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337B1 -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337B1
KR102624337B1 KR1020210082777A KR20210082777A KR102624337B1 KR 102624337 B1 KR102624337 B1 KR 102624337B1 KR 1020210082777 A KR1020210082777 A KR 1020210082777A KR 20210082777 A KR20210082777 A KR 20210082777A KR 102624337 B1 KR102624337 B1 KR 10262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unting
main drainage
roof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48A (ko
Inventor
최한수
Original Assignee
최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수 filed Critical 최한수
Priority to KR102021008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3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이 일정 폭을 가지며 연속하는 철판을 벤딩하여 좌우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격벽(11, 15)이 마련되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금속패널(3)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배수모듈(10);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3, 4격벽(21, 25)이 마련되어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 상호 간을 직교하며 연결하며, 일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1격벽(11)에 거치되고, 타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2격벽(15)에 거치되는 보조배수모듈(20); 좌우 각각에는 주배수모듈(10)의 제1, 2격벽(11, 15) 각각과 밀착되는 제1, 2고정단(31, 35)이 마련되고, 중앙부위에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돌출단(33)이 마련되어 주배수모듈(10)의 주배수로(13)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고정모듈(30); 하단 부위에는 각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에 결합되는 결합단(45)이 마련되고, 상측 부위에는 거치판(41)이 마련되는 거치모듈(40); 각각의 모서리 부위는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모서리 부위에 거치되는 복수 개의 태양광모듈(50);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상면 모서리 부위에 거치된 태양광모듈(50) 각각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하며 거치모듈(40)에 결합되는 제2고정모듈(60);을 포함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generation facilities unified with roof}
본 발명은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양광모듈에 대한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 지나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지구의 온난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태양광 발전은 유통 시장을 통해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의 설치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은 태양의 입사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로 인해, 전국 각지의 산림이 태양광 발전 설비의 무분별한 시공으로 심하게 훼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8에 개시된 것과 같이 건물의 지붕 자체를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성하는 기술이 속속 제안되고 있다.
이 기술은 복수 개의 태양광모듈을 지붕의 외장재로 마감하고, 인접하는 태양광모듈 사이에는 배수모듈을 마련하여 건물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유휴 공간인 건물의 지붕 자체를 태양광 발전소로 이용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런데, 태양광모듈은 그 자체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전기기구라는 점에서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취급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태양광모듈에 있어 전기적 회로를 이루는 태양광 셀의 표면은 강화유리로 보호되고 있고, 그 모서리 부위는 금속판으로 마감되어 있는데 특히 강화유리의 측면이나 모서리 부위를 통해 강한 외력이 일률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강화유리가 파손될 개연성이 높다. 하지만, 도 8과 같은 부류의 기술들 대부분은 각 태양광모듈의 측면 부위나 모서리 부위 전체를 일률적으로 가압하며 고정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태양광모듈이 가지는 이러한 취약성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82661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모듈을 최소한의 외력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전후 좌우의 환기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안정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1), 지지바(1) 상측에 위치하는 금속패널(3)에 설치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로서, 각각이 일정 폭을 가지며 연속하는 철판을 벤딩하여 좌우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격벽(11, 15)이 마련되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금속패널(3)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배수모듈(10);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3, 4격벽(21, 25)이 마련되어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 상호 간을 직교하며 연결하며, 일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1격벽(11)에 거치되고, 타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2격벽(15)에 거치되는 보조배수모듈(20); 좌우 각각에는 주배수모듈(10)의 제1, 2격벽(11, 15) 각각과 밀착된 상태로 지지바(1)에 결합되는 제1, 2고정단(31, 35)이 마련되고, 중앙부위에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돌출단(33)이 마련되어 주배수모듈(10)의 주배수로(13)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고정모듈(30); 하단 부위에는 각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에 결합되는 결합단(45)이 마련되고, 상측 부위에는 거치판(41)이 마련되는 거치모듈(40); 각각의 모서리 부위는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모서리 부위에 거치되고, 좌우 측면 프레임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각 주배수로(13)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측면 프레임 부위는 인접하는 보조배수모듈(20)의 각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태양광모듈(50);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상면 모서리 부위에 거치된 태양광모듈(50) 각각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하며 거치모듈(40)에 결합되는 제2고정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모듈(60)은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에 대응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배수모듈(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1탄성스트립(71)이 개재되고, 상기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75)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모듈(6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가압단(61) 및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가압단(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모듈(6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마감스트립(60′)으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의 측면 부위를 가압하며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75)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상면에는 제1요철(34)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하면에는 제2요철(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상면 및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하면 사이에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탄성판(8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와 금속패널(3) 사이에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단열재(5)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하는 복수 개의 태양광모듈을 고정함에 있어 태양광모듈의 마감 테두리 중에서 최소 부위만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태양광 셀을 보호하는 강화유리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모듈를 기점으로 인접하는 태양광모듈 각각의 하부 공간이 전후 방향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태양광 발전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이 거치되는 거치모듈과 주배수모듈과 결합되는 고정모듈 사이에 탄성판을 매개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강풍이나 적설 등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전달되는 외력 및 지진 등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적절하게 흡수하여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다른 외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 개시된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주배수모듈, 제1고정모듈, 거치모듈, 제2고정모듈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1에 있어 개략적인 A-A′라인 단면 구성도 및 B-B′라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제2고정모듈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가 개재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8은 종래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패널(3) 상측 부위에 설치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로서, 주배수모듈(10), 보조배수모듈(20), 제1고정모듈(30), 거치모듈(40), 태양광모듈(50), 제2고정모듈(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금속패널(3)은 건물의 지붕에 있어 하측 부위를 이루는 부분으로, 타공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바(1)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바(1)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 부위 각각은 건물의 벽체로 연장되어 고정된다. 지지바(1)는 C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배수모듈(10)은 금속패널(3)의 상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주배수모듈(10)의 좌우 각각에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격벽(11, 15)이 마련되며, 그 중앙 부위에는 주배수로(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주배수모듈(10)은 일정 폭을 가지는 철판을 벤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롤에 감긴 철판을 시공 현장에서 일정 길이만큼 벤딩한 다음 절단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복수 개의 주배수모듈 각각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태양광모듈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는 단일의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배수모듈(20)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그 일단 부위가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1격벽(11)에 거치되고, 그 타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2격벽(15)에 거치되어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 상호 간을 직교하며 연결한다.
도 5b와 같이, 보조배수모듈(20)의 좌우 각각에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3, 4격벽(21, 25)이 마련되며, 그 중앙 부위에는 보조배수로(23)가 형성된다. 보조배수모듈(20) 역시 일정 폭의 철판을 벤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보조배수모듈(20)이 태양광모듈(50)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예를 상정하고 있으나, 보조배수모듈(20)은 태양광모듈(50)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고정모듈(30)은 주배수모듈(10)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주배수모듈(10)의 주배수로(13)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제1고정모듈(30)의 좌우 각각에는 제1, 2고정단(31, 35)이 마련되고, 그 중앙부위에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돌출단(33)이 마련된다.
도 3 및 도 4 각각과 같이, 제1고정모듈(30)의 제1, 2고정단(31, 35) 각각은 주배수모듈(10)의 제1, 2격벽(11, 15) 각각과 밀착된 상태로 지지바(1)에 결합된다. 제1고정모듈(30)에 있어 제1, 2고정단(31, 35) 각각의 수직 높이는 적어도 주배수모듈(10)의 제1, 2격벽(11, 15) 각각의 수직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모듈(40)은 태양광모듈(50)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결합단(45) 및 거치판(41) 각각이 마련된다. 도면과 같이, 거치모듈(40)의 하단 부위에 마련되는 결합단(45)은 각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과 결합되며, 거치판(41)은 거치모듈(40)의 상측 부위에 마련된다.
도면부호 42는 태양광모듈(50)의 하측 모서리 부위가 밀착되는 거치단이며, 도면부호 43은 거치되는 태양광 모듈(50)의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단이다. 본 발명에 있어 거치모듈은 결합단 및 거치판이 마련되기만 하면 개시된 예와 달리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상면에 제1요철(34)이 형성되고,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하면에 제2요철(46)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제1, 2요철(34, 46) 각각은 도면과 같이 상호 대응되며 산, 골이 연속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고정모듈(30)은 지지바(1)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시공 과정에서 한번 고정되면 그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때문에, 거치모듈(40)에 태양광모듈(50)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거치모듈(4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거치모듈(40)을 도 4의 화살표 방향(전후좌우)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및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각각에 제1, 2요철(34, 46)이 형성되면, 제1고정모듈(30) 및 거치모듈(40) 상호 간의 긴밀한 밀착 관계를 상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좌우 방향 이동은 제1, 2요철(34, 46)의 치합 위치를 변경하면 되고, 그리고 전후 방향 이동은 제1, 2요철(34, 46)이 치합된 상태에서 거치모듈(40)을 앞뒤로 움직이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고정모듈(30)에 거치모듈(40)을 결합함에 있어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상면 및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하면 사이에 탄성판(80)이 매개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탄성판(8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판(80)이 제1고정모듈(30)과 거치모듈(40) 사이에 매개되면, 강풍이나 적설 등에 의해 제1고정모듈(30)에서 거치모듈(40)로 전달되는 외력이나, 지진 등에 의해 거치모듈(40)에서 제1고정모듈(30)로 전달되는 외력이 탄성판(80)에 의해 적절하게 흡수되며 차단될 수 있다. 도면부호 81, 85 각각은 제1, 2요철(34, 46) 각각에 대응되어 탄성판(8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형성되는 요철이다.
태양광모듈(50)은 각각의 모서리 부위가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모서리 부위에 거치되고, 도 1과 같이 태양광모듈(50)의 좌우 측면 프레임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각 주배수로(13) 상측에 위치하며, 도 3과 같이 태양광모듈(50)의 상하 측면 프레임 부위는 인접하는 보조배수모듈(20)의 각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의 좌우 측면 프레임 부위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은 주배수모듈(10)의 주배수로(13)를 통해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의 상하 측면 프레임 부위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은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를 통해 주배수모듈(10)로 안내된 다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태양광모듈(50)은 제1고정모듈(30) 및 거치모듈(40)에 의해 주배수모듈(10)은 물론 보조배수모듈(20) 각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함에 따라, 태양광모듈(50)의 하부 공간은 전후 방향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이럴 경우, 태양광 발전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은 신속하고 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2고정모듈(60)은 거치판(41)에 거치된 태양광모듈(50) 각각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하며 거치모듈(40)에 결합된다. 이때, 제2고정모듈(60)은 도 4와 같이,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에 대응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62는 거치판(41)의 거치단(4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태양광모듈(50)의 상측 모서리 부위와 밀착되는 부분이다.
제2고정모듈(60)이 거치판(41)에 대응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면, 도 1 및 도 3 각각과 같이 제2고정모듈(60)은 태양광모듈(50)의 모서리 부위만을 가압하며 거치모듈(40)에 고정된다. 즉, 각 태양광모듈(50)은 금속판으로 마감되는 테두리 중에서 최소 부위만이 제2고정모듈(60)에 밀착되며 가압된다. 이럴 경우, 태양광모듈에 있어 태양광 셀을 보호하는 강화유리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태양광모듈의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다.
제2고정모듈(60)이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6과 같이 제2고정모듈(6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가압단(61), 그리고 제2고정모듈(60)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가압단(65)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제1가압단(61)은 제2고정모듈(6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부위를 가압하며, 제2가압단(65)은 제2고정모듈(6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서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서 전방이나 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부위를 가압한다. 제1, 2가압단이 연장 형성되면 태양광모듈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제2고정모듈(60)이 거치판(41)에 대응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면, 도 1과 같이 주배수모듈(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1탄성스트립(71)이 개재되고,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75)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탄성스트립(71, 75) 각각이 태양광모듈(5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제1, 2탄성스트립(71, 75) 각각의 하측 부위에는 도 5a 및 도 5b 각각과 같이 제1, 2빗물유도단(72, 7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탄성스트립(71, 75) 각각의 하측 부위에 제1, 2빗물유도단(72, 76)이 형성되면, 태양광모듈(50) 사이를 통해 일부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은 주배수로(13) 및 보조배수로(23)로 안정적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탄성스트립 각각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고정모듈(60)이 거치판(41)에 대응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마감스트립(6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마감스트립(60′)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의 측면 부위를 가압하며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모듈(60)이 일정 길이의 마감스트립(60′) 구조로 이루어지면 전술한 예와 달리 태양광모듈(50)의 측면 부위 모두가 마감스트립(6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하지만, 태양광모듈(50)의 하면의 경우 측면 부위 모두가 아닌 모서리 부위만이 거치판(41)에 밀착된다는 점에서 그 상측 부위가 마감스트립(60′)에 의해 가압된다 할지라도 종래와 달리 태양광모듈(50)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강화유리가 손상될 개연성은 매우 낮다 할 것이다.
제2고정모듈(60)이 마감스트립(6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75)이 개재된다. 즉, 전술한 예와 달리 마감스트립(60′) 자체가 제2고정모듈(60)과 제1탄성스트립(71)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제2탄성스트립(75)만이 개재되더라도 충분하다. 마감스트립은 알루미늄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90은 거치모듈(40)과 제2고정모듈(60) 사이에 매개될 수 있는 밀착판이다. 밀착판(90)은 거치모듈(40)과 제2고정모듈(60) 사이에서 태양광모듈(5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거치모듈(40)의 상면과 태양광모듈(50)의 하면 모서리 부위 사이, 그리고 태양광모듈(50)의 상면 모서리 부위와 제2고정모듈(60)의 하면 사이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판은 일정 두께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금속패널(3)과 주배수모듈(10) 사이에 단열재(5)가 개재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럴 경우, 금속패널(3) 상측에는 도 8과 같이 복수 개의 금속간격바(8)가 단열재(5) 사이 사이에 마련되며, 제1고정모듈(30)은 금속간격바(8)를 따라 고정된다.
금속패널(3)과 주배수모듈(10) 사이에 단열재(5)가 개재되면, 건물의 지붕 부위를 통한 열전달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완벽한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재되는 단열재의 종류 및 두께는 지역이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지지바 3 : 금속패널
5 : 단열재 7 : 금속간격바
10 : 주배수모듈 20 : 보조배수모듈
30 : 제1고정모듈 40 : 거치모듈
50 : 태양광모듈 60 : 제2고정모듈
60′: 마감스트립 71, 75 : 제1, 2탄성스트립
80 : 탄성판

Claims (7)

  1.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1), 지지바(1) 상측에 위치하는 금속패널(3)에 설치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로서,
    각각이 일정 폭을 가지며 연속하는 철판을 벤딩하여 좌우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격벽(11, 15)이 마련되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금속패널(3)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배수모듈(10);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3, 4격벽(21, 25)이 마련되어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 상호 간을 직교하며 연결하며, 일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1격벽(11)에 거치되고, 타단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제2격벽(15)에 거치되는 보조배수모듈(20);
    좌우 각각에는 주배수모듈(10)의 제1, 2격벽(11, 15) 각각과 밀착된 상태로 지지바(1)에 결합되는 제1, 2고정단(31, 35)이 마련되고, 중앙부위에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돌출단(33)이 마련되어 주배수모듈(10)의 주배수로(13)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고정모듈(30);
    하단 부위에는 각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에 결합되는 결합단(45)이 마련되고, 상측 부위에는 거치판(41)이 마련되는 거치모듈(40);
    각각의 모서리 부위는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모서리 부위에 거치되고, 좌우 측면 프레임 부위는 인접하는 주배수모듈(10)의 각 주배수로(13)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측면 프레임 부위는 인접하는 보조배수모듈(20)의 각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태양광모듈(50);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상면 모서리 부위에 거치된 태양광모듈(50) 각각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하며 거치모듈(40)에 결합되는 제2고정모듈(60);을
    포함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모듈(60)은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에 대응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배수모듈(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1탄성스트립(71)이 개재되고, 상기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75)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모듈(6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가압단(61) 및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가압단(6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모듈(6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마감스트립(60′)으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의 측면 부위를 가압하며 각 거치모듈(40)의 거치판(41)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보조배수모듈(20)의 보조배수로(23) 상측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태양광모듈(50) 사이에는 제2탄성스트립(75)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상면에는 제1요철(34)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하면에는 제2요철(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모듈(30)의 돌출단(33) 상면 및 거치모듈(40)의 결합단(45) 하면 사이에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탄성판(8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와 금속패널(3) 사이에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단열재(5)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210082777A 2021-06-25 2021-06-25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62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77A KR102624337B1 (ko) 2021-06-25 2021-06-25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77A KR102624337B1 (ko) 2021-06-25 2021-06-25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8A KR20230000548A (ko) 2023-01-03
KR102624337B1 true KR102624337B1 (ko) 2024-01-11

Family

ID=8492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777A KR102624337B1 (ko) 2021-06-25 2021-06-25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3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733A (ja) * 1999-01-08 2000-07-25 Showa Shell Sekiyu Kk 屋根一体型太陽電池アレイ
KR101864357B1 (ko) * 2017-12-01 2018-07-13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98B1 (ko) * 2011-11-29 2013-09-09 (주)월드에너텍 태양 전지 모듈용 클램프
KR101882661B1 (ko) 2017-09-01 2018-08-24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03186U (ko) * 2018-06-18 2019-12-27 최봉숙 태양광 패널의 방열/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수부재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733A (ja) * 1999-01-08 2000-07-25 Showa Shell Sekiyu Kk 屋根一体型太陽電池アレイ
KR101864357B1 (ko) * 2017-12-01 2018-07-13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8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3488A1 (en) Photovoltaic Device
JP5377798B2 (ja) 太陽電池システ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44430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JP3198411U (ja) 太陽電池パネル屋根兼用型カーポート
US20210359637A1 (en) Device for attaching to a noise barrier
JP521397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架台、その施工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2538642B1 (ko) 방열효율, 안전성과 배수성이 개선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624337B1 (ko)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00008591A (ja) 太陽電池フロア
CN104124913A (zh) 新建太阳能屋顶一体化发电系统
CN203284989U (zh) 新建太阳能屋顶一体化发电系统
KR100665675B1 (ko) 건축물 마감형 태양전지 및 단열 복합 판넬
EP3319228B1 (en) An integrated solar panel to a tiled roof
KR101231824B1 (ko) 태양광 발전시설의 경량 고정 구조체
KR102273068B1 (ko)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건물 옥상의 방수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건물 옥상의 방수 시공방법
US20110271997A1 (en) Support device for a solar power generator assembly, solar power generator assembly comprising said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JP6449006B2 (ja) 屋根構造
KR102204419B1 (ko) 건축물용 태양 광 발전장치
CN207348513U (zh) 一种光伏阳光房
JP6350807B2 (ja) 太陽電池アレイ用カバー、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器具、及び太陽電池アレイ
KR102490041B1 (ko) 지붕 일체형 태양광 모듈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20848382U (zh) 一种彩钢板屋面的光伏板与天沟衔接节点结构
CN216239426U (zh) Bipv光伏屋顶
CN218678895U (zh) 一种太阳能支架棚
CN219158190U (zh) 一种光伏建筑一体化屋面光伏支架系统下压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