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499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499A
KR20180037499A KR1020160127743A KR20160127743A KR20180037499A KR 20180037499 A KR20180037499 A KR 20180037499A KR 1020160127743 A KR1020160127743 A KR 1020160127743A KR 20160127743 A KR20160127743 A KR 20160127743A KR 20180037499 A KR20180037499 A KR 2018003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wireless
impedance
wireless pow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택
유병우
김지훈
노영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499A/ko
Priority to US15/691,029 priority patent/US10855116B2/en
Publication of KR2018003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제1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송전 공진부,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 및 무선 충전 제어 절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진기 또는 상기 제2 공진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기초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ING POWER WIRELESSLY}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기술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력까지 전송하는 등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 접촉 상태에서도 전자 기기에 전력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송신 기술은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러한 자기장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지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무선 충전 표준 등에서 제시하는 종래의 이물질 감지 기술은, 무선 충전이 시작되기 전에 송신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확인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무선 충전 중에는 이물질의 존재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6566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21682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3649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송전 공진부,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 및 무선 충전 제어 절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진기 또는 상기 제2 공진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기초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1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송전 공진부,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 및 상기 제1 공진기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태그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충전 과정에 따라 이물질을 감지할 공진기를 선택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므로, 무선 충전 의 각 절차에 최적화하여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각 페이즈(Phas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부 및 임피던스 검출부의 세부 구성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전송용 공진기 및 검출용 공진기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인접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자기적으로 결합-예컨대, 자기 공명이나 자기 유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수신한 전력을 전자 기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자 기기(300) 내에 일 구성으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전자 기기(300)에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주변에는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무선 충전 제어 절차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물질 감지 절차가 존재하나, 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절차 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를 제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송전 공진부(120), 임피던스 검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송전 공진부(120)에 교류 전류를 제공하고, 송전 공진부(120)는 자기장을 형성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송전 공진부(120)는 전력 전송용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전송용 공진기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용 공진기와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송전 공진부(120)는 전력 전송용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제1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전 공진부(120)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기 공명 방식이나 또는 자기 유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임피던스 검출부(130)는 별도의 검출용 공진기를 구비하고, 검출용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송전 공진부(120)에 포함된 전력 전송용 공진기와, 임피던스 검출부(130)에 포함된 검출용 공진기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두 공진기에 대한 임피던스 변화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 제어 절차에 대응하여 전력 전송용 공진기 또는 검출용 공진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기초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전력 전송용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검출용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무선 충전 제어 절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각 페이즈(Phase)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서 최초 셀렉션 페이즈(Selection Phase)가 수행된다. 셀렉션 페이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송전 공진부를 통하여 외부 장치 검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외부 장치 검출 신호는 외부에 물체가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서, 송전 공진부에서 송출되는 작은 크기의 신호로서, 예컨대, 숏 비콘 신호가 일 예이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외부 장치 검출 신호에 대한 변화가 발생, 예컨대, 송전 공진부의 임피던스의 변화가 발생하면, 특정한 외부 물체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셀렉션 페이즈에서 소정의 외부 물체가 인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핑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핑 페이즈(PING Phase)라 한다. 디지털 핑 신호는 블루투스 등의 별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디지털 핑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응답 신호는 신호 세기 정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전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디지털 핑 신호에 대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 및 전력 요구를 확인할 수 있다(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이후,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Power transfer Phase).
한편,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동안(Power transfer Phase)에는, 전력 전송용 공진기는 전력을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 중이므로, 전력 전송용 공진기를 이용하여 외부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동안(Power transfer Phase)에는, 검출용 공진기를 구비한 임피던스 검출부(130)를 이용하여, 검출용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외부 물체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부 및 임피던스 검출부의 세부 구성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10)는 컨버터(111) 및 전력 증폭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111)는 입력 전원을 전력 증폭기(112)에 적합한 전원, 예컨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전력 증폭기(112)는 이를 기초로 제1 공진기, 즉, 전력 송신용 공진기(1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송전 공진부(120)는 전력 송신용 공진기(121) 외에도 제1 검출기(122)를 포함하며, 제1 검출기(122)는 전력 송신용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임피던스 검출부(130)는 제2 공진기, 즉, 검출용 공진기(131)와 그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제2 검출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출기(122) 및 제2 검출기(132)는 각각 제1 공진기(121) 및 제2 공진기(131)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다양한 회로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용 공진기(131)는 전력 송신용 공진기(121)에 대응하는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검출기(122)는 제2 검출기(132)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두 검출기의 임피던스 변화량에 대하여 동일하게 대응할 수 있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예컨대, 셀렉션 페이즈 내지 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페이즈 동안-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Power transfer 페이즈 동안에는, 검출용 공진기(131)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무선 태그 리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태그 리더(15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할 수 있는 리더로서, 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제어부(140)는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 또는 검출용 공진기(131)의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어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태그 리더(150)의 출력에 따라 이물질이 무선 태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을 위한 자기장에 오래 동안 노출되는 경우 무선 태그의 파손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을 중단하여 무선 태그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고 무선 태그 리더(150)가 무선 태그의 존재를 감지하면,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절차를 중단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검출용 공진기(131)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고 무선 태그 리더(150)가 상기 무선 태그의 존재를 감지하면, 무선 충전을 즉시적으로 중단시켜, 무선 태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태그 리더(150)는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동안 검출용 공진기(131)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40)의 제어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조건에 따라 무선 태그 리더(150)가 동작함으로써, 무선 태그의 존재를 빠르게 판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무선 태그 리더(150)에서 무선 태그를 감지하면, 송전 공진부(12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한 전력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태그 리더(150)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전 공진부(120)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상기 무선 태그 리더에서 상기 무선 태그를 감지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준비를 중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고(S510), 디지털 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520).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디지털 핑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S530, 예), 전력 전송 페이즈를 진행할 수 있다(S540).
전력 전송 페이즈 동안에는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만일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면(S550, 예), 전력 전송 페이즈를 중단 시킬 수 있다(S560).
이후, 무선 태그 리더를 동작(S570)시켜, 이물질이 무선 태그인지 확인하고, 무선 태그인 경우(S580, 예), 무선 태그 존재를 알림할 수 있다(S590).
이러한 예의 경우, 전력 전송 페이즈를 즉시적으로 먼저 중단시키므로, 무선 태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전력 전송 페이즈를 중단시키는 단계(S560)는 실시예에 따라 무선 태그인지 확인이 이루어진 후(S580)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전송용 공진기 및 검출용 공진기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기판 상에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 및 검출용 공진기(122)를 구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력 전송용 공진기(121)는 전력 전송을 위한 것이므로, 보다 높은 턴 수와 넓은 도선 면적을 가지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권선될 수 있다.
한편, 검출용 공진기(122)는 공진기(121)의 외부에 권선되고, 보다 작은 턴수와 얇은 도선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송진 공진부(120) 또는 임피던스 검출부(130)는 도시된 예와 같이 두 개의 공진기를 하나의 기판 상에 구현함으로써, 공간적인 최적화와 함께 검출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0 : 전원 공급부
111 : 컨버터 112 : 전력 증폭기
120 : 송전 공진부
121 : 제1 공진기 122 : 제1 검출기
130 : 임피던스 검출부
131 : 제12 검출기 132 : 제2 공진기
140 : 제어부
150 : 무선 태그 리더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300 : 전자 기기

Claims (15)

  1. 제1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송전 공진부;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 및
    무선 충전 제어 절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진기 또는 상기 제2 공진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기초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공진부는
    상기 제1 공진기; 및
    상기 제1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제1 검출기;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검출부는
    상기 제2 공진기; 및
    상기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제2 검출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진기는 상기 제1 공진기에 대응하는 공진 특성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상기 제1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전력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인접한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전력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무선 태그 리더;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태그 리더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이물질이 상기 무선 태그인지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상기 제1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고 상기 무선 태그 리더가 상기 무선 태그의 존재를 감지하면, 무선 충전을 위한 준비 절차를 중단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고 상기 무선 태그 리더가 상기 무선 태그의 존재를 감지하면, 무선 충전을 중단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1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송전 공진부;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 및
    상기 제1 공진기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태그 리더;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공진부는
    상기 제1 공진기; 및
    상기 제1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제1 검출기;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검출부는
    상기 제2 공진기; 및
    상기 제2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제2 검출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진기는 상기 제1 공진기에 대응하는 공진 특성을 가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공진부는
    상기 무선 태그 리더에서 상기 무선 태그를 감지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한 전력 송신을 중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 리더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상기 제1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검출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무선 태그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공진부는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동안, 상기 무선 태그 리더에서 상기 무선 태그를 감지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준비를 중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60127743A 2016-10-04 2016-10-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37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43A KR20180037499A (ko) 2016-10-04 2016-10-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5/691,029 US10855116B2 (en) 2016-10-04 2017-08-30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43A KR20180037499A (ko) 2016-10-04 2016-10-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99A true KR20180037499A (ko) 2018-04-12

Family

ID=6175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43A KR20180037499A (ko) 2016-10-04 2016-10-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55116B2 (ko)
KR (1) KR201800374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5130B2 (en) * 2017-08-17 2020-07-07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daptive transmitter present detection
US10833539B2 (en) * 2017-09-27 2020-11-10 Wits Co., Lt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s modul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US11239695B2 (en) 2018-08-14 2022-02-01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device prior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6698B2 (ja) 2011-03-08 2015-01-21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ワイヤレス電力送信機、無線タグ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101213649B1 (ko) 2011-12-16 2012-12-18 전자부품연구원 이물질 및 무선 충전기기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5216828A (ja) * 2014-04-24 2015-1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異物検出装置、無線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60322853A1 (en) * 2015-04-28 2016-11-03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fe wireless charg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5116B2 (en) 2020-12-01
US20180097408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2188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JP6053439B2 (ja)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13649B1 (ko) 이물질 및 무선 충전기기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60218569A1 (en) Wireless load modulation
CN109120312B (zh) 近场通信设备和检测近场通信卡的方法
US10571593B2 (en) Method for analysing measurement signal of metal sensor and detecting object via metal sensor
US20110128015A1 (e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Inductive Coupled Devices
US2010022517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electric power,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10399446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KR102340996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11336119B2 (en) Q-factor determination of coil select
KR102026984B1 (ko)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20150107281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8003749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7001487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20160315723A1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13811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foreig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140292096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power reception apparatus,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11190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power receiving apparatus
KR101386650B1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이물질 감지 방법
EP3125404B1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590615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자산에 보안 로컬 액세스 및 유효성 검증을 하기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712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foreig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70109299A (ko) 공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26607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