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889B1 -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889B1
KR102624889B1 KR1020210168487A KR20210168487A KR102624889B1 KR 102624889 B1 KR102624889 B1 KR 102624889B1 KR 1020210168487 A KR1020210168487 A KR 1020210168487A KR 20210168487 A KR20210168487 A KR 20210168487A KR 102624889 B1 KR102624889 B1 KR 10262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ft
ligand
binding domain
taste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0915A (ko
Inventor
박태현
고휘진
차연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리셉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리셉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889B1/ko
Priority to PCT/KR2022/001896 priority patent/WO2023101100A1/ko
Publication of KR2023008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with ligand physically entrapped within the sol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hormones
    • C07K14/723G protein coupled receptor, e.g. TSHR-thyrotropin-receptor, LH/hCG receptor, FSH recep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2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hormones
    • G01N2333/726G protein coupled receptor, e.g. TSHR-thyrotropin-receptor, LH/hCG receptor, F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단맛 수용체 T1R2 VFT(Venus fly trap)로 이루어진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맛 물질을 처리한 후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수준으로 생산된 T1R2 VFT를 활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인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통해 단맛 물질의 용량의존적(dose-dependent) 및 선별적(selective) 기능성을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Ligand efficacy analysis method for taste substances of ligand binding domain of human sweet receptor using tryptophan fluorescence assay}
본 발명은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맛은 음식의 기호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몸에 필요한 영양소 및 해로운 물질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 인간이 느끼는 다섯 가지 기본적인 맛 중 단맛은 주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을 인식하게 해주어 체내 열량 섭취를 조절과 음식 선호도에 기여한다. 하지만 현대인의 당류 과잉 섭취에 의한 비만, 당뇨 등의 질환과의 연관성이 주목을 받으며, 단맛의 설탕 대체물질 또는 단맛 개선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따라서 단맛의 측정은 식품, 음료 및 제약 업계 등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맛을 측정하는 기존의 대표적인 방법인 관능검사(sensory evaluation)는 패널이 맛을 느꼈을 때의 감정의 정보도 제공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개인마다 맛에 대한 감도가 다르기에 객관성과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단맛의 객관적인 측정을 위한 방법들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의 사용이나 전자 혀(electronic tongue)의 개발이 되었지만, 모두 단맛을 이루는 구성성분을 파악할 수 있지만, 실제 인간의 혀에서 느끼는 맛의 정도를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과 그 한계가 지적되어 왔다. 최근 인간 미각의 모사를 통한 맛의 측정 및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간 혀에서 단맛을 감지하는데 기여하는 생체 재료의 활용이 주목을 끌고 있다.
Class C GPCR인 단맛 수용체는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bacterial expression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의 대안으로 단맛 주요 리간드 결합 부위로 알려진 T1R2 VFT를 생산하고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 분석을 통해 단맛 효능을 분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860097 B1
본 발명은 인간 단맛 수용체의 T1R2 VFT의 다양한 단맛 물질에 대한 용량의존적(dose-dependent) 및 선별적(selective) 기능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단맛 수용체의 T1R2 VFT가 인간의 단맛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재료로 추후 다양한 분석 방법 또는 바이오센서를 동원하여 인간의 미각을 모사하는 맛 물질의 객관적 측정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간 단맛 수용체 T1R2 VFT(Venus fly trap)로 이루어진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맛 물질을 처리한 후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인간 단맛 수용체의 T1R2 VFT를 인간의 단맛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재료로 사용하는 단맛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수준으로 생산된 T1R2 VFT를 활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인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통해 단맛 물질의 용량의존적(dose-dependent) 및 선별적(selective) 기능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맛 수용체의 T1R2 VFT는 인간의 단맛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재료로 추후 다양한 분석 방법 또는 바이오센서를 동원하여 인간의 미각을 모사한 맛 물질의 객관적 측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1R2 VFT를 포함한 pET-DEST 42 벡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1R2 VFT의 발현, 가용화 및 정제 후 SDS-PAGE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1R2 VFT 단백질의 정제 후 SDS-PAGE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1R2 VFT의 재접힘(refolding) 후 SDS-PAGE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농도의 단맛 물질(천연 감미료)에 대한 T1R2 VFT의 트립토판 형광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농도의 단맛 물질(인공 감미료)에 대한 T1R2 VFT의 트립토판 형광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맛 물질(맛 분자)에 대한 T1R2 VFT의 트립토판 형광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단맛 수용체”는 T1R2과 T1R3가 이종이합체상태(heterodimer)로 존재하는 Class C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rotein coupled receptor, GPCR)를 의미한다. T1R2(TAS1R2) 및 T1R3(TAS1R3)는 N-말단 부분인 비너스 플라이트랩(Venus fly trap, VFT) 영역과, 막관통 영역, 및 VFT 영역과 막관통 영역을 연결하는 시스테인-풍부 도메인(CRD)으로 구성되어 있다. T1R2 서브유닛의 VFT는 수크로스, 포도당 및 사카린과 같은 가장 단맛 물질에 대한 결합 부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간 단맛 수용체 T1R2 VFT(Venus fly trap)로 이루어진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맛 물질을 처리한 후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ligand binding domain)은 인간 단맛 수용체 T1R2의 VFT(Venus fly trap)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간 단맛 수용체 T1R2의 VFT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1번째 내지 20번째 아미노산 서열이 제거된 서열, 즉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21번째 내지 472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간 단맛 수용체 T1R2 VFT(Venus fly trap) 유전자를 인간 게놈 DNA의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으로 증폭시킨 후 박테리아 발현 벡터에 클로닝시킨 다음 E. coli 균주를 형질전환하고 형질전환된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T1R2 VFT 유전자의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과 단맛 리간드를 포함하는 시료를 첨가하면 단맛 리간드가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함에 따라 수용체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한다. 단백질 내 트립토판 잔기는 약 350 nm의 방출 파장에서 고유 형광을 나타낸다. 리간드가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함에 따라 발생한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에 의해 고유 형광이 소멸된다. 즉, 단맛 리간드를 포함하는 시료에 의한 T1R2 VFT의 자극은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분석하여 물질의 단맛 효능을 분석하였다.
상기 단맛 리간드는 천연감미료 또는 인공감미료에서 유래할 수 있다. 일 례로 수크로스(Sucrose), 글루코스(Glucose), 프럭토스(Fructose), 스테비오시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AcesulfameK, 사카린,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네오탐(Neotam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서 유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수준으로 생산된 T1R2 VFT를 활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인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통해 단맛 물질의 용량의존적(dose-dependent) 및 선별적(selective) 기능성을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맛 수용체의 T1R2 VFT는 인간의 단맛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재료로 추후 다양한 분석 방법 또는 바이오센서를 동원하여 인간의 미각을 모사한 맛 물질의 객관적 측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인간 단맛 수용체의 T1R2 VFT를 인간의 단맛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재료로 사용하는 단맛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간 단맛 수용체 T1R2 VFT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21번째 내지 472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의 준비
인간 cDNA, pCMV6-ENTRY-hTAS1R2는 Origene(미국)에서 구입하였다. 99% 순도의 반도체 단일벽 CNT를 NanoIngetris(캐나다)에서 구입하여 받은 그대로 사용했다.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스테비오시드, 아스파탐, 아세설팜K, 사카린, 수크랄로스 및 네오탐, 소듐 시클라메이트, 셀로비오스, 글루타민산일나트륨, denatonium benzoate은 Sigma-Aldrich(미국)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1. T1R2 VFT 유전자 클로닝, 발현 및 정제
1-1. T1R2 VFT 유전자 클로닝
신호 펩티드(아미노산 1-20개)가 결실된 T1R2 VFT 유전자를 프라이머(5' CAC CAG GAG ATA TAC ATA TGG CTG AGA ACT CG 3', 5' GAC ATA GGG ATC GTG TTG 3')를 사용하여 인간 게놈 DNA의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으로 증폭시켰다. 증폭된 PCR 산물을 지향성 TOPO 클로닝으로 pENTR 벡터에 삽입한 후, C-말단 다클로닝 부위(Multi cloning site, MCS)에 6xHis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pET-DEST 42 박테리아 발현 벡터에 클로닝시켰다. 상기 pET-DEST 42 박테리아 발현 벡터의 구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1과 같다:
Sense primer CAC CAG GAG ATA TAC ATA TGG CTG AGA ACT CG
Anti-sense primer GAC ATA GGG ATC GTG TTG
1-2. T1R2 VFT의 발현, 가용화 및 정제
상기 pET-DEST 42 박테리아 발현 벡터를 E. coli RosettaTM(DE3) 균주에 형질전환시킨 후, 50㎍/Ml의 암피실린을 첨가한 LB(Luria-Broth) 배지에서 37℃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OD600 값dl 0.5이 될 때까지 성장시킨 후, 0.5mM 이소프로필 β-D-티오갈락토사이드(IPTG)를 사용하여 T1R2 VFT 발현을 유도하였다. 세포를 4시간 동안 배양하고 원심분리(7000g, 20분, 4℃)에 의해 수확한 후 얻어진 펠렛을 2mM EDTA(pH 8.0)를 포함하는 인산완충식염수(PBS)에 재현탁하고 초음파 처리(5초 켜기/끄기, 25% 진폭, 5분)로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샘플을 원심분리(12000g, 30분, 4℃)에 의해 수집하였다. 상기 T1R2 VFT의 발현을 SDS-PAGE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T1R2 VFT를 포함하는 불용성 분획을 30℃에서 밤새 가용화 완충액(0.1M Tris-HCl, 20mM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100mM 디티오트레이톨(DTT), 1mM EDTA, pH 8.0) 중에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된 샘플을 원심분리(12000g, 30분, 30℃)하고 수집하였다. 샘플을 14킬로달톤 분자량 컷오프(MWCO)의 MEMBRA-CEL® 투석막(Viskase)을 사용하여 투석 완충액(0.1M 인산나트륨, 10mM SDS, pH 8.0) 중에서 투석하였다. 투석된 샘플을 0.45μm 바틀탑 필터(Thermo Fisher Scientific)로 여과한 후, 샘플을 결합 완충액(0.1M 인산나트륨, 10mM SDS, pH 8.0)으로 평형화된 5ml HisTrap 친화성 컬럼(GE Healthcare)에 로딩하였다. 그런 다음 컬럼을 세척 완충액(0.1M 인산나트륨, 10mM SDS, pH 7.0)으로 점차적으로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T1R2 VFT를 용리 완충액(0.1M 인산나트륨, 10mM SDS, pH 6.0)으로 용출하고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8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T1R2 VFT의 가용화 및 정제를 SDS-PAGE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겔 염색 및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 54 kDa에서 밴드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온라인 ExPASy 생물정보학 도구에 의해 계산된 T1R2 VFT의 분자량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과는 T1R2 VFT가 성공적으로 과발현되고 정제되었음을 나타낸다.
1-3. T1R2 VFT의 재접힘(refolding)
상기 T1R2 VFT의 접힘(folding)을 재현하기 위해 0.5 mg/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실온에서 14킬로달톤 MWCO의 MEMBRA-CEL® 투석막(Viskase)을 사용하여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HEPES) 완충액 I (20 mM HEPES, 10 mM SDS, 0.5 mM EDTA, pH 8.0) 중에서 투석하였다. 그 다음 투석 완충액을 실온에서 HEPES 완충액 II(20mM HEPES, 5mM SDS, 0.5mM EDTA, pH 7.5)으로 변경하였다. 그 다음, 완충액을 실온에서 HEPES 완충액 III(20mM HEPES, 3mM SDS, 0.5mM EDTA, pH 7.5)로 교체하였다. 10mM의 메틸-β-시클로덱스트린을 투석된 단백질 시료에 첨가하고 4℃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된 샘플을 4℃에서 리폴딩 완충액(20mM HEPES, 1mM EDTA 및 150mM NaCl, pH 7.5)으로 최종적으로 투석시켜 refolding되도록 하였다. SDS-PAGE 및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refolding 결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트립토판 형광 분석
재접힘된 T1R2 VFT의 리간드 결합 기능을 LS 55 발광 분광계(Perkin Elmer)를 사용하는 트립토판 형광 소광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T1R2 VFT의 고유한 트립토판 형광을 290 nm에서 여기 및 350 nm에서 방출로 측정하였다.
상대 형광 강도를 하기 식 1으로 산출하였다:
[식 1]
F/F 0 (%) = [(F 0 - F)/F 0 ] X 100)으로 산출하였다.
F 0 F 는 각각 미각 분자 처리 전과 후의 T1R2 VFT의 형광 강도를 나타낸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다양한 맛 물질에 대한 T1R2 VFT의 기능을 트립토판 형광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시료 비고
수크로스(Sucrose) 단맛(천연감미료)
글루코스(Glucose) 단맛(천연감미료)
프럭토스(Fructose) 단맛(천연감미료)
스테비오시드(Stevioside) 단맛(인공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 단맛(인공감미료)
아세설팜K(AcesulfameK) 단맛(인공감미료)
사카린(Saccharin) 단맛(인공감미료)
수크랄로스(Sucralose) 단맛(인공감미료)
네오탐(Neotame) 단맛(인공감미료)
소듐 시클라메이트(Sodium cyclamate) 단맛(인공감미료)
셀로비오스(Cellobiose) 무 맛(tasteless)의 환원당
글루타민산일나트륨(L-Glutamic acid monosodium salt monohydrate, MSG) 감칠맛
Denatonium benzoate 쓴맛
2-1.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재접힘(refolding)된 T1R2 VFT의 다양한 단맛 물질에 대한 용량의존적(dose-dependent) 기능성 검증
상기 표 2에 기재된 천연감미료와 인공감미료에 대하여 다양한 농도에서 T1R2 VFT의 기능을 트립토판 형광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도가 높을수록 정규화된 형광 강도(Normalized fluorescence intensity)가 증가하였다.
다양한 단맛 물질이 재접힘(refolding)된 T1R2 VFT에 결합하면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여 트립토판 형광 소광의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재접힘(refolding)된 T1R2 VFT은 다양한 단맛 물질에 대하여 용량의존적(dose-dependent) 기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2-2.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재접힘(refolding)된 T1R2 VFT의 다양한 맛 물질에 대한 선별적(selective) 기능성 검증
상기 표 2에 기재된 맛 물질에 대한 T1R2 VFT의 기능을 트립토판 형광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로비오스(cellobiose), 글루타민산일나트륨(MSG) 및 denatonium benzoate(denatonium, 쓴맛) 도입 시 상대 형광 강도 변화값은 3% 미만인 반면, 천연감미료 및 인공감미료에 대한 상대 형광 강도 변화값은 훨씬 컸다. 특히 인공감미료에 대한 상대 형광 강도 변화값은 7%를 초과하였다. 그리고 T1R3의 막횡단 도메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공 감미료인 시클라메이트(cyclamate)를 사용하여 유의미한 형광 변화가 감지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재접힘(refolding)된 T1R2 VFT은 단맛 물질을 선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Ligand efficacy analysis method for taste substances of ligand binding domain of human sweet receptor using tryptophan fluorescence assay <130> DP21060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7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 <400> 1 Met Ala Glu Asn Ser Asp Phe Tyr Leu Pro Gly Asp Tyr Leu Leu Gly 1 5 10 15 Gly Leu Phe Ser Leu His Ala Asn Met Lys Gly Ile Val His Leu Asn 20 25 30 Phe Leu Gln Val Pro Met Cys Lys Glu Tyr Glu Val Lys Val Ile Gly 35 40 45 Tyr Asn Leu Met Gln Ala Met Arg Phe Ala Val Glu Glu Ile Asn Asn 50 55 60 Asp Ser Ser Leu Leu Pro Gly Val Leu Leu Gly Tyr Glu Ile Val Asp 65 70 75 80 Val Cys Tyr Ile Ser Asn Asn Val Gln Pro Val Leu Tyr Phe Leu Ala 85 90 95 His Glu Asp Asn Leu Leu Pro Ile Gln Glu Asp Tyr Ser Asn Tyr Ile 100 105 110 Ser Arg Val Val Ala Val Ile Gly Pro Asp Asn Ser Glu Ser Val Met 115 120 125 Thr Val Ala Asn Phe Leu Ser Leu Phe Leu Leu Pro Gln Ile Thr Tyr 130 135 140 Ser Ala Ile Ser Asp Glu Leu Arg Asp Lys Val Arg Phe Pro Ala Leu 145 150 155 160 Leu Arg Thr Thr Pro Ser Ala Asp His His Ile Glu Ala Met Val Gln 165 170 175 Leu Met Leu His Phe Arg Trp Asn Trp Ile Ile Val Leu Val Ser Ser 180 185 190 Asp Thr Tyr Gly Arg Asp Asn Gly Gln Leu Leu Gly Glu Arg Val Ala 195 200 205 Arg Arg Asp Ile Cys Ile Ala Phe Gln Glu Thr Leu Pro Thr Leu Gln 210 215 220 Pro Asn Gln Asn Met Thr Ser Glu Glu Arg Gln Arg Leu Val Thr Ile 225 230 235 240 Val Asp Lys Leu Gln Gln Ser Thr Ala Arg Val Val Val Val Phe Ser 245 250 255 Pro Asp Leu Thr Leu Tyr His Phe Phe Asn Glu Val Leu Arg Gln Asn 260 265 270 Phe Thr Gly Ala Val Trp Ile Ala Ser Glu Ser Trp Ala Ile Asp Pro 275 280 285 Val Leu His Asn Leu Thr Glu Leu Arg His Leu Gly Thr Phe Leu Gly 290 295 300 Ile Thr Ile Gln Ser Val Pro Ile Pro Gly Phe Ser Glu Phe Arg Glu 305 310 315 320 Trp Gly Pro Gln Ala Gly Pro Pro Pro Leu Ser Arg Thr Ser Gln Ser 325 330 335 Tyr Thr Cys Asn Gln Glu Cys Asp Asn Cys Leu Asn Ala Thr Leu Ser 340 345 350 Phe Asn Thr Ile Leu Arg Leu Ser Gly Glu Arg Val Val Tyr Ser Val 355 360 365 Tyr Ser Ala Val Tyr Ala Val Ala His Ala Leu His Ser Leu Leu Gly 370 375 380 Cys Asp Lys Ser Thr Cys Thr Lys Arg Val Val Tyr Pro Trp Gln Leu 385 390 395 400 Leu Glu Glu Ile Trp Lys Val Asn Phe Thr Leu Leu Asp His Gln Ile 405 410 415 Phe Phe Asp Pro Gln Gly Asp Val Ala Leu His Leu Glu Ile Val Gln 420 425 430 Trp Gln Trp Asp Arg Ser Gln Asn Pro Phe Gln Ser Val Ala Ser Tyr 435 440 445 Tyr Pro Leu Gln Arg Gln Leu Lys Asn Ile Gln Asp Ile Ser Trp His 450 455 460 Thr Ile Asn Asn Thr Ile Pro Met 465 470

Claims (5)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21번째 내지 472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단맛 수용체 T1R2 VFT(Venus fly trap)로 이루어진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맛 물질을 처리한 후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내 트립토판의 형광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는 T1R2 VFT의 고유한 트립토판 형광을 290 nm에서 여기 및 350 nm에서 방출로 측정한 후 상대 형광 강도를 하기 식 1으로 산출하는 것인,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식 1]
    F/F 0 (%) = [(F 0 - F)/F 0 ] X 100)
    (상기 F 0 F 는 각각 미각 분자 처리 전과 후의 T1R2 VFT의 형광 강도를 나타낸다.)
  4.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21번째 내지 472번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단맛 수용체의 T1R2 VFT를 인간의 단맛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재료로 사용하는 단맛 측정방법.
  5. 삭제
KR1020210168487A 2021-11-30 2021-11-30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KR10262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87A KR102624889B1 (ko) 2021-11-30 2021-11-30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PCT/KR2022/001896 WO2023101100A1 (ko) 2021-11-30 2022-02-08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87A KR102624889B1 (ko) 2021-11-30 2021-11-30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15A KR20230080915A (ko) 2023-06-07
KR102624889B1 true KR102624889B1 (ko) 2024-01-15

Family

ID=8661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487A KR102624889B1 (ko) 2021-11-30 2021-11-30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4889B1 (ko)
WO (1) WO202310110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6262A1 (en) * 2006-06-19 2009-11-19 Jay Patrick Slack Nucleic acid, polypeptide and its use
KR101860097B1 (ko) 2016-03-22 2018-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칠맛 수용체의 리간드 바인딩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감칠맛 바이오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6262A1 (en) * 2006-06-19 2009-11-19 Jay Patrick Slack Nucleic acid, polypeptide and its use
KR101860097B1 (ko) 2016-03-22 2018-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칠맛 수용체의 리간드 바인딩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감칠맛 바이오센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I LAFFITTE et al., Wartburg symposium on flavor chemistry & biology, Jun 2016, Eisenach, Germany. 1 p
BELLOIR, C. et al., Scientific Reports, (2021.11.15.), Vol. 11, pp 1-1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15A (ko) 2023-06-07
WO2023101100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zuki et al. The crystal structure of plant ATG12 and its biological implication in autophagy
Franke et al. Rhodopsin mutants that bind but fail to activate transducin
Soroka et al.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NCAM Ig1-2-3 suggest a novel zipper mechanism for homophilic adhesion
Krauspenhaar et al. Crystal Structure of Mistletoe Lectin I fromViscum album
CN104662043B (zh) 用于预防、治疗和诊断炎性病症的方法和化合物
CN109462989A (zh) Hanp-含fc分子缀合物
JP5604782B2 (ja) 受容体再構築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る疾病検査法
Midoro-Horiuti et al. Molecular cloning of the mountain cedar (Juniperus ashei) pollen major allergen, Jun a 1
WO2005097825A2 (en) Bmp-7 variants with improved properties
HU230159B1 (hu) VEGF receptor kimérák alkalmazása vaszkuláris permeabilitással jellemzett szembetegség kezelésére
Otvos Jr et al. Development of a pharmacologically improved peptide agonist of the leptin receptor
US20080108148A1 (en) Human salty taste receptor and methods of modulating salty taste perception
FOUNTOULAKIS et al.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soluble mouse interferon‐γ receptor produced in insect cells
León et al. High-level production of recombinant sulfide-reactive hemoglobin I from Lucina pectinata in Escherichia coli: High yields of fully functional holoprotein synthesis in the BLi5 E. coli strain
AU2009253623B2 (en) A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mutant
KR102624889B1 (ko) 트립토판 형광 분석을 이용한 인간 단맛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맛 물질에 대한 리간드 효능 분석 방법
CN108884135A (zh) 治疗方法以及可用于其中的药剂
KR20220151176A (ko)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심혈관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Béven et al. Ca2+-myristoyl switch and membrane binding of chemically acylated neurocalcins
Ghanavatian et al. Structural features and activity of Brazzein and its mutants upon substitution of a surfaced exposed alanine
Khorchid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Escherichia coli sensor histidine kinase EnvZ: the periplasmic C-terminal core domain is critical for homodimerization
JP4344928B2 (ja) ヒスタミン受容体h3常活性変異体およびその利用
US7223853B2 (en) Secreted frizzled related protein fragments
CA2491038A1 (en) Dna sequence and preparation of grass pollen allergen phl p4 by recombinant methods
EP1473305B1 (en) Novel glutamate receptor and utiliz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