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32B1 -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32B1
KR102105832B1 KR1020130136948A KR20130136948A KR102105832B1 KR 102105832 B1 KR102105832 B1 KR 102105832B1 KR 1020130136948 A KR1020130136948 A KR 1020130136948A KR 20130136948 A KR20130136948 A KR 20130136948A KR 102105832 B1 KR102105832 B1 KR 10210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plifier
power
heating temperature
electronic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475A (ko
Inventor
이동주
이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32B1/ko
Priority to US14/539,769 priority patent/US9998078B2/en
Publication of KR2015005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 H03F1/5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protecting by using redundant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MOSFET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bipolar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protected to temperature influ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68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temperature being sens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15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at the input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a switch a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3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putting into parallel or not, by choosing between amplifiers by (a )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4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의 증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발열 온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에 대응하여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칭이 제어된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본 개시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스마트 폰, 휴대폰, 노트 PC 및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이 가능하고, 터치 기능의 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내에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전력 증폭기는 신호를 증폭한다. 전력 증폭기는 약전계의 상황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 최대 전력으로 설정이 되어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력 증폭기가 잠시 동안 동작되어도 열을 발생되며 인접한 전자 부품, 금속 기구 부품 또는 기구 케이스에 열이 전달된다. 이러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전계 상황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모드가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력 증폭기는 고전력 모드, 중전력 모드 및 저전력 모드로 나뉠 수 있으며, 주변 기지국의 전계 상황이 나쁠 경우 고전력 모드로 동작하여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을 최대로 높여 연결 상태를 지속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에서 발열 온도를 줄이기 위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변 기지국의 전계 상황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전계가 강할 경우 송신 전력을 낮추어 발열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으나 약전계 상황에서는 송신 전력을 높일 수 밖에 없어 발열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이유로 발열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화상 등의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발열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전자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의 증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발열 온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에 대응하여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칭이 제어된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온도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와 동작 시간을 이용하여 예측되거나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에 대응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따라서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이용해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를 증폭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력 증폭기가 구비된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파악하고, 상기 발열 온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신호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력 증폭기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는 상기 파악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되며, 상기 송수신부 및 FEMiD(Front End Module Integrated Duplexer)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는 송수신부 및 FEMiD(Front End Module Integrated Duplexer)와 별도로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전력 증폭기는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신호가 제2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도록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이용해 상기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전력 증폭기는 전자 장치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통화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에 가장 인접한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하고, 상기 스크린에 가장 인접하지 않는 전력 증폭기를 활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그립 센서를 통해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조절하여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를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의 발열 온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가 별도로 구성된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가 송수신부와 FEMiD(Front End Module Integrated Duplexer)에 각각 구비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와 동작 시간에 따른 스위칭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동작 모드와 온도 센서에서의 발열 온도를 이용한 스위칭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와 이에 따른 온도 센서를 전자 장치에 실장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커넥터(미도시), 및 이어폰 연결잭(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 예컨대, 휴대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디지타이저, 입력 장치, 카메라 및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송수신부(120), 증폭부(130), 저장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전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3D-TV, 스마트 TV, LED TV, LCD TV, 테이블 PC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도 주변 기기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터치 및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문자열 입력 등)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송수신부(120), 증폭부(130), 저장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크린 상에 다양한 입력 유닛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객체에 근접함에 따른 호버링이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호버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입력 유닛까지의 높이와, 높이에 따른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입력 유닛에 형성된 버튼 눌림, 입력 유닛에 대한 두드림, 입력 유닛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객체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의 증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발열 온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에 대응하여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을 제어하고, 스위칭이 제어된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한다. 제어부(110)는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위치를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위치를 제1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제1 전력 증폭기를 활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각각의 전력 증폭기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스위치를 제어하여 해당 전력 증폭기를 통해 신호가 증폭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따라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 내에 구비된 그립 센서를 통해서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조절하여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 센서는 전자 장치 내에 별도의 장치로서 구비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 내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그립 센서(미도시)를 통해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크게 조절하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증폭되는 전력의 세기에 따라 고전력(high power) 모드, 중전력(middle power) 모드 및 저전력(low power)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각각의 전력 모드에 따라서 임계값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스위치의 스위칭 역시 각각의 전력 모드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이용해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는 전력 모드 및 동작 시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가 고 전력 모드인 경우, 적은 시간으로도 쉽게 발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가 저 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고 전력 모드에서 동일한 온도로 발열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고 전력 모드와 동일한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예: 서미스터(thermistor))를 통해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서미스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각각의 전력 증폭기에 인접한 위치에 놓여진 온도 센서를 체크하여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는 증폭부(130)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부(130)는 각각의 전력 증폭기 별로 할당이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은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전력 증폭기의 송신 전력 및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여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는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는 전자 장치의 어느 구성 요소 옆 또는 어느 위치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음성 통화에 대응하여 스크린(미도시)에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각각의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음성 통화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미도시)에 가장 인접한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하고, 스크린(미도시)에 가장 인접하지 않는 전력 증폭기를 활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 통화 중에 인체(예: 음성 통화를 위해 스크린에 터치되는 인체의 일부)을 통해 느끼게 되는 발열 온도가 낮음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가 구비된 증폭부(130)를 통해 증폭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발열 온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의 비교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30)는 송수신부(12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치로서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를 적어도 두 개의 전력 증폭기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되며, 송수신부(120) 및 제어부(1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력 증폭기는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력 증폭기는 발열 온도에 따라 활성 또는 비활성으로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신호가 제2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도록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신호가 제1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도록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현재 신호의 송신에 대응하여 제1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현재 신호의 송신에 대응하여 제2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제1 전력 증폭기 또는 제3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이용해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증폭되는 전력의 세기에 따라 고전력(high power) 모드, 중전력(middle power) 모드 및 저전력(low power)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각각의 전력 모드에 따라서 임계값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스위치의 스위칭 역시 각각의 전력 모드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이용해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는 전력 모드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을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20)는 통신 방식, 전송 거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부(미도시), 서브통신부(미도시), 무선랜부(미도시) 및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부는 무선랜부(미도시)와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통신부는 무선랜 모듈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부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부와 근거리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통신부는 입력 유닛과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랜부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미도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부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부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화상 형성 장치(미도시)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부, 무선랜부, 스크린 및 근거리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송수신부라 칭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하지 않는다.
그리고, 증폭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증폭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전력 증폭기가 설치되는 위치는 전자 장치 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스크린 바로 아래에 탑재되거나 전자 장치의 후면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통화 중에는 스크린 바로 아래에 탑재된 전력 증폭기는 비활성으로 모드 전환이 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후면에 탑재된 전력 증폭기가 활성으로 모드 전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부(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활성 또는 비활성으로 모드 전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부(12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전력 증폭기의 송신 전력 및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값은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전력 증폭기의 송신 전력 및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 별로 서로 다를 수 있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50)는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5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고,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한다(S210, S212).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따라서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제1 전력 증폭기의 송신 전력 및 제1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을 이용해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는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해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최초의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기지국과의 전계 상황에 따라 지정된 송신 전력으로 전력 증폭기를 증폭하기 위해 저전력 모드, 중전력 모드 또는 고전력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모드의 이동은 기저대역 또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2 bits (예: 00, 01, 10, 11)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 내의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동작 시간, 온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발열 온도는 전자 장치에서 지정한 전력 증폭기가 최대 출력으로 동작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이러한 전력 증폭기가 최대 출력으로 동작됨에 따라 발생되는 발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의 온도를 임계값을 초과하는 발열 온도로 간주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송신 전력 구간 및 동작 시간에 따라서 발열 온도로 간주하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전력 증폭기 전력 모드 송신 전력 구간 동작 시간
고(High) 전력 모드 15dBm 이상 10분
중(Middle) 전력 모드 0~15dBm 30분
저(Law) 전력 모드 0dBm 이하 90분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가 고 전력 모드로 동작하여 15dBm 이상의 전력으로 10분 이상 동작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력 증폭기가 중 전력 모드로 동작하여 0~15dBm 이하의 전력으로 30분 이상 동작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력 증폭기가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하여 0dBm 이하의 전력으로 90분 이상 동작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각각의 전력 증폭기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서 발열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아래 [표 2]는 온도 센서의 온도에 대한 코드 변화를 나타내며, 전력 증폭기와 온도 센서 간의 거리 및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온도 60도 40도 38도 35도 25도(상온)
온도 센서 CODE 600 780 820 980 1140
실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 63도 43도 40도 37도 28도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를 통해서 전력 증폭기의 실제 발열 온도를 예측할 수 있는데, 온도가 60도인 경우 온도 센서의 코드 값은 600을 가지며 이때 실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는 63도이고, 온도가 40도인 경우 온도 센서의 코드 값은 780을 가지며 이때 실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는 43도이고, 온도가 38도인 경우 온도 센서의 코드 값은 820을 가지며 이때 실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는 40도이고, 온도가 35도인 경우 온도 센서의 코드 값은 980을 가지며 이때 실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는 37도 이고, 상온에 해당되는 즉, 온도가 25도인 경우 온도 센서의 코드 값은 1140bits을 가지며 이때 실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는 28도이다. 이와 같이, 저온으로 갈수록 온도 센서의 코드는 높아지고 이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기의 실제 발열 온도 역시 감소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온도 센서의 종류에 따라 고온으로 갈수록 코드가 높아질수있다. 그리고, 상기 코드 값은 2진수, 8진수 및 16진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온도 센서에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설정하여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측정 결과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한다(S214, S216).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에 따라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에서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제1 전력 증폭기에서 예측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은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전력 증폭기에서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제2 전력 증폭기에서 예측되는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 또는 제3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은 제2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제1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동작 시간을 통해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온도 센서를 통해서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동작 시간을 통해서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하는 제1 방법과 온도 센서를 통해서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하는 제2 방법을 각각 이용하거나 또는 함께 이용하여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측정된 또는 예측된 발열 온도에 해당되는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다른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측정된 또는 예측된 발열 온도에 해당되는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다른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하기 위해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복수 전력 증폭기 간의 스위칭이 발생되는 경우, 전력을 정확히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을 위해 제1 전력 증폭기가 비활성되기 전에 제1 전력 증폭기의 전력 상태를 파악하여 제1 전력 증폭기를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스위치를 통해 제1 전력 증폭기가 비활성된 이후에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하여 신호 송신을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온도 센서를 통해서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도 센서를 통해서 측정되거나 발열되는 온도를 통해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해 기준 온도에 해당되는 임계값을 지정하거나 제한 온도를 지정하여 복수의 전력 증폭기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구동 전압에 해당되는 핀(301, 302),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를 제어하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핀(305, 307), FEMiD에서 나오는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핀(303, 304), 전력 증폭기의 활성 또는 비활성에 해당되는 핀(306) 및 접지에 해당되는 핀(30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에 따른 핀의 상태는 아래 [표 3]에 나타낸다.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 State_0 State_1
고 전력 모드 1 1
중 전력 모드 1 0
0 1
저 전력 모드 0 0
전력 증폭기는 FEMiD에서 출력되어 State_0(305)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1이고 State_1(307)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1인 경우, 고전력 모드로 동작된다. 또한, 전력 증폭기는 FEMiD에서 출력되어 State_0(305)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1이고 State_1(307)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0이거나, 또는 State_0(305)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0이고 State_1(307)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1인 경우, 중전력 모드로 동작된다. 또한, 전력 증폭기는 FEMiD에서 출력되어 State_0(305)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0이고 State_1(307)으로 입력되는 비트가 0인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가 별도로 구성된 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가 송수신부와 FEMiD(Front End Module Integrated Duplexer)에 각각 구비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EMiD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서 품질을 좌우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안테나(미도시)를 제외한 부분부터 LNA(Low Noise Amplifier) 앞 단까지 ASM(Antenna Switch Module), 듀플렉서(Duplexer), 전력 증폭기, RF 필터, 수동 소자 부품들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FEMiD는 듀플렉서에 집적화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FEMiD(2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2 스위치(241)를 통해 제1 전력 증폭기(220)에서 증폭된 후, 제1 스위치(211)를 거쳐 송수신부(210)를 통해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하고, 측정된 또는 예측된 발열 온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측정된 또는 예측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스위치(211) 및 제2 스위치(241)를 제2 전력 증폭기(230)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상기 제2 전력 증폭기(230)는 스위칭 되기 이전에 비활성 상태이기 때문에 발열 온도는 제로에 가깝다. 이후, 상기 제2 전력 증폭기(230)를 통해 신호를 증폭하는 동안에 제어부(110)는 제2 전력 증폭기(230)에서 발열되는 발열 온도를 측정하거나 예측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2 전력 증폭기(230)에서 측정된 또는 예측된 발열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스위치(211) 및 제2 스위치(241)를 제1 전력 증폭기(220)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제2 전력 증폭기를 다시 비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제1 전력 증폭기를 다시 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상기 제1 전력 증폭기(230)는 제2 전력 증폭기(230)가 활성된 상태 동안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발열 온도는 제로에 가깝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가 복수의 전력 증폭기를 서로 스위칭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도 4a에서는 제1 스위치(211) 및 제2 스위치(241)가 별도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제1 스위치(211) 및 제2 스위치(24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210) 또는 FEMiD(24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전력 모드와 동작 시간에 따른 스위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가 제1 전력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의 중전력 모드(510)와 저전력 모드(520)에서의 전력의 세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전력 증폭기로의 스위칭은 발생되지 않지만, 고전력 모드(530)에서의 전력의 세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전력 모드(530)에서는 전력의 세기가 중전력 모드 및 저전력 모드에서의 전력 세기보다 크며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발열 온도 역시 증가한다. 고전력 모드(530)에서 일정 시간(t1)이 소요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의 고전력 모드로의 동작으로 인해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고, 이때,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에서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제어하여 스위칭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t2)에서 제1 전력 증폭기는 비활성으로 전환되고, 제2 전력 증폭기는 활성으로 전환된다. 도 5에서는 제1 전력 증폭기가 고전력 모드에서 일정 시간(t1)에서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였으나, 중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일정 시간(t1)보다 더 긴 시간이 지나면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중전력 모드에서의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 지나면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동작 모드와 온도 센서에서의 발열 온도를 이용한 스위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호가 제1 전력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의 중전력 모드(610)와 저전력 모드(620)에서의 전력의 세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전력 증폭기로의 스위칭은 발생되지 않지만, 고전력 모드(530)에서의 전력의 세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력 증폭기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를 통한 측정 온도(640) 역시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전력 모드(630)에서는 전력의 세기가 중전력 모드 및 저전력 모드에서의 전력 세기보다 크며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발열 온도 역시 증가한다. 고전력 모드(630)에서 일정 시간(t1)이 소요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의 고전력 모드로의 동작으로 인해 제1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고, 이때, 제어부(110)는 제1 전력 증폭기에서 제2 전력 증폭기로 스위치를 제어하여 스위칭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t2)에서 제1 전력 증폭기는 비활성으로 전환되고, 제2 전력 증폭기는 활성으로 전환된다. 도 6에서는 제1 전력 증폭기가 고전력 모드에서 일정 시간(t1)에서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였으나, 중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일정 시간(t1)보다 더 긴 시간이 지나면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중전력 모드에서의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 지나면 발열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기와 이에 따른 온도 센서를 전자 장치에 실장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력 증폭기(710)와 이에 따른 제1 온도 센서(711), 그리고 제2 전력 증폭기(720)와 이에 따른 제2 온도 센서(721)는 전자 장치의 어느 위치에도 실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유로운 실장 위치로 인해, 제어부(110)는 음성 통화 시 사용자가 발열 온도를 최소로 느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전력 증폭기를 활성하고, 사용자가 발열 온도를 최대로 느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스크린 제어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20: 송수신부
130: 증폭부 140: 저장부
150: 전원 공급부

Claims (18)

  1. 전자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발열 온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증폭기가 아닌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에 대응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열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현재 모드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및 동작 시간에 따라 확인된 발열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9.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전력 증폭기 및 제2 전력 증폭기가 구비된 증폭부와, 및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동작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발열 온도를 확인하고,
    상기 발열 온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증폭기가 아닌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송수신부 및 FEMiD(Front End Module Integrated Duplexer)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전자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2 전력 증폭기 별로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 및 제2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삭제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으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
  15. 삭제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의 주변에 위치한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열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전자 장치.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2 전력 증폭기 각각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통화에 대응하여 스크린에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에 가장 인접한 전력 증폭기를 비활성하고, 상기 스크린에 가장 인접하지 않는 전력 증폭기를 활성하는 전자 장치.
  1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그립 센서를 통해 인체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임계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136948A 2013-11-12 2013-11-12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0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948A KR102105832B1 (ko) 2013-11-12 2013-11-12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539,769 US9998078B2 (en) 2013-11-12 2014-11-1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power amplif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948A KR102105832B1 (ko) 2013-11-12 2013-11-12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475A KR20150054475A (ko) 2015-05-20
KR102105832B1 true KR102105832B1 (ko) 2020-04-29

Family

ID=5304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948A KR102105832B1 (ko) 2013-11-12 2013-11-12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98078B2 (ko)
KR (1) KR102105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520B2 (en) * 2016-09-14 2019-06-25 Google Llc Small cell thermal control
US10193602B1 (en) * 2017-08-31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throttling using RF diversity
CN107787035B (zh) * 2017-10-3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信设备发热处理方法及移动通信设备
WO2020171243A1 (ko) * 2019-02-18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력 증폭기 및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210030110A (ko) * 2019-09-09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4375546A (zh) * 2019-09-13 2022-04-19 谷歌有限责任公司 天线模块的热管理
CN110856237B (zh) * 2019-10-28 2022-11-08 深圳市普威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设备及无线设备的温度控制方法
CN110945371A (zh) * 2019-11-01 2020-03-31 华普特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分时检测控制电路、无线收发系统及其分时检测控制方法
CN111756396A (zh) * 2020-07-15 2020-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电子设备和控制方法
CN114071508A (zh) * 2020-08-10 2022-02-1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发射探测参考信号srs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884529A (zh) * 2022-04-13 2022-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率放大器的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8550A1 (en) * 2007-03-26 2008-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amplifier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2011109526A (ja) 2009-11-19 2011-06-02 Nec Corp 無線通信端末、並びにこれに用いる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631A (en) * 1989-08-16 1991-04-16 Hewlett-Packard Company Pulse analyzer with gain compression
US5774017A (en) * 1996-06-03 1998-06-30 Anadigics, Inc. Multiple-band amplifier
KR20040092211A (ko) *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모드 단말기의 송신전력 보상을 위한 온도측정 장치
US7315204B2 (en) * 2005-07-08 2008-01-0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lass AB-D audio power amplifier
KR100711721B1 (ko) * 2005-09-09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열완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3875182A (zh) * 2011-10-27 2014-06-18 三菱电机株式会社 高频放大器模块及高频放大器模块单元
US20140199952A1 (en) * 2013-01-15 2014-07-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a/device temperature by switching the antennas on a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8550A1 (en) * 2007-03-26 2008-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amplifier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7508268B2 (en) * 2007-03-26 2009-03-24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amplifier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2011109526A (ja) 2009-11-19 2011-06-02 Nec Corp 無線通信端末、並びにこれに用いる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98078B2 (en) 2018-06-12
US20150133103A1 (en) 2015-05-14
KR20150054475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832B1 (ko)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70093197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ith adaptive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KR101668232B1 (ko)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8744383B2 (en) Dynamic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ss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9962719B (zh) 天线控制方法和系统、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27787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56360B1 (ko) 제어 정보 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1093259B (zh) 一种蓝牙功率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EP290599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onic device to network
WO2018103021A1 (zh) 无线充放电的方法和无线充放电设备
KR20160025059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8612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증폭기를 제어하는 방법
JP2020515932A (ja) 指紋を取り込むための方法および関連製品
KR20150090790A (ko) 통신 제공 장치 및 방법
US9508349B2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N112737609B (zh) 射频系统、信号功率控制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183283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유전체 접근을 파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040537B (zh) Sar回退的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56427A (zh) 移动终端辐射记录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KR20070009936A (ko)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5005154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청기 제어 시스템
CN108600534B (zh) 背光亮度调节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39972A1 (en) Power control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product
KR102245194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EP30357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