 크기로 접거나 또는 더 큰 크기로 접을 수 있다. 또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특정 모양으로 접지 않고 카트리지(1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는 포장박스(300)의 상면 내측에 부착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를 포장박스(300)에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는 상면이 아닌 포장박스(300)의 측면 등에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포장박스(300)의 내측에 고정하지 않고 포장박스의 내용물(310)을 위쪽이나 옆쪽에 놓은 후 사용할 수도 있다.
포장용 완충장치(100)의 공기주입구(122)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부풀어오른다. 카트리지(110)와 공기충전식완충재(120)를 감싸고 있는 커버(140)는 공기충전식완충재(120)가 부풀리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절취선(142)을 따라 절단된다. 공기가 계속하여 주입되면 공기충전식완충재(120)는 도 4와 같이 포장상자(300) 내부의 빈 공간을 가득채우며, 따라서 포장상자(300)의 내용물(310)은 공기충전식완충재(120)에 의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도 5는 도 1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공기를 자동 배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의 공기개폐부(130)는 길이연장부(136) 및 고정부(132)를 통해 포장박스(300)의 일측 연결부(320)(예를 들어, 포장박스(300)의 앞면의 외측)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포장박스(300)의 상면(302)을 열면, 포장박스(300)의 상면(302)에 부착된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의 카트리지(110)는 포장박스(300)의 상면(302)과 함께 이동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00)의 공기개폐부(130)는 상자 앞면의 일측 연결부(3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면(302)이 움직임에 따라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며, 따라서 공기충전식완충재(100)의 공기배출구(124)에 부착된 스티커 영역(134)이 떨어져 공기배출구(124)가 개방된다.
포장상자(300)의 상면(302)을 열 때 공기개폐부(130)가 공기배출구(124)에서 자동으로 떨어져 공기충전식완충재(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므로,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공기를 빼기 위하여 칼이나 가위 등으로 공기충전식완충재(120)의 상면이나 하면을 찢는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600)는 카트리지(610) 및 공기충전식완충재(620)를 포함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620)는 공기주입구(622), 공기배출구(624) 및 공기개폐부(630)를 포함한다. 공기개폐부(630)는 스티커영역(634), 길이연장부(636) 및 고정부(63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6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61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610)의 상면에는 개구부(612)에 걸쳐 셀로판테이프 등 접착제가 일면에 존재하는 테이프가 부착된다. 공기충전식완충재(620)의 일부영역(626)은 카트리지(610)의 개구부(612)를 통해 노출된 테이프에 부착된다. 제1 실시 예와 같이 카트리지의 하면에 직접 접착제가 존재하는 경우에 카트리지를 재사용함에 따라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는 테이프를 제거 후 다시 부착하면 된다.
다른 실시 예로, 카트리지(610)는 포장박스에 부착될 수 있는 탈부착수단(614,6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610)의 일측에는 포장상자의 일측면(예를 들어, 상면 내측)에 존재하는 돌출부에 끼워질 수 있는 홈(616)과, 포장상자의 일측면(예를 들어, 상면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나 자석, 단추 등에 부착될 수 있는 밸크로나 자석, 단추 등의 탈부착수단(6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700)는 카트리지(710) 및 공기충전식완충재(720)를 포함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720)는 공기주입구(722), 공기배출구(724) 및 공기개폐부(730)를 포함한다. 공기개폐부(730)는 스티커영역(734), 길이연장부(736) 및 고정부(73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배출구(724) 및 공기개폐부(730)는 공기충전식완충재(720)의 하면에 존재한다. 공기배출구(724)가 하면에 존재하므로 공기개폐부(730)의 스티커 영역(734)은 제 1실시 예와 다르게 접혀진 상태가 아니다. 본 실시 예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700)의 공기개폐부(730)가 떨어지는 과정의 일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710)에는 공기충전식완충재(720)가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712)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800)는 카트리지(810) 및 공기충전식완충재(820)를 포함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820)는 공기주입구(822), 공기배출구(824) 및 공기개폐부(830)를 포함한다. 공기개폐부(830)는 스티커영역(834), 길이연장부(836) 및 고정부(83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810)는 제1 부착부(812)와 제2 부착부(814)를 포함한다. 제1 부착부(812) 및 제2 부착부(814)에는 접착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공기충전식완충재(820)는 카트리지(810)의 제1 부착부(812)와 결합할 수 있는 영역(828) 및 제2 부착부(814)와 결합하는 영역(826)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900)는 카트리지(910) 및 공기충전식완충재(920)를 포함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920)는 공기주입구(922), 공기배출구(924) 및 공기개폐부(930)를 포함한다. 공기개폐부(930)는 스티커영역(934), 길이연장부(936) 및 고정부(93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910)는 상면(912)과 하면(913)이 접히는 구조로 구성되고, 공기충전식완충재(920)는 카트리지(910)의 상면(912) 및 하면(91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카트리지(910)의 상면(910)과 하면(913)은 접혀져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부(916)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910)의 하면(913)은 힘이 가해질 때 쉽게 절단될 수 있는 절취선(914)이 존재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920)는 카트리지(910)의 상면(912)과 하면(913)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1 실시 예의 커버(140)가 필요없다.
도 10은 도 7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공기충전식완충재(720)는 다각형 모양의 일정 면적을 가진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된다. 상면과 하면이 만나는 모서리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722)가 존재하고, 상면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구(724)가 존재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720)는 공기배출구(724)가 노출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그 반대면이 카트리지(7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충전식완충재(720)를 1번부터 5번까지 점선을 따라 순번대로 바깥 방향으로 접으면 도 7과 같은 사각형 모양이 될 수 있다. 공기충전식완충재(720)는 공기배출구(724)가 아랫면으로 향하도록 카트리지(710)에 부착된다.
도 11은 도 8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충전식완충재(820)는 다각형 모양의 일정 면적을 가진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된다. 상면과 하면이 만나는 모서리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822)가 존재하고, 상면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구(824)가 존재한다. 또한 공기충전식완충재(820)의 모서리의 일측에는 카트리지(810)의 제1 부착부(812)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828)이 존재한다.
공기충전식완충재(820)는 공기배출구(824)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8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충전식완충재(820)를 1번부터 5번까지 점선을 따라 순번대로 바깥 방향으로 접으면 도 8과 같은 사각형 모양이 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공기배출구가 카트리지와 공기충전식완충재 사이에 존재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200)를 포장상자(123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200)는 도 1, 도 6, 도 8, 도 10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200)를 포장박스(1230)의 상면 내측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를 위해 포장박스(1230)의 상면 내측에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20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240)(예를 들어, 벨크로, 돌출부 등)이 존재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200)를 포장박스(1230)의 상면 내측에 부착한 후 공기개폐부(1210)와 공기주입구(1220)가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포장박스(1230)의 상면을 덮는다. 공기개폐부(1210)의 끝 부분에 위치한 고정부를 포장박스(1230)의 앞면 일측에 위치한 돌출부에 고정하고, 포장박스(123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공기주입구(122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한다.
도 13은 포장박스용 완충장치가 존재하는 접이식 포장박스를 열고 접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200)가 존재하는 포장박스(1230)의 상면을 개방하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개폐부(1210)가 공기배출구에서 떨어지므로 공기충전식완충재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공기충전식완충재의 공기를 빼기 위하여 별도의 과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포장상자(1230)를 열고 포장박스(1230)를 기 정의된 방법에 따라 접을 수 있다. 포장박스(1230)는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박스일 수 있다. 접이식 포장박스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26에서 다시 살펴본다.
도 14 및 도 15는 공기배출구가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아랫면에 존재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400)는 도 7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일 수 있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400)를 포장박스(1430)의 상면 내측에 고정하고 상면을 닫은 후 공기개폐부(1410)를 포장박스(1430)의 일측에 고정한다. 그리고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공기주입구(1420)를 통해 공기충전식완충재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1에서 살핀 과정과 동일하다.
도 15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가 존재하는 접이식 포장박스를 열고 접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400)가 존재하는 포장박스(1430)의 상면을 개방하면, 공기개폐부(1410)가 공기배출구에 떨어지므로 공기충전식완충재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400)는 공기배출구가 아랫면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공기를 배출하고 포장박스를 접는 원리는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16은 공기배출구가 카트리지와 공기충전식완충재 사이에 위치한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설치하고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개폐부(1600)는 카트리지와 공기충전식완충재 사이에 위치한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며, 포장박스의 앞측에 연결 고정된다.
도 17은 공기배출구가 공기충전식완충재의 아래에 위치한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설치하고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포장박스용 완충장치의 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개폐부(1600)는공기충전식완충재의 아래에 위치한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며, 포장박스의 앞측에 연결 고정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포장박스에 결합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장박스용 완충장치가 포장박스의 상면 내측에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의 상면(1800) 내측에는 머릿부분이 몸통부분보다 더 굵은 돌출부(1810)가 복수 개 존재한다. 돌출부(1810)의 위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820)의 카트리지의 마주보는 두 변에 위치한 홈(1822)의 위치에 대응된다. 따라서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820)의 각 홈(1822)을 포장박스의 돌출부(1810)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포장박스의 상면(1900) 내측에는 그 둘레에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끼울 수 있는 'ㄷ'자 형태의 슬라이드 홈(1910)이 존재한다. 또한 포장박스의 상면(1900) 내측에는 슬라이드 홈(1910)에 끼워진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920)가 흘러 나오지 않도록 고정하는 돌출부(1912)가 존재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920)를 포장박스의 슬라이드 홈(1910)으로 밀어 넣은 후 포장박스용 완충장치(1920)의 일측 변에 존재하는 오목한 홈(1922)을 포장박스의 돌출부(1912)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의 상면(2000) 내측에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2030)의 한 쪽 모서리에 형성된 오목 홈(2034)에 대응하는 제1 돌출부(2010)와 포장박스용 완충장치(203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구멍(2032)이 끼워질 수 있는 제2 돌출부(2020)를 포함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2030)는 오목한 홈(2034)을 제1 돌출부(2010)에 맞춰 고정하고, 구멍(2032)을 제2 돌출부(2020)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포장박스의 상면(2100) 내측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2110)가 존재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2130)는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조롱박 모양의 홈(2132)을 포함한다. 포장박스용 완충장치(2130)는 홈(2132)의 넓은 구멍 영역을 통해 포장박스의 돌출부(2110)에 끼워진 후 돌출부(2110)가 홈(2132)의 좁은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포장박스용 완충장치(2130)를 밀어 고정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용 완충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포장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2 및 도 23은 전개모드의 접이식 상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상자모드의 접이식 상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5 및 도 26은 상자모드와 수거모드 사이의 변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개모드에서 접이식 상자(2200)의 안쪽면을 도시한 도 22와 전개모드에서 접이식 상자(2200)의 바깥쪽면을 도시한 도 23을 참조하면, 접이식 상자(2200)는 바닥부(2210), 바닥부(2210)와 연결된 복수 개의 측면부(2220,2230,2240,2250),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2270,2275,2280,228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덮개부(2290,2292,2294,229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덮개부(2290,2292,2294,2296)는 생략 가능하다. 또는 덮개부(2290,2292,2294,2296)는 접이식 상자와 별개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2290,2292,2294,2296)가 생략된 접이식 상자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다만 본 실시 예를 포함하는 이하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덮개부(2290,2292,2294,2296)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바닥부(2210)는 상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이고, 제1 내지 제4 측면부(2220,2230,2240,2250)는 바닥부(2210)의 각 모서리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면으로 상자의 측면을 이룬다. 일 실시 예로, 제1 내지 제4 측면부(2220,2230,2240,2250)는 모두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자모드에서 수거모드로 변형할 때(도 25 참조),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모서리 영역이 제4 측면부(2250)가 접힐 때 방해되지 않도록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옆쪽 모서리 영역(2222,2242)은 사선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일부 모서리 영역이 절개된 사다리꼴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다리꼴 모양의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를 상자로 접을 때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므로, 그 개방되는 부분은 이후 살펴볼 제4 측면부(2250)의 옆면에서 연장된 이음부(2281,2286)를 포함하는 연결부(2280,2285)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전개모드에서 바닥부(2210)와 복수 개의 측면부(2220,2230,2240,2250)는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본 실시 예는 전개모드에서 일부 측면부(제1 측면부(2220)와 제4 측면부(2250)사이, 제3 측면부(2240)와 제4 측면부(2250) 사이) 사이가 절개되어 빈 공간이 존재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바닥부와 측면부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사각형 형태로 전개되도록 연결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바닥부(2210)와 측면부(2220,2230,2240,2250), 연결부(2270,2275,2280,2285) 등을 모두 동일 평면으로 전개하였을 때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개모드에서 바닥부(2210)와 측면부(2220,2230,2240,2250) 등은 모두 동일 평면으로 전개되므로 접이식 상자(2200)의 세척 또는 수선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세척기에 동일 평면으로 펼쳐진 접이식 상자(2200)를 넣어 자동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전개모드를 위하여 복수 개의 측면부(2220,2230,2240,2250) 사이의 모서리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서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의 모서리는 서로 절개된 상태이거나 펼쳐질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자모드를 위해서는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270,2275,2280,2285)가 필요하다.
연결부(2270,2275,2280,2285)는 상자모드로 상자를 접을 때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를 연결 고정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 개의 측면부(2220,2230,2240,2250)의 사이에 모두 연결부(2270,2275,2280,2285)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덮개부(2290,2292,2294,2296) 등 다른 구성에 의해 상자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면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연결부(2270,2275,2280,2285) 중 제1 연결부(2270) 또는 제3 연결부(2280)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는 각 측면부(2220,2230,2240,2250) 사이에 연결부(2270,2275,2280,2285)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연결부의 일 실시 예로, 연결부는 인접한 두 측면부의 모서리와 연결되고 상자로 접을 때 상자 안쪽방향 또는 바깥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날개모양으로 접히는 모서리영역(2270,2275)을 포함하는 제1 연결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2 측면부(2230)와 인접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에 모서리영역(2270,2275)의 제1 연결구조가 존재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연결구조의 모서리영역(2270,2275)은 전개모드에서 바닥부(2210) 및 복수 개의 측면부(2220,2230,2240,2250)와 함께 동일평면에 전개되는 영역으로 본 실시 예는 사각형 모양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삼각형 모양 등 그 형태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모서리영역(2270,2275)의 외곽을 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모서리영역(2270,2275)은 상자로 접을 때 마주하여 잘 접힐 수 있도록 대각선의 상자접이선(2272,22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모서리영역(2270,2275)이 상자 안쪽방향으로 접힌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자로 접을 때 모서리영역(2270,2275)에서 마주하여 접히는 두 영역이 잘 밀착되도록 마주하여 접히는 두 영역에는 체결수단(2262)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자모드로 접을 때 모서리영역(2270,2275)의 마주하는 두 영역에는 밸크로, 스냅단추, 자석, 지퍼 등 두 면을 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체결수단(2262)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자 안쪽 또는 상자 바깥쪽으로 날개모양으로 접힌 모서리영역(2270,2275)이 측면부(2230)에 밀착되도록 날개모양의 일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측면부의 일측 면에는 체결수단(2260)(밸크로, 스냅단추, 자석, 지퍼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 모서리영역(2270,2275)의 밀착을 위한 체결수단(2260,226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로, 절개된 상태의 인접한 두 측면부를 연결하는 다양한 체결수단의 제2 연결구조로 연결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4 측면부(2250)와 인접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에 지퍼를 포함하는 제2 연결구조(2280,2285)를 도시하고 있다. 지퍼의 제1 라인은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각 면에 사선방향으로 위치하고, 지퍼의 제2 라인은 제4 측면부(2250)의 옆에서 연장된 이음부(2281,2286)의 모서리에 사선방향으로 위치한다. 본 실시 예는 지퍼의 제1 라인이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모서리가 아닌 면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로 지퍼의 제1 라인은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측면부(2250)의 옆에서 연장된 이음부(2281,2286)의 모양은 삼각형 모양 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자모드로 접을 때 도 3과 같이 제2 연결구조(2280,2285)의 지퍼를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이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여 제4 측면부(2250)와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제2 연결구조(2280,2285)의 체결수단은 본 실시 예의 지퍼 외에도 밸크로, 자석, 스냅단추 등 다양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연결구조(2270,2275)와 제2 연결구조(2280,2285)를 함께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2200)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복수 개의 연결부(2270,2275,2280,2285)는 모두 모서리영역(2270,2275)의 제1 연결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모두 지퍼 등의 제2 연결구조(2280,2285)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개모드의 접이식 상자(2200)를 접어 상자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연결부(2270,2275,2280,2285)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자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면부(2230)와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의 제1 연결구조인 모서리영역(2270,2275)을 상자 안쪽으로 접고, 제4 측면부(2250)와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의 제2 연결구조(2280,2285)인 지퍼를 채워 전개모드에서 상자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반대로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의 연결부의 연결을 모두 해제하여 상자모드에서 도 22와 같은 전개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접이식 상자의 측면부(2220,2240)에는 측면부를 상자 안쪽으로 접을 수 있는 수거접이선(2287)이 존재한다. 수거접이선(2287)은 도 25와 같이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를 상자 안쪽으로 접을 때 제4 측면부(2250)도 함께 상자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바닥부(2210)의 꼭짓점과 연결되는 일정 각도 기울어진 사선 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거접이선(2287)은 상자의 측면에서 힘을 가할 때 수거접이선(2287)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측면의 두 영역(2240 vs. 2281 또는 2220 vs. 2286)이 서로 마주하여 접힐 수 있는 가이드선으로 다양한 구조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수거접이선의 사선방향의 각도는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와 제4 측면부(2250)가 포개져 접힐 수 있는 각도(예를 들어, 45도 등)이면 되므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수거접이선(2287)은 다양한 구조에 의해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선이거나 접힘을 위해 명시적으로 면에 형성된 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같이 제2 연결구조(2280,2285)의 지퍼의 제1 라인이 수거접이선(2287)이 되거나, 접힘을 위해 일정 깊이 눌려 새겨진 접힘선이 수거접이선이 될 수 있다. 또는 상자의 측면부가 사선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측면에 덧붙인 덧붙입부의 사선방향의 모서리가 수거접이선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에 바깥에서 상자 안쪽으로 힘을 가하면 도 25와 같이 수거접이선(2287)을 따라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각 면의 두 영역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히며, 그에 따라 제4 측면부(2250)도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와 함께 상자 안쪽 방향으로 접힌다. 일 실시 예로, 수거접이선(2287)을 따라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가 상자 안쪽방향으로 접힐 때 두 측면부(2220,2240)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각 높이는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의 바닥부(2210)의 길이의 1/2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수거접이선(2287)을 따라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가 상자 안쪽방향으로 접힐 때 두 측면부(2220,2240)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각 높이는 제1 및 제3 측면부(2220,140) 사이의 바닥부(2210)의 길이의 1/2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포함한 이하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각 면에 하나의 수거접이선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에는 두 개의 수거접이선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의 각 면에는 바닥부(2210)와 맞닿는 두 개의 꼭짓점에서 각각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수거접이선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를 안쪽으로 접을 때 제2 및 제4 측면부(2230,2250)도 함께 상자 안쪽으로 접혀 바닥부(2210)와 포개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두 개의 수거접이선이 존재할 만큼 측면부의 폭이 커질 필요가 있다.
수거접이선(2287)을 따라 접이식 상자(2200)를 상자모드에서 수거모드로 변형할 때 인접한 두 측면부 사이의 연결부의 연결은 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4 측면부(2250)와 이에 인접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 사이의 제2 연결구조(2280,2285)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즉, 지퍼가 채워진 상태)된 채 수거모드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자모드에서 수거모드의 변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자모드와 수거모드 사이의 변형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자모드에서 제2 측면부(2230)를 상자 바깥방향으로 펼치면,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와 제2 측면부(2230) 사이의 모서리영역(2270,2275)의 마주하는 두 영역의 체결수단(2262)은 서로 떨어져 펼쳐진다. 이때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를 수거접이선을 따라 안쪽방향으로 접으면(2630), 제4 측면부(2250)는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와 함께 상자 안쪽방향으로 접히고, 바닥부(2210)와 포개어진다(2620). 즉, 바닥부(2210)와 제2 측면부(2230)가 동일 평면에 펼쳐지고, 바닥부(2210) 위에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와 제4 측면부(2250)가 포개진 상태로 접혀진다. 덮개부(2290,2292)가 존재하면, 덮개부(2290,2292)는 바닥면(2210) 또는 제2 측면부(2230) 위로 접혀 포개질 수 있다(2600,2610). 본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측면부의 접히는 순서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각 측면이 접히는 순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접이식 상자(2200)를 전개모드로 펼쳐서 다시 접을 필요없이 상자모드에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를 상자 안쪽으로 접어 수거모드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수거모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수거모드에서 접이식 상자(2200)는 바닥부(2210)와 제2 측면부(2230)의 크기를 가진 얇은 두께의 사각형 모양으로 변형되므로 보관이나 이송, 수거 등이 편리하다.
반대로 수거모드로 접힌 접이식 상자에서 제2 덮개부(2292)(만약 덮개부가 없다면 제4 측면부(2250))를 들어 올리면 제4 측면부(2250)와 인접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가 함께 세워진다. 상자모드에서 수거모드로 변형할 때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와 제4 측면부(2250) 사이의 연결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므로 제4 측면부(2250)를 세우면 제4 측면부(2250)와 인접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도 함께 세워진다. 그리고 제2 측면부(2230)를 세워 고정하면 상자모드가 된다. 다시 말해, 수거모드(2600)에서 제1 및 제3 측면부(2220,2240)를 일일이 손으로 세울 필요없이 덮개부(2290,2292)(또는 제2 및 제4 측면부(2230,2250))를 양손으로 잡고 세워 용이하게 상자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덮개부는 제2 측면부(2230)에서 연장된 제1 덮개부(2290), 제4 측면부(2250)에서 연장된 제2 덮개부(2292), 날개모양의 제1 플랩부(2294) 및 제2 플랩부(2296)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덮개부(2290)와 제2 덮개부(2292)는 각각 상자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상면의 일부를 각각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덮개부는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덮개부가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덮개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110: 카트리지 120: 공기충전식완충재
122: 공기주입구 124: 공기배출구
130: 공기개폐부

Claims (7)

  1.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공기충전식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는,
    공기주입구;
    공기배출구;
    상기 공기배출구가 밀폐되도록 부착된 공기개폐부; 및
    절취선이 존재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는 상기 카트리지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의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되고, 접혀진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접혀진 상태의 공기충전식완충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에서 상기 카트리지와 맞닿는 면 또는 그 반대 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하면의 일부에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가 부착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공기충전식완충재가 상기 카트리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포장상자의 일측면 내측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는 스티커 영역;
    상기 스티커 영역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의 모서리 밖으로 연장된 일정 길이의 길이연장부; 및
    상기 포장상자의 일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길이연장부의 끝부분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영역은 상기 길이연장부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접혀진 형태로 상기 공기배출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포장상자의 상면 내측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모서리에 움푹 들어간 홈, 가장자리에 뚫린 구멍, 벨크로, 자석 및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KR1020210162608A 2021-11-23 2021-11-23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KR10262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08A KR102626894B1 (ko) 2021-11-23 2021-11-23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08A KR102626894B1 (ko) 2021-11-23 2021-11-23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20A KR20230075920A (ko) 2023-05-31
KR102626894B1 true KR102626894B1 (ko) 2024-01-18

Family

ID=865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608A KR102626894B1 (ko) 2021-11-23 2021-11-23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8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105B2 (ja) * 1988-09-29 1998-04-08 マルハ株式会社 凍結乾燥食品包装体
JP2001158472A (ja) * 1999-12-02 2001-06-12 Shinwa Corporation:Kk エア緩衝材
KR101569318B1 (ko) * 2015-04-23 2015-11-13 (유) 돌 코리아 훈증가스 침투가 용이한 봉투 형태의 과일 포장필름
JP2021134000A (ja) * 2020-02-26 2021-09-13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物流用ボックス及び物流用ボックス収容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105B2 (ja) * 1988-09-29 1998-04-08 マルハ株式会社 凍結乾燥食品包装体
JP2001158472A (ja) * 1999-12-02 2001-06-12 Shinwa Corporation:Kk エア緩衝材
KR101569318B1 (ko) * 2015-04-23 2015-11-13 (유) 돌 코리아 훈증가스 침투가 용이한 봉투 형태의 과일 포장필름
JP2021134000A (ja) * 2020-02-26 2021-09-13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物流用ボックス及び物流用ボックス収容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20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0276T3 (es) Bolsa de pliegues laterales, hecha de un material flexible soldable.
ES2638653T3 (es) Recipiente con tapa resellable
AU761562B2 (en) Collapsible, stackable, self-supporting container
KR100398729B1 (ko) 오프셋 패스너를 갖는 열가소성 백
US3228584A (en) Bags
US20160137335A1 (en) Reusable container
CA2728114C (en) Side gusseted bag
US3344971A (en) Lined box
ES2884057T3 (es) Contenedor para material de construcción
PT934209E (pt) Saco refechavel de por de pe
ES2685843T3 (es) Recipiente con cierre audible seguro
JP2022525043A (ja) 再使用可能な閉鎖システム
US20170001761A1 (en) Expandable adapter for a free-standing bag
KR102626894B1 (ko) 포장박스용 완충장치
ES2954075T3 (es) Filtro de aplicación de recubrimientos industriales con soporte plisado
KR101136527B1 (ko) 삼각형상의 조립식 포장가방
NZ205363A (en) Large collapsible bag with rectangular spout
JP3044618B2 (ja) 袋の開口装置
ES2927359T3 (es) Caja de envío
CN208165461U (zh) 防盗包装盒
US11254051B2 (en) Build material containers
KR102440342B1 (ko) 접이식 상자
CA3070680C (en) Convertible beverage container package having an integrated cooler compartment
GB2066772A (en) Bag with stiffening insert
KR20170003910U (ko) 드론 이동 및 보관용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