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627B1 -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627B1
KR102625627B1 KR1020210031950A KR20210031950A KR102625627B1 KR 102625627 B1 KR102625627 B1 KR 102625627B1 KR 1020210031950 A KR1020210031950 A KR 1020210031950A KR 20210031950 A KR20210031950 A KR 20210031950A KR 102625627 B1 KR102625627 B1 KR 10262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dementia
display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508A (ko
Inventor
최예지
최진아
이준석
신은지
Original Assignee
최예지
최진아
이준석
신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예지, 최진아, 이준석, 신은지 filed Critical 최예지
Priority to KR102021003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6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GPS 수신기 및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문항을 출력하고, 상기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매 위험도를 산출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치매체크 유닛;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마커 이미지 및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제공하는 AR 게임 생성유닛; 사용자의 상기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예방결과를 산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예방결과 생성유닛;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OF PREVENTION DEMENTIA}
본 발명은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두뇌 훈련이 가능한 인지 게임 콘텐츠에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능을 접목한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인구 노령화와 의학 발달로 늘어난 기대수명과 노인 인구증가 추세에 따라 지난해 국내 치매환자수는 약 65만명, 2030년이면 127만명, 2050년 약 270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보건복지부의 자료도 보도된 적이 있다.
또한, 연 12조원에 달하는 치매환자의 경제적 비용과 수발부담 증가로 간병 살인·자살·독신 문제가 매번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니어의 치매에 의한 사회적 문제를 미리 예방하기 위하여 인지훈련(cognitive training)이 제안되어 왔는데 인지훈련은 지속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신경조절 기능을 향상시키고 정보처리 정확성과 속도를 증가시켜 인지기능을 회복 및 증진시키는 중재로서 집중력, 기억력, 수행기능 등 각 영역을 훈련시켜 인지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훈련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인지훈련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을 통하여 치매를 예방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며, 치매환자에게 규칙적인 운동은 뇌 대상의 활성화와 뇌혈류 및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증가시켜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체력을 발달시키며 위장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며 심리적으로 진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니어들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으나, 시니어의 디지털 컨텐츠의 진입장벽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치매 예방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1326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증강현실과 기능성 게임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치매예방 컨텐츠를 제공하는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GPS 및 AR 컨텐츠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GPS 수신기 및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문항을 출력하고, 상기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매 위험도를 산출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치매체크 유닛;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마커 이미지 및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제공하는 AR 게임 생성유닛; 사용자의 상기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예방결과를 산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예방결과 생성유닛;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꽃 아이템을 지급하는 보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치매체크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고, 상기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에 대한 답변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사용자의 치매체크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AR 게임 생성유닛은, 상기 카메라가 실내에 배치된 마커를 인식하면, 상기 마커와 대응되는 AR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실내게임 생성부; 및 상기 카메라가 실외 영상을 획득하는 동안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영상에 미리 저장된 AR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실외게임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AR 게임 생성유닛은, 상기 GPS 수신기의 수신신호 감도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내의 사물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게임 생성부 및 상기 실외게임 생성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마커를 인식하면 상기 실내게임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AR 게임의 설명, 치매 예방 기능 및 게임 방법을 소개하는 UI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게임시작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AR 게임이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가 실외의 특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상기 실외게임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실사 화면에 상기 특정 위치의 GPS 데이터를 갖는 오브젝트를 함께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상기 AR 게임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는, 시니어 세대에게 기술적 다양성을 제공하고 나아가 치매예방 컨텐츠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훈련 및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종래 대비 효과적인 치매예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사람들과 공통의 테스크(Task)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버 세대의 사회성 강화 및 게임을 통한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 중 컨텐츠 제공모듈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실행되는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치매체크 유닛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AR 게임 생성유닛의 실내게임 생성부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AR 게임 생성유닛의 실외게임 생성부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예방결과 생성유닛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보상유닛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 카메라(20), GPS 수신기(30) 및 컨텐츠 제공모듈(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컨텐츠 제공모듈(40)은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체크 유닛(100), AR 게임 생성유닛(200), 예방결과 생성유닛(300) 및 보상유닛(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모듈(4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면이 실행되는데, 이러한 초기화면의 배경색상의 경우 시니어의 경우 시각 기능의 노화로 인하여 빛의 스펙트럼의 상위대인 노랑, 주황 및 빨강의 색채를 상대적으로 잘 식별하는 점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기화면에는 상술한 치매체크 유닛(100)의 실행을 위한 “치매체크” 아이콘, AR 게임 생성유닛(200)의 실행을 위한 “오늘의 여행” 아이콘, 예방결과 생성유닛(300)의 실행을 위한 “예방결과” 아이콘 및 보상유닛(400)의 실행을 위한 “마음의 정원”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초기화면에서 “치매체크”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치매체크 유닛(1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상에 치매 자가진단을 위한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치매체크 유닛(100)은 도 4(a)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도 4(b) 및 도 4(c)와 같이 화면에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을 출력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문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며, 모든 문항에 대한 답변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매체크 결과를 디스플레이(10) 상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초기화면에서 “오늘의 여행”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AR 게임 생성유닛(200)이 실행되는데, 이러한 AR 게임 생성유닛(200)은 카메라(20)를 통하여 획득된 마커 이미지 및 GPS 수신기(30)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0) 상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AR 게임 생성유닛(200)은 마커 인식 기반의 인지 게임이 실행하는 실내게임 생성부 및 위치정보 기반의 인지 게임이 실행되는 실외게임 생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게임 생성부는 실내에 배치된 카드 내의 마커 인식에 기초하여 인지 게임을 실행시키는데, 카메라(20)가 도 5(a)에 도시된 카드를 인식하면, 마커와 대응되는 AR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20)를 통하여 실내에 배치된 카드의 마커를 인식하면 실내게임 생성부는 디스플레이(10)에 인지 게임의 설명, 치매 예방 기능 및 게임 방법을 소개하는 UI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에 출력된 게임시작 아이콘을 터치하면 인지 게임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카드는 컨텐츠명, 마커, 컨텐츠의 난이도 및 컨텐츠의 소개 및 간단한 이용 방법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으며, 인지 게임의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실외게임 생성부는 카메라(20)가 실외 영상을 획득하는 동안 GPS 수신기(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영상에 미리 저장된 AR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디스플레이(1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실외의 특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실외게임 생성부는 디스플레이(10) 상에 카메라(20)를 통하여 획득된 실사 화면에 특정 위치의 GPS 데이터를 갖는 오브젝트를 함께 출력하고,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AR 인지 게임이 실행된다.
한편 상술한 실내게임 생성부 및 실외게임 생성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지 게임의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사칙연산 문제를 생성하여 이에 대한 정답을 맞추는 게임인 “수학나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주어진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맞추는 게임인 “그림나라”와 일반 상식 문제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정답을 맞추는 게임인 “상식나라” 등이 있으며, 나아가 플레이어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랜덤으로 생시는 브랜치(Branch)를 충돌시켜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되는 “집중나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AR 게임 생성유닛(200)은, GPS 수신기(30)의 수신신호 감도에 기초하여 실내게임 생성부 및 실외게임 생성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장치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 내의 사물들의 종류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또는 실외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실내게임 생성부 또는 실외게임 생성부를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2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 내에 차량, 나무, 신호등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컨텐츠 제공모듈(40)은 차량, 나무 및 신호등은 실외에 있는 사물이므로 현재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실외게임 생성부만을 활성화시킨다.
반대로, 카메라(2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 내에 건물 내부의 벽면, 칠판, 각종 가전제품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컨텐츠 제공모듈(40)은 이러한 사물들은 실내에 있는 사물이므로 현재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실내게임 생성부만을 활성화시킨다.
나아가 상술한 GPS 수신기(30)의 수신감도 및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 내의 사물들의 종류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시니어들은 AR 게임 생성유닛(200)을 통한 인지 게임의 실행을 위하여 실내를 움직여서 마커가 포함된 카드를 찾아 움직이거나 또는 실외에서 AR 컨텐츠 발생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신체활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지능력 향상 및 건강 유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인지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뇌기능 훈련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뇌의 활성화를 통하여 치매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예방결과 생성유닛(300)은 사용자의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매예방결과를 산출한 후 디스플레이(1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지 게임을 통하여 향상된 두뇌의 영역, 즉 이해력, 기억력, 사고력, 통합력, 관찰력 등의 항목이 어느정도 향상되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상유닛(400)은 사용자의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보상을 지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게임의 수행결과에 의한 보상으로 각종 꽃 아이템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꽃들을 배열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만의 정원을 꾸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치매예방 컨텐츠의 자발적인 활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정원을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의 사회성 강화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치매체크 유닛
200: AR 게임 생성유닛
300: 예방결과 생성유닛
400: 보상유닛

Claims (5)

  1. 디스플레이, 카메라, GPS 수신기 및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문항을 출력하고, 상기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매 위험도를 산출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치매체크 유닛;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마커 이미지 및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제공하는 AR 게임 생성유닛;
    사용자의 상기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매예방결과를 산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예방결과 생성유닛;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AR 게임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꽃 아이템을 지급하는 보상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치매체크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고, 상기 치매체크를 위한 문항에 대한 답변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사용자의 치매체크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AR 게임 생성유닛은,
    상기 카메라가 실내에 배치된 마커를 인식하면, 상기 마커와 대응되는 AR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실내게임 생성부; 및
    상기 카메라가 실외 영상을 획득하는 동안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 영상에 미리 저장된 AR 컨텐츠를 포함하는 AR 게임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실외게임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AR 게임 생성유닛은,
    상기 GPS 수신기의 수신신호 감도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내의 사물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게임 생성부 및 상기 실외게임 생성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마커를 인식하면 상기 실내게임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AR 게임의 설명, 치매 예방 기능 및 게임 방법을 소개하는 UI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게임시작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AR 게임이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가 실외의 특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상기 실외게임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실사 화면에 상기 특정 위치의 GPS 데이터를 갖는 오브젝트를 함께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상기 AR 게임이 실행되는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1950A 2021-03-11 2021-03-11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KR10262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950A KR102625627B1 (ko) 2021-03-11 2021-03-11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950A KR102625627B1 (ko) 2021-03-11 2021-03-11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508A KR20220128508A (ko) 2022-09-21
KR102625627B1 true KR102625627B1 (ko) 2024-01-18

Family

ID=8345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950A KR102625627B1 (ko) 2021-03-11 2021-03-11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6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23B1 (ko) * 2017-10-25 2018-09-07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빅데이터 기반 노인성 치매 솔루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08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에이치투에스엔씨 위치기반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KR101935876B1 (ko) * 2017-04-27 2019-01-07 (주)에프앤아이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치매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한 가상현실 제공 장치
KR102213268B1 (ko) 2020-10-08 2021-02-05 주식회사 조은에듀테크 치매 예방을 위한 드론 활용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23B1 (ko) * 2017-10-25 2018-09-07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빅데이터 기반 노인성 치매 솔루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508A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fli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n interactive exercise coaching system for older adults: lessons learned
Lu et al.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enhance children’s learning in marine education
Gaggi et al. Serious games for early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dyslexia
McLaughlin et al. Putting fun into video games for older adults
Van Elk et al. Priming of supernatural agent concepts and agency detection
Lindgren Generating a learning stance through perspective-taking in a virtual environment
Fanfarelli et al. Adapting UX to the design of healthcare games and applications
Mitchell et al. Playing at apocalypse: Reading Plague Inc. in pandemic culture
US202300924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judging whether to allow a mobile medium to move within a virtual space
Tabbaa et al. A reflection on virtual reality design for psycholog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design need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102077607B1 (ko) 환자처치실습을 위한 증강현실구현방법
Young et al. ARmatika: 3D game for arithmetic learning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Lee et al. A broad view of wearables as learning technologies: Current and emerging applications
Postolache et al. Serious games based on kinect and leap motion controller for upper limbs physical rehabilitation
Itzhak et al. An individualized and adaptive game-based therapy for cerebral visual impairment: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rank et al. Motor imagery during action observation in virtual reality: the impact of watching myself performing at a level I have not yet achieved
Radhakrishnan et al. Usability testing of a sensor-controlled digital game to engage older adults with heart failure in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monitoring
Hodhod et al. Adaptive augmented reality serious game to foster problem solving skills
KR102625627B1 (ko) 시니어 맞춤형 치매예방 컨텐츠 제공장치
Phutela et al. Unlock me: a real-world driven smartphone game to stimulate COVID-19 awareness
Smeddinck Games for health
KR102138639B1 (ko) 치매환자용 복합 인지재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iegel et al. Youth and Augmented Reality
RU2012148879A (ru) Способ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рекламных и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ообщений в сети интернет
Niknam et al. An augmented reality mobile game design to enhance spatial memory in elderly with dement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