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32B1 - 웨어러블 커프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32B1
KR102591032B1 KR1020210193280A KR20210193280A KR102591032B1 KR 102591032 B1 KR102591032 B1 KR 102591032B1 KR 1020210193280 A KR1020210193280 A KR 1020210193280A KR 20210193280 A KR20210193280 A KR 20210193280A KR 102591032 B1 KR102591032 B1 KR 10259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bag
compression unit
connec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843A (ko
Inventor
이재화
하정훈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21019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3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둘레에 배치되며 기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에어백(121)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121)에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 둘레를 압박하여 혈류를 제한하고 수축동작하면서 신체 둘레의 압박된 상태를 해제하는 에어압박부(120); 및 상기 에어압박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백(121)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커프장치{WEARABLE CUFF APPARATUS}
본 발명은 신체의 동작을 통한 트레이닝시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된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압박하여 해당 부위에 혈류제한 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하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커프장치는 펌프와 분배기 그리고 컨트롤러가 내장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에어호스(150)로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거나 공기가 배출되는 것에 의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신체에 압박을 가하는 에어백(160)을 갖는 커프(200)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커프(200)는 내피(210)와 외피(220) 및 이들 내피(210)와 외피(220)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된 에어백(260)이 구성되고, 각 에어백(260)은 에어호스(150)로 본체(100)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커프장치는 커프(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어백(260)이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것이 반복됨에 따라 각 에어백(260)과 접촉하는 신체(300)의 국부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로 인접한 에어백과 에어백은 접합된 구획 접합부(270)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 상기 구획 접합부(270)는 팽창되지 못하고 확대도에서와 같이 에어백(260)의 중앙부위만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게 되면서, 각 에어백(260)이 신체에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되고 마사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에어백(260)에 과도한 공기압이 주입되거나 에어백(260)에 공기압이 주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에어백(260) 내부압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구획 접합부(270) 부분에서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여 손상되거나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프장치는 강제로 혈액이나 림프를 순환시켜서 사용자의 순환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편, 근력운동, 부하운동, 재활운동과 같이 신체를 동작하여 특정 운동효과를 구현하고자 하는 트레이닝시에 신체부위를 압박한 상태로 운동동작을 취하게 되면 혈류제한 작용이 발생하여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커프장치는 도면에서와 같이 각 에어백(260)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면서 신체를 압박하기 때문에 트레이닝시 정확한 운동동작을 취하기가 제한되며 운동동작을 취하더라도 각 에어백(260)이 마찰되면서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근본적으로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커프장치는 순환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반해서, 본 발명은 혈류를 제한하여 오히려일시적으로 순환 기능을 막아서, 저강도의 운동부하만으로도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1284호(2012.11.08), 공기압 마시지용 커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닝시에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압박하여 해당 부위에 혈류제한 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하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의 표면이 고르게 팽창하는 면팽창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슬림한 상태로 신체 둘레를 압박할 수 있어 트레이닝시에 정확한 운동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에어백이 마찰되면서 손상되거나 터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커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사용자의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둘레에 배치되며 기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에어백(121)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121)에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 둘레를 압박하여 혈류를 제한하고 수축동작하면서 신체 둘레의 압박된 상태를 해제하는 에어압박부(120); 및 상기 에어압박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백(121)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에 에어백(121)과 연통된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압박부커넥터(124)에 직결되는 모듈커넥터(131)가 구비되어 상호 직결된 모듈커넥터(131)와 압박부커넥터(124)를 통해 상기 에어백(121)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확장부(122)와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협소부(123)가 교호로 반복되면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 두께를 갖는 미세 다공성 구조의 폼(Foam)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형상유지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피(125) 및 상기 외피(125)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 둘레의 피부(S)에 접촉되는 내피(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121)은 외피(125)와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121)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하는 내측분산판(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121)의 타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외피(12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하는 외측분산판(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호 독립된 기밀공간이 마련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되고 외부면에는 각 에어백(121)별로 연통되어 기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에어압박부(120)와 에어호스(141)로 연결되어 각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며,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30)에 연결되어 에어를 이송하되 각 에어백(121)별로 1:1로 매칭되게 구비되고, 각 에어호스(141)의 타단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각 에어호스(141)별로 연통되고 각 압박부커넥터(124)에 1:1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에어호스(141)별로 이송되는 에어를 매칭되는 에어백(121)의 압박부커넥터(124)에 주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어댑터(161)가 구비된 플러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압박부커넥터(124)는 매칭되는 각 어댑터(161)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에어압박부(120) 상에서 상기 플러그부(160)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R) 안에 모여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백(121)은 선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되, 복수의 에어백(121) 중 폭방향(W) 외측에 각각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에는 중앙에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를 향해 절곡된 연장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7)에 각 압박부커넥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 에어호스(141)는 하나의 묶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부(160)의 일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선단부가 플러그부(160)에 연결되고, 각 압박부커넥터(124)는 상기 영역(R) 내에서 상하 대칭 또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60)의 각 어댑터(16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160)로부터 각 에어호스(141)가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의하면,
첫째, 에어압박부(120)는 사용자의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둘레에 배치되며 기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에어백(121)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121)에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 둘레를 압박하여 혈류를 제한하고 수축동작하면서 신체 둘레의 압박된 상태를 해제하며, 제어모듈(130)은 상기 에어압박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백(121)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것과 같이, 트레이닝시에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하나 이상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압박하여 해당 부위에 혈류제한 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하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에 에어백(121)과 연통된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압박부커넥터(124)에 직결되는 모듈커넥터(131)가 구비되어 상호 직결된 모듈커넥터(131)와 압박부커넥터(124)를 통해 상기 에어백(121)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함으로써, 에어압박부(120)와 제어모듈(130)을 연결하기 위한 에어호스가 불필요하여 트레이닝시에 동작을 취하면서 에어호스가 걸리적거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확장부(122)와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협소부(123)가 교호로 반복되면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풍선과 같이 에어백의 중앙부가 돌출되며 팽창하는 종래의 커프장치와 달리 에어백(121)의 표면이 고르게 팽창하는 면팽창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슬림한 상태로 신체 둘레를 압박할 수 있어 트레이닝시에 정확한 운동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에어백(121)이 마찰되면서 손상되거나 터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형상유지폼부(14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미세 다공성 구조의 폼(Foam)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각 에어백(121)에 주입된 에어가 모두 배출되더라도 최소한의 일정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와 에어백(121) 사이가 헐거워지거나 피복부(128)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형상유지폼부(140)의 각 미세공에 공기압이 가해지면 팽창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 에어백(121)만으로 신체를 가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신체부위를 고르게 압박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피(125) 및 상기 외피(125)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 둘레의 피부(S)에 접촉되는 내피(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121)은 외피(125)와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내측분산판(151)은 상기 에어백(121)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121)이 풍선처럼 부푸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를 고르게 압박하여 혈류제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섯째, 외측분산판(152)은 상기 에어백(121)의 타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외피(12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121)이 외측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측분산판(151)과의 사이에 에어백(121)을 구속할 수 있어 동일한 공기압 대비 에어 압박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호 독립된 기밀공간이 마련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되고 외부면에는 각 에어백(121)별로 연통되어 기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에어압박부(120)와 에어호스(141)로 연결되어 각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며,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30)에 연결되어 에어를 이송하되 각 에어백(121)별로 1:1로 매칭되게 구비되고, 플러그부(160)는 각 에어호스(141)의 타단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각 에어호스(141)별로 연통되고 각 압박부커넥터(124)에 1:1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에어호스(141)별로 이송되는 에어를 매칭되는 에어백(121)의 압박부커넥터(124)에 주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어댑터(161)가 구비됨으로써, 에어압박부(120)를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각 에어백(121)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팽창 및 수축 동작시켜 림프액을 특정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마사지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덟째, 각 압박부커넥터(124)는 매칭되는 각 어댑터(161)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에어압박부(120) 상에서 상기 플러그부(160)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R) 안에 모여서 배치됨으로써, 플러그부(16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압박부커넥터(124)와 플러그부(16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아홉째, 각 에어백(121)은 선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되, 복수의 에어백(121) 중 폭방향(W) 외측에 각각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에는 중앙에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를 향해 절곡된 연장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7)에 각 압박부커넥터(124)가 배치됨으로써, 각 에어백(121)의 폭방향(W) 전체 길이보다 플러그부(160)의 폭방향(W)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가 사용자의 팔과 다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가 상체에도 착용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에어압박부에 직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압박부의 외부 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에어호스로 에어압박부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압박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분산판 및 외측분산판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폼부가 통기되는 미세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출입구가 플러그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 안에 모여서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와 에어압박부가 상호 연결된 구성을 나탄내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각 어댑터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에어호스의 연장되는 방향이 조절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의 단부에 연장부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근력운동이나 재활운동과 같이 신체를 동작하여 특정 운동효과를 구현하고자 하는 트레이닝시에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에 착용하며, 공기압으로 착용된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해당 부위에 혈류제한 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하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하는 커프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압박부(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먼저, 에어압박부(120)는 공기압을 이용한 혈류제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압박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둘레에 배치되며 기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에어백(121)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121)에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 둘레를 압박하여 혈류를 제한하고 수축동작하면서 신체 둘레의 압박된 상태를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팔(상완)과 다리(허벅지)에 함께 착용될 수 있고 어느 한 부위에만 국한적으로 착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체에도 착용될 수 있다. 즉, 신체 상에서 혈류제한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이면 어느 곳에나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양단에 벨크로, 지퍼 등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신체 둘레에 감겨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피복부(128)에 지지되어 신체 둘레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0) 역시 피복부(128)에 지지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에어압박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백(121)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신체부위에 착용된 에어압박부(120)별로 각각 제어모듈(130)이 연결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어느 한 신체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각 에어압박부(120)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상기 제어모듈(130)이 가슴쪽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등부위, 어깨, 다리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130)에는 에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펌프(미도시), 에어주입 및 에어흡입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표시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에어압박부(120) 및 제어모듈(13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트레이닝시에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하나 이상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압박하여 해당 부위에 혈류제한 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저강도의 운동부하로 고강도의 운동효과를 제공하고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재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에 에어백(121)과 연통된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압박부커넥터(124)에 직결되는 모듈커넥터(131)가 구비되어 상호 직결된 모듈커넥터(131)와 압박부커넥터(124)를 통해 상기 에어백(121)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압박부(120)와 제어모듈(130)을 연결하기 위한 에어호스가 불필요하여 트레이닝시에 동작을 취하면서 에어호스가 걸리적거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닝 동작에 따라 에어호스의 사용이 불편하지 않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30)은 에어압박부(120)와 에어호스(141)로 연결되어 각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압박부(120)에는 제어모듈(130)에 연결되는 압박부커넥터(124) 이외에 다른 에어압박부(120)의 압박부커넥터(124)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용커넥터(127)가 구비되어 하나의 제어모듈(130)로 복수 개의 에어압박부(120)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더불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확장부(122)와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협소부(123)가 교호로 반복되면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풍선과 같이 에어백의 중앙부가 돌출되며 팽창하는 종래의 커프장치와 달리 에어백(121)의 표면이 고르게 팽창하는 면팽창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슬림한 상태로 신체 둘레를 압박할 수 있어 트레이닝시에 정확한 운동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에어백(121)이 마찰되면서 손상되거나 터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피(125) 및 상기 외피(125)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 둘레의 피부(S)에 접촉되는 내피(1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121)은 외피(125)와 내피(126)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될 수 있는 외피(125) 및 내피(126)는 옥스포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121)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시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 7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두 겹의 시트를 초음파 접착이나 열접착하여 기밀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접합라인(L)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확장부(122)와 협소부(123)가 교호로 반복된 형상의 에어백(1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일정 두께를 갖는 미세 다공성 구조의 폼(Foam)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형상유지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유지폼부(140)를 통해 각 에어백(121)에 주입된 에어가 모두 배출되더라도 최소한의 일정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와 에어백(121) 사이가 헐거워지거나 에어백(12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형상유지폼부(140)의 각 미세공에 공기압이 가해지면 팽창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 에어백(121)만으로 신체를 가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신체부위를 고르게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유지폼부(14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폐쇄형 셀폼구조로 발포되어 각 다공에 공기압이 유입되면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형 셀폼구조로 발포되어 에어백(121)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가 형상유지폼부(1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각 에어백(121)의 팽창동작시 신체부위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분산판(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분산판(151)은 에어백(121)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121)이 풍선처럼 부푸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를 고르게 압박하여 혈류제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서와 같이 외측분산판(152)은 상기 에어백(121)의 타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외피(12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121)이 외측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측분산판(151)과의 사이에 에어백(121)을 구속할 수 있어 동일한 공기압 대비 에어 압박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분산판(151) 및 외측분산판(152)은 가압면이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테두리의 모난 부위에 의해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도면에서와 같이 테두리부위가 미미하게 굴절된 형태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으로 인한 신체 가압동작시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면에는 고무, 실리콘 또는 스폰지나 폼 등의 완충재질이 구비되어 가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호 독립된 기밀공간이 마련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되고 외부면에는 각 에어백(121)별로 연통되어 기밀공간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에어압박부(120)와 에어호스(141)로 연결되어 각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30)에 연결되어 에어를 이송하되 각 에어백(121)별로 1:1로 매칭되게 구비되고, 플러그부(160)는 각 에어호스(141)의 타단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각 에어호스(141)별로 연통되고 각 압박부커넥터(124)에 1:1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에어호스(141)별로 이송되는 에어를 매칭되는 에어백(121)의 압박부커넥터(124)에 주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어댑터(16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압박부(120)를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각 에어백(121)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팽창 및 수축 동작시켜 림프액을 특정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마사지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각 압박부커넥터(124)는 매칭되는 각 어댑터(161)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에어압박부(120) 상에서 상기 플러그부(160)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R) 안에 모여서 배치됨으로써, 플러그부(16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압박부커넥터(124)와 플러그부(16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백(121)은 선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되, 복수의 에어백(121) 중 폭방향(W) 외측에 각각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에는 중앙에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를 향해 절곡된 연장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7)에 각 압박부커넥터(124)가 배치됨으로써, 각 에어백(121)의 폭방향(W) 전체 길이보다 플러그부(160)의 폭방향(W)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각 에어호스(141)는 하나의 묶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부(160)의 일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선단부가 플러그부(160)에 연결되고, 각 압박부커넥터(124)는 상기 영역(R) 내에서 상하 대칭 또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60)의 각 어댑터(16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160)로부터 각 에어호스(141)가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 가능하므로, 사용자와 제어모듈(130) 간의 위치변화에 따라 에어압박부(120)가 신체에 착용될 때 각 에어호스(141)의 연장되는 방향을 다르게 하여 플러그부(160)를 장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20...에어압박부 121...에어백
122...확장부 123...협소부
124...압박부커넥터 125...외피
126...내피 127...연장부
130...제어모듈 131...모듈커넥터
140...형상유지폼부 151...내측분산판
152...외측분산판 160...플러그부
161...어댑터

Claims (10)

  1. 웨어러블 커프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 다리, 상체 및 하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둘레에 배치되며 기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에어백(121)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121)에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동작하면서 상기 신체 둘레를 압박하여 혈류를 제한하고 수축동작하면서 신체 둘레의 압박된 상태를 해제하는 에어압박부(120); 및
    상기 에어압박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12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백(121)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0)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121)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 개의 에어백(121) 각각이 연이어 상호 독립된 기밀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백(121) 각각에 연통되어, 상기 독립된 기밀 공간 각각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또는 상기 독립된 기밀 공간 각각으로부터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압박부커넥터(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압박부커넥터(124)를 통해 상기 에어압박부(120) 및 복수 개의 에어호스(141)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독립된 기밀 공간 각각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또는 상기 독립된 기밀 공간 각각으로부터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에어호스(141),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어모듈(130)에 연결되어 에어를 이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백(121) 각각에 1:1 매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웨어러블 커프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호스(141)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일측민여 상기 복수 개의 에어호스(141) 각각에 연통되고, 상기 압박부커넥터(124)에 1:1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에어호스(141) 각각으로 이송되는 에어를 매칭되는 에어백(121)의 압박부커넥터(124)에 주입하는 복수 개의 어댑터(161)를 포함하는 플러그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커넥터(124)는, 매칭되는 상기 어댑터(161)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압박부(120) 상에서 상기 플러그부(160)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R) 안에 모여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백(121) 각각의 일단부에는 상기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백(121) 중 폭방향(W) 외측에 각각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에는 중앙에 배치된 에어백(121)의 일단부를 향해 절곡된 연장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7)에는 상기 폭방향(W) 외측에 각각 배치된 에어백(121)에 대응되는 상기 압박부커넥터(124)가 배치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에 에어백(121)과 연통된 압박부커넥터(124)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압박부커넥터(124)에 직결되는 모듈커넥터(131)가 구비되어 상호 직결된 모듈커넥터(131)와 압박부커넥터(124)를 통해 상기 에어백(121)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웨어러블 커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확장부(122)와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협소부(123)가 교호로 반복되면서 복수 개의 에어백(121)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갖는 미세 다공성 구조의 폼(Foam)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형상유지폼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압박부(120)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피(125) 및 상기 외피(125)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 둘레의 피부(S)에 접촉되는 내피(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121)은 외피(125)와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121)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내피(12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하는 내측분산판(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21)의 타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에어백(121)과 외피(12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121)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에어백(121)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박력이 분산되어 신체에 가압되도록 하는 외측분산판(1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에어호스(141)는 하나의 묶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부(160)의 일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선단부가 플러그부(160)에 연결되고,
    각 압박부커넥터(124)는 상기 영역(R) 내에서 상하 대칭 또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부(160)의 각 어댑터(16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160)로부터 각 에어호스(141)가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커프장치.
KR1020210193280A 2021-12-30 2021-12-30 웨어러블 커프장치 KR10259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80A KR102591032B1 (ko) 2021-12-30 2021-12-30 웨어러블 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80A KR102591032B1 (ko) 2021-12-30 2021-12-30 웨어러블 커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43A KR20230102843A (ko) 2023-07-07
KR102591032B1 true KR102591032B1 (ko) 2023-10-19

Family

ID=8715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280A KR102591032B1 (ko) 2021-12-30 2021-12-30 웨어러블 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662A (ja) * 1999-04-27 2000-11-07 Nitto Kohki Co Ltd 空圧マッサージ器
JP2010082441A (ja) * 2008-09-30 2010-04-15 Tyco Healthcare Group Lp 圧縮装置のためのポータブル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3117B2 (ja) * 1996-07-09 1998-11-1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厚さおよび硬さ調整機能を備えたマットレス
KR101201284B1 (ko) 2010-09-07 2012-11-14 양정곤 공기압 마사지기용 커프
KR102141884B1 (ko) * 2018-10-15 2020-08-07 최지훈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662A (ja) * 1999-04-27 2000-11-07 Nitto Kohki Co Ltd 空圧マッサージ器
JP2010082441A (ja) * 2008-09-30 2010-04-15 Tyco Healthcare Group Lp 圧縮装置のためのポータブル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43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168B2 (en) Body surface compression with pneumatic shortening element
KR101317344B1 (ko) 스트레칭 에어 매트리스
US20020042938A1 (en) Body pulsating jacket
US9408775B2 (en) Slimming apparatus
JP2004526538A (ja) 体外式カウンターパルセーションによる心臓補助装置
CN102525768A (zh) 一种医疗用充气床垫
CN106137700B (zh) 空气按摩装置
JP6483939B2 (ja) マッサージ椅子
CN211095865U (zh) 乳腺癌术后上肢水肿压力治疗袖带
KR102591032B1 (ko) 웨어러블 커프장치
CN202478036U (zh) 一种医疗用充气床垫
CN110897846A (zh) 按摩器
KR102576070B1 (ko) 공기압 마사지용 커프장치
CN211067878U (zh) 按摩器
JPH06296635A (ja) 脊椎牽引装置
KR102624009B1 (ko) 분리기능이 구비된 웨어러블 커프장치
KR102624007B1 (ko) 혈류제한 운동용 웨어러블 커프장치
CN218739328U (zh) 多功能按摩眼罩
CN220175537U (zh) 一种多功能按摩床垫
CN215385807U (zh) 一种胸外科术后护理用按压装置
CN217660659U (zh) 按摩装置
CN217660667U (zh) 按摩装置
KR102636117B1 (ko) 상체용 공기압 마사지기
CN116019700B (zh) 一种按摩机构以及按摩椅
CN213130148U (zh) 一种对胸腔外扩和肋骨外翻矫正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