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540B1 -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540B1
KR102624540B1 KR1020210157259A KR20210157259A KR102624540B1 KR 102624540 B1 KR102624540 B1 KR 102624540B1 KR 1020210157259 A KR1020210157259 A KR 1020210157259A KR 20210157259 A KR20210157259 A KR 20210157259A KR 102624540 B1 KR102624540 B1 KR 102624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housing
eye movement
moun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1878A (ko
Inventor
강현구
박상일
김수강
김영관
문세준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102021015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5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61F2009/0043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후방 측에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본 발명은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송출되는 증강현실영상을 통해 안구 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양안 시기능 훈련이 가능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눈에 피로를 느끼기 쉬운 환경에 노출된 현대인의 경우 안구 기능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안구 운동 훈련의 지속적인 수행이 필요하다.
특히 이미 시기능 이상이 발생한 환자는 안경원, 안과 또는 시기능 훈련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하며, 하루 3회씩 6개월 정도의 장기간동안 반복 훈련을 해야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 및 직장인의 경우 치료 스케줄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증강현실영상을 활용하여 안구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기는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83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가의 증강현실 기기가 아닌 개인이 휴대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간 제약 및 시간 제약 없이 증강현실영상을 통해 안구 운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후방 측에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단말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안면장착유닛 및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키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는 외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단말기 장착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빛의 일정량을 투과시키는 반투과미러가 구비된 제1광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 고정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송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프레넬렌즈가 구비된 제2광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광학유닛 및 상기 제2광학유닛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를 받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각각은 서로 다른 가이드슬릿 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유·소아, 성인 및 노인층 등 안구 운동 훈련이 필요한 대상에게 꾸준히 안구 운동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시기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사용자가 지루함 없이 꾸준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구 피로감, 건성 안 및 가성근시 등과 같은 안과적 질환을 예방하도록 함에 따라 시기능 향상을 통한 안구 보건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에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10), 단말기 고정부(15) 및 측면커버(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11)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에는 사용자의 두부 상측을 감싸는 상부 스트랩을 연결하는 스트랩 고정돌기(14)가 형성되며,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상부 스트랩과 함께 사용자의 두부 측부를 감싸는 측부 스트랩을 연결하는 고정링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후방 측에는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투시홀(12)과,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 삽입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고정부(15)는 하우징(10)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고정부(15)는 모바일 단말기(M)의 하부 및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단말기 고정부(15)의 형태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코 삽입홀(13)에 코를 삽입한 상태로 투시홀(12)의 내측에 시선을 둘 경우, 단말기 고정부(15)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를 바라볼 수 있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증강현실영상을 송출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안구 운동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고정부(15)는 모바일 단말기(M)의 하부 및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만을 지지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모바일 단말기(M)의 카메라는 전방 측으로 노출되어 증강현실영상 송출을 위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0)의 일측면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커버(20)를 더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하우징(10) 내부에 기타 광학기기들을 구비할 경우 이들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하우징(10)의 세척 등과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평행사변형 형태를 가지며, 측면커버(20) 역시 이에 대응되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일측부는 측면커버(20)를 덮어 끼울 수 있도록 단차부(16)가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예서 측면커버(20)는 단말기 고정부(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기 고정부(15)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변형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110), 안면장착유닛(130) 및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이 개구된 수용공간(105)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세부적으로, 수용공간(105)의 천장을 이루는 상판과, 이와 같은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수용공간(105)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과, 상판 및 하판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측판에는 사용자의 두부에 하우징(1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트랩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안면장착유닛(130)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1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면장착유닛(130)은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사용자 등이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M)를 장착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10)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안면장착유닛(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하우징(11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10)의 전방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내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10)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증강현실영상을 송출하도록 하여 안구 운동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모바일 단말기(M)의 카메라가 증강현실영상 송출을 위해 외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카메라홀이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전단부에는 걸림홈(112)이 형성되며,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 걸림홈(112)에 삽입됨에 따라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121)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고정부(120)는, 단말기 장착커버(120)가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안면장착유닛(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의 하부를 받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123)와, 단말기 장착커버(120)가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안면장착유닛(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기 장착커버(12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고정부재(124) 각각은 서로 다른 가이드슬릿(122) 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슬릿(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를 슬라이드 조작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M)의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124)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모바일 단말기(M)를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한 쌍의 고정부재(124)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말기 장착커버(120)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제1광학유닛(140)과 제2광학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광학유닛(140)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05) 내에 구비되어 빛의 일정량을 투과시키는 반투과미러(141)를 포함하며, 제2광학유닛(150)은 수용공간(105) 내에 구비되어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고정된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에 송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프레넬렌즈(15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광학유닛(140) 제2광학유닛(150)은 수용공간(105) 내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10)에는 제1광학유닛(140) 및 제2광학유닛(150)의 프레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M)를 이용하여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사용자가 지루함 없이 꾸준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구 피로감, 건성 안 및 가성근시 등과 같은 안과적 질환을 예방하도록 함에 따라 시기능 향상을 통한 안구 보건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재(124)는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에 각각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슬릿(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부재(124)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말기 장착커버(120)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는 점도 전술한 제1실이예와 동일하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고정부재(124) 내측 각각에 압력감지센서(125)가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압력감지센서(125)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가 모바일 단말기(M)를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 양측 각각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M)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M)의 고정 작업을 수동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매번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M)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한 쌍의 고정부재(124) 내측 각각에 압력감지센서(125)를 구비하였다.
즉 사용자는 이와 같은 한 쌍의 압력감지센서(125)의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모바일 단말기(M)를 세팅하여, 모바일 단말기(M)의 고정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압력감지센서(125)는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는 압력감지센서(125)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세팅 보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내면 측에 복수 개의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이 소정의 패턴으로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은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내면 측에 모바일 단말기(M)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각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의 내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공간이 형성되며,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일측에는 이와 같은 각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의 공기주입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주입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에어펌프(127)가 더 구비된다.
즉 에어펌프(127)는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의 내부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각 미세각도조절쿠션(126) 간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M)의 미세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사용자 별로 안면 굴곡, 착용 상태 등 다양한 요소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M)의 미세 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적합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에어펌프(127) 역시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별로 모바일 단말기(M)의 최적 각도를 로드하고, 이에 따라 에어펌프(127)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모바일 단말기(M)의 적절한 각도 보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M: 모바일 단말기
110: 하우징
111: 고정홈
112: 걸림홈
120: 단말기 장착커버
121: 삽입돌기
122: 가이드슬릿
123: 지지부재
124: 고정부재
125: 압력감지센서
126: 미세각도조절쿠션
127: 에어펌프
130: 안면장착유닛
131: 투시홀
140: 제1광학유닛
141: 반투과미러
150: 제2광학유닛
151: 프레넬렌즈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안면장착유닛; 및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키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는 외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단말기 장착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를 받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각각은 서로 다른 가이드슬릿 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의 내측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양측 각각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압력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가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팅 보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내면 측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미세각도조절쿠션이 소정의 패턴으로 구비되며, 각 미세각도조절쿠션의 내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의 일측에는 이와 같은 각 미세각도조절쿠션의 공기주입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주입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에어펌프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미세각도조절쿠션의 내부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각 미세각도조절쿠션 간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킴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세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
    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빛의 일정량을 투과시키는 반투과미러가 구비된 제1광학유닛을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 고정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송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프레넬렌즈가 구비된 제2광학유닛을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광학유닛 및 상기 제2광학유닛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157259A 2021-11-16 2021-11-16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KR102624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59A KR102624540B1 (ko) 2021-11-16 2021-11-16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59A KR102624540B1 (ko) 2021-11-16 2021-11-16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78A KR20230071878A (ko) 2023-05-24
KR102624540B1 true KR102624540B1 (ko) 2024-01-15

Family

ID=8654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59A KR102624540B1 (ko) 2021-11-16 2021-11-16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5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5863A1 (ja) * 2014-03-28 2015-10-01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表示システム、アタッチメント、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205643870U (zh) * 2016-05-20 2016-10-12 吴取明 一种迷你vr眼镜
CN110927977A (zh) * 2019-12-25 2020-03-27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携带的折叠式vr眼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03A (ko) * 2010-09-18 2012-03-28 이남진 스마트폰 용 입체안경
KR20140013676A (ko) * 2012-07-25 2014-02-05 허춘화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KR102530558B1 (ko) * 2016-03-16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시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6023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객체추적을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KR102278884B1 (ko) 2018-11-16 2021-07-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5863A1 (ja) * 2014-03-28 2015-10-01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表示システム、アタッチメント、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205643870U (zh) * 2016-05-20 2016-10-12 吴取明 一种迷你vr眼镜
CN110927977A (zh) * 2019-12-25 2020-03-27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携带的折叠式vr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78A (ko)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098B1 (ko) 화상 표시 장치
US6113237A (en) Adaptable eye movement measurement device
TWI599796B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EP0551781B1 (en) Goggle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EP3565453B1 (en)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KR102078583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43113A (ko)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ophthalmologic testing systems and methods)
CN209879142U (zh) 虚拟现实或增强现实的头戴式视图器
US3597041A (en) Head supported binocular instrument with replaceable lenses worn as glasses
MX2008000705A (es) Anteojos que detectan la agudeza.
US20190380875A1 (en) Modular Headse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Vestibular Disorders
EP3933491A1 (en) Visual information changing device, prism glasses, and method for selecting lens in prism glasses
KR102624540B1 (ko)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KR20220076711A (ko) 스마트 글라스
CN110755030A (zh) 一种头戴式oct探头
JP2004029768A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CN110710977A (zh) 一种实时采集眼球运动及头部运动的系统
JP2018047102A (ja) 焦点変動訓練装置
KR20170013163A (ko) 디바이스를 부착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
CN110292349B (zh) 一种验光设备
CN110007463B (zh) 头戴显示装置
JP6703513B2 (ja) 画像表示装置
CN219417885U (zh) 虚拟现实设备的固定装置及虚拟现实设备
CN219162482U (zh) 一种组合式增强现实显示设备
JPH04341078A (ja) テレビ用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