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711A - 스마트 글라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711A
KR20220076711A KR1020200165477A KR20200165477A KR20220076711A KR 20220076711 A KR20220076711 A KR 20220076711A KR 1020200165477 A KR1020200165477 A KR 1020200165477A KR 20200165477 A KR20200165477 A KR 20200165477A KR 20220076711 A KR20220076711 A KR 20220076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upled
pair
ea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준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711A/ko
Publication of KR2022007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글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에 투과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스마트 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투시가 가능한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한 쌍의 착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보조본체부(310)와: 상기 보조본체부(310)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걸림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글라스 {Smart glass}
본 발명은 스마트 글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에 투과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스마트 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글라스란, 광투과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안경구조로 구현한 IT기기로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가상현실(vircual Reality)의 구현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의 IT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 글라스 관련 기술 또한 발전하면서 다양한 구조의 스마트 글라스가 제시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 글라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선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차전지, 모바일 CPU 등이 설치된 PCB, 디스플레이 구동부 등이 설치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데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 모바일 CPU 등이 설치된 PCB, 디스플레이 구동부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글라스의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용감을 최적화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투시가 가능한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한 쌍의 착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보조본체부(310)와: 상기 보조본체부(310)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걸림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를 개시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귀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0)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20)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분(210)과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착용부(3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1부분(321)과, 상기 제1부분(3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본체부(310)의 외측 하단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322)과, 상기 제2부분(3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제3부분(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상기 연장부분(21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311)와, 상기 힌지부(3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300)의 내면을 형성하며 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분(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차전지모듈,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의 중앙부에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전방 측에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를 보호함과 아울로 투과되는 광을 편광하는 편광커버부재(28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는, 사용자의 귀 쪽에 착용되는 착용부의 구성을 스피커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보조본체부분과, 귀에 걸쳐져 사용자에 착용되는 착용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스마트 글라스의 중량 배분을 균일하게 하여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눈을 통하여 이미지 등을 제공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사용자 얼굴 전면에서 가로질러 설치하고 이를 코를 통하여 지지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중량 배분과 함께 각 구성 부품을 적절히 분포시켜 스마트 글라스의 중량 배분을 균일하게 하여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글라스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글라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글라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Ⅴ-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Ⅵ-Ⅵ방향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Ⅶ-Ⅶ방향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글라스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투시가 가능한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한 쌍의 착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보조본체부(310)와: 상기 보조본체부(310)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걸림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투시가 가능한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는, 투명 LCD, 투명 OLED, 투명 마이크로 엘이디, 프리즘 구조 등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될 국가의 국가 표준 미간 간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는, 전방 투시가 가능하며 이미지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분(110)와, 디스플레이부분(110)을 지지하며 후술하는 본체부(200)와 결합시키는 프레임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분(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전방 투시가 가능하며 이미지 등이 표시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분(110)은, 이미지를 표시하여 증강현실 기능, 가상현실 기능, 3D 동영상 표시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분(110)은, 화면에 투시되는 전방의 영상과 조합된 이미지를 표시하여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이미지는, 후술하는 카메라(220)가 촬영한 전방 영상의 취득 및 분석 후 전방의 영상과 조합되는 이미지(기호, 문자, 숫자, 이미지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제어를 위한 구성으로서 물리적 구성보다는 회로적 구성으로, 모바일 CPU, 통신칩, 디스플레이 구동부 등의 소자들이 성치된 하나 이상의 PC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모바일 CPU, 통신칩, 디스플레이 구동부 등의 소자가 설치된 PCB(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어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PCB가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200)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두 개의 눈을 연결하는 가상선과 평행하게 가로질러 배치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의 하측에는 앞서 설명한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어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후술하는 착용부(3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귀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분(210)에는, 스마트 글라스의 제어 등을 위한 버튼, 터치부 등 다양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분(210)은,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귀 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전방에서 보았을 때 미간을 가로지는 수평부분(250)에서 귀 쪽으로 완만하게 휘도록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분(210)은, 미간을 가로지는 수평부분(250)의 전면에서 귀 쪽으로 부드럽게 소정의 곡률로 귀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에는 후술하는 착용부(300)의 보조본체부(310)의 힌지부(311)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 )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11)는, 착용부(300)의 보조본체부(310)의 힌지부(311)와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힌지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의 중앙부에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2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의 중앙부에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카메라(220)에서 획득된 전방 영상은,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이미지와의 조합을 위하여 제어부에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카메라(220)의 촬영 해상도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표시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전방 측에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를 보호함과 아울로 투과되는 광을 편광하는 편광커버부재(2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커버부재(280)는, 전방 측에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를 보호함과 아울로 투과되는 광을 편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편광커버부재(280)는, 앞선택적 광투과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여, 후술하는 광차단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는, 힌지결합되어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00)로의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부(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차단부는, 본체부(200)에 힌지결합되어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00)로의 광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부(100)가 가상현실 기능 수행시 외부의 광을 차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코부분에 지지되는 중앙지지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지지부(29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코부분에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중앙지지부(290)는, 본체부(200)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며 끝단이 코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인 'V'자 형상의 코밀착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밀착부분에는, 코와 밀착됨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부재(29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부(290)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본체부(200)를 지지함을 고려하여 배면 측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의 지지구조(291)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V'자 형상의 지지구조(291)는, 상단 폭이 가급적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V'자 형상의 지지구조(291)의 상단 폭이 크게 형성되며 자중이 상대적으로 큰 본체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외면이 앞서 설명한 편광커버부재(280)의 외면과 완만한 면을 이루며, 디스플레이부(100)의 안정적 지지 및 내부 부품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착용부(300)는, 본체부(20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에 대한 착용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부(300)는, 스마트 글라스가 안경구조를 차용하는바 안경에서 사용자에 착용하는 구조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내부에 배터리,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부품 등 상대적으로 중량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안경에 비하여 자중이 커 중량분포에 따라서 사용자의 착용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상기 착용부(300)는, 스마트 글라스를 착용자에 착용시키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착용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상기 착용부(300)는,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보조본체부(310)와: 보조본체부(310)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걸림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연장부분(21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311)와, 힌지부(3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착용부(300)의 내면을 형성하며 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분(3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본체부(310)의 본체부분(312)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더 돌출시켜 심미감을 높이는 한편 두께 증가에 의하여 부품 설치을 위한 내부공간을 확보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외측으로 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돌출된 부분에 스마트 글라스 제어를 위한 조작부분을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직관적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분은, 스마트 글라스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부분으로서, 터치방식, 버튼방식, 그 조합 등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바 앞서 설명한 본체부(200)의 연장부분(210) 및 후술하는 걸림부(320)의 제3부분(323)의 중간부분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차전지모듈,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앞서 설명한 연장부분(210)와 귀 쪽을 연장되어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밀접될 수 있는바 부드러운 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넓은 내측면을 가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0)는, 보조본체부(310)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부(320)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연장부분(210)과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도록 착용부(3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1부분(321)과, 제1부분(321)와 일체로 형성되며 보조본체부(310)의 외측 하단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322)과, 상기 제2부분(3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제3부분(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321)은,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연장부분(210)과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도록 착용부(300)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부분(321)은, 앞서 설명한 보조본체부(310)와 동일한 상하폭을 이루며 색상이 다른 띠 형상을 이루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부분(322)은, 제1부분(321)와 일체로 형성되며 보조본체부(310)의 외측 하단부분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2부분(322)은, 띠 형상의 제1부분(321)을 연장하여 후술하는 제3부분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제3부분(323)이 귀 부근에 밀착된 상태에서 착용부(300)는 물론 앞서 설명한 본체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부분(322)은, 앞서 설명한 제1부분(321) 및 후술하는 제3부분(323)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한 두께의 띠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323)은, 제2부분(3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부분으로서, 귀와의 착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3부분(323)은, 귀 쪽으로 가면서 상하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부분(323)은, 귀 부근에서 밀착됨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부재가 일체로 또는 별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본체부
300 : 착용부

Claims (6)

  1.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투시가 가능한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한 쌍의 착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보조본체부(310)와:
    상기 보조본체부(310)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걸림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귀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10)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20)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분(210)과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착용부(3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1부분(321)과,
    상기 제1부분(3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본체부(310)의 외측 하단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322)과,
    상기 제2부분(3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제3부분(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상기 연장부분(21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311)와,
    상기 힌지부(3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300)의 내면을 형성하며 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분(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본체부(3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이차전지모듈,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니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의 중앙부에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2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니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전방 측에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00)를 보호함과 아울로 투과되는 광을 편광하는 편광커버부재(2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글라스.
KR1020200165477A 2020-12-01 2020-12-01 스마트 글라스 KR20220076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77A KR20220076711A (ko) 2020-12-01 2020-12-01 스마트 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77A KR20220076711A (ko) 2020-12-01 2020-12-01 스마트 글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11A true KR20220076711A (ko) 2022-06-08

Family

ID=8198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77A KR20220076711A (ko) 2020-12-01 2020-12-01 스마트 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7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832B1 (ko) 2022-08-24 2023-06-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라스 측면부착 접이식 태양전지
KR20230175108A (ko) 2022-06-22 2023-12-29 장종환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통합형 확장현실(xr)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5108A (ko) 2022-06-22 2023-12-29 장종환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통합형 확장현실(xr)기기
KR102539832B1 (ko) 2022-08-24 2023-06-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라스 측면부착 접이식 태양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928B2 (en) Smart glasses with a fixed frame and a rotatable frame
CN104350412B (zh) 具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装置
EP3525031B1 (en) Display device
US9429772B1 (en)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CN202758141U (zh) 电子装置及头戴式装置
CN104169781B (zh) 具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设备
TWI575252B (zh) 具有輸入及輸出結構之可戴式裝置
US8971023B2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frame
JP4440878B2 (ja) 画像表示装置
WO2007037089A1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20150094732A (ko) 보이지 않는 옵틱스를 가진 스펙터클
KR20220076711A (ko) 스마트 글라스
WO2019122841A1 (e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eadset
JP2012058530A (ja) シャッター眼鏡、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3955060A (zh) 一种头戴式无线视频眼镜
CN207336929U (zh) 可穿戴显示器
KR20230040066A (ko) 원-버튼 자동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N207232515U (zh) 一种便于使用的vr眼镜
KR20020011746A (ko) 입체영상용 액정 셔터 안경
JP6723383B2 (ja) 画像表示装置
JPH11133884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