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007B1 -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 Google Patents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007B1
KR102624007B1 KR1020220033466A KR20220033466A KR102624007B1 KR 102624007 B1 KR102624007 B1 KR 102624007B1 KR 1020220033466 A KR1020220033466 A KR 1020220033466A KR 20220033466 A KR20220033466 A KR 20220033466A KR 102624007 B1 KR102624007 B1 KR 102624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ow path
air
hollow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5903A (ko
Inventor
이재화
하정훈
이태현
강승호
손동영
최웅식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22003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007B1/ko
Publication of KR2023013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의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에어백(110)이 구비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혈류가 제한되도록 하는 압박부(100);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110)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제어모듈(200); 및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밀한 유로(315)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압박부(100)에 전달하는 피복부(300);를 포함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WEARABLE CUFF APPARATUS FOR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본 발명은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압박하여 정맥혈류가 차단되도록 혈류제한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류제한 운동(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은 단련하고자 하는 근육의 근위부 압박을 통한 혈류제한으로 혈액이 인위적으로 정체된 국부적인 근육환경을 조성한 상태에서 트레이닝하면 화학적, 물리적 변화로 근비대나 근력증가 등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운동법으로서 1966년 일본의 요시아키 사토 박사에 의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커프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혈류제한 운동용 커프장치는,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부위의 둘레에 배치되고 공기압에 의해 팽창동작하면서 착용된 신체부위의 혈류가 제한되도록 하는 압박부(10)와, 상기 압박부(10)를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제어모듈(2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제어모듈(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각 압박부(10)에 전달하는 에어호스(30)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모듈(20)로 압박부(10)를 팽창시켜 근육이 압박된 상태에서 혈류제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과 각 압박부(10) 사이에 에어호스(30)가 길게 연장되어 있어 외관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트레이닝 동작범위가 제한되고 반복동작시 신체를 타격하여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더욱이, 상기 에어호스(30)는 우레탄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조되어 트레이닝 동작을 취하면서 신체 및 주변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되지 않더라도 제어모듈(20)이나 압박부(10)와의 체결부위로부터 에어호스(30)가 분리되어 공기압 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에어호스(30)가 접히거나 신체에 의해 가압되면 내부의 유로가 막혀 제어모듈(20)의 에어공급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78576호(2020.11.09), 발목 재활운동 장치 및 그 장치에 적용되는 발목 관절 움직임을 동반한 공기 압박 커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한 피복부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를 통해 제어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각 압박부에 공급하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호스가 없어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트레이닝 동작범위에 제한이 없으며 에어호스의 손상 및 분리 또는 유로 차단으로 인한 에어공급의 차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의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에어백(110)이 구비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혈류가 제한되도록 하는 압박부(100);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110)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제어모듈(200); 및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밀한 유로(315)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압박부(100)에 전달하는 피복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복부(300)는, 상기 신체부위의 둘레에 접촉되는 내피(311)와, 상기 내피(3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융착시트(312)와, 상기 제1융착시트(3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융착시트(313) 및, 상기 제2융착시트(313)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에 연장된 복수 개의 융착라인(L)이 형성되도록 상호 열융착되어 각 융착라인(L) 사이에 기밀한 유로(31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315)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유로(315)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로(315)를 형성하는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피복부(300)가 접힌 상태에서도 상기 유로(315)가 유지되도록 하며, 통기성 다공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통기시트(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시트(410)는,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 사이에 배치되고, 각 융착시트(312,31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융착라인(L)을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공정시 각 융착시트(312,313)와 함께 열융착되면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융착시트(312)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Tensile Strain)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내피(3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내피(311)측으로 팽창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팽창제한 플레이트(420); 및 상기 제2융착시트(313)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2융착시트(313)와 외피(3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외피(314)측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제한하는 제2팽창제한 플레이트(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내부의 유로(315)와 연통된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모듈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모듈커넥터(210)를 통해 상기 유로(315)에 에어를 공급하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유로(315)의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압박부(10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유로(315)의 타측과 연통된 제2피복부커넥터(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부(100)는, 내부의 에어백(110)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커넥터(12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2피복부커넥터(330)와 압박부커넥터(120)를 통해 에어백(110)이 팽창동작하는데 필요한 에어를 전달받으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중공(32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21) 및, 상기 중공(322) 내부에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개방하는 밸브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21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2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어모듈(2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펌프(220)와 연결되면서 에어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를 공급받으며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200)에 고정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의 중공(32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322)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지지턱(323)에 지지되어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3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326)는, 상기 끼움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구(327)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커넥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며, 밸브부(326)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3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328)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유로(315)의 내부로 노출되어 공급된 에어를 유로(315)로 주입하고 상기 압축스프링(324)에 의해 가압되면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지지턱(323)에 의해 커버되어 주입되는 에어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는, 중공(33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31) 및, 상기 중공(332)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33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개방하는 밸브부(336)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부커넥터(12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1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압박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110)과 연결되면서 에어백(110)에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압박부(100)에 고장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121)가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이송공(44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212)과 연통된 배기공(443)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442)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441)가 형성된 건조용커넥터(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체결되고 상기 압박부커넥터(120)가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부(100)의 에어백(110)이 설정압력치까지 팽창하도록 고압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공급하는 에어백 팽창모드 및,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어느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되고 상기 건조용커넥터(44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다른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공기를 건조용커넥터(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압의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건조모드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각 유로(315)는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의 일정영역(R) 내에 일측이 모이도록 배치되고,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일정영역(R) 내에서 각 유로(315)와 연통되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모듈(200)은 일측면 상에서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모듈커넥터(210)가 모이도록 배치되어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각 모듈커넥터(210)는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일정영역(R) 내에서 상하 대칭 또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각 모듈커넥터(210)는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동일하게 상하 대칭 또는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모듈(200)이 피복부(300)에 결합되는 방향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의하면,
첫째, 압박부(100)는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의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에어백(110)이 구비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혈류가 제한되도록 하며, 제어모듈(200)은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110)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고, 피복부(300)는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며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밀한 유로(315)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압박부(100)에 전달하는 것과 같이, 피복부(300)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315)를 통해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각 압박부(100)에 공급하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호스가 없어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트레이닝 동작범위에 제한이 없으며 에어호스의 손상 및 분리 또는 유로 차단으로 인한 에어공급의 차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피복부(300)는, 상기 신체부위의 둘레에 접촉되는 내피(311)와, 상기 내피(3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융착시트(312)와, 상기 제1융착시트(3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융착시트(313) 및, 상기 제2융착시트(313)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에 연장된 복수 개의 융착라인(L)이 형성되도록 상호 열융착되어 각 융착라인(L) 사이에 기밀한 유로(315)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유로(315)의 두께가 슬림하며 유로(315)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셋째, 통기시트(410)는 상기 유로(315)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유로(315)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로(315)를 형성하는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피복부(300)가 접힌 상태에서도 상기 유로(315)가 유지되도록 하며, 통기성 다공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특정 트레이닝 동작을 취하면서 피복부(300)가 접히더라도 제어모듈(200)의 에어를 압박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315)는 지속적으로 개방되므로 유로(315) 차단시 과압이 걸려 제어모듈(200)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에어공급라인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통기시트(410)는,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 사이에 배치되고, 각 융착시트(312,31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융착라인(L)을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공정시 각 융착시트(312,313)와 함께 열융착되면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통기시트(410)가 유로(315)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공정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제1팽창제한 플레이트(420)는 상기 제1융착시트(312)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Tensile Strain)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내피(3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내피(311)측으로 팽창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며, 제2팽창제한 플레이트(430)는 상기 제2융착시트(313)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2융착시트(313)와 외피(3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외피(314)측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유로(315)가 내피(311)측이나 외피(314)측으로 팽창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내부의 유로(315)와 연통된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모듈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모듈커넥터(210)를 통해 상기 유로(315)에 에어를 공급하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유로(315)의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압박부(10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유로(315)의 타측과 연통된 제2피복부커넥터(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부(100)는, 내부의 에어백(110)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커넥터(12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2피복부커넥터(330)와 압박부커넥터(120)를 통해 에어백(110)이 팽창동작하는데 필요한 에어를 전달받으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땀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쉽게 오염될 수 있는 피복부(300)나 압박부(100)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탁이나 정비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중공(32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21) 및, 상기 중공(322) 내부에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개방하는 밸브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21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2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어모듈(2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펌프(220)와 연결되면서 에어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를 공급받으며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200)에 고정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의 중공(32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211)가 형성됨으로써, 피복부(300)와 제어모듈(200)이 상호 분리되더라도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밸브부(326)에 의해 차단되어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중공(322)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지지턱(323)에 지지되어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3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326)는, 상기 끼움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구(327)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커넥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며, 밸브부(326)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3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328)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유로(315)의 내부로 노출되어 공급된 에어를 유로(315)로 주입하고 상기 압축스프링(324)에 의해 가압되면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지지턱(323)에 의해 커버되어 주입되는 에어가 차단됨으로써, 모듈커넥터(210)를 제1피복부커넥터(3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차단되고 반대로 모듈커넥터(210)를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각 커넥터(210,320)가 연통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아홉째,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는, 중공(33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31) 및, 상기 중공(332)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33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개방하는 밸브부(336)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부커넥터(12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1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압박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110)과 연결되면서 에어백(110)에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압박부(100)에 고장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121)가 형성되며, 건조용커넥터(44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44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212)과 연통된 배기공(443)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442)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441)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체결되고 상기 압박부커넥터(120)가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부(100)의 에어백(110)이 설정압력치까지 팽창하도록 고압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공급하는 에어백 팽창모드 및,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어느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되고 상기 건조용커넥터(44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다른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공기를 건조용커넥터(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압의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건조모드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유로(315)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거나 결로현상으로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유로 건조모드를 통해 유로(315) 내부를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열째, 각 유로(315)는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의 일정영역(R) 내에 일측이 모이도록 배치되고,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일정영역(R) 내에서 각 유로(315)와 연통되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모듈(200)은 일측면 상에서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모듈커넥터(210)가 모이도록 배치되어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각 모듈커넥터(210)는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제어모듈(2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모듈커넥터(21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제어모듈(200)을 각 유로(315)에 직결할 수 있어 기밀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열한째,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일정영역(R) 내에서 상하 대칭 또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각 모듈커넥터(210)는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동일하게 상하 대칭 또는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모듈(200)이 피복부(300)에 결합되는 방향을 조절가능함으로써, 트레이닝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모듈(200)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어모듈(200)의 장착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커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혈류제한 운동용 커프장치의 압박부를 팔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혈류제한 운동용 커프장치의 압박부를 다리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에 융착라인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피복부의 유로를 통해 압박부로 전달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융착라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및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가 접힐 수 있는 트레이닝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가 접히면서 내부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시트가 유로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시트에 의해 피복부가 접힌 상태에서 내부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시트가 제1융착시트 및 제2융착시트와 함께 융착되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팽창제한 플레이트 및 제2팽창제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모듈커넥터 및 피복부의 제1피복부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가 제1피복부커넥터에 삽입되면서 상호 연통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가 제1피복부커넥터로부터 분리되면서 제1피복부커넥터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모듈커넥터 및 피복부의 제2피복부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로 건조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피복부커넥터가 일정영역 내에 모이도록 배치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압박하여 정맥혈류가 차단되도록 혈류제한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100), 제어모듈(200) 및 피복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압박부(100)는 공기압을 이용한 혈류제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압박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의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에어백(110)이 구비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혈류가 제한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양팔(상완)과 양다리(허벅지)에 각각 압박부(100)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한팔 또는 양팔에만 배치되거나 한다리 또는 양다리에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밖에 혈류제한 운동이 가능한 신체부위이면 어는 곳에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100)는 벨크로, 지퍼, 스냅단추 및 브라켓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신체부위의 둘레에 감겨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피부지지되어 신체 둘레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에어백(110)의 팽창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110)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에어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200)의 내부에는 에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펌프(미도시) 및, 에어주입 타이밍이나 에어흡입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미도시)가 구비되어, 설정압력으로 압축된 에어를 공급하여 압박부(100)를 팽창동직시키거나 공급된 에어를 흡입하여 팽창된 압박부(100)가 수축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30)가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에어가 공급되거나 에어를 흡입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압박부(100)의 팽창된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200)에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동작 상태 및 설정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수단이 터치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경우 조작부(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방식으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상기 제어모듈(200)이 가슴쪽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등부위, 어께, 다리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복부(300)는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밀한 유로(315)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압박부(100)에 전달한다. 상기 유로(315)는 기존의 에어호스를 대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체부위의 둘레에 접촉되는 내피(311)와, 상기 내피(3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융착시트(312)와, 상기 제1융착시트(3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융착시트(313) 및, 상기 제2융착시트(313)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311)는 부직포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외피(314)는 옥스포드 원단으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증대시키고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마모성 및 착용감을 고려하여 다양한 원단으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에 연장된 복수 개의 융착라인(L)이 형성되도록 상호 열융착되어 각 융착라인(L) 사이에 기밀한 유로(3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 방식으로는 초음파 융착 방식 또는 고주파 융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는 열융착을 위해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융착방식으로 유로(315)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유로(315)의 두께가 슬림하며 유로(315)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평행한 선형의 두 융착라인(L)을 통해 직선형태로 연장된 유로(315)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의 융착라인(L)을 통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확장부와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협소부가 교호로 반복된 유로(315)를 형성함으로써 유로(315)의 표면이 고르게 팽창하는 면팽창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슬림한 상태로 에어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압박부(100), 제어모듈(200) 및 피복부(30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피복부(300)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315)를 통해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각 압박부(100)에 공급하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호스가 없어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트레이닝 동작범위에 제한이 없으며 에어호스의 손상 및 분리 또는 유로 차단으로 인한 에어공급의 차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트레이닝 동작을 취하다 보면 도 11에 적색 점선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피복부(300)가 접히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가 상호 접촉되어 내부의 유로(315)가 차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모듈(200)의 에어펌프나 에어공급라인에 과압이 걸려 제어모듈(200)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에어공급라인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315) 내부에 배치되는 통기시트(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시트(410)는 상기 유로(315)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유로(315)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로(315)를 형성하는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피복부(300)가 접힌 상태에서도 상기 유로(315)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통기시트(410)는 메쉬구조와 같은 통기성 다공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트레이닝 동작을 취하면서 피복부(300)가 접히더라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0)의 에어를 압박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315)는 지속적으로 개방되므로 유로(315) 차단시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시트(410)는,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 사이에 배치되고, 각 융착시트(312,313)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융착라인(L)을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공정시 각 융착시트(312,313)와 함께 열융착되면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통기시트(410)가 유로(315)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공정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팽창제한 플레이트(420)는 상기 제1융착시트(312)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Tensile Strain)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내피(3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내피(311)측으로 팽창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며, 제2팽창제한 플레이트(430)는 상기 제2융착시트(313)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2융착시트(313)와 외피(3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외피(314)측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유로(315)가 내피(311)측이나 외피(314)측으로 팽창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박부(100)나 피복부(300)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때문에 땀이나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쉽게 오염될 수 있으나, 제어모듈(200)에는 제어회로나 에어펌프 등의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어 압박부(100)나 피복부(300)에 제어모듈(200)이 고정 장착되는 경우 제어모듈(200)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어 세탁이나 정비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피복부(300)나 압박부(100)로부터 제어모듈(200)을 쉽게 분리하고 장착할 수 있도록,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내부의 유로(315)와 연통된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모듈커넥터(210)가 구비된다. 상호 체결된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모듈커넥터(210)를 통해 상기 유로(315)에 에어를 공급하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유로(315)의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압박부(10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유로(315)의 타측과 연통된 제2피복부커넥터(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부(100)는, 내부의 에어백(110)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커넥터(12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2피복부커넥터(330)와 압박부커넥터(120)를 통해 에어백(110)이 팽창동작하는데 필요한 에어를 전달받으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땀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쉽게 오염될 수 있는 피복부(300)나 압박부(100)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탁이나 정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중공(32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21) 및, 상기 중공(322) 내부에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개방하는 밸브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21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2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어모듈(2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펌프(220)와 연결되면서 에어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를 공급받으며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200)에 고정장착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의 중공(32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211)가 형성됨으로써, 피복부(300)와 제어모듈(200)이 상호 분리되더라도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밸브부(326)에 의해 차단되어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322)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지지턱(323)에 지지되어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3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326)는, 상기 끼움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구(327)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커넥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며, 밸브부(326)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3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328)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유로(315)의 내부로 노출되어 공급된 에어를 유로(315)로 주입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324)에 의해 가압되면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지지턱(323)에 의해 커버되어 주입되는 에어가 차단됨으로써, 모듈커넥터(210)를 제1피복부커넥터(3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차단되고 반대로 모듈커넥터(210)를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각 커넥터(210,320)가 연통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는, 중공(33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31) 및, 상기 중공(332)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33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개방하는 밸브부(336)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압박부커넥터(12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1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압박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110)과 연결되면서 에어백(110)에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압박부(100)에 고장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이 상호 분리되더라도 제2피복부커넥터(330)가 밸브부(336)에 의해 차단되어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332)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는, 상기 지지턱(333)에 지지되어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3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336)는, 상기 끼움부(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구(337)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커넥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며, 밸브부(326)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33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338)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21)에 의해 가압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38)가 유로(315)의 내부로 노출되어 공급된 에어를 유로(315)로 주입하고 상기 압축스프링(334)에 의해 가압되면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지지턱(323)에 의해 커버되어 주입되는 에어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압박부커넥터(120)를 제2피복부커넥터(330)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제2피복부커넥터(330)가 차단되고 반대로 모듈커넥터(210)를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각 커넥터(210,320)가 연통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는 모듈커넥터(210)가 분리되면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피복부(300)를 장시간 물에 잠겨져 있어 커넥터의 틈새로 물이 유입되거나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으로 유로(315)의 내부에서 물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차단 기능으로 인해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에서는 건조용커넥터(440)를 이용하여 유로(315) 내부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용커넥터(44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44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212)과 연통된 배기공(443)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442)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441)가 형성된다.
또한, 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체결되고 상기 압박부커넥터(120)가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부(100)의 에어백(110)이 설정압력치까지 팽창하도록 고압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공급하는 에어백 팽창모드 및,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어느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되고 상기 건조용커넥터(44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다른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315)의 내부공기를 건조용커넥터(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압의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건조모드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유로(315)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거나 결로현상으로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유로 건조모드를 통해 유로(315) 내부를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로(315)는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상기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의 일정영역(R) 내에 일측이 모이도록 배치되고,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일정영역(R) 내에서 각 유로(315)와 연통되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일측면 상에서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모듈커넥터(210)가 모이도록 배치되어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각 모듈커넥터(210)는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2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모듈커넥터(21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제어모듈(200)을 각 유로(315)에 직결할 수 있어 기밀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일정영역(R) 내에서 상하 대칭 또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각 모듈커넥터(210)는 각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동일하게 상하 대칭 또는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모듈(200)이 피복부(300)에 결합되는 방향을 조절가능하다.
이에 따라 트레이닝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모듈(200)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어모듈(200)의 장착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압박부 110...에어백
120...압박부커넥터 200...제어모듈
210...모듈커넥터 300...피복부
311...내피 312...제1융착시트
313...제2융착시트 314...외피
315...유로 320...제1피복부커넥터
330...제2피복부커넥터 410...통기시트
420...제1팽창제한 플레이트 430...제2팽창제한 플레이트
440...건조용커넥터 L...융착라인

Claims (9)

  1.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의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는 에어백(110)이 구비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혈류가 제한되도록 하는 압박부(100);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110)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제어모듈(200); 및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밀한 유로(315)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압박부(100)에 전달하는 피복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300)는,
    상기 신체부위의 둘레에 접촉되는 내피(311)와, 상기 내피(3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융착시트(312)와, 상기 제1융착시트(3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융착시트(313) 및, 상기 제2융착시트(313)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는 상기 압박부(100)와 제어모듈(200) 사이에 연장된 복수 개의 융착라인(L)이 형성되도록 상호 열융착되어 각 융착라인(L) 사이에 기밀한 유로(315)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315)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유로(315)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로(315)를 형성하는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피복부(300)가 접힌 상태에서도 상기 유로(315)가 유지되도록 하며, 통기성 다공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통기시트(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시트(410)는,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제2융착시트(313) 사이에 배치되고, 각 융착시트(312,31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융착라인(L)을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공정시 각 융착시트(312,313)와 함께 열융착되면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융착시트(312)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Tensile Strain)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1융착시트(312)와 내피(3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내피(311)측으로 팽창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팽창제한 플레이트(420); 및
    상기 제2융착시트(313)보다 상대적으로 신장률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315)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제2융착시트(313)와 외피(3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315)가 외피(314)측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제한하는 제2팽창제한 플레이트(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제어모듈(20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내부의 유로(315)와 연통된 제1피복부커넥터(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200)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모듈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모듈커넥터(210)를 통해 상기 유로(315)에 에어를 공급하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유로(315)의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피복부(300) 상에서 압박부(10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유로(315)의 타측과 연통된 제2피복부커넥터(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부(100)는, 내부의 에어백(110)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커넥터(120)가 구비되어 상호 체결된 제2피복부커넥터(330)와 압박부커넥터(120)를 통해 에어백(110)이 팽창동작하는데 필요한 에어를 전달받으며 필요시 상기 피복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중공(32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21) 및, 상기 중공(322) 내부에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22)을 개방하는 밸브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21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2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어모듈(2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펌프(220)와 연결되면서 에어펌프(22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를 공급받으며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200)에 고정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의 중공(32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공(322)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3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복부커넥터(320)는, 상기 지지턱(323)에 지지되어 밸브부(326)가 중공(32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3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326)는,
    상기 끼움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구(327)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커넥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며, 밸브부(326)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3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328)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유로(315)의 내부로 노출되어 공급된 에어를 유로(315)로 주입하고 상기 압축스프링(324)에 의해 가압되면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328)가 지지턱(323)에 의해 커버되어 주입되는 에어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는,
    중공(332)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유로(315)에 관통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복부(30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부(331) 및, 상기 중공(332)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33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폐쇄하고 상기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332)을 개방하는 밸브부(336)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부커넥터(120)는,
    내부에 에어이송공(112)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압박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110)과 연결되면서 에어백(110)에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압박부(100)에 고장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타측에는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121)가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이송공(44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212)과 연통된 배기공(443)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에어이송공(442)과 연통되고 상기 제2피복부커넥터(330)의 중공(332)에 삽입되면서 상기 밸브부(336)가 중공(332)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끼움부(441)가 형성된 건조용커넥터(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에 체결되고 상기 압박부커넥터(120)가 제2피복부커넥터(3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부(100)의 에어백(110)이 설정압력치까지 팽창하도록 고압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공급하는 에어백 팽창모드 및, 상기 모듈커넥터(21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어느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되고 상기 건조용커넥터(440)가 제1피복부커넥터(320)와 제2피복부커넥터(330) 중 다른 하나의 피복부커넥터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315)의 내부공기를 건조용커넥터(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압의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건조모드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KR1020220033466A 2022-03-17 2022-03-17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KR102624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466A KR102624007B1 (ko) 2022-03-17 2022-03-17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466A KR102624007B1 (ko) 2022-03-17 2022-03-17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903A KR20230135903A (ko) 2023-09-26
KR102624007B1 true KR102624007B1 (ko) 2024-01-11

Family

ID=8819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466A KR102624007B1 (ko) 2022-03-17 2022-03-17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0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455A (ja) * 2008-09-30 2010-04-15 Tyco Healthcare Group Lp チューブレス圧縮装置
KR101201284B1 (ko) 2010-09-07 2012-11-14 양정곤 공기압 마사지기용 커프
US20190133215A1 (en) * 2017-07-15 2019-05-09 Sean Tremaine Whalen Pneumatic training device and garment for increasing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616B2 (ja) * 1997-06-30 2005-01-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ーマッサージ機
KR102178576B1 (ko) 2020-05-15 2020-11-13 서울대학교병원 발목 재활운동 장치 및 그 장치에 적용되는 발목 관절 움직임을 동반한 공기 압박 커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455A (ja) * 2008-09-30 2010-04-15 Tyco Healthcare Group Lp チューブレス圧縮装置
KR101201284B1 (ko) 2010-09-07 2012-11-14 양정곤 공기압 마사지기용 커프
US20190133215A1 (en) * 2017-07-15 2019-05-09 Sean Tremaine Whalen Pneumatic training device and garment for increasing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903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2229C (en) Fitness device
US9408775B2 (en) Slimming apparatus
DK2827826T3 (en) Fitness Facilities
US20100145237A1 (en) Fitness device
CN111227563A (zh) 一种气压自适应平衡床垫
KR102624007B1 (ko)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KR102624009B1 (ko) 분리기능이 구비된 웨어러블 커프장치
CN212973264U (zh) 一种预防静脉血栓形成的脚套
KR100613593B1 (ko) 복부비만 해소와 자연스러운 단전강화운동이 가능하도록설계된 기구
JP3705015B2 (ja) 足用エアーマッサージ器
KR200494966Y1 (ko) 하의의 허리둘레 사이즈 조절장치
KR200444112Y1 (ko) 안부 안마기
KR100288100B1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JP2003319986A (ja) 腕用エアマッサージ機
WO2021054540A1 (ko) 에어를 이용한 자세 교정기
KR102591032B1 (ko) 웨어러블 커프장치
CN218106342U (zh) 穿戴式气压按摩器
KR102636117B1 (ko) 상체용 공기압 마사지기
CN220587541U (zh) 透气棉服
CN2834467Y (zh) 一种气压式牵引理疗带
KR102576070B1 (ko) 공기압 마사지용 커프장치
CN213723408U (zh) 一种空气波按摩仪专用连接裤
CN218923192U (zh) 一种膝盖按摩器
CN219517046U (zh) 一种分体式、形状可调节体外反搏囊套
CN213428394U (zh) 一种具有保暖按摩功能的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