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582B1 -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582B1
KR102623582B1 KR1020230102294A KR20230102294A KR102623582B1 KR 102623582 B1 KR102623582 B1 KR 102623582B1 KR 1020230102294 A KR1020230102294 A KR 1020230102294A KR 20230102294 A KR20230102294 A KR 20230102294A KR 102623582 B1 KR102623582 B1 KR 10262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tenna
module
coupled
phased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곤
Original Assignee
(주)글로벌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벌코넷 filed Critical (주)글로벌코넷
Priority to KR102023010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안테나 장치는, 빔 조향 방식으로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판상형의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안테나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을 갖는 판상형의 베이스부와, 상호 대면하는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원활한 위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안테나부가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 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바닥 또는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회전부를 기준 축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스윙 이동되어 사용시 펼침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EASY-TO-CARRY FLIP-TYPE ELECTRON BEAM STEERING PHASED ARRAY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중단되거나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안테나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가 간편하여 통신이 단절된 지역 또는 산간이나 오지 등 통신 장비의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신속하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발전과 4차산업의 혁명으로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많은 양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상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의존도가 커지고 인간의 활동반경이 넓어지면서 과거 PC나 유선 전화 등의 정적인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이 기본적인 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에는 선박이나 차량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면서 위성을 통한 데이타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위상배열 평판 위성안테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형 위성안테나의 경우, 선박이나 차량의 이동이 불가능한 오지나 산간지역에서 기존의 통신 시스템이 손실되거나,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접시 위성안테나를 들고 해당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동 도중 위성안테나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재난이나 재해 등으로 통신의 복구가 필요한 지역의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정전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이 갑자기 차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장비를 운용하지 못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6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플립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파지부가 구비되어 휴대성이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되는 배터리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전력의 공급을 실시하여 지속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위상배열 칩을 제어하여 안테나모듈의 송수신 각도를 소프트웨어로 조절하여 낮은 안테나 높이에서 안정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는, 빔 조향 위상배열 방식으로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판상형의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안테나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을 갖는 판상형의 베이스부와, 상호 대면하는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원활한 위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안테나부가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전하여 펼침 각도가 조절 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바닥 또는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회전부를 기준 축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스윙 이동되어 상기 안테나부에서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펼침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부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커버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칩 형태의 안테나 소자가 결합되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안테나모듈이 설치되는 설치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부 둘레를 따라 방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모듈은 복수 개의 위상배열 칩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상기 설치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며, 구동 간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테나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전도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패널은 상면에 상기 안테나모듈 및 GPS유닛이 설치되고, 하면에 상기 안테나모듈 및 상기 GPS유닛과 연계 가능하여 상기 안테나모듈 및 상기 GPS유닛에서 위치정보를 확보하여 이동중에도 원활한 위성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위성신호를 제어하는 안테나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패널의 하면에는 상기 안테나제어모듈이 완전히 덮이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제어모듈의 파손을 방지하고, 신호의 로스를 저감시키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설치패널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안테나모듈 및 안테나제어모듈의 구동 간에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팬모듈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전력공급모듈이 내입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징홈 및 일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이더넷 및 전원선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모듈은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상호 연계되도록 장착되는 공간을 갖는 장착유닛과, 상기 장착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모듈에 대한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기판유닛 및 상기 장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 측면 중앙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축유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일 측면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축유닛 및 상기 고정축유닛 및 상기 연결축유닛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중심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안테나부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스윙 이동 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유닛, 연결축유닛 및 회전축유닛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부의 일 측면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유닛은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외측에 상기 파지부가 결합되며, 상기 파지부와 대향하는 면이 내측으로 내입 형성된 오목부를 이루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파지부를 파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유닛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유닛의 회전 가능 범위가 눈금 표기되는 범위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유닛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범위 인식부의 눈금을 지향하여 상기 회전축유닛의 회전 각도를 인지하도록 하여, 상기 안테나부의 세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각도 인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축유닛 및 상기 연결축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축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립 타입으로 펼쳐지고 접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동 간에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파지부가 구비됨으로써, 휴대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 가능한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외부 전력이 차단되거나 외부 전력의 공급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안테나모듈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위상배열 칩을 통한 안테나제어모듈을 통하여 소프트웨어로 조절이 가능하여 기존 모터방식의 안테나 위치제어보다 안정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가 플립 타입으로 접어진 모습 및 파지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설치패널에 설치된 안테나모듈 및 안테나제어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회전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부와 베이스부, 그리고 회전부의 결합 관계 및 회전부에 의한 안테나부의 펼침 각도 조절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중단되거나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안테나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가 간편하여 통신이 단절된 지역 또는 산간이나 오지 등 통신 장비의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신속하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조향 방식으로 위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판상형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부(100)와, 상기 안테나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부(100)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안테나부(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모듈(210)을 갖는 판상형의 베이스부(200)와, 상호 대면하도록 적층되는 상기 안테나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20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원활한 위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안테나부(100)가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전하여 펼침 각도가 조절 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300) 및 상기 회전부(30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사용자가 이동 간에 휴대를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0)가 바닥 또는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100)가 상기 회전부(300)를 기준 축으로 하여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스윙 이동되어 상기 안테나부(100)에서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동 간에는 부피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상기 안테나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30)와, 상기 하부케이스(1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상부커버(1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30)와 상기 상부커버(1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위상배열 칩 형태의 안테나 소자가 복수 개 결합 가능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안테나모듈(121)이 설치되는 설치패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30)와 상기 상부커버(110)의 결합부 둘레에는 방수 실링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안테나부(100)의 방수력이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120)에 설치 구비되는 상기 안테나모듈(121)은 구동 간에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테나모듈(121)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전도 패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설치패널(120)에는 상기 열전도 패드와 연계되어 상기 안테나모듈(121)의 발열을 억제하여 상기 안테나모듈(121)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파이프와 같은 열전도관이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모듈(121)은 상기 설치패널(1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부분 교체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테나 소자 간의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호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상기 설치패널(120)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설치패널(120)은 상면에 상술한 상기 안테나모듈(12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GPS유닛(122)이 추가로 구비되어, GPS 좌표를 통한 위치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120)의 하면에는 상기 안테나모듈(121) 및 상기 GPS유닛(122)과 연계 가능하며, 상기 안테나모듈(121)에서 원활한 위성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위성신호를 제어하는 안테나제어모듈(12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은 상기 GPS유닛(122)에서 위치정보를 확보하여 이동중에도 원활한 위성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은 송수신되는 위성신호의 주파수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상기 안테나모듈(121)에서의 원활한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위성 위치제어, 송수신 설정 및 통신망의 연계 등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자 빔 위상배열 보드, 안테나제어보드, 전원분배기, 주파수변환기, 멀티 컨트롤러, ACU와 같은 모듈들이 상호 연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은 일반적으로 위성안테나장치에서 사용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치패널(120)의 하면에는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이 완전히 덮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호의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는 보호커버(124)가 더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124)가 설치되는 상기 설치패널(120)의 하측면 둘레에는 방수 실링이 이루어져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 측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100)는 상기 안테나모듈(121) 및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의 구동에 따른 발열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부(100)의 내부 공간의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열전도 패드 및 상기 열전도관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과부하가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안테나모듈(121) 및 상기 안테나제어모듈(123)의 구동 간에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안테나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모듈(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팬모듈(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됨으로써, 효과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패널(120)의 하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하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설치패널(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부케이스(130)에는 상기 팬모듈(140)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통기홀(1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팬모듈(1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기홀(131)은 상기 팬모듈(140)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1:1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 순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공급모듈(210)이 내입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케이징홈(220) 및 일측면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이더넷 및 전원선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모듈(2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모듈(210)은 복수의 배터리모듈(B)이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공간을 갖는 장착유닛(211)과, 상기 장착유닛(2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모듈(B)에 대한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유닛(213) 및 상기 장착유닛(2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유닛(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유닛(211) 및 상기 커버유닛(212)은 절연체로 이루어져 누전 또는 감전의 발생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B)은 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유닛(211)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유닛(213)과 연결되는 상기 커넥터모듈(23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모듈(230)에 구비되는 외부 전원선이 연결되는 포트에 의해 외부 전원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200)에 장착된 복수의 상기 배터리모듈(B)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넥터모듈(230)에 연결된 전원선은 외부의 전원을 통해 상기 안테나 장치를 구동시킴은 물론, 상기 베이스부(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기 배터리모듈(B)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안테나 장치가 지속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00)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모듈(230), 상기 전력공급모듈(210), 그리고 상기 안테나부(100)와의 전기적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도체 배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도체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커버(240) 및 보형커버(2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300)는 도 7 내지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0)의 일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고정축유닛(310)과, 상기 베이스부(200)의 일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축유닛(310)이 결합된 측면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연결축유닛(330) 및 상기 고정축유닛(310)과 상기 연결축유닛(33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중심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안테나부(100)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부(100)와 함께 회전 함으로써, 상기 안테나부(100)가 상기 회전부(300)를 기준으로 스윙 이동 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축유닛(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300)의 양 끝단에는 상기 회전부(300)의 결속력 보강 및 상기 회전부(30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캡유닛(340)이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유닛(310), 연결축유닛(330) 및 상기 회전축유닛(3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200)의 일 측면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음을 인지 하여야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200)의 일 측면과 동일한 길이 방향이라 함은, 상기 베이스부(200)와 대면하는 상기 안테나부(100)의 일측면과도 동일한 길이 방향임을 인지 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고정축유닛(310)은 상기 베이스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200)가 내측 방향이라 가정하였을 경우, 상기 고정축유닛(310)의 외측에 상기 파지부(4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축유닛(310)에서 상기 파지부(400)와 대항하는 면에는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4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 간에 휴대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유닛(330)에는 외주면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유닛(320)의 회전 가능 범위가 눈금 표기되는 범위 인식부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유닛(320)에는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범위 인식부의 눈금을 지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유닛(320)의 회전 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인지부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축유닛(330)의 외주면 일측에는 단위별 눈금이 표기될 수 있으며, 이때, 눈금 하나당 5도 에 맞춰 형성됐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안테나부(100)가 상기 베이스부(200)에 접혀진 상태는 0도가 되며, 상기 안테나부(100)가 펼쳐짐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유닛(320)에 형성된 각도 인지부가 상기 범위 인식부의 눈금을 하나씩 지나칠 때마다, 상기 안테나부(100)가 이루는 회전 각도는 5도, 10도, 15도 단위로 이루어짐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표기에 따른 정확한 각도의 인지는 이후, 동일한 위치 또는 인근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구동시킬 경우, 상기 안테나부(100)가 위성신호 감도가 좋은 위치를 향하도록 하는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회전부(300)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안테나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200)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안테나부(100)와 상기 회전축유닛(320),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0)와 상기 연결축유닛(33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축결합부(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축결합부(500)의 내면은 상기 회전축유닛(320) 및 상기 연결축유닛(33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곡면을 이루어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안테나부
110 : 상부커버
120 : 설치패널
121 : 안테나모듈
122 : GPS유닛
123 : 안테나제어모듈
124 : 보호커버
130 : 하부케이스
131 : 통기홀
140 : 팬모듈
200 : 베이스부
210 : 전력공급모듈
211 : 장착유닛
212 : 커버유닛
213 : 회로기판유닛
220 : 케이징홈
230 : 커넥터모듈
240 : 밀봉커버
250 : 보형커버
300 : 회전부
310 : 고정축유닛
320 : 회전축유닛
330 : 연결축유닛
340 : 캡유닛
400 : 파지부
500 : 축결합부
B : 배터리모듈

Claims (13)

  1. 빔 조향 위상배열 방식으로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판상형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안테나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을 갖는 판상형의 베이스부;
    상호 대면하는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원활한 위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안테나부가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전하여 펼침 각도가 조절 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간에 휴대가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바닥 또는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에서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펼침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회전부를 기준 축으로 스윙 이동되어 펼쳐지거나,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회전부를 기준 축으로 스윙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플립 형태로 접혀져 전체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동 간에 휴대성이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커버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칩 형태의 안테나 소자가 결합되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안테나모듈이 설치되는 설치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부 둘레를 따라 방수 실링이 이루어져 상기 안테나부의 방수력이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설치패널은,
    상면에 상기 안테나모듈 및 GPS유닛이 설치되고,
    하면에 상기 안테나모듈 및 상기 GPS유닛과 연계 가능하여 상기 안테나모듈 및 상기 GPS유닛에서 위치정보를 확보하여 이동중에도 원활한 위성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위성신호를 제어하는 안테나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패널의 하면에는,
    상기 안테나제어모듈이 완전히 덮이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제어모듈의 파손을 방지하고, 신호의 로스를 저감시키는 보호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상기 설치패널의 하측면 둘레에는 상기 안테나제어모듈 측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방수 실링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전력공급모듈이 내입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징홈;
    일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이더넷 및 전원선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모듈;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모듈, 상기 전력공급모듈, 상기 안테나부와의 전기적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체 배선; 및
    상기 도체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커버 및 보형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 측면 중앙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축유닛;
    상기 베이스부의 일 측면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축유닛; 및
    상기 고정축유닛 및 상기 연결축유닛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중심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안테나부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스윙 이동 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유닛, 연결축유닛 및 회전축유닛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부의 일 측면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유닛은,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외측에 상기 파지부가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 간에 휴대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파지부와 대향하는 면이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유닛은,
    외주면 일측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유닛의 회전 가능 범위가 일정 단위로 눈금 표기되는 범위 인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유닛은,
    외주면 일측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범위 인식부의 눈금을 지향하여 상기 안테나부가 펼쳐짐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유닛의 회전 각도가 인지되도록 하여, 상기 안테나부의 세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각도 인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모듈은,
    복수 개의 위상배열 칩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상기 설치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며,
    구동 간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안테나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전도 패드;
    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설치패널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안테나모듈 및 안테나제어모듈의 구동 간에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모듈;
    을 더 포함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팬모듈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
    을 포함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모듈은,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상호 연계되도록 장착되는 공간을 갖는 장착유닛;
    상기 장착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기판유닛; 및
    상기 장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축유닛 및 상기 연결축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축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KR1020230102294A 2023-08-04 2023-08-04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KR10262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294A KR102623582B1 (ko) 2023-08-04 2023-08-04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294A KR102623582B1 (ko) 2023-08-04 2023-08-04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582B1 true KR102623582B1 (ko) 2024-01-11

Family

ID=8953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294A KR102623582B1 (ko) 2023-08-04 2023-08-04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5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66Y1 (ko) 2001-09-18 2002-01-0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캡스턴 스텝 모터를 이용한 이동체용 위성 안테나 장치
KR20090059728A (ko) * 2007-12-07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 탑재용 안테나 시스템
JP2022045916A (ja) * 2020-09-09 2022-03-22 ヒルシュマン カ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体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車体アンテナモジュールを冷却するための方法
KR20220074414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글로벌코넷 자동 정밀 포인팅 위성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위성 자동 정밀 포인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66Y1 (ko) 2001-09-18 2002-01-0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캡스턴 스텝 모터를 이용한 이동체용 위성 안테나 장치
KR20090059728A (ko) * 2007-12-07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 탑재용 안테나 시스템
JP2022045916A (ja) * 2020-09-09 2022-03-22 ヒルシュマン カ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体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車体アンテナモジュールを冷却するための方法
KR20220074414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글로벌코넷 자동 정밀 포인팅 위성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위성 자동 정밀 포인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009B2 (en) Solar, electronic, RF radiator for a self-contained structure for space application array
US20210029819A1 (en)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RU2231874C2 (ru) 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правляемой диаграмм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й портативный компьютер
US11996626B2 (en) Field-assembled modular phased array SATCOM terminal
KR100398167B1 (ko) 휴대형위성통신장치
CN104954267A (zh) 一种智能电控式定向无线路由器
EP3073564A1 (en) Antenna device of base station
US8417302B2 (en) Modular access point
CN101375509A (zh) 电力传输网络和方法
KR102623582B1 (ko) 휴대가 간편한 플립형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 장치
EP2037120B1 (en) Antenna/wind turbine device and communication station using the same
CN108352849B (zh) 用于无线传感器网络的模块化基站架构
CN110024502A (zh) 侦听机
US20060135069A1 (en) Portable device with antenna diversity
JP2018064205A (ja) アクティブ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信号処理モジュール
CN104954268A (zh) 一种可控式定向无线路由器
US20090011721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07189331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
JPH11231037A (ja) 共用アンテナ装置
CN218099639U (zh) 一种微波探测设备
CN117784261A (zh) 一种微波探测设备
CN219718241U (zh) 卫星物联网终端
PE42599A1 (es) Estacion base transportable y portatil de telefonia movil y/o de acceso celular
US2023036266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onor and service antennas therefor
US2023036148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onor and service antenna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