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085B1 -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085B1
KR102624085B1 KR1020210054037A KR20210054037A KR102624085B1 KR 102624085 B1 KR102624085 B1 KR 102624085B1 KR 1020210054037 A KR1020210054037 A KR 1020210054037A KR 20210054037 A KR20210054037 A KR 20210054037A KR 102624085 B1 KR102624085 B1 KR 10262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athroom
data
water used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211A (ko
Inventor
정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인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0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판단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이화장실 관리방법{Monitoring Method for Public Restroom}
본 발명은 사용되는 수량의 측정을 통하여 공중화장실의 누수, 배관막힘 등의 이상상태를 간단하게 모니터링 하기 위한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을 하고, 이에 따라 위생, 안전, 친환경 등의 문제가 항상 동반된다.
특히 공중화장실 중 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에 위치하는 간이 화장실의 경우 1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보다 사용자가 깨끗하게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위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에 비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른 배관 막힘 등의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배관막힘 또는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넓은 지역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가 되어 있어, 일반적인 공중화장실에 비하여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관리가 어렵거나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5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장실의 누수 또는 배관막힘 등의 이상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판단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는 경우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량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단계 및 제2수량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수량을 통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를 검증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1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1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2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2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검증단계에서는 상기 제2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 오차와 상기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의 오차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간이화장실의 냄새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출입감지센서의 입력을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야외에 설치되는 간이화장실에 수량센서의 설치를 통하여 누수 또는 배관막힘 등 이상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간이화장실 또는 다수의 간이화장실에서 측정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일정기간 취합을 하고, 이를 통하여 누수 또는 배관막힘 등 이상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간이화장실 관리에 있어서 직접 설치 장소에 방문을 하지 않고도 넓은 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는 다수의 간이화장실 중 이상이 있는 화장실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다수의 간이화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간이화장실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다수의 간이화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간이화장실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내지 도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간이화장실(1)은 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 넓은 지역에 소수의 인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가 되게 된다.
간이화장실(1)의 내부에는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가 구비된다.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는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량센서(6)가 각각 구비된다.
간이화장실 내부에는 악취를 측정하기 위한 악취센서(7)가 설치될 수 있고, 악취센서(7)는 일반적으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소변기 및 배수구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서의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 및 화장실 내부의 악취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수량센서(6) 및 악취센서(7)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지속적으로 취합이 되고, 처리가 되어 저장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처리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간이화장실(1)에서의 측정된 결과는 관리를 위한 서버로 전송이 될 것이고, 이를 위한 통신방법 역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양변기(3), 소변기(4) 및 세면대(5)에서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는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측정이 되고, 이를 개략적으로 그래프로 표현을 하는 경우 도3 내지 도5와 같다.
즉, 양변기(3) 및 소변기(4)의 경우 사용자에 출수를 하는 경우에 수량데이터가 입력이 되고,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특정기간(일, 주, 월 등) 동안 출수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하루 기준의 양변기의 출수량을 통하여 하루 중 어떤 시간에 사용이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양변기 출수를 위한 조작을 몇 번 하는지에 따라 출수량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양변기(3)의 시간별 출수량을 통하여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 양변기의 사용에 있어서 출수버튼 1회 이상 누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특정 시간의 범위 내의 출수가 복수 회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한 번 사용을 한 것으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3의 시간별 출수량 그래프에서 설정된 시간(t1)의 범위 내에서 복수 회의 출수가 있더라도 이는 1명의 사용자가 1회 사용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면 상의 a1의 경우 3회의 출수가 있었고, a2의 경우 1회의 출수가 있었고, a3의 경우 2회의 출수가 있었지만, 모두 설정된 시간(t1) 내에서의 출수이므로 이는 1회 사용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b1의 경우 3회의 출수가 있었지만, 이는 설정된 범위 내의 2회와 범위 밖의 1회의 출수이므로 이는 2회의 사용으로 판단을 한다.
소변기(3)의 출수량을 통하여 상기 양변기(2)와 유사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즉 특징기간(일, 주, 월 등) 동안 출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설정된 시간(t2) 내의 복수의 출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하여 사용자의 1회의 사용으로 판단한다(c1, c2). 그러나 설정된 시간 외에 복수의 출수가 있는 경우에는 2회의 사용으로 판단한다(d1).
한편,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사용시간이 소변기의 사용시간보다 길고, 사용빈도는 잦기 때문에 사용횟수 판단의 정확성을 위하여 t1은 t2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세면대(4)의 경우 양변기(2) 및 소변기(3)과 다르게 사용자가 사용을 하는 목적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출수되는 시간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즉 양변기 및 소변기의 경우 소변 또는 대변의 처리를 위한 목적인 반면, 세면기의 경우 세척 이외의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출수되는 물의 양 또한 양변기 및 소변기와 같이 설정된 수량에 출수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의 시간별 출수량에 대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출수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분별 출수량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과정에서 출수량이 변화할 수 있고(e1, e3),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사용을 하는 경우가 발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수량측정단계(S10), 이상여부판단단계(S20)를 포함한다.
제1수량측정단계(S10)에서는 제1화장실(1)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에서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제1수량데이터측정단계(S10)에서는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에 설치된 수량센서(5)를 통하여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에 사용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력 받는다.
이에 따라 제1수량데이터측정단계(S10)를 통하여 상기 설명한 도3 내지 도5의 사용하는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확보된다.
이상여부판단단계(S20)는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1)의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에서 사용되는 수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는 경우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수량에 대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양변기(2), 소변기(3), 세면대(4)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수량에 대한 데이터는 간헐적으로 표시가 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물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데이터가 출력이 되는 경우 이상여부판단단계(S20)에서는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관리자에 다양한 방식으로 통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없는 야간시간대에 소량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 개별로 판단을 할 수 있어 제1화장실에서 누수가 발생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누수의 포인트가 어딘지 판단하여 조기에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제1수량측정단계(S110), 이상여부판단단계(S120), 제2수량측정단계(S130) 및 이상여부확인단계(S140)을 포함한다.
제1수량측정단계(S11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는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 수량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한다.
간이화장실의 경우 일반적인 공중화장실과 달리 1~2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공중화장실보다 관리자에 의한 관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막힘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가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 양변기(3), 소변기(4), 세면대(5)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수량센서(6)를 통한 데이터가 입력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정된 시간 이상(예를 들어 24시간)으로 데이터가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막힘 등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을 하게 된다.
한편, 수량센서(6)의 데이터에만 의존을 하여 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을 하기 때문에 이상이 없으나 실질적으로 사용을 하지 않아서 물의 소비가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차단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과정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간이화장실(2)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한다.
제2수량측정단계(S30)는 제2화장실(2)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간이화장실은 설치지역(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제2수량측정단계(S30)에서는 제1수량측정단계(S10)에서 측정대상이 되는 제1화장실(1)과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제2화장실(2)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한다.
제2수량측정단계(S130)에서는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 판단한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위한 데이터의 확보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 누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다음 실제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공원, 산책로의 특성상 운영상의 이유 또는 날씨 등의 이유로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가변적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이용객이 적은 경우에는 화장실의 사용량은 적을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화장실의 사용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이상여부검증단계(S140)에서는 제2수량측정단계(S130)에서 수량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이상여부판단단계(S120)에서 제1화장실(1)의 물의 사용이 없는 것이 해당지역에 사용객이 없어서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화상질(1)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 경우 관리자에 제1화장실(1)에 이상이 없다는 통지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다수의 화장실이 있는 경우 다른 화장실의 수량을 추가로 측정을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이상여부검증단계(S140)를 반복하는 경우 다수의 화장실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은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수량측정단계(S210), 이상여부판단단계(S220), 제2수량측정단계(S230) 및 이상여부검증단계(S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수량을 통하여 간이화장실의 막힘 등의 이상 여부에 대하여 물의 사용이 있는지 없는지를 통하여 판단을 하고, 이상여부를 검증하는데 있어서 역시 인접하는 화장실의 물의 사용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판단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양변기, 소변기의 경우 사용자의 사용 양태에 따라 1회의 사용에 있어서도 사용되는 수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배관의 막힘 등과 같이 이상 여부가 직관적으로 사용자에 인지가 되지 않는 경우 수량의 사용은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을 하지 않는 상태일 가능성도 배제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량을 통하여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횟수를 판단을 하고, 사용횟수를 기준으로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의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1수량측정단계(S210)는 제1수량측정과정(S211)과 제1사용횟수판단과정(S212)을 포함한다.
제1수량측정과정(S211)에서는 사용횟수를 판단하고자 하는 양변기, 소변기,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고, 이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사용횟수판단과정(S212)에서는 제1수량측정과정(S211)에서 확보된 수량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사용한 횟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설정된 시간(t1, t2)의 복수 회의 수량 데이터의 입력이 있더라도 이는 1회의 사용으로 판단을 하고, 사용횟수에 대한 기간별(시, 일, 주, 년 등) 사용 횟수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상여부판단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1사용횟수판단과정(S212)을 통하여 확보가 된 다양한 기간별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의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패턴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을 하게 된다.
제2수량측정단계(S230)은 제2수량측정과정(S231) 및 제2사용횟수측정과정(S232)을 포함하고, 이상여부판단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인접하는 제2화장실(2)의 수량 및 사용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상여부검증단계(S240)에서는 제2화장실(2)에서 역시 상기 제1화장실(1)에 대한 이상여부판단단계(S220)와 유사하게 다양한 기간별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의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가 유사하게 벗어나는 경우 이는 양변기 및 소변기의 이상이 아닌 해당 지역의 운영조건 또는 날씨 등에 따른 이용 사용자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판단하고 이상이 있지 않는 것으로 결정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간이화장실의 관리방법을 통하여 수량에 대한 데이터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가 다양한 기간별로 누적이 되는 경우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이상여부검증에 있어서 수량 또는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인접하는 화장실에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증을 하였다.
그러나 인접하는 제2화장실의 데이터의 경우 수량 및 사용횟수에 대한 추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하므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잘못된 검증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센서(7)를 통하여 화장실의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일정 기간 입력이 되지 않거나, 사용횟수가 없는 것으로 나오는 경우에 있어서,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 여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게 된다.
즉, 배관의 막힘 등이 있는 경우 간이화장실의 특성상 악취가 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간이화장실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채택한다. 따라서 수량에 대한 데이터 또는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출입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실제 간이 화장실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한다.
출입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 및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고, 사용자의 출입이 있다고 판단되지만, 양변기, 소변기, 세면대에서 물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양변기, 소변기, 세면대에서 물이 사용되는 않는 경우라도 출입이 없는 경우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간이화장실 3: 양변기
4: 소변기 5: 세면대
6: 수량센서

Claims (8)

  1.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량을 바탕으로 제1화장실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세면대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는 상기 양변기, 소변기 및 세면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량이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고,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단계; 및
    제2수량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수량을 통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를 검증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1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1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2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2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검증단계에서는 상기 제2화장실의 설정된 기간 동안 확보된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와 이상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여부판단단계에서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 오차와 상기 제1화장실에 대한 데이터의 오차 여부를 비교하며,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1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1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1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1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제1사용횟수판단과정에서는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복수 회의 출수가 있더라고 1회 사용횟수로 판단하는
    상기 제2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수량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수량 및 소변기에 사용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량측정단계는 상기 제2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수량을 측정하는 제2수량측정과정 및 상기 제2수량측정과정에서 측정된 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횟수를 판단하는 제2사용횟수판단과정을 포함하고,
    제2사용횟수판단과정에서는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복수 회의 출수가 있더라고 1회 사용횟수로 판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화장실의 냄새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취센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화장실의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감지센서의 입력을 기준으로 이상여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이상여부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KR1020210054037A 2021-04-27 2021-04-27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KR102624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37A KR102624085B1 (ko) 2021-04-27 2021-04-27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37A KR102624085B1 (ko) 2021-04-27 2021-04-27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11A KR20220147211A (ko) 2022-11-03
KR102624085B1 true KR102624085B1 (ko) 2024-01-12

Family

ID=8404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37A KR102624085B1 (ko) 2021-04-27 2021-04-27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0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4594A (ja)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トイレシステム
JP2018529866A (ja) 2015-08-19 2018-10-11 サテリット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ータを収集して通信するインテリジェント仮設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26A (ko) * 2014-05-07 2015-11-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지능통신을 이용한 공중화장실 관리장치
KR101868508B1 (ko) 2017-10-26 2018-06-19 주식회사 나래젠 공중 화장실의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A3091721A1 (en) * 2018-02-20 2019-08-29 Lixil Corporation Toile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KR20210015870A (ko) * 2018-05-31 2021-02-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화장실 유지관리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4594A (ja)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トイレシステム
JP2018529866A (ja) 2015-08-19 2018-10-11 サテリット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ータを収集して通信するインテリジェント仮設トイ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11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24431B (zh) 用于将电子管道固定装置数据和健康数据传输到用户设备以通过网络传输的系统和方法
US11886213B2 (en) Connected sanitaryware systems and methods
US10712226B2 (en) Autonomous identification of an anomalous aqueous stream from an aqueous source feeding multiple independent streams and remediation directive determination thereof
JP6624366B2 (ja) トイレシステム
JP2019073868A (ja) 排水管詰まり検知システム及び排水管詰まり検知プログラム
Métadier et al. From mess to mass: a methodology for calculating storm event pollutant loads with their uncertainties, from continuous raw data time series
JP5605765B2 (ja) トイレ装置
JP5821472B2 (ja) トイレ装置
KR102624085B1 (ko) 간이화장실 관리방법
JP4329123B2 (ja) 尿分析方法
Spence et al. Gross solids from combined sewers in dry weather and storms, elucidating production, storage and social factors
US67012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effect of inflow and infiltration on a sewer system
KR102525014B1 (ko)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0201703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effect of inflow and infiltration on a sewer system
JP6471891B2 (ja) 排泄情報測定装置
JP4736118B2 (ja) 排尿情報測定便器
Ansari et al. Estimation of parameters and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of sanitary sewers in Malaysia
Szeląg et al. Simulation of a storm overflow with probabilistic and hydrodynamic models
JP7382238B2 (ja) 管理システム、検知装置、推定装置、及び目皿
WO2023048061A1 (ja) 制御装置及び給排水システム
Digman et al. A model to predict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gross solids loading in combined sewerage systems
JPH0768716B2 (ja) 自動水洗装置における排水系目詰り検知方法
JP2023135790A (ja) 異常検知システム
KR20230105955A (ko) 급배수설비의 이상감지시스템
Cardoso et al. Proposal for a methodology to assess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urban se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