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303B1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303B1
KR102624303B1 KR1020170021210A KR20170021210A KR102624303B1 KR 102624303 B1 KR102624303 B1 KR 102624303B1 KR 1020170021210 A KR1020170021210 A KR 1020170021210A KR 20170021210 A KR20170021210 A KR 20170021210A KR 102624303 B1 KR102624303 B1 KR 10262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detection signals
receiving device
response signal
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715A (ko
Inventor
양광훈
하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17002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303B1/ko
Priority to US15/867,316 priority patent/US10693327B2/en
Priority to CN201810145424.5A priority patent/CN108448735A/zh
Publication of KR2018009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장치가 공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교류 전력이 인가되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 코일, 물체의 접근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Wireless power transmitter}
본 출원은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무선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들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상황,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의 상태, 기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둘러싼 상황의 변화 등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44624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교류 전력이 인가되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 코일, 물체의 접근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교류 전력이 인기돠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 코일, 물체의 접근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송전 코일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중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응답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 변화,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의 발생, 이물질의 유입, 및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유입 등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구분된 구획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구분된 구획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회로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송전 코일(101),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1, 221, 231, 241), 및 회로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송전 코일(101)은 회로부(301)의 동작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의 전송은 자기 유도 방식이나 자기 공명 방식,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송전 코일(10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움직이거나,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등이 송전 코일(101)에 가까이 접근하는 등 무선 전력 전송과 관련된 상황이 변화하면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움직이거나,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등이 송전 코일(101)에 가까이 접근하면, 송전 코일(101)을 통해 흐르는 전류 중 특정 주파수 성분의 전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1, 221, 231, 241)들은 물체의 접근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감지 신호들(s11, s21, s31, s41)을 출력하는 감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1, 221, 231, 241) 각각은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접근에 따라 감지 신호(s11, s21, s31, s41)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신호들(s11, s21, s31, s41)은 전류 신호일 수 있다. 즉,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등이 감지 코일(211, 221, 231, 241)에 가까이 접근할 경우, 감지 코일(211, 221, 231, 241)들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감지 코일들(211, 221, 231, 241) 각각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1, 221, 231, 241)은 송전 코일(101)의 내측, 즉, 송전 코일(101)의 내경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req)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ack)는 요청 신호(req)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또한, 응답 신호(ack)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내의 통신 회로가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도 있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한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로 출력되는 전력에 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회로부(301)는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요청 신호(req)를 송신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전력이 송신되는 주파수 밴드와 상이한 밴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은 6.78M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은 2.4G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301)는 상기 응답 신호(ack), 감지 코일들(211, 221, 231, 241)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들(s11, s21, s31, s41), 및 송전 코일(101)을 통해 흐르는 전류 등을 감지한 신호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여러가지 상황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송전 코일(101)을 통한 전력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상황들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유입, 이물질의 유입,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 및 다양한 형태의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들 중 어느 하나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구분된 구획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회로부(301)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기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접근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4개의 센싱 코일들(211, 221, 231, 241)을 포함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가능 영역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1 내지 A9의 9개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회로부(301)는 감지 신호(s11, s21, s31, s41)의 크기와 복수개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충전 가능 영역 중 어느 구획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표 1을 참고하여 회로부(301)가 물체가 존재하는 구획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센싱 신호들(s11, s21, s31, s41)은 전류 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표 1에서 센싱 신호(s11, s21, s31, s41)의 크기의 단위는 mA일 수 있다. 또한, 회로부(301)는 센싱 신호들(s11, s21, s31, s41) 중 임의의 최소값 이하인 값들은 모두 0으로 치환한 후, 하기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분 센싱 신호의 크기 물체 존재 구획
S11 S21 S31 S41
case 1 60 0 0 0 A1
case 2 35 35 0 0 A2
case 3 20 20 20 20 A5
case 4 35 0 35 60 A4, A9
case 5 0 60 60 0 A3, A7
회로부(301)는 센싱 신호들의 크기의 합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센싱 신호의 크기의 합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는 임계값을 비교하여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가 1개인 경우 임계값은 60일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임계값은 120일 수 있다.
표 1에서 case 1, case 2, 및 case 3의 경우, 센싱 신호들의 크기의 합인 60 이상이면서 120은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case 1, case 2, 및 case 3의 경우, 회로부(301)는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가 1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표 1에서, case 4 및 case 5의 경우, 센싱 신호들의 크기의 합이 120 이상이다. 따라서, case 4 및 case 5의 경우, 회로부(301)는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가 2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301)는 센싱 신호들(s11, s21, s31, s41) 각각을 제1 기준값(예를 들면, 60)과 비교하거나, 센싱 신호들(s11, s21, s31, s41) 중 인접한 센싱 코일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의 합을 제2 기준값(예를 들면, 70)과 비교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e 1의 경우, 센싱 신호(s11)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1의 경우,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센싱 코일(211)에 대응하는 영역인 A1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2의 경우, 인접한 센싱 코일(211, 221)들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s11, s21)의 크기의 합이 제2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2의 경우,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인접한 센싱 코일(211, 221)들 사이의 영역인 A2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3의 경우, 인접한 센싱 코일(211, 221, 231, 241)들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s11, s21, s31, s41)의 크기의 합이 제2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3의 경우,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인접한 센싱 코일(211, 221, 231, 241)들의 중간 영역인 A5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4의 경우, 인접한 센싱 코일(211, 231)들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s11, s31)의 크기의 합이 제2 기준값 이상이고, 센싱 신호(s41)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4의 경우,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A4 구획과 A9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5의 경우, 센싱 신호(s21)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센싱 신호(s31)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5의 경우, 회로부(30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A3 구획과 A7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송전 코일(102),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2, 222, 232), 및 회로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전 코일(102),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2, 222, 232), 및 회로부(302) 각각의 기능은 도 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즉, 송전 코일(102)은 회로부(302)의 동작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등이 송전 코일(102)에 가까이 접근할 경우, 송전 코일(102)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변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감지 코일들(212, 222, 232) 각각은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접근에 따라 감지 신호(s12, s22, s32)를 출력할 수 있다.
회로부(302)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req)를 출력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ack)는 요청 신호(req)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또한, 응답 신호(ack)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내의 통신 회로가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도 있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한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로 출력되는 전력에 대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회로부(302)는 상기 응답 신호(ack), 감지 신호들(s12, s22, s32), 및 송전 코일(102)을 통해 흐르는 전류 등을 감지한 신호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여러가지 상황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송전 코일(102)을 통한 전력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구분된 구획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회로부(302)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기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접근한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3개의 센싱 코일들(212, 222, 232)을 포함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가능 영역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1 내지 A5의 5개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회로부(302)는 감지 신호(s12, s22, s32)의 크기와 복수개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충전 가능 영역 중 어느 구획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표 2를 참고하여 회로부(302)가 물체가 존재하는 구획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센싱 신호들(s12, s22, s32)은 전류 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표 2에서 센싱 신호(s12, s22, s32)의 크기의 단위는 mA일 수 있다. 또한, 회로부(302)는 센싱 신호들(s12, s22, s32) 중 임의의 최소값 이하인 값들은 모두 0으로 치환한 후, 하기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분 센싱 신호의 크기 물체 존재 구획
S12 S22 S32
case 1 0 60 0 A3
case 2 35 35 0 A2
case 3 0 60 60 A3, A5
표 1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회로부(302)는 센싱 신호들의 크기의 합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표 2에서 case 1 및 case 2의 경우, 센싱 신호들의 크기의 합인 60 이상이면서 120은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case 1 및 case 2의 경우, 회로부(302)는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가 1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표 1에서, case 3의 경우, 센싱 신호들의 크기의 합이 120 이상이다. 따라서, case 3의 경우, 회로부(302)는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가 2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302)는 표 1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e 1의 경우, 센싱 신호(s22)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1의 경우, 회로부(302)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센싱 코일(222)에 대응하는 영역인 A3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2의 경우, 인접한 센싱 코일(212, 222)들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들(s12, s22)의 크기의 합이 제2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2의 경우, 회로부(302)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센싱 코일들(212, 222)의 사이의 영역인 A2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3의 경우, 센싱 신호(s22)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센싱 신호(s32)의 크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이다. 따라서, case 3의 경우, 회로부(302)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A3 구획과 A5 구획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4개의 감지 코일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고, 도 3 및 도 4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3개의 감지 코일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감지 코일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1개의 감지 코일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분된 구획들은 감지 코일의 개수 및 배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이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코일(즉, 감지 코일)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회로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회로부(300)는 제어부(310), 전원부(320), 증폭부(330), 및 매칭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송전 코일(100)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 전력 감지 신호(sp),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코일들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신호(s1, …, sn),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입력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요청 신호(req)를 출력하며, 전원부(320) 및/또는 증폭부(330) 각각으로 제1 제어 신호(con1) 또는 제2 제어 신호(con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310)는 전력 감지 신호(sp), 감지 신호(s1, …, sn), 및 응답 신호(ack)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과 관련된 여러가지 상황들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송전 코일(100)로 인가되는 출력 전력(Pt)을 조정하여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CPU), 그래픽처리장치 (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원부(320)는 제1 제어 신호(con1)에 응답하여 제1 전력 신호(P1)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력 신호(P1)는 교류 신호일 수 있다. 전원부(320)는 제1 전력 신호(P1)를 출력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버터로 공급하는 어댑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20)는 인버터로 인가되는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정하는 컨버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전력 신호(P1)의 진폭 및 주파수는 제1 제어 신호(con1)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증폭부(330)는 제1 전력 신호(P1)를 증폭하여 제2 전력 신호(P2)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부(330)에 의한 증폭비는 제2 제어 신호(con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매칭부(340)는 송전 코일(100)과 증폭부(330) 사이에 임피던스 매칭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제어부(310)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제어부(310)의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6에 나타낸 각 단계들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S102 단계 내지 S113 단계들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 전송을 시작한 이후, 즉,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고 있는 중에도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였는지,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추가되었는지,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충전 가능 영역에 유입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다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통신 채널이 연결된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이하, 제1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하였는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지 않으면서 통신 채널만 연결된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이하, 제2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하였는지, 및/또는 충전 가능 영역에 이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ack)에 포함된 정보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의 크기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크기 등을 이용하여 송전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는 중에, 제어부는 송전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전력 감지 신호(sp)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단계).
S10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가 변화하였다면, 제어부는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이 0보다 큰지 여부, 즉, 전력 감지 신호(sp)의 크기가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 단계). 여기서, 송전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예를 들면, 진폭)의 변화량이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은 현재 샘플링된 송전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서 이전에 샘플링된 송전 코일을 통해 흐른 전류의 크기를 차감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이 0보다 크다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 단계).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si)의 변화량(△si)이 0이 아닌 감지 신호가 존재하는지, 및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기준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변화량(△si)이 0이 아닌 감지 신호가 존재하고,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기준 범위 내라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며, 다른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5 단계). S105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신,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S1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다면, 제어부는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6 단계).
S10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108 단계).
S10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었다면, 제어부는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7 단계).
S10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임계값 이상이라면, 제어부는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 즉, PRU 관리 인덱스를 증가시키고(S109 단계),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0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다면,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108 단계). 즉, 송전 코일에서의 전류의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도 아니고, 응답 신호는 입력되었지만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유입으로도 볼 수 없다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력 전송을 중단시킬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이 0보다 작다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단계). S110 단계는 S104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1 단계). S111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신,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S11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다면, 제어부는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1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108 단계). 즉, 송전 코일의 전류량이 감소하였는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한 것도 아니고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또는 전송 효율)이 변화하지도 않았다면, 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에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가 변화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2 단계).
S11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1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었다면, 제어부는 통신 연결을 종료하고(S113 단계),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각 단계들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도 7의 S202 단계 내지 S111 단계들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S201 단계는 S101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는 중에, 제어부는 송전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전력 감지 신호(sp)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2 단계).
S20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가 변화하였다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3 단계). S203 단계는 S104 단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였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S2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4 단계). S204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신,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S20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였다면, 제어부는 S2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이 변화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이 0보다 큰지 여부, 즉, 전력 감지 신호(sp)의 크기가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5 단계).
S2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이 0보다 작다면,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209 단계). 즉,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한 것도 아니고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또는 전송 효율)이 변화하지도 않았는데 송전 코일의 전류량이 감소하였다면, 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에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의 변화량(△sp)이 0보다 크다면, 제어부는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6 단계).
S20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209 단계).
S20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었다면, 제어부는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7 단계).
S20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임계값 이상이라면, 제어부는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 즉, PRU 관리 인덱스를 증가시키고(S208 단계), S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감지 신호들의 합(Σsi)이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다면,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209 단계).
S20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력 감지 신호(sp)가 변화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단계).
S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S2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 신호(ack)가 수신되었다면, 제어부는 통신 연결을 종료하고(S111 단계), S2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단계들 중 일부는 생략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전력이 전송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하나인 경우, 기준 범위는 60 이상 80 이하이고, 임계값은 120 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A1 구획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중에 A6 구획으로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었다면,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은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유입으로 인해 0보다 크게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게 되며, 감지 신호들은 다음의 표 3과 같이 변화하게 된다.
유입 전 유입 후
S11 60 60
S21 0 35
S31 0 0
S41 0 35
이 경우, 전력 감지 신호가 변화하였고,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이 0보다 크므로, 도 6의 S104 단계 또는 도 7의 S203 단계가 수행된다.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지만, 감지 신호의 합(Σsi)이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니므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에 의해 송전 코일의 전류가 변화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 6의 S105 단계 또는 도 7의 S20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의 크기는 변화하지 않았을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였으므로, 제어부는 도 6의 S107 단계 또는 도 7의 S20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감지 신호의 합(Σsi)이 임계값(120) 이상이므로, 제어부는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유입되었다고 판단하고, PRU 관리 인덱스를 증가시키고, 전력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A1 구획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중에 A6 구획으로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유입되었으나 다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었거나(즉,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하였거나), A6 구획에 이물질이 유입되었다면,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은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0보다 크게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지 않으며, 감지 신호들은 다음의 표 4와 같이 변화하게 된다.
유입 전 유입 후
S11 60 60
S21 0 35
S31 0 0
S41 0 35
이 경우, 전력 감지 신호가 변화하였고,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이 0보다 크므로, 도 6의 S104 단계 또는 도 7의 S203 단계가 수행된다.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지만, 감지 신호의 합(Σsi)이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니므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에 의해 송전 코일의 전류가 변화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 6의 S105 단계 또는 도 7의 S20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전력의 크기는 변화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제어부는 도 6의 S106 단계 또는 도 7의 S206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제어부는 전력 전송을 중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부는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이 발생한 경우,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A1 구획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중에 A1 구획에 있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A5 구획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송전 코일의 중심부로 이동함에 따라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은 0보다 크게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며, 감지 신호들은 다음의 표 5와 같이 변화하게 된다.
이동 전 이동 후
S11 60 20
S21 0 20
S31 0 20
S41 0 20
이 경우, 전력 감지 신호가 변화하였고,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이 0보다 크므로, 도 6의 S104 단계 또는 도 7의 S203 단계가 수행된다.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고, 감지 신호의 합(Σsi)이 기준 범위 이내이므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에 의해 송전 코일의 전류가 변화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 전송을 계속하게 된다(도 6의 S101 단계 또는 도 7의 S201 단계).
다음으로, A5 구획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중에 A5 구획에 있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A7 구획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송전 코일의 외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은 0보다 작게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응답 신호(ack)를 수신하며, 감지 신호들은 다음의 표 6과 같이 변화하게 된다.
이동 전 이동 후
S11 20 0
S21 20 0
S31 20 60
S41 20 0
이 경우, 전력 감지 신호가 변화하였고,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이 0보다 작으므로, 도 6의 S110 단계 또는 도 7의 S203 단계가 수행된다.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고, 감지 신호의 합(Σsi)이 기준 범위 이내이므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에 의해 송전 코일의 전류가 변화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 전송을 계속하게 된다(도 6의 S101 단계 또는 도 7의 S201 단계).
다음으로, A1 구획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중에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통신 채널만 연결되었다면(즉,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하였다면), 전력 감지 신호의 변화량(△sp)도 없고, 감지 신호들도 변화하지 않으나,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ack)는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도 6의 S112 단계 및 S113 단계를 수행하거나, 도 7의 S210 단계 및 S211 단계를 수행하여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하고, A1 구획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계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101, 102 : 송전 코일
211, 221, 231, 241, 212, 222, 232 : 감지 코일
300, 301, 302 : 회로부 310 : 제어부
320 : 전원부 330 : 증폭부
340 : 매칭부

Claims (15)

  1. 교류 전력이 인가되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 코일;
    물체의 접근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복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 영역에 이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를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송전 코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감지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고,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물질이 유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전력의 송신을 중단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 중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고,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임계값 이상이면,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유입되었다고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충전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이동이 아니고,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전력의 송신을 중단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송전 코일의 전류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송전 코일의 전류의 크기가 변화한 경우에, 상기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교류 전력이 인기돠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 코일;
    물체의 접근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복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송전 코일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중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응답 신호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를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송전 코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감지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 중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교류 전력의 출력을 중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 중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교류 전력의 출력을 중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 중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송전 코일의 전류의 크기가 변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응답 신호를 출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송전 코일의 전류의 크기가 작아진 경우에,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 중 크기가 변화한 감지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복수의 감지 신호의 크기의 합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교류 전력의 출력을 중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70021210A 2017-02-16 2017-02-16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62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210A KR102624303B1 (ko) 2017-02-16 2017-02-16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5/867,316 US10693327B2 (en) 2017-02-16 2018-01-10 Wireless power transmitter
CN201810145424.5A CN108448735A (zh) 2017-02-16 2018-02-12 无线电力发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210A KR102624303B1 (ko) 2017-02-16 2017-02-16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715A KR20180094715A (ko) 2018-08-24
KR102624303B1 true KR102624303B1 (ko) 2024-01-15

Family

ID=6310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210A KR102624303B1 (ko) 2017-02-16 2017-02-16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93327B2 (ko)
KR (1) KR102624303B1 (ko)
CN (1) CN1084487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399A2 (ko) 2016-03-31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05164B1 (ko) * 2019-02-1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040011B (zh) * 2019-04-18 2021-06-2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方法及控制装置
WO2022086178A1 (en) * 2020-10-23 2022-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using sensor coil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2205A1 (ja) * 2014-07-02 2016-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89B1 (ko) * 2005-07-29 2008-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 접점 충전 배터리 및 충전기, 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충전 세트, 및 충전제어 방법
KR100836634B1 (ko) * 2006-10-24 2008-06-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US7511502B2 (en) * 2007-01-05 2009-03-31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JP2010284006A (ja) 2009-06-05 2010-12-16 Nec Tokin Corp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476211B2 (ja) 2010-05-19 2014-04-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2016336A2 (en) * 2010-08-06 2012-02-09 Cynetic Designs Ltd. Inductive transmission of power and data through ceramic armor panels
KR101213086B1 (ko) * 2010-11-0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962651B1 (ko) * 2011-05-17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전력 수신 타겟 검출을 위한 전력 송신기 및 그 방법
US20150326028A1 (en) * 2011-09-21 2015-11-12 Pioneer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JP5794317B2 (ja) * 2012-01-12 2015-10-14 富士通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送受電システム
EP2674950A1 (en) * 2012-06-11 2013-12-18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Contactless connector, contactless connector system,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contactless connector
KR101962667B1 (ko) * 2012-07-12 2019-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9444270B2 (en) * 2012-08-02 2016-09-13 Sandisk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fer
US9362776B2 (en) * 2012-11-27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CN104584448B (zh) * 2013-08-07 2018-07-17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无线感应功率传输
CN107517595B (zh) * 2015-03-23 2020-03-31 三菱电机株式会社 双向非接触供电装置以及双向非接触供电系统
KR20170014879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2205A1 (ja) * 2014-07-02 2016-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3966A1 (en) 2018-08-16
US10693327B2 (en) 2020-06-23
CN108448735A (zh) 2018-08-24
KR20180094715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303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1095159B2 (en)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harge power for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s
KR102344779B1 (ko) 무선 충전 디바이스
US201802412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induction power supply
US9467008B2 (en) Input power appraisal based wireless power system
KR102340996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CN107017897B (zh) 用于nfc或rfid装置的动态发射器信号包络整形控制
KR102105832B1 (ko)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987219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50133056A1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method
KR101774727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비접촉 수전 장치
EP3422588A1 (en) Card detect architectur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US10186906B2 (en) Power-transmitting apparatus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power-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72688A (ko)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US10116168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er device
KR101846953B1 (ko) 보호 기능을 가진 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CN105474509A (zh) 输电设备、受电设备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013309A1 (en) Multi-tapped coil for wireless charging range and efficiency
US20180175669A1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KR20170061787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607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20150108850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pectrum efficiency and space efficiency based on impedance matching and relay resonance
CN109672772B (zh) 车辆的免提系统
KR2018003749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6168869B2 (ja) 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