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86B1 - 가변 투과 렌즈의 투과의 플래토 기반 제어 - Google Patents

가변 투과 렌즈의 투과의 플래토 기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86B1
KR102623886B1 KR1020187003932A KR20187003932A KR102623886B1 KR 102623886 B1 KR102623886 B1 KR 102623886B1 KR 1020187003932 A KR1020187003932 A KR 1020187003932A KR 20187003932 A KR20187003932 A KR 20187003932A KR 102623886 B1 KR102623886 B1 KR 10262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vel
transmittance
value
sensor
platea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143A (ko
Inventor
마리우스 펠로우
세드릭 질베흐
사무엘 아르샹보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8004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2Circuits comprising photodetectors for purposes other than feedba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8Arrangements comprising a monitoring photo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48Variable attenu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투과율 렌즈(4) 및 조도(E)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5)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5)는 센서(8)에 의해 측정된 조도(E)에 따라 가변 투과율 렌즈(4)의 투과율의 값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데에 적합하고, 제어 회로(5)는 복수의 계속적인 조도 범위(P)를 정의하고, 각 조도 범위(P)는 최소 조도 값(Emin) 및 최대 조도 값(Emax)에 의해 경계를 가지며, 제어 회로(5)는 렌즈(4)의 투과율을 복수의 조도 범위(P)에 대응하는 복수의 설정점 투과율 값(Tv)으로 각각 제어하는 데에 적합한, 가변 투과율 장치(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투과 렌즈의 투과의 플래토 기반 제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마트 글라스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된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의 플래토(plateau) 기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가변 투과율 장치 및 그러한 장치의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용자가 노출되는 주변 광에 따라 투과율이 자동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변 투과율 렌즈를 포함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가변 투과율 렌즈는, 배터리 또는 에너지를 얻는 시스템이 제공되기 때문에 전원 공급부의 관점에서 독립형인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회로는 광 레벨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한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에 따라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데에 적합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제어 회로의 전력 소비와 다른 한편으로는 가변 투과율 렌즈의 전력 소비가 너무 커서 장치의 전자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자주 재충전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착용자에게 특히 불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시각적으로 편안하도록 하며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에 따라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투과율 렌즈와, 광 레벨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에 따라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데에 적합한 하나의 제어 회로를 적어도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복수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를 정의하고, 각 광 레벨 플래토는 최소 광 레벨 값 및 최대 광 레벨 값에 의해 경계를 가지며, 제어 회로는 렌즈의 투과율을 각각 복수의 광 레벨 플래토에 대응하는 복수의 설정점 값으로 설정하는 데에 적합한, 가변 투과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센서의 광 레벨 플래토가 렌즈의 투과율 설정점 값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를 정의하며, 제어 회로는 렌즈의 투과율을 3개의 광 레벨 플래토에 대응하는 적어도 3개의 설정점 값으로 각각 설정하는 데에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광 레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적합하며, 센서의 측정 주기는 5밀리초 및 1초 사이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의 2개의 계속적인 투과율 설정점 값 사이의 변동은 0.05 및 0.6 사이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장치의 착용자가 투과율 설정점 값 및/또는 광 레벨 플래토의 최소 값 및/또는 최대 값을 수정하도록 하는 데에 적합한 조절 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의 투과율 설정점 값 각각은 아래의 간격 중 하나에 포함된다.
- 0.80 및 1 사이;
- 0.43 및 0.80 사이;
- 0.18 및 0.43 사이; 및
- 0.08 및 0.18 사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의 투과율 설정점 값은 각각 상이한 간격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광 레벨 플래토의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 레벨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에 따라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데에 적합한, 가변 투과율 장치의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제어 회로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로서: 복수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를 정의하고, 각 광 레벨 플래토는 최소 광 레벨 값 및 최대 광 레벨 값에 의해 경계를 갖는 단계와,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에 따라, 렌즈의 투과율을 복수의 광 레벨 플래토에 대응하는 적어도 복수의 투과율 설정점 값으로부터 하나의 투과율 설정점 값으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센서는 메모리에 적어도 가변 투과율 렌즈의 현재 투과율에 대응하는 현재 플래토의 최소 광 레벨 값 및 최대 광 레벨 값을 저장하고, 트리거 시간에 비하여 긴 길이의 시간 동안 현재 플래토의 최소 광 레벨 값에 비하여 낮거나 최대 광 레벨 값에 비하여 높은 현재 광 레벨 값을 센서가 측정한 때에만, 제어 회로가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 값에 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 값이 수신된 이후에, 제어 회로는 측정된 광 레벨 값이 위치되는 새로운 현재 플래토를 결정하고, 렌즈의 투과율을 자동으로 새로운 현재 플래토에 대응하는 설정점 값으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또한, 플래토 마다, 이차 최소 값 및 이차 최대 값과, 후속 플래토의 이차 최소 값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어진 플래토의 이차 최대 값과, 센서에 의해 저장되고 현재 플래토의 이차 최소 값 이하인 현재 플래토의 최소 값과, 센서에 의해 저장되고 현재 플래토의 이차 최대 값 이상인 현재 플래토의 최대 값을 저장하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 값이 수신된 이후, 제어 회로는 측정된 광 레벨 값이 이러한 플래토의 이차 최소 값 및 이차 최대 값 사이에 포함되는 새로운 현재 플래토를 결정하고, 렌즈의 투과율을 자동으로 새로운 현재 플래토에 대응하는 설정점 값으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현재 플래토에 대응하는 렌즈의 새로운 투과율 설정점 값이 적용된 이후, 제어 회로는 새로운 현재 플래토의 최소 광 레벨 값 및 최대 광 레벨 값을 센서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센서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의 광 레벨-의존형 투과율 설정점 값은 광변색 렌즈의 투과율 값을 통해 얻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의 트리거 시간은 1초 및 2초 사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가변 투과율 장치를 포함하는 안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 시스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 도 2는 광 레벨에 따라 순간 광변색(photochromic) 렌즈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목표 함수(Tv,target)의 도면이다.
- 도 3a 및 도 3b는, 왼쪽 축이 럭스(lux)로 측정된 광 레벨을 나타내며 오른쪽 축이 0으로부터 1까지의 렌즈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2개의 상이한 상황에서의, 시간에 따른 광 레벨의 측정의 예이다.
- 도 4는 광 레벨의 플래토, 특히, 럭스 광 레벨 및 렌즈의 투과율 설정점의 값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 도 5는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방법의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공통되는 구조적 및/또는 기능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요소는 동일한 구조, 치수 및 재료 특성을 갖는다.
명확화를 위해, 설명된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가변 투과율 장치(2)를 포함하는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특히 2개의 안경 다리(3a, 3b)를 갖는 프레임(3)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장치(2)는 프레임(3)에 장착된 2개의 가변 투과율 렌즈(4a, 4b)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1)은 안과 시스템이고, 가변 투과율 렌즈(4a, 4b)는 바람직하게는 시스템(1)의 착용자의 안과 처방을 준수하는 안과 렌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4)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변색(electrochromic) 렌즈이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변색 렌즈(4)는 2개의 투명 외층, 예를 들면, 그 내면에 전기적으로 전도성 코팅이 부착된 2장의 유기 또는 미네랄 글라스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기 변색 조성물이 2개의 전기 전도성 코팅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충전된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코팅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한 전기 변색 조성물의 레독스(redox) 반응을 통해 렌즈의 광 투과율의 값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기 변색 렌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액정 디스플레이(LCD)) 렌즈와 같은 다른 타입의 가변 투과율 렌즈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렌즈(4)는 투과율-플래토 기반 작동에 적합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4)의 투과율은 유리하게는 별개인 복수의 설정점 값(Tv)으로 설정될 수 있다. 렌즈의 투과율이 변할 때 전기 변색 렌즈(4)가 특히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이러한 투과율-플래토 기반 작동은 특히 장치(2)의 전력 소비가 최소화 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렌즈(4)의 투과율은 백분율로서, 렌즈(4)가 가질 수 있는 최대 투과율에 대응하여 1 또는 100%, 그리고, 렌즈(4)가 0의 투과율을 갖는 상태에 대해 0 또는 0%로 주어진다. 렌즈(4)의 투과율의 정의는 특히 아래의 공식으로 주어지며, 여기에서, SD65(λ)는 발광체 D65의 스펙트럼 분포이고, T(λ)는 렌즈의 스펙트럼 투과율 곡선이며, V(λ)는 사람의 눈의 상대 스펙트럼 발광 효율 곡선이다.
장치(2)는 또한 특히 전기적으로, 렌즈(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5)를 포함한다. 시스템(1)이 2개의 가변 투과율 렌즈(4a, 4b)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2)는 각 렌즈(4a, 4b)마다 하나의 제어 회로(5a, 5b)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5) 및 렌즈(4)는 또한 전력 소스, 특히,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의 안경 다리(3a)에 장착된 배터리(6)에 연결된다.
시스템(1)이 2개의 가변 투과율 렌즈(4a, 4b)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2)는 또한 제어 요소(7), 예를 들면, 제어 루틴을 구현하며 시스템(1)의 2개의 렌즈(4a, 4b)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을 전송하는 마더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요소(7)는 또한 배터리(6)에 대해 상이한 안경 다리에 위치되므로 배터리의 중량이 균형이 맞도록 한다.
제어 회로(5)는 적어도 하나의 광 센서(8)를 포함한다. 변형 예로서, 센서(8)는 제어 회로(5)와 별개인 요소일 수 있다. 센서(8)는 장치(2)에 도달하는 주변 광 레벨(E)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하다. "주변"이 의미하는 것은 장치(2)가 노출되는 광 레벨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장치(2)가 외부에 위치될 때의 계측학적 조건 또는 장치(2)가 내부에 위치될 때 실내가 얼마나 잘 조명되고 있는가와 같은 장치(2) 외부의 조건에 따라 주변 광 레벨이 변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8)는 시스템(1)의 프레임(3)으로,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의 노즈(nose) 브릿지로 일체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기계적 응력으로 인해 그리고 악천후로부터 센서(8)를 보호하기 위해, 센서(8)는 프레임(2) 내에서 후방에 위치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센서(8)가 그 후방 설정 위치로 인해 반드시 장치(2)에 도달하는 모든 광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 다음, 센서(8)의 후방 설정 위치를 보상하기 위해 교정을 통해 센서(8)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 값(E)을 수정할 수 있다. 이 센서(8)를 후방에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면, 장치(2)의 표준 착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시야에 보다 가깝게 하기 위해, 센서(8)에 의해 보이는 시야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8)는 또한 센서(8)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필터 또는 광학 디퓨저 또는 실제로 수렴 또는 발산 렌즈와 같은 광학 요소와 연관될 수 있다.
센서(8)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광 센서(주변 광 센서 - ALS라고도 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센서(8)는 예를 들면 Maxim integrated®에 의해 Maxim MAX44009의 이름으로 판매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센서(8)는 단위 면적당 수신되는 광 레벨을 (럭스(lux) 또는 W.m-2로) 측정할 수 있다. 변형 예로서, 센서(8)는 또한 세기 또는 측광(photometric) 또는 시각적(visual) 휘도와 같은 다른 광 레벨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8)는 예를 들면 가시광선 및/또는 자외선 내의 광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광 레벨(E)의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치(2)는 또한 복수의 센서(8), 특히 2개의 센서(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가 상이한 광 레벨 값(E)을 측정하는 경우라면, 제어 회로(5)는 예를 들면 최상의 측정 광 레벨 값(E) 또는 광 레벨의 변동을 측정하지 않는 센서(8)의 값만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센서(8)가 오작동하거나 측정이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센서(8)의 전방에 머리카락이 걸리는 경우)에도 다른 센서(8)가 광 레벨(E)의 이용 가능한 측정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8)는 플래토 기반 광 레벨 검출 모드로 작동한다. 이를 위해, 센서(8)는 저장 메모리를 포함한다. 센서(8)는 적어도 하나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 및 하나의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Emin, Emax]hyst)은 그 사이에 검출 플래토를 정의한다. 첫 번째 플래토의 최소 값에 대해, 즉, 최하 광 레벨 값에 대응하는 플래토에 대해, 임의의 값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값은 디폴트로 0이다. 마지막 플래토의 최대 값에 대해, 즉, 최상 광 레벨 값에 대응하는 플래토에 대해, 마찬가지로, 임의의 값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값은 디폴트로 무한대이다.
측정된 광 레벨(E)에 따라 그리고 검출 플래토의 최소 및 최대 값([Emin, Emax]hyst)에 따라, 센서(8)는 대안적으로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데에 적합하다.
비활성 상태에서, 센서(8)는 대기 상태에 있으며, 특히 최소 전력 소비를 갖는다. 비활성 상태에서, 센서(8)는, 예를 들면 집적된 프로세서에 의해, 주변 광 레벨(E)을 측정한다. 센서(8)는 특히 주기(Tmes)로 주기적으로 주변 광 레벨(E)을 측정한다. 주기(Tmes)는 0초 및 1초 사이 또는 심지어 100밀리초 및 800밀리초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주기(Tmes)는 또한 약 6.25밀리초와 같을 수 있다.
측정된 광 레벨(E)이 설정된 트리거 시간(Δt)에 비하여 긴 길이의 시간 동안 검출 플래토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에 비하여 낮지 않거나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에 비하여 높지 않은 경우, 센서(8)가 비활성 상태에서 유지된다. 트리거 시간(Δt)은 바람직하게는 1초 및 2초 사이 또는 심지어 0.1초 및 2초 사이에 포함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트리거 시간(Δt)은 바람직하게는 1.6초와 같다. 트리거 시간(Δt)은 특히 렌즈(4)의 투과율이 매우 빈번하게 변동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센서(8)가 트리거 시간(Δt)에 비하여 긴 길이의 시간 동안 검출 플래토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에 비하여 낮거나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에 비하여 높은 현재 광 레벨 값(E)을 측정하면, 센서(8)는 비활성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된다. 활성 상태에서, 센서(8)는 그런 다음 현재 광 레벨 값(E), 특히, 마지막에 측정된 광 레벨 값(E)을 제어 회로(5)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8)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 주기(Tmes) 및/또는 트리거 시간(Δt)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비활성 상태인 경우보다 활성 상태에서, 특히 광 레벨 값(E)을 제어 회로(5), 특히, 제어 요소(7)로 전송할 때, 센서(8)가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플래토 기반 검출 모드에서 센서(8)의 작동은 장치(2)의 전력 소비가 최소화 되도록 한다. 또한, 플래토 기반 검출 모드에서의 센서(8)의 작동은 또한 주변 광 레벨 값(E)을 얻기 위해 제어 회로(5)가 센서(8)로부터 지속적으로 정보를 얻어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회로(5)가 센서(8)에 비하여 많은 전력을 소비함에 따라, 장치(2)의 전체 전력 소비가 높아질 것이다.
제어 회로(5)는 센서(8)에 의해 전송된 광 레벨 값(E)에 따라 렌즈(4)의 투과율을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는 데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회로(5)는 복수의 계속적인 작동 광 레벨 플래토(P)를 정의한다. 특히, 제어 회로(5)의 각 작동 플래토는 센서(8)의 검출 플래토와 연관된다. "계속"이 의미하는 것은 작동 플래토(P0)의 최대 값(Emax)이 후속 작동 플래토(P1), 특히 보다 높은 플래토의 최소 값(Emin)에 대응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5) 또는 제어 요소(7)는 저장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5) 또는 제어 요소(7)는 메모리에 적어도 2개의 최소 광 레벨 값(Emin) 및 2개의 최대 광 레벨 값(Emax)을 저장하며, 각각의 한 쌍의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은 그 사이에 작동 플래토를 정의한다. 각각의 작동 광 레벨 플래토(P)는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투과율 설정점 값(Tv)에 의해 의미되는 것은 렌즈(4)의 투과율이 안정 상태에 있을 때 도달하는 값이며; 구체적으로, 렌즈(4)의 투과율 값은 제한된 길이의 시간 동안 2개의 안정적 상태 간의 천이 도중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 회로(5)는 2개의 상이한 작동 플래토에 대응하는 2개의 투과율 설정점 값(Tv) 사이에서 렌즈(4)의 투과율의 경과를 제어하는 데에 적합하다. 렌즈(4)의 2개의 계속적인 투과율 설정점 값(Tv) 사이의 변동은 바람직하게는 비연속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5)는 적어도 3개의 작동 플래토(P)를 정의하며, 이는 렌즈의 3개의 투과율 설정점 값(Tv)과 연관된다. 그러나, 제어 회로(5)는 3개보다 많은 작동 플래토(P), 특히 4개의 작동 플래토(P)를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4)의 투과율의 변동이 보다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쉬운 경우, 보다 많은 수의 작동 플래토(P)를 포함하는 장치(2)는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할 것이다. 반면에, 렌즈(4)의 2개의 계속적인 투과율 설정점 값(Tv) 사이의 변동이 덜 커지기 쉬운 경우, 보다 많은 수의 작동 플래토(P)를 포함하는 장치(2)는 렌즈(4)의 투과율 값의 보다 신속한 변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렌즈(4)의 2개의 계속적인 투과율 설정점 값 사이의 변동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 및 06 또는 심지어 0.1 및 0.6 사이에 포함된다.
작동 플래토(P) 및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은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4)의 투과율의 변동이 목표 함수(Tv,target = f(E))를 모사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함수(Tv,target)는 광변색 렌즈, 특히 순간 광변색 렌즈의 투과율 값에 대응한다. 순간 광변색 렌즈는 특히 광변색 렌즈와 동일한 투과율 특성을 갖지만 즉각적인 투과율 반응을 갖는 허구적인(fictional) 렌즈를 의미한다.
특히, 자외선 광 레벨의 변동에 민감한 광변색 렌즈의 측정을 기초로, 예를 들면, 기준 태양 스펙트럼, 여기에서, 기준 스펙트럼 ASTM G173-03(Global Tilt)을 사용하여, 보외법(extrapolation)에 의해 가시 영역에서의 광 레벨에 따른 투과율의 곡선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는 특히 투과율이 광변색 측정 뱅크(PMB)를 사용하여 측정된 순간-천이 광변색 렌즈(7)에 대응하는 이러한 목표 함수(Tv,target)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목표 함수(Tv,target)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함수(Tv,target)는 장치(2)의 착용자에 따라 개인 맞춤된 함수일 수 있다. 함수(Tv,target)는 특히 장치(2)의 시험의 초기 단계에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함수(Tv,target)는 착용자의 생리적 데이터에 따라 수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함수(Tv,target)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착용자의 나이, 착용자의 동공 직경, 착용자의 눈꺼풀의 활동, 임의의 안구 증상(예를 들면, 백내장의 초기, 예를 들면, 수명(photophobia)), 또는 착용자의 활동(독서, 운동)을 고려할 수 있다.
작동 플래토(P) 및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은 또한 장치(2)의 발광 환경을 고려하도록 선택된다. 특히, 착용자가 자신을 발견하기 쉬운 특정 광 레벨 상황에 따라, 작동 플래토(P)의 개수, 작동 플래토(P)의 최소 및 최대 값(Emin, Emax), 및 연관된 투과율 설정점 값(Tv)을 정의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a 및 도 3b의 곡선 C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의 노즈 브릿지에 위치된 센서(8)에 의해 측정된 상이한 흔한 일상적인 장면에 대응하는 광 레벨 상황을 나타낸다. 시스템(1)은 그런 다음 수직으로 놓이며, 즉, 센서(8)의 활성면이 착용자가 자신을 발견하는 지면에 수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의 곡선 C4는 태양이 뒤에 있거나 일측에 있는 경우의 맑은 날씨의 광 레벨 측정을 나타낸다. 도 3b의 곡선 C4는 때때로 태양이 드러나는 구름 낀 날씨로 터널을 통과할 때의 맑은 날씨의 광 레벨 측정을 나타낸다.
이러한 광 레벨 상황, 특히 도 3a 및 도 3b의 상황에서, 작동 플래토(P) 각각의 값, 특히 최소 값(Emin), 최대 값(Emax) 및/또는 각 플래토(P)에 대응하는 투과율 설정점 값(Tv)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이러한 값이 결정되도록 하는 메리트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메리트 함수는, 예를 들면, 설정 시간 내에서의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의 변동의 평균 개수인 특정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플래토(P) 각각의 값 및 개수는 또한 배터리(6)의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5)는 장치(2)의 배터리(6)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많은 수의 작동 플래토를 정의할 수 있다. 배터리(6)가 방전하면, 제어 회로(5)는 장치(2)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보다 적은 수의 작동 플래토를 정의할 수 있다. 제어 회로(5)는 그런 다음 단지 2개의 작동 플래토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개의 플래토 사이의 단일의 천이만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리트 함수는 또한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 및 사전에 결정된 목표 함수(Tv,target)에 의해 주어진 목표 투과율 사이의 평균 편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메리트 함수의 기준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상적인 광 레벨 상황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a 및 도 3b에서, 곡선 C4는 장치(2)의 주변 광 레벨을 나타낸다. 곡선 C3은 목표 함수(Tv,target)의 목표 투과율 값을 나타낸다. 곡선 C2는 장치(2)의 제어 회로(5)에 의해 제어된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곡선 C1은 제어 회로(5)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데에 렌즈(4)에 의해 소요된 시간으로 인한 렌즈(4)의 실제 투과율 값을 나타낸다. 특히, 렌즈(4)의 응답 시간은 매우 갑작스런 투과율의 천이가 방지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시각적으로 보다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리트 함수는 특히 곡선 C3 및 곡선 C1 사이의 편차, 즉 목표 함수(Tv,target)의 투과율 값 및 렌즈(4)의 실제 투과율 값 사이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과 연관된 작동 플래토(P)의 최대 광 레벨 값(Emax)의 최소 광 레벨 값(Emin)의 예가 고려된다.
제1 예에서, 장치(2)는 상당히 변화하기 쉬운 외부 광 레벨 조건에 대응하는 광 레벨 상황에 위치된다. 따라서, 렌즈(4)의 투과율은 또한 상당히, 특히 0.1 및 0.9 사이에서 변화하기 쉽다.
제1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예를 들면, 4개의 작동 플래토를 정의한다. 즉:
- [Emin, Emax] = [0; 2000 lx]; 투과율 설정점 값(Tv = 0.9)은 이 플래토와 연관된다. 이는 열악한 날씨 중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측정된 광 레벨에 대응하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은 그에 따라 높다;
- [Emin, Emax] = [2000 lx; 6000 lx]; 투과율 설정점 값(Tv = 0.55)이 이 플래토와 연관된다. 이는 하늘이 흐릴 때 외부에서 측정된 광 레벨에 대응한다;
- [Emin, Emax] = [6000 lx; 20000 lx]; 투과율 설정점 값(Tv = 0.25)이 이 플래토와 연관된다. 이는 화창할 때 외부에서 측정된 광 레벨에 대응한다;
- [Emin, Emax] = [20000 lx; -]; 투과율 설정점 값(Tv = 0.1)이 이 플래토와 연관된다. 이는 하늘이 푸르고 태양에 대향할 때 외부에서 측정된 광 레벨에 대응한다.
제2 예에 따르면, 장치(2)는 내부 광 레벨 조건에 대응하는 광 레벨 상황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황의 광 레벨은 덜 강하게 변화하기 쉽다. 그런 다음, 작동 플래토(P) 및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의 제한된 개수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5)는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예에 비하여 보다 더 가깝게 이격된 3개의 작동 광 레벨 플래토를 정의한다. 즉:
- [Emin, Emax] = [0 lx; 500 lx], 그러면, Tv = 0.9.
- [Emin, Emax] = [500 lx; 1000 lx], 그러면, Tv = 0.75.
- [Emin, Emax] = [1000 lx; 2000 lx], 그러면 Tv = 0.55.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 각각은 아래의 간격 중 하나에 포함되도록 선택된다:
- 0.80 및 1 사이(카테고리 0);
- 0.43 및 0.80 사이 (카테고리 1);
- 0.18 및 0.43 사이 (카테고리 2); 및
- 0.08 및 0.18 (카테고리 3) 사이.
이러한 간격 또는 0부터 3까지 숫자가 매겨진 카테고리는 표준 8980-3에 정의된 것에 대응한다("Optique ophtalmique - Verres de lunettes finis non detoures - Partie 3: specifications relatives au facteur de transmission et methodes d'essai").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은 유리하게는 각각 상이한 간격에 포함된다.
유리하게는, 주어진 간격에서, 렌즈(4)의 최상의 가능한 투과율 설정점 값(Tv)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투과율을 보다 높은 간격에서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는 것은 투과율을 보다 낮은 간격에서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는 것에 비하여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3에서 렌즈(4)의 투과율은 카테고리 2에서의 렌즈(4)의 투과율에 비하여 약 1.5배 많은 전류를 소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2)의 렌즈(4)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8)의 광 레벨 플래토(P)는 히스테리시스 사이클에 따라 작동한다. 히스테리시스 사이클에 따른 작동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5)는 센서(8)의 검출 플래토의 최소 및 최대 값([Emin, Emax]hyst)과 상이한 이차 최소 및 최대 값([Emin, Emax])을 정의한다. 아래에서, 이차 최소 및 최대 값은 이에 따라 제어 회로(5)의 작동 플래토(P)의 최소 및 최대 값에 대응하도록 고려될 것이다. 센서(8)에 의해 저장된 현재 플래토의 최소 값(Emin,hyst,P0)은 현재 플래토(P0)의 이차 최소 값(Emin,P0) 이하이다. 센서(8)에 의해 저장된 현재 플래토의 최대 값(Emax,hyst,P0)은 현재 플래토(P0)의 이차 최대 값(Emax,P0) 이상이다.
도 4의 표의 두 번째 열은 특히 다양한 작동 플래토(P)에 대하여 제어 회로(5)에 의해 저장된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Emin, Emax])의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표의 세 번째 열은 특히 다양한 검출 플래토에 대한 센서(8)의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Emin, Emax]hyst)의 예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도 4의 표의 각 행은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5)의 하나의 작동 플래토 및 센서(8)의 하나의 검출 플래토와 연관되는 하나의 플래토에 대응한다.
단계 S1에서, 렌즈(4)는 현재 광 레벨 플래토(P0)에 대응하는 초기 현재 투과율 설정점 값(Tv,p0)을 갖는다. 센서(8)는 초기에 비활성 상태, 대기 상태에 있다. 센서(8)는 메모리에 적어도 렌즈(4)의 현재 투과율 설정점(Tv,P0)에 대응하는 현재 검출 플래토(P0)의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Emin, Emax]hyst,P0)을 저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 및 단계 S3에 의해, 트리거 시간(Δt)에 비하여 긴 길이의 시간 동안 측정된 광 레벨(E)이 현재 검출 플래토(P0)의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단계 S2)에 비하여 높지 않거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단계 S3)에 비하여 낮지 않은 경우, 센서(8)는 비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센서(8)가 트리거 시간(Δt)에 비하여 긴 길이의 시간 동안 현재 검출 플래토(P0)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에 비하여 낮거나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에 비하여 높은 현재 광 레벨 값(E)을 측정하면, 센서(8)는 비활성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된다. 센서(8)는 그런 다음 현재 광 레벨 값(E), 특히, 마지막에 측정된 광 레벨 값(E)을 제어 회로(5)로 전송한다.
단계 S4에서, 센서(8)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 값(E)이 수신된 후, 제어 회로(5)는 특히 Emin,P1 < E < Emax,P1이 되도록 측정된 광 레벨 값(E)이 위치되는 새로운 현재 작동 플래토(P1)를 결정한다. 단계 S5에서, 제어 회로(5)는 그런 다음 자동으로 렌즈(4)의 투과율을 새로운 현재 작동 플래토(P1)에 대응하는 설정점 값(Tv,P1)으로 설정한다.
단계 S6에서,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에 대응하는 렌즈(4)의 새로운 투과율 설정점 값(Tv,P1)이 적용된 이후, 제어 회로(5)는 새로운 현재 검출 플래토(P1)의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Emin, Emax]hyst,P1)을 센서(8)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센서(8)로 전송한다.
새로운 현재 검출 플래토(P1)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 및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이 수신된 이후, 센서(8)는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된다. 그런 다음, 투과율을 제어하는 방법이 단계 S2로 시작하여 반복된다.
히스테리시스 사이클에 따른 작동은 특히 렌즈(4)가 "플래시(flash)"로 보이게 하는 효과로,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기 쉬운 효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센서(8)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E)이 검출 플래토(P0)의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P0) 및 후속 검출 플래토(P1)의 최소 값(Emin,hyst,P1)에 대응하는 값 부근에서 변화할 때 이러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는 장치(2)의 착용자에게 특히 번거롭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의 작동은 히스테리시스 없이 작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8)의 검출 플래토는 제어 회로(5)의 작동 플래토(P)에 대응한다. 다시 말하면, 센서(8)의 각 검출 플래토의 최소 및 최대 값([Emin, Emax]hyst)은 각각 연관된 제어 회로(5)의 각 작동 플래토(P)의 최소 및 최대 값([Emin, Emax])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의 작동을 단순화하기 위해, 센서(8)의 검출 플래토([Emin, Emax]hyst)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 및 단계 S3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단계 S4에서, 제어 회로(5)는 광 레벨 값(E)이 검출 플래토(P1)의 최소 값(Emin,hyst,P1)에 비하여 높고 후속 검출 플래토의 최소 값(Emin,hyst,P2)이 측정된 광 레벨 값(E)에 비하여 높도록 P0과 상이한 검출 플래토(P1)를 결정한다. 변형 예로서, 새로운 플래토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이 단계 S4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5)는 광 레벨 값(E)이 검출 플래토(P1)의 최대 값(Emax,hyst,P1)에 비하여 낮도록 P0과 상이한 검출 플래토(P1)를 결정한다.
단계 S5에서, 제어 회로(5)는 그런 다음 렌즈(4)의 투과율을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에 대응하는 설정점 값(Tv,P1)으로 설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는 조절 기구(9)를 포함한다. 조절 기구(9)는 장치(2)의 착용자가 투과율 설정점 값 및/또는 광 레벨 플래토(P)의 최소 값 및/또는 최대 값을 수정하도록 하는 데에 적합하다.
조절 기구(9)는 예를 들면 프레임(3)의 측면, 특히 안경 다리(3a, 3b) 중 하나에 위치되는 용량 센서(capacitive sensor)일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예를 들면, 손가락을 조절 기구(9)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장치(2)의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예로서, 착용자는, 조절 기구(9)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조절 기구(9)를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조절 기구(9)를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해, 렌즈(4a, 4b)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기구(9)는 또한 착용자가 장치(2)의 배터리의 상태를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착용자에 가시적인,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인 관찰 기구(10)를 포함한다. 관찰 기구(10)는 장치(2)와 착용자의 상호 작용으로 착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관찰 기구(10)는 또한 특히 장치(2)의 배터리(6)가 방전되었을 때 또는 센서(8)에 결함이 있는 경우, 장치(2)의 오작동에 관한 정보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는 렌즈(4)의 투과율 값이 실시간으로 측정되도록 하는 투과율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개방-루프 모드뿐만 아니라 폐쇄-루프 모드로 렌즈(4)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검출 요소(11)를 포함한다. 특히, 폐쇄-검출 요소(11)는 프레임(3)의 안경 다리(3b) 중 적어도 하나가 닫힐 때, 장치(2)가 비활성 상태, 즉 최소 전력 소비의 대기 상태로부터 변화하도록 하는 데에 적합하다. 이러한 폐쇄-검출 요소(11)는 예를 들면 안경 다리(3b)의 개방 또는 폐쇄를 검출하도록 자석과 연관된 자기-저항 효과를 채용할 수 있다.
분명하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별개로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맥락 및 특히 상술한 작동의 다양한 모드의 임의의 조합 내에서, 당업자가 예상할 수 있는 다양한 수정, 대안적인 형태 및 다른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6)

  1. 하나의 가변 투과율 렌즈;
    광 레벨(E)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광 레벨(E)에 따라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제어 회로; 및
    배터리;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P)를 정의하고, 각 광 레벨 플래토(P)는 최소 광 레벨 값(Emin) 및 최대 광 레벨 값(Emax)에 의해 경계를 가지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상기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P)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3개의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P) 및 상기 적어도 3개의 설정점 값(Tv)은 메리트 함수(merit func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메리트 함수는 복수의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사용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중 적어도 하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가 방전하면, 상기 제어 회로는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보다 적은 수의 광 레벨 플래토(P)를 정의하는, 가변 투과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광 레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센서의 측정 주기(Tmes)는 5밀리초 및 1초 사이에 포함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2개의 계속적인 투과율 설정점 값(Tv) 사이의 변동은 0.05 및 0.6 사이에 포함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착용자가 상기 투과율 설정점 값(Tv) 또는 상기 광 레벨 플래토의 최소 값(Emin) 또는 최대 값(Emax)을 수정하도록, 또는 상기 투과율 설정점 값(Tv) 또는 상기 광 레벨 플래토의 최소 값(Emin) 및 최대 값(Emax)을 수정하도록, 또는 상기 투과율 설정점 값(Tv) 및 상기 광 레벨 플래토의 최소 값(Emin) 또는 최대 값(Emax)을 수정하도록, 또는 상기 투과율 설정점 값(Tv) 및 상기 광 레벨 플래토의 최소 값(Emin) 및 최대 값(Emax)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상기 투과율 설정점 값(Tv) 각각은 아래의 간격 중 하나에 포함되는, 장치:
    - 0.80 및 1 사이;
    - 0.43 및 0.80 사이;
    - 0.18 및 0.43 사이; 및
    - 0.08 및 0.18 사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상기 투과율 설정점 값(Tv)은 각각 상이한 간격에 포함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광 레벨 플래토(P)의 상기 최소 및 최대 광 레벨 값(Emin, Emax)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8. 배터리 및 광 레벨(E)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 레벨(E)에 따라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가변 투과율 장치의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로서:
    -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P)를 정의하고, 각 광 레벨 플래토(P)는 최소 광 레벨 값(Emin) 및 최대 광 레벨 값(Emax)에 의해 경계를 갖고,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상기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P)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3개의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E)에 따라,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상기 적어도 3개의 광 레벨 플래토(P)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3개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으로부터 하나의 투과율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계속적인 광 레벨 플래토(P) 및 상기 적어도 3개의 설정점 값(Tv)은 메리트 함수(merit func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메리트 함수는 복수의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사용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중 적어도 하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가 방전하면, 상기 제어 회로는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보다 적은 수의 광 레벨 플래토(P)를 정의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 상기 센서는 메모리에 적어도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현재 투과율에 대응되는 현재 플래토(P0)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 및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을 저장하고,
    - 작동 시간(triggering time)(Δt)에 비하여 긴 길이의 시간 동안 상기 현재 플래토(P0)의 상기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에 비하여 낮거나 상기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에 비하여 높은 현재 광 레벨 값(E)을 상기 센서가 측정한 때에만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현재 광 레벨 값(E)을 상기 제어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현재 광 레벨 값(E)이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측정된 광 레벨 값(E)이 위치되는 새로운 현재 플래토(P1)를 결정하고,
    -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자동으로 상기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점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제어 회로는, 플래토(P) 마다, 이차 최소 값(Emin) 및 이차 최대 값(Emax), 상기 센서에 의해 저장되고 현재 플래토(P0)의 이차 최소 값(Emin) 이하인 현재 플래토(P0)의 최소 값(Emin,hyst)과, 상기 센서에 의해 저장되고 현재 플래토(P0)의 이차 최대 값(Emax) 이상인 현재 플래토(P0)의 최대 값(Emin,hyst)을 더 정의하고,
    -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현재 광 레벨 값(E)이 수신된 이후,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측정된 광 레벨 값(E)이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의 이차 최소 값(Emin) 및 이차 최대 값(Emax) 사이에 포함되는 새로운 현재 플래토(P1)를 결정하고,
    -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투과율을 자동으로 상기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점 값(Tv)으로 설정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에 대응되는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새로운 투과율 설정점 값(Tv)이 적용된 이후,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새로운 현재 플래토(P1)의 최소 광 레벨 값(Emin,hyst) 및 최대 광 레벨 값(Emax,hyst)을 상기 센서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센서로 전송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투과율 렌즈의 광 레벨-의존형 투과율 설정점 값(Tv)은 광변색 렌즈의 투과율 값을 통해 얻어지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작동 시간(triggering time)(Δt)은 1초 및 2초 사이에 포함되는, 방법.
  15.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가변 투과율 장치를 포함하는 안과 시스템.
  16. 삭제
KR1020187003932A 2015-07-10 2016-07-07 가변 투과 렌즈의 투과의 플래토 기반 제어 KR102623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6623 2015-07-10
FR1556623 2015-07-10
PCT/FR2016/051719 WO2017009544A1 (fr) 2015-07-10 2016-07-07 Commande par palier de la transmission d'un verre à transmission vari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43A KR20180040143A (ko) 2018-04-19
KR102623886B1 true KR102623886B1 (ko) 2024-01-11

Family

ID=5493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32A KR102623886B1 (ko) 2015-07-10 2016-07-07 가변 투과 렌즈의 투과의 플래토 기반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6499B2 (ko)
EP (1) EP3320387B1 (ko)
JP (1) JP7034071B2 (ko)
KR (1) KR102623886B1 (ko)
CN (2) CN107850794B (ko)
WO (1) WO2017009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2965A1 (en) 2017-12-04 2019-06-05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device and means for detecting driving conditions
EP3521910A1 (en) 2018-02-06 2019-08-07 Essilor International Variable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KR102029188B1 (ko) 2018-05-06 2019-10-07 주식회사 스포컴 광 투과율 조절 아이웨어
WO2020178372A1 (en) * 2019-03-06 2020-09-10 Essilor International Eyewear comprising a variable optical filter system and methods for the system and eyewear
CN111845568B (zh) * 2020-07-24 2021-11-09 光羿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防眩目后视镜
EP4193219A1 (en) * 2020-08-10 2023-06-14 Luxottica S.r.l. Electronic eyeglasses
EP3985429A1 (en) * 2020-10-16 2022-04-20 Essilor International Dynamic control of transmission value
CN114895561B (zh) * 2022-05-05 2023-04-25 湖南创享绿建科技有限公司 一种环境自适应电致变色遮阳被动式窗户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8836A1 (en) * 2010-04-05 2013-02-28 Alphamicron Incorporated Electronically switchable optical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optic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WO2014087448A1 (ja) * 2012-12-03 2014-06-12 カラーリンク・ジャパン 株式会社 光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901A (en) * 1979-05-24 1980-12-06 Aoki Eng Kk Electronic control type mirror
US5671035A (en) 1995-06-07 1997-09-23 Barnes; Elwood E. Light intensity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700692B2 (en) 1997-04-02 2004-03-02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 display/signal light
JP5009491B2 (ja) * 2004-05-11 2012-08-22 出光興産株式会社 液晶バックライト装置用プリズム一体型光拡散板
KR20060128290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수단의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08076633A (ja) * 2006-09-20 2008-04-03 Denso Corp 表示装置
WO2008078320A2 (en) * 2006-12-22 2008-07-03 Yossi Gross Electronic transparency regulation element to enhance viewing through lens system
EP2652546A4 (en) * 2010-12-15 2014-09-10 Switch Materials Inc OPTICAL DEVICES WITH VARIABLE PERMEABILITY
FR2988493B1 (fr) * 2012-03-26 2014-11-21 Valeo Vision Lunettes adaptatives pour conducteur ou passager de vehicule automobile
US8990964B2 (en) * 2012-07-21 2015-03-31 David R. Anderson Welding helmet
CA2901731C (en) * 2012-12-03 2017-02-28 Colorlink Japan, Ltd. Optical device
CN104730729A (zh) * 2015-03-23 2015-06-24 上海交通大学 一种根据环境光强度自动调节镜片透明度的智能眼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8836A1 (en) * 2010-04-05 2013-02-28 Alphamicron Incorporated Electronically switchable optical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optic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WO2014087448A1 (ja) * 2012-12-03 2014-06-12 カラーリンク・ジャパン 株式会社 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0387A1 (fr) 2018-05-16
EP3320387B1 (fr) 2023-10-04
CN107850794A (zh) 2018-03-27
JP2018524640A (ja) 2018-08-30
CN113514964B (zh) 2023-08-22
CN113514964A (zh) 2021-10-19
US11226499B2 (en) 2022-01-18
WO2017009544A1 (fr) 2017-01-19
CN107850794B (zh) 2021-07-30
JP7034071B2 (ja) 2022-03-11
US20180210236A1 (en) 2018-07-26
KR20180040143A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886B1 (ko) 가변 투과 렌즈의 투과의 플래토 기반 제어
US11614641B2 (en) Eyewear
JP2017523481A5 (ko)
CA2948524C (en) See-through dimming panel
CN106030382B (zh) 用于优化佩戴者的光学镜片设备的方法
WO2018155392A1 (ja) アイウェア
US9389423B2 (en) Head wearable display with adjustable transparency
KR102537161B1 (ko) 능동 렌즈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754775B2 (ja) 電子眼鏡
US20160139432A1 (en) Using google glass to project a red overlay that enhances night vision
US11087715B2 (en) Light transmittance adjustable eyewear
CN210038369U (zh) 一种防近视眼镜
US20240142802A1 (en) Glasses with customizable tint-adjusting experience
CN110520788A (zh) 被适配为由配戴者配戴的光学装置
KR20230028252A (ko) 가변 투과 안구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안경 장치
WO2023034799A1 (en) Eyewear with optical sensor for selective filtering and enhancing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having non-visual physiological responses
CN116981983A (zh) 具有布置在镜腿上的光敏传感器的眼睛配戴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