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399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399B1
KR102625399B1 KR1020180105605A KR20180105605A KR102625399B1 KR 102625399 B1 KR102625399 B1 KR 102625399B1 KR 1020180105605 A KR1020180105605 A KR 1020180105605A KR 20180105605 A KR20180105605 A KR 20180105605A KR 102625399 B1 KR102625399 B1 KR 10262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received
unit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376A (ko
Inventor
박대선
최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3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 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단말 장착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표시부; 및 단말 장착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의 측면 및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측면 및 후방에 관한 시야 확보는 차량의 주행 상황 또는 주차 상황에서 사각지대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 차량은 사이드 미러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에 관한 시각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편, 사이드 미러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로 사이드 카메라가 각광받고 있다. 사이드 미러보다 소형화가 가능해 공기역학 측면에서 자동차의 연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자동차의 사각지대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이드 카메라는 자동차의 사이드에 장착되어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한 영상을 자동차 내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일 측면은 차량 주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 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단말 장착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표시부; 및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착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상기 차량을 기준으로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착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단말 장착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와 통신하고; 및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로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착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상기 차량을 기준으로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고장 상태일 때에도 사용자에게 차량 주위에 대한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그릴(23) 및 운전자에게 차량(100) 측방 및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11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 주위 카메라 모듈(110), 단말 장착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통신부(150),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차량(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량 주위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차량 주위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10)은 차량(100)의 사이드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과 같이, 카메라 모듈(110)은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10)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위치(도 1의 18, 19)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카메라 모듈(110)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차량(100)의 도어(14)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카메라 모듈(110)은 차량(100)의 후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획득된 차량 주위의 영상은 후술할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고, 후술할 표시부(1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가 손상되거나 오염이 발생하는 등 차량 주위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상황, 즉 카메라 모듈(110)이 고장 상태인 경우, 후술할 제어부(130)에 고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제공하는 시야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하나 이상의 영역(140a, 140b)로 구별할 수 있고, 각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제 1 영역(140a)에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영역(140b)에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차량(100)의 클러스터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140)가 클러스터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는 고개를 돌리지 않고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4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40)는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좌측 후방 영상 및 우측 후방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차량(10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차량(100)의 내부 중 운전자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조향 휠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표시부(140c)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표시부(140c)는 운전자가 일반적인 차량의 좌측 사이드 미러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표시부(140c)는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조향 휠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 2 표시부(140d)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표시부(140d)는 운전자가 일반적인 차량의 우측 사이드 미러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표시부(140d)는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표시부(140)가 위치할 수 있는 위치 및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 3a 내지 도 3d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도 3a 내지 도 3d에서 나타난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용될 수 있다.
단말 장착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착부(120)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크래들(cradle)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착부(120)는 차량(100)의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1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단말 장착부(120)는 일반적인 차량에 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위치(18)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착부(120)에 의해 카메라 모듈(110)의 주변에 거치되는 사용자 단말(200)은 내장된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차량(100) 주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착부(120)에 의해 차량(100)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200)이 획득한 차량 주위 영상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영상일 수 있고, 이러한 영상은 카메라 모듈(110)이 획득하는 영상과 동일한 시야를 제공하는 영상일 수 있다.
도 4는 단말 장착부(120)가 외부로 노출된 노출형 크래들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단말 장착부(1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노출형 크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착부(120)는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를 통하여 크래들 덮개를 개방하는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거나 사용자가 크래들 덮개를 누르는 경우에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착부(120)는 크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치할 사용자 단말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단말 장착부(1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 장착부(12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연결단자와 연결됨으로써 거치될 수 있고, 차량(100)과 유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 다양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연결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부(150)가 서로 호환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부(150) 사이에서 주고 받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서버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로부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표시부(140)에 표시될 차량 주위 영상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0)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표시부(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입력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100) 내부의 다양한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이 단말 장착부(120)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말 장착부(12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장착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 장착부(120)에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듈(110)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 장착부(120)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듈(110)이 고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듈(110)에 대한 고장 신호를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10)이 고장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듈(110)이 차량(100)의 주위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없거나 획득되더라도 타차량의 인식이 불가능한 등으로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없는 경우에 카메라 모듈(110)에 대한 고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듈(110)에 대한 고장 신호를 생성하고, 카메라 모듈(110)이 고장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이 고장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단말 장착부(120)에 사용자 단말(200)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로 마련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착부(120)에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고,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100)과 호환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100) 사이에서 주고 받는 신호를 의미한다.
단말 장착부(120)에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00)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100)과 호환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서버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서버로부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된 단말 장착부(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된 단말 장착부(120)의 위치가 좌측인 경우, 제어부(130)는 좌측 단말 장착부(12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장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차량을 기준으로 좌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이 좌측 후방 영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된 단말 장착부(120)의 위치가 우측인 경우, 제어부(130)는 우측 단말 장착부(12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장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차량을 기준으로 우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에서 차량(100)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차량(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차량(100)을 기준으로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에서 식별된 차량(100)의 위치가 타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차량(200)을 기준으로 좌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이 좌측 후방 영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에서 식별된 차량(100)의 위치가 타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차량(200)을 기준으로 우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이 우측 후방 영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하면, 제어부(130)는 판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좌측 후방 영상인 것으로 판단된 차량 주위 영상은 좌측 영상임을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우측 후방 영상인 것으로 판단된 차량 주위 영상은 우측 영상임을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표시함으로써, 처리되는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포함하는 차량 주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된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포함하는 차량 주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60)를 통해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입력된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된 설정값이 되도록 영상 처리를 할 수 있고, 영상 처리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설정에 맞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고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01). 이 때, 고장 신호는 렌즈가 손상되거나 오염이 발생하는 등 차량 주위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상황 및 시각 정보가 획득되더라도 타차량의 인식이 불가능한 등으로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없는 경우에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고장 신호는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생성되거나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02).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단말 장착부(12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장착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 장착부(120)에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03). 이 때, 연결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100)과 호환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100) 사이에서 주고 받는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303의 예),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305). 이 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차량(100)의 주위 영상이며,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모듈(110)이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 획득하는 영상과 동일한 시야를 제공하는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303의 아니오), 차량(100)은 서버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306), 서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307). 이 때,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차량(100)의 차량(100)의 주위 영상이며,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한 영상이며, 카메라 모듈(110)이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 획득하는 영상과 동일한 시야를 제공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후, 차량(100)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주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308).
이 때, 차량(100)은 수신된 차량(100)의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이 장착된 단말 장착부(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은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0)은 수신한 차량 주위 영상에서 차량(100)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차량(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차량(100)을 기준으로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0)은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표시함으로써, 처리되는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촬영한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10)이 고장 상태일 때에도 사용자에게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카메라 모듈
120: 단말 장착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통신부
160: 입력부

Claims (22)

  1. 사용자 단말을 거치할 수 있는 단말 장착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표시부; 및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한 영상인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는 차량.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제공하는 차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착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에 위치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상기 차량을 기준으로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12. 단말 장착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서버와 통신하고; 및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로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한 영상인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단말 장착부에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주위 영상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단말 장착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장착하라는 안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착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에 위치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방향이 상기 차량을 기준으로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으로부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타차량의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105605A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62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05A KR102625399B1 (ko)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05A KR102625399B1 (ko)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76A KR20200027376A (ko) 2020-03-12
KR102625399B1 true KR102625399B1 (ko) 2024-01-17

Family

ID=6980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05A KR102625399B1 (ko)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3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89A (ko) * 2014-03-31 2015-10-08 팅크웨어(주)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16212A (ko) * 2014-08-04 2016-02-15 지에스엠비즈 주식회사 자가점검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녹화장치
KR102224995B1 (ko) * 2014-10-28 2021-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사각지대 정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93499A (ko) * 2016-02-05 2017-08-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35512B1 (ko) * 2016-11-03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76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6955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137833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47044B1 (en) Mobile terminal operating system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vehicle, and operating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CN109131217B (zh) 车辆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90212732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KR101020948B1 (ko) 차량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9919598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60334B1 (ko)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02732A1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9669783B2 (en) Vehicle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235879B2 (en) Notification system of a ca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20170025179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878811B1 (ko)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98216A (ko) 전자장치
CN111200585B (zh) 车辆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2020005597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1243314A (zh) 信息提供系统、服务器、移动终端、非暂时性存储介质和信息提供方法
KR10262539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050981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98471A1 (en) Terminal, a vehicle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KR10183741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7113A (ko) 재난 정보 제공 서버 및 무선 접속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7281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10076406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