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630B1 -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2630B1 KR102622630B1 KR1020230060502A KR20230060502A KR102622630B1 KR 102622630 B1 KR102622630 B1 KR 102622630B1 KR 1020230060502 A KR1020230060502 A KR 1020230060502A KR 20230060502 A KR20230060502 A KR 20230060502A KR 102622630 B1 KR102622630 B1 KR 1026226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evaluation
- violation
- value
- sincer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4 evalu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를 기반으로 직원에 대한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수행하여 회사가 추구하는 인재상으로 직원을 유도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 평가 장치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업무 평가 장치는 복수의 직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업무 평가 장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사의 업무 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무성실도와 업부집중도를 기반으로 직원에 대한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수행하여 회사가 추구하는 인재상으로 직원을 유도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점차 사회는 비대면 환경에 더 많이 노출되고 익숙해져 가고 있다. COVID-19 등과 같은 전세계적인 전염병 확산 등의 위기대응 속에서 이와 같은 비대면 생활로의 변화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른 회사들의 업무 환경 또한 비대면 업무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진행되고 있다. 비대면 업무 협업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산업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들에게는 이 같은 위기 속에서 비대면 근무 방식을 유연하게 회사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인프라의 확보가 더 없이 중요해지고 있다.
COVID-19 등과 같은 사회적 위기 속에서도 많은 회사가 시공간 제약에서 벗어나 노동생산성을 높이며 편리하고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요구하는 것은 시대적인 업무 형태의 큰 변화 흐름이다. 업무 중 대면보고 횟수를 줄이고 채팅, 영상통화, 화상회의 등으로 의사소통을 선호하는 수평적 회사문화를 선호하는 젊은 세대들의 의식변화도 비대면 업무 형태의 변화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근무형태가 비대면의 비중이 점차 커짐에 따라 기존의 직접 업무를 함께 수행하면서 직원들끼리 근접하여 상호 관찰할 수 있었던 기회와 시간들이 점점 줄어들게 되어 평가자(관리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기존 직원(피평가자)들에 대한 선입견과 신입직원에 대한 무지한 상태로 직원의 업무 평가를 수행하게 되면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에 있어서, 평가자의 의견쏠림 등과 같은 주관적이거나 감정적인 평가가 포함되기 때문에, 직원에 대한 평가 오류 가능성이 존재한다.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는 개인의 감시나 징계를 위한 상대적 평가가 주안점 이기 때문에, 공정한 업무 평가를 담보할 수 있는 수치적인 평가,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적인 평가 등과 거리가 있었다.
그리고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에 회사의 속성(산업특성, 규모, 형태 등)이 반영되지 못하고, 평가 항목에 따른 단순 업무 평가만 수행하기 때문에,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원 개인의 감시나 징계를 위한 상대적 평가가 주안점이 아니라, 회사별 특성을 고려하여 직원들이 회사의 맞춤형 인재상으로 유도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원에 대한 공정한 업무 평가를 통한 회사의 업무성실도 기준 자신의 현재 위치, 개선방향 및 개선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직원들이 회사의 맞춤형 인재상으로 유도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원이 업무 평가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기 및 복수의 직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직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상기 가중치를 입력값으로 하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고,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업무 평가 알고리즘은 평가 항목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와, 상기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에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한 TNM 값(TNM_WES)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반시기(T)는 직원이 최근 언제 위반하였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횟수(N)는 직원이 얼마나 자주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크기(M)는 직원이 위반정도(크기)가 어느 정도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다.
상기 업무성실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은 출퇴근 시간 준수, 지각횟수, 조퇴횟수, 무단결근 횟수, 스케줄(납기) 미충족 횟수 및 민원발생 유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집중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은 업무무관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업무관련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성실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출퇴근 시간 준수, 지각횟수, 조퇴횟수, 무단결근 횟수 및 스케줄(납기) 미충족 횟수는 직원 단말기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 관리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회사내 네트워크 접속시간 및 차량출차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업무집중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업무무관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업무관련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는 직원 단말기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 관리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무관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회사내 네트워크 접속시간 및 부정평가/신고 접수를 기반으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민원발생 유발수 및 상기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민원 접수 장치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상기 TNM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TNM_WES(Work Evaluation Score)
= (w1*(w11*aT+w12*bT+...w15eT))
+ (w2*(w21*aN+w22*bN+...w25eN))
+ (w3*(w31*aM+w33*bM+...w35eM))
T: 위반시기(Time)
N: 위반횟수(Number)
M: 위반크기(Magnitude)
aT: 출퇴근 위반시기
aN: 출퇴근 위반횟수
aM: 출퇴근 위반크기
bT: 조퇴 위반시기
bN: 조퇴 위반횟수
bM: 조퇴 위반크기
cT: 무단결근 위반시기
cN: 무단결근 위반횟수
cM: 무단결근 위반크기
dT: 스케줄(납기) 위반시기
dN: 스케줄(납기) 위반횟수
dM: 스케줄(납기) 위반크기
eT: 민원(발생) 위반시기
eN: 민원(발생) 위반횟수
eM: 민원(발생) 위반크기
w1 ~ w3 : 평가 영향 인자(위반시기, 위반횟수 및 위반크기)별 가중치
w11 ~ w35 : 평가 항목별 가중치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별로 상기 TNM 값을 산출하되, 상기 위반시기(T)의 값의 통일을 위해서, 상기 일정 기간의 시작일을 1일로 하여 날짜를 카운트하되, 상기 일정 기간의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위반이 발생한 날짜를 위반시기(T)의 값으로 전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해서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되, 평가 영향 인자별로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여 상기 복수의 레벨별로 차등되게 정규값을 설정하고, 상기 평가 영향 인자별로 산출된 값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값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분할하고, 상기 전처리된 TNM 값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레벨에 따른 정규값으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규화된 TNM 값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축으로 하는 3축 그래프로 시각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기간을 복수의 단위 기간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의 변화로 업무 평가의 개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규화된 TNM 값을 (T, N, M)의 좌표위치로 변환하고, 두 개의 단위 기간별 좌표위치 간의 거리(d)를 개선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업무 평가 장치로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기; 직원의 업무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상기 업무 평가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직원 단말기; 및 상기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수행한 후,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상기 업무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업무 평가 장치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업무 평가 장치가 복수의 직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업무 평가 장치가 상기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 평가 장치가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사별 특성(산업별, 규모별, 형태별 등)에 따라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에 대한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가중치를 회사별로 설정하여 해당 회사에 가장 최적인 맞춤형 인재상을 수립하고, 피평가자인 직원에게 회사의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준 자신의 현재 위치와 개선방향, 개선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직원들이 회사의 맞춤형 인재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원들의 워라벨 욕구 충족과 산업적 생산성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비대면 근무 환경 조성 과정에서, 회사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동시에 직원 개인에 대한 업무 평가의 정확도와 신뢰성 강화를 통해 공정한 업무 평가를 담보할 수 있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업무 평가 결과를 수치 및 3축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업무 평가 결과에 대한 직원의 이해도를 높여 직원들이 회사의 맞춤형 인재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업무 평가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업무성실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업무집중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직원1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점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TNM 모델을 적용하여 산출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TNM 값을 전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TNM 모델을 적용하여 전처리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처리된 TNM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9월 및 10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처리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전처리된 TNM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직원1 내지 직원3의 2개월 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대한 정규화 적용 기준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규화 적용 기준을 적용하여 산출한 정규화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개선점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직원1 내지 직원3의 2개월 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업무 평가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업무성실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업무집중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직원1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점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TNM 모델을 적용하여 산출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TNM 값을 전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TNM 모델을 적용하여 전처리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처리된 TNM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9월 및 10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처리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전처리된 TNM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직원1 내지 직원3의 2개월 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대한 정규화 적용 기준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규화 적용 기준을 적용하여 산출한 정규화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개선점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직원1 내지 직원3의 2개월 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시스템(100; 이하 '업무 평가 시스템'이라 함)은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를 기반으로 직원에 대한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수행하여 회사가 추구하는 인재상으로 직원을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기(10), 복수의 직원 단말기(20) 및 업무 평가 장치(4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10)는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업무 평가 장치(40)로 전달한다. 복수의 직원 단말기(20)는 직원의 업무에 따라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업무 평가 장치(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여기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각각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시스템(100)은 민원 접수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민원 접수 장치(30)는 회사에 대한 민원을 접수하여 관리하는 장치이다. 민원 접수 장치(30)는 접수된 민원 중에서 직원별 민원발생 유발수를 카운트하여 관리자 단말기(10) 또는 업무 평가 장치(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민원 접수 장치(30)는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는 회사에서 직원의 인사평가와 관련된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이다. 관리자 단말기(10)는 업무 평가 장치(40)에 접속하여 직원의 업무 평가와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랩톱, 데스크톱, 핸드헬드PC, 태블릿PC 등 개인용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업무성실도에 포함되는 평가 항목은 출퇴근 시간 준수, 지각횟수, 조퇴횟수, 무단결근 횟수, 스케줄(납기) 미충족 횟수 및 민원발생 유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집중도에 포함되는 평가 항목은 업무무관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업무관련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는 평가 항목별 가중치, 충족/위반 조건(출퇴근 기준시간, 조퇴 기준시간 등)을 회사의 특성(산업별, 규모별, 형태별 등)에 맞게 업무 평가 장치(40)에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직원 단말기(20)는 직원이 업무 수행을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이다. 이러한 직원 단말기(20)는 스마트폰, 랩톱, 데스크톱, 핸드헬드PC, 태블릿PC 등 개인용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직원 단말기(20)는 직원의 업무 평가에 필요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업무 평가 장치(40)로 전달한다. 직원은 직원 단말기(20)를 통하여 업무 평가 장치(40)에 접속하여 업무 평가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직원 단말기(20)에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이 설치되어 있다.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은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은 직원 단말기(20)의 최초/최종 사용시간과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회사내 네트워크 접속시간 및 차량출차 인식정보(옵션) 등을 기준으로 해당 직원의 출퇴근 준수여부, 지각여부, 조퇴여부, 문단결근, 스케줄(납기)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를 감시하고,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하여 업무성실도 데이터로 가공하여 업무 평가 장치(40)로 전송한다.
또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은 직원 단말기(20)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 관리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무관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회사내 네트워크 접속시간 및 부정평가/신고 접수를 기반으로 업무무관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업무관련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에 대한 이벤트를 감시하고,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하여 업무집중도 데이터로 가공하여 업무 평가 장치(40)로 전송한다.
업무성실도 데이터 중 민원발생 유발수 데이터와, 업무집중도 데이터 중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직원별로 입력하여 주거나, 민원 접수 장치(30)와의 연동을 통하여 민원 접수 장치(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업무 평가 장치(40)는 직원들에 대한 업무 평가를 업무성실도, 업무집중도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즉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입력값으로 하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 평가 장치(30)는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 평가를 수행할 때, 먼저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입력값으로 하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각각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업무 평가 장치(40)는 직원 단말기(20) 또는 관리자 단말기(10)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 평가 결과는 직원 단말기(20)와 관리자 단말기(10)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할 때, 3축 그래프와 수치값(스코어) 기반으로 직원의 현재 평가 결과, 평가 결과에 대한 개선 방향, 누적된 평가 결과를 통한 개선률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시스템(100)은, 회사마다 추구하는 직원(인재상)에 대한 요구사항이 해당 회사가 속해있는 산업별, 규모별, 형태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에 포함되는 평가 항목들과, 평가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조정으로 회사별 맞춤형 인재 양성 유도를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시스템(100)은 회사가 직원의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피평가자(직원)에 대한 평가자(관리자)의 의견쏠림 등과 같은 주관적이거나 감정적인 업무 평가 등의 문제해결을 지원하고,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적인 평가 등 공정한 업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시스템(100)은 직원의 감시나 징계를 위한 상대적 평가가 주안점이 아니라, 해당 회사들의 고유 특성에 따라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가중치를 회사별로 설정하여 해당 회사에 가장 최적인 맞춤형 인재상을 수립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시스템(100)은 설정된 업무성실도, 업무집중도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고, 피평가자인 직원에게 업무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회사의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준 자신의 현재 위치와 개선 방향, 개선률 등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게 지원함으로써, 직원들을 회사의 맞춤형 인재상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장치(4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업무 평가 장치(4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장치(40)는 통신부(43)와 제어부(47)를 포함한다.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장치(40)는 저장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3)는 관리자 단말기(10) 및 복수의 직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43)는 민원 접수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3)는 민원 접수 장치(30)로부터 민원발생 유발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5)는 업무 평가 장치(4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45)는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41)과,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수행한 업무 평가 결과를 저장한다. 저장부(45)는 업무 평가에 사용되는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 업무성실도 데이터, 업무집중도 데이터 및 통합 가중치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47)는 업무 평가 장치(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부(47)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47)는 통신부(43)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제어부(47)는 복수의 직원 단말기(20)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47)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입력값으로 하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여기서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은 평가 항목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와,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에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한 TNM 값(TNM_WES)으로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위반시기(T)는 직원이 최근 언제 위반하였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다. 위반횟수(N)는 직원이 얼마나 자주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다. 위반크기(M)는 직원이 위반정도(크기)가 어느 정도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다.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TNM 값을 산출할 때, 평가 항목별 및 평가 영향 인자별 중에 적어도 하나에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가중치는 평가 영향 인자별 가중치와 평가 항목별 가중치를 포함한다.
TNM 값은 아래의 수학식1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TNM_WES(Work Evaluation Score)
= (w1*(w11*aT+w12*bT+...w15eT))
+ (w2*(w21*aN+w22*bN+...w25eN))
+ (w3*(w31*aM+w33*bM+...w35eM))
T: 위반시기(Time)
N: 위반횟수(Number)
M: 위반크기(Magnitude)
aT: 출퇴근 위반시기
aN: 출퇴근 위반횟수
aM: 출퇴근 위반크기
bT: 조퇴 위반시기
bN: 조퇴 위반횟수
bM: 조퇴 위반크기
cT: 무단결근 위반시기
cN: 무단결근 위반횟수
cM: 무단결근 위반크기
dT: 스케줄(납기) 위반시기
dN: 스케줄(납기) 위반횟수
dM: 스케줄(납기) 위반크기
eT: 민원(발생) 위반시기
eN: 민원(발생) 위반횟수
eM: 민원(발생) 위반크기
w1 ~ w3 : 평가 영향 인자(위반시기, 위반횟수 및 위반크기)별 가중치
w11 ~ w35 : 평가 항목별 가중치
직원의 업무 평가에 있어서, 위반횟수(N)와 위반크기(M)는 값이 크면 클수록 나쁘다는 의미가 직관적으로 성립을 한다. 하지만 위반시기(T)는 최근 발생 위반을 더 안 좋게 보기 때문에, 값이 낮을수록 안 좋은 평가라는 특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47)는 위반횟수(N)와 위반크기(M) 값의 의미와 위반시기(T) 값의 의미를 통일하기 위해서, 위반시기(T) 값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처리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47)는 일정 기간별로 TNM 값을 산출하되, 위반시기(T)의 값의 통일을 위해서, 일정 기간의 시작일을 1일로 하여 날짜를 카운트하되, 일정 기간의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위반이 발생한 날짜를 위반시기(T)의 값으로 전처리한다.
TNM 값의 평가 영향 인자인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는 측정법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다른 숫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TNM 값을 기반으로 정교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어부(47)는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47)는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해서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한다. 즉 제어부(47)는 평가 영향 인자별로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고, 복수의 레벨별로 차등되게 정규값을 설정한다. 제어부(47)는 평가 영향 인자별로 산출된 값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값을 복수의 레벨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분할한다. 그리고 제어부(47)는 전처리된 TNM 값을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에 따른 정규값으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한다.
차이값을 복수의 레벨로 분할할 때, 균등 분할하거나 레벨에 따라서 차등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47)는 정규화된 TNM 값을 기반으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할 때, 수치와 함께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즉 제어부(47)는 정규화된 TNM 값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축으로 하는 3축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7)는 일정 기간을 복수의 단위 기간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의 변화로 업무 평가의 개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기간은 주, 월, 분기, 반기 또는 연 단위일 수 있다.
제어부(47)는 정규화된 TNM 값을 기반으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할 때, 수학식 2와 같이 개선 점수(IS: Improvement Score)를 산출하여 개선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47)는 정규화된 TNM 값을 (T, N, M)의 좌표위치로 변환하고, 두 개의 단위 기간별 좌표위치 간의 거리(d)를 개선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두 개의 단위 기간을 제1 단위 기간 및 제2 단위 기간이라고 하고, 제1 단위 기간의 제1 좌표위치는 (t1, n1, m1)이고, 제2 단위 기간의 제2 좌표위치는 (t2, n2, m2)이다. 제2 단위 기간이 제1 단위 기간 보다는 시간 상으로 이후의 기간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S100)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S200)를 각각 수행한다. 이때 업무 평가 장치(40)는 S100단계와 S200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업무 평가 장치(40)는 S100단계와 S200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S100단계 이후에 S200단계를 수행하거나, 반대로 S200단계 이후에 S10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S300단계에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통합 업무 평가 점수는 아래의 수학식3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통합 업무 평가=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α+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평가×β
α: 제1 통합 가중치
β : 제2 통합 가중치
예컨대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 점수가 90점이고,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 점수가 80점이다. 업무성실도에 대한 제1 통합 가중치(0.6)를 업무집중도에 대한 제2 통합 가중치(0.4) 보다 높게 설정하면, 제1 통합 업무 평가 점수는 86점으로 산출된다. 반대로 제1 통합 가중치(0.4)를 제2 통합 가중치(0.6) 보다 낮게 설정하면, 통합 업무 평가 점수는 84점으로 산출된다.
이와 같이 회사별 특성(산업별, 규모별, 형태별 등)에 따라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에 대한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가중치를 회사별로 설정함으로써, 업무 평가 장치(40)는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S400단계에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관리자 단말기(10) 또는 직원 단말기(20)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 평가 결과로서 수치와 3축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는 TNM 값과, 수학식 2에 따른 개선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S100단계 및 S200단계에 대한 세부 프로세스에 대해서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3의 업무성실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업무집중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S100단계에 따른 업무성실도 기반의 업무 평가는 업무성실도, 가중치,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단계(S10), 업무성실도 데이터 수집 단계(S20), 업무성실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30), 및 수행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S200단계에 따른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는 업무집중도, 가중치,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단계(S110), 업무집중도 데이터 수집 단계(S120),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30), 및 수행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S100단계는 업무성실도를 기반으로 하고, S200단계는 업무집중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면, S100단계 및 S200단계의 세부 프로세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S100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10단계에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가중치,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즉 업무 평가 장치(40)가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S20단계에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업무 평가 장치(40)가 복수의 직원 단말기(20)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어서 S30단계에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성실도 데이터와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으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즉 업무 평가 장치(40)는 수학식 1로 TNM 값을 산출한 후, 산출한 TNM 값에 대한 전처리 및 정규화를 수행함으로써,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완료한다.
그리고 S40단계에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관리자 단말기(10) 또는 직원 단말기(20)로 업무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 업무 평가 장치(40)는 업무 평가 결과로서 수치와 3축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는 TNM 값과, 수학식 2에 따른 개선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성실도 중심의 업무 평가 방법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20에 따른 구체적인 적용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사 특성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평가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회사에서 추구하는 인재상과 연계하여 설정값을 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수학식 1에 따른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을 제안한다.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은 각 평가 영향 인자에 가중치(w)를 부여하여 산출한 TNM 값을 기반으로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한다. 직원들의 업무 평가에서는 전제가 회사에서는 출/퇴근 시간을 준수하고, 약속한 시간에 업무를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벤트 발생/카운트 기준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위반의 경우에 이벤트를 부여한다. 즉, 직원들의 업무 평가에서는 미달성(미충족)에 초점을 맞추어서 업무 평가가 수행된다.
지금부터는 수학식 1에 따른 TNM 값 산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서, 업무성실도의 평가 항목들 중 출근 한 가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회사에 평가대상 3명의 직원이 있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직원들은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이 설치된 직원 단말기(20)를 이용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업무성실도 충족/위반 조건을 업무 평가 장치(40)에 미리 설정해 놓는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0)를 통하여 가중치를 "1"로 업무 평가 장치(40)에 미리 설정해 놓는다.
표 1과 표 2는 관리자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하루 기준 업무성실도 관찰의 주요 스케줄과 위반 시 부여하는 점수표(Score)이다. 미달성 시간 범위에 따라서 임으로 점수를 배정하였다. 여기서 점수는 긍정적인 의미의 점수가 아니고, 부정적인 위반의 점수를 의미한다. 만일 직원이 9시 45분에 출근을 한 경우 미달성 시간범위가 00:41~00:45에 속하기 때문에 부여되는 점수는 10점이다. 14:00~14:20, 20분 동안 로그아웃을 하고 무단으로 자리 이탈을 하는 직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직원에는 00:11~00:20에 해당하는 4점을 부여한다. 물론 표 1 및 표 2에 따른 스케줄과 점수표는 회사별 특성에 따라 가변 적용이 가능하다.
직원 단말기(20)에 설치된 업무 관리 프로그램(21)은 직원들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하루 단위로 저장 관리하고 업무 평가 장치(40)로 전송한다. 예컨대 업무성실도 데이터는 표 3과 같이
예시로, 관리되는 데이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TNM 값 산출]
일간 단위로 수집된 직원1에 대한 업무성실도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간 단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점수로 변환하여 관리된다. 업무 평가 장치(40)는 표 2의 점수표(Score)를 기준으로 점수화하여 합계(점수총합)를 산출한다. 여기서 도 6은 직원1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점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지금부터는 수집된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대해서 수학식 1에 따른 업무 평가 알고리즘(41)의 적용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특정 직원의 월간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대한 TNM 값의 평가 영향 인자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생성된다.
T: 위반시기(Time), 월말 혹은 업무평가일 기준 미달성 기록일과의 차이값
N: 위반횟수(Number), 월간 미달성 기록 발생 횟수
M: 위반크기(Magnitude), 월간 업무성실도 점수 총합
이와 같은 기준으로 직원1에 대한 월간 업무성실도는 도 7과 같이 변환처리 된다. 도 7은 도 6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TNM 모델을 적용하여 산출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직원1의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 값은 각각 5일, 8일, 60점이다.
[TNM 값 전처리]
도 8은 도 7의 TNM 값을 전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직원의 업무 평가 과정에서 위반횟수(N)와 위반크기(M)는 값이 크면 클수록 나쁘다는 의미가 직관적으로 성립을 한다. 하지만 위반시기(T)는 최근 발생 위반을 더 안 좋게 보기 때문에 값이 낮을수록 안 좋은 평가라는 특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업무 평가 장치(40)는 위반횟수(N)와 위반크기(M)의 의미와 위반시기(T)의 값의 통일을 위해 전처리 방법을 사용한다.
간단하게 업무 평가가 진행 중인 9월의 마지막 날로부터 최근에 발생한 날짜로 현재 업무 평가 적용 시점인 9월의 첫 번째 날인 1일로부터 26일까지의 차이로 계산한다. 즉 위반시기(T)가 26일-0일=26일로 전처리하여 계산한다. 전처리를 적용하면, 전처리전 위반시기(T) 값인 5일(도 5)이 전처리된 위반시기(T) 값인 26일(도 6)로 변경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직원1의 월간 전처리된 TNM 값은 94점(26(T)+8(N)+60(M))으로 계산된다.
지금까지 직원1의 TNM 값이 계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TNM 값이 가지는 의미의 모순이 없는지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직원2와 직원3을 추가하여 살펴보면 도 9와 같다. 여기서 도 9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TNM 모델을 적용하여 전처리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순 업무성실도 데이터 기준으로 업무 평가를 수행하면, 직원3의 업무성실도 점수가 기본적으로 가장 나쁘게 산출된 경우이다. 직원2는 가장 우수한 인력이라고 평가되었다. 이를 TNM 값으로 변환처리하면 직원1과 직원3의 순위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직원1의 근태 위반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회사별로 가중치 값이 항목별 w값을 조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 있어서, 우수 직원에 대한 의미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TNM 값을 해석하기에 따라 다른 분석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전처리된 TNM 값 정규화]
업무 평가 장치(40)는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한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즉 TNM 값의 평가 영향 인자인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는 측정법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다른 숫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TNM 값을 기반으로 정교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도 10과 같이 업무 평가 장치(40)는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 과정을 수행한다. 도 10은 도 9의 전처리된 TNM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규화 과정에서는 우수(1점), 미달(2점) 및 매우미달(3점)과 같이 3개 레벨의 정규값으로 분류한다. 정규화 과정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값을 동일한 간격으로 3개로 분할하고, 분할한 3개의 간격에 3개의 레벨을 각각 매칭한다. 그리고 업무 평가 장치(40)는 전처리된 TNM 값을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에 따른 정규값으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한다.
[시각화]
업무 평가 장치(40)는, 정규화된 TNM 값을 기반으로 업무 평가 결과를 더욱 직관적인 인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도 11과 같이 시각화(Visualiz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11은 도 10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업무 평가 장치(40)는 직원1, 직원2, 직원3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시각화 처리한다. 즉 업무 평가 장치(40)는 정규화된 TNM 값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축으로 하는 3축 그래프로 시각화 한다.
3축 그래프에서 직원1, 직원2, 직원3의 정규화된 TNM 값은 좌표로 표시된다. 이때 3축 그래프에서 (0, 0, 0)의 좌표는 회사가 추구하는 우수인재(인재상)를 나타낸다.
직원 또는 관리자는 3축 그래프에 표시된 본인 또는 직원들의 좌표와 우수인재의 좌표와 비교하여 직관적으로 업무 평가 결과를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방법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시스템적인 업무 평가를 통해, 직원들을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상으로 발전해 나가도록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방법은 직원들의 개선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직원1 내지 직원3의 2달간 업무 수행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비교 설명한다. 도 12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9월 및 10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직원1 내지 직원3이 9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와 10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갖는 경우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9월 보다 10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가 개선된 상황으로 제시하였다. 직원1 내지 직원3 보다가 업무성실도 데이터가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1로 산출된 TNM 값에 대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13은 도 12의 전처리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도 14는 도 13의 전처리된 TNM 값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정규화된 TNM 값에 대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축 그래프로 시각화 하였다. 여기서 도 15는 도 14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9월과 10월의 3축 그래프에 표시된 직원1 내지 3의 좌표를 살펴보면, 9월에 비해서 10월에 (0, 0, 0)의 좌표인 우수인재(인재상)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개선사항]
도 15에서는 9월과 10월로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구분하여 9월과 10월별로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9월과 10월의 업무성실도 데이터를 묶어서 9-10월 업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의 TNM 값에 대한 분석은 9월은 9월의 최대값/최소값과 10월은 10월의 최대값/최소값을 기준으로 정규화를 적용한 내용이다. 하지만 9~10월 두 달 간의 개선사항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정규화 과정에서 최대/최소값을 9~10월 구간에서 구하여 동일하게 정규화를 적용해야 더욱 정교하게 확인할 수 있다. 9~10월 구간에서 평가 영향 인자별 최대값/최소값에 따른 정규화 적용 기준은 도 14와 같이 변경된다. 도 14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2개월 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대한 정규화 적용 기준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수학식 1로 산출된 TNM 값에 대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후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도 17은 도 16의 정규화 적용 기준을 적용한 산출한 정규화된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9~10월 구간의 TNM 값에 대한 전처리 및 정규화도 9월 또는 10월 TNM 값에 대한 전처리 및 정규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9~10월 구간에서의 정규화된 TNM 값을 분석하면, 직원1 내지 직원3이 모두 9월에 비해 10월에 업무 평가가 TNM 기준으로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9~10월 구간에서의 정규화된 TNM 값에 대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축 그래프로 시각화 하였다. 여기서 도 18은 도 17의 정규화된 TNM 값을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3축 그래프에 표시된 직원1 내지 3의 좌표를 살펴보면, 9월에 비해서 10월에 (0, 0, 0)의 좌표인 우수인재(인재상)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5와 같이 9월과 10월을 각각 분리하여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것 보다, 도 18에 같이 9~10월 구간으로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 직원1 내지 직원3의 개선사항을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즉 9월과 10월 각각에 최대/최소값으로 정규화를 적용한 것보다, 9~10월 구간에 대한 최대/최소값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정규화를 적용하는 경우가, 개선 상황을 더욱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월의 직원1 내지 직원3 모두가 우수인재(인재상)에 수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선척도; 개선률]
개선척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선점수(IS)를 수학식 2와 같이 제시한다. TNM 시각화가 3차원 그래프 기준인 점을 참고하여, 직원의 이전달(9월) 좌표위치(t1,n1,m1)와 이번달(10월) 좌표위치(t2,n2,m2)의 거리(d)로 개선점수(IS)를 정의하여 개선척도로 사용한다.
물론 더 악화되는 경우도 발생하겠지만, 이러한 경우는 시각화 과정에서 충분이 분별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다루지 않고, 개선되는 경우에 대한 개선척도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도 19는 직원1 내지 직원3의 개선점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개선점수는 수학식 2로 산출할 수 있다. 직원1 내지 직원3의 개선점수를 비교하면, 직원1의 개선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회사별 인재상에 최적화된 맞춤형 업무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TNM 값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가중치를 1로 고정하고 살펴보았다면, 가중치로 1이 아닌 다른 값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0은 직원1 내지 직원3의 2개월 간의 업무성실도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TNM 값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위반시기(T)에 가중치 0.5를 적용하고, 위반크기(M)에 가중치 2를 적용한 경우이다. 위반횟수(N)는 기본 가중치 1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회사별로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영향 인자(T, N, M)에 가중치를 더 크게 두는 방법으로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를 적용할 수 있다. 회사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영향 인자에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고 TNM 값을 산출해보면 증가폭이 더욱 넓어지기 때문에, 회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과 부합한 직원을 쉽게 추적 가능하다.
직원1과 직원3에 대한 비교 평가시, 가중치 미적용 TNM 값을 계산하는 경우에서는 직원1이 더욱 나쁜 평가(94>88)를 받았다. 하지만 회사의 중요 평가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TNM 값을 계산하는 경우, 직원3의 평가가 더욱 나빠지는(151>141)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영향 인자에 각각 가중치를 적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수학식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가 영향 인자 각각에 포함되는 평가 항목별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관리자 단말기
20 : 직원 단말기
21 : 업무 관리 프로그램
30 : 민원 접수 장치
40 : 업무 평가 장치
41 : 업무 평가 알고리즘
43 : 통신부
45 : 저장부
47 : 제어부
100 : 업무 평가 시스템
20 : 직원 단말기
21 : 업무 관리 프로그램
30 : 민원 접수 장치
40 : 업무 평가 장치
41 : 업무 평가 알고리즘
43 : 통신부
45 : 저장부
47 : 제어부
100 : 업무 평가 시스템
Claims (13)
- 관리자 단말기 및 복수의 직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의 직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상기 가중치를 입력값으로 하는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고,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평가 알고리즘은 평가 항목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와, 상기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에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한 TNM 값(TNM_WES)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되,
상기 위반시기(T)는 직원이 최근 언제 위반하였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횟수(N)는 직원이 얼마나 자주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크기(M)는 직원이 위반정도(크기)가 어느 정도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별로 상기 TNM 값을 산출하되, 상기 위반시기(T)의 값의 통일을 위해서, 상기 일정 기간의 시작일을 1일로 하여 날짜를 카운트하되, 상기 일정 기간의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위반이 발생한 날짜를 위반시기(T)의 값으로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해서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되, 평가 영향 인자별로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여 상기 복수의 레벨별로 차등되게 정규값을 설정하고, 상기 평가 영향 인자별로 산출된 값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값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분할하고, 상기 전처리된 TNM 값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레벨에 따른 정규값으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규화된 TNM 값을 (T, N, M)의 좌표위치로 변환하여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축으로 하는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시각화 처리하되, 상기 3축 그래프에서 (0, 0, 0)의 좌표는 회사가 추구하는 우수인재를 나타내고, 직원 또는 관리자가 상기 3축 그래프에 표시된 본인 또는 직원들의 좌표와 우수인재의 좌표와 비교하여 업무 평가 결과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일정 기간을 복수의 단위 기간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의 변화로 업무 평가의 개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성실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은 출퇴근 시간 준수, 지각횟수, 조퇴횟수, 무단결근 횟수, 스케줄(납기) 미충족 횟수 및 민원발생 유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집중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은 업무무관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업무관련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성실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출퇴근 시간 준수, 지각횟수, 조퇴횟수, 무단결근 횟수 및 스케줄(납기) 미충족 횟수는 직원 단말기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 관리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회사내 네트워크 접속시간 및 차량출차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하고,
상기 업무집중도 관련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업무무관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업무관련 앱 사용 횟수 및 시간,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는 직원 단말기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 관리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업무무관 프로그램의 최초/최종 사용시간, 회사내 네트워크 접속시간 및 부정평가/신고 접수를 기반으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발생 유발수 및 상기 관리자/동료의 부정평가 및 신고 횟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민원 접수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NM 값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수학식]
TNM_WES(Work Evaluation Score)
= (w1*(w11*aT+w12*bT+...w15eT))
+ (w2*(w21*aN+w22*bN+...w25eN))
+ (w3*(w31*aM+w33*bM+...w35eM))
T: 위반시기(Time)
N: 위반횟수(Number)
M: 위반크기(Magnitude)
aT: 출퇴근 위반시기
aN: 출퇴근 위반횟수
aM: 출퇴근 위반크기
bT: 조퇴 위반시기
bN: 조퇴 위반횟수
bM: 조퇴 위반크기
cT: 무단결근 위반시기
cN: 무단결근 위반횟수
cM: 무단결근 위반크기
dT: 스케줄(납기) 위반시기
dN: 스케줄(납기) 위반횟수
dM: 스케줄(납기) 위반크기
eT: 민원(발생) 위반시기
eN: 민원(발생) 위반횟수
eM: 민원(발생) 위반크기
w1 ~ w3 : 평가 영향 인자(위반시기, 위반횟수 및 위반크기)별 가중치
w11 ~ w35 : 평가 항목별 가중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규화된 TNM 값을 (T, N, M)의 좌표위치로 변환하고, 두 개의 단위 기간별 좌표위치 간의 거리(d)를 개선점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업무 평가 장치로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기;
직원의 업무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상기 업무 평가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직원 단말기; 및
상기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수행한 후,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상기 업무 평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평가 알고리즘은 평가 항목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와, 상기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에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한 TNM 값(TNM_WES)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되,
상기 위반시기(T)는 직원이 최근 언제 위반하였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횟수(N)는 직원이 얼마나 자주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크기(M)는 직원이 위반정도(크기)가 어느 정도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업무 평가 장치는,
일정 기간별로 상기 TNM 값을 산출하되, 상기 위반시기(T)의 값의 통일을 위해서, 상기 일정 기간의 시작일을 1일로 하여 날짜를 카운트하되, 상기 일정 기간의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위반이 발생한 날짜를 위반시기(T)의 값으로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해서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되, 평가 영향 인자별로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여 상기 복수의 레벨별로 차등되게 정규값을 설정하고, 상기 평가 영향 인자별로 산출된 값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값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분할하고, 상기 전처리된 TNM 값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레벨에 따른 정규값으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규화된 TNM 값을 (T, N, M)의 좌표위치로 변환하여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축으로 하는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시각화 처리하되, 상기 3축 그래프에서 (0, 0, 0)의 좌표는 회사가 추구하는 우수인재를 나타내고, 직원 또는 관리자가 상기 3축 그래프에 표시된 본인 또는 직원들의 좌표와 우수인재의 좌표와 비교하여 업무 평가 결과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일정 기간을 복수의 단위 기간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의 변화로 업무 평가의 개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시스템. - 업무 평가 장치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별 가중치, 및 충족/위반 조건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업무 평가 장치가 복수의 직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직원의 업무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별로 충족/위반 여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 및 카운트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업무 평가 장치가 상기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데이터와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업무 평가 알고리즘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 평가 장치가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에 통합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평가 알고리즘은 평가 항목별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포함하는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와, 상기 복수의 평가 영향 인자에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한 TNM 값(TNM_WES)으로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 평가를 수행하되,
상기 위반시기(T)는 직원이 최근 언제 위반하였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횟수(N)는 직원이 얼마나 자주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위반크기(M)는 직원이 위반정도(크기)가 어느 정도에 대한 평가 영향 인자이고,
상기 복수의 직원에 대한 업무성실도 및 업무집중도 기반의 업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업무 평가 장치는,
일정 기간별로 상기 TNM 값을 산출하되, 상기 위반시기(T)의 값의 통일을 위해서, 상기 일정 기간의 시작일을 1일로 하여 날짜를 카운트하되, 상기 일정 기간의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위반이 발생한 날짜를 위반시기(T)의 값으로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TNM 값에 대해서 평가 영향 인자별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되, 평가 영향 인자별로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여 상기 복수의 레벨별로 차등되게 정규값을 설정하고, 상기 평가 영향 인자별로 산출된 값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값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분할하고, 상기 전처리된 TNM 값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레벨에 따른 정규값으로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규화된 TNM 값을 (T, N, M)의 좌표위치로 변환하여 위반시기(T), 위반횟수(N) 및 위반크기(M)를 축으로 하는 3축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시각화 처리하되, 상기 3축 그래프에서 (0, 0, 0)의 좌표는 회사가 추구하는 우수인재를 나타내고, 직원 또는 관리자가 상기 3축 그래프에 표시된 본인 또는 직원들의 좌표와 우수인재의 좌표와 비교하여 업무 평가 결과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일정 기간을 복수의 단위 기간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로 정규화된 TNM 값의 변화로 업무 평가의 개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0502A KR102622630B1 (ko) | 2023-05-10 | 2023-05-10 |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0502A KR102622630B1 (ko) | 2023-05-10 | 2023-05-10 |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2630B1 true KR102622630B1 (ko) | 2024-01-10 |
Family
ID=8951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0502A KR102622630B1 (ko) | 2023-05-10 | 2023-05-10 |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263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7302A (ko) * | 2010-07-14 | 2012-01-20 | 주식회사 비즈엠텍 | 업무 관리 시스템 |
KR102214006B1 (ko) | 2019-06-10 | 2021-02-09 |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 업무 담당자의 인사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286028B1 (ko) * | 2021-03-19 | 2021-08-04 | 주식회사 렛유인 |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20220003861A (ko) * | 2020-07-02 | 2022-01-11 | 채희철 | 통합 스마트 인사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간 업무 성과 평가 방법 |
-
2023
- 2023-05-10 KR KR1020230060502A patent/KR1026226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7302A (ko) * | 2010-07-14 | 2012-01-20 | 주식회사 비즈엠텍 | 업무 관리 시스템 |
KR102214006B1 (ko) | 2019-06-10 | 2021-02-09 |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 업무 담당자의 인사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220003861A (ko) * | 2020-07-02 | 2022-01-11 | 채희철 | 통합 스마트 인사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간 업무 성과 평가 방법 |
KR102286028B1 (ko) * | 2021-03-19 | 2021-08-04 | 주식회사 렛유인 |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dad et al. | A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module for project manager selection according to past performance | |
US20210295984A1 (en) | Optimized patient schedules based on patient workflow and resource availability | |
US8799210B2 (en) | Framework for supporting transi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of an organization | |
AU2010212367A1 (en) | Task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tool | |
US10776759B2 (en) | Workplace movement visualizations | |
WO2021012020A1 (en) | User-centric system for dynamic scheduling of personalised work plans | |
US20120078669A1 (en) | Computer-assisted data collection, organization and analysis system | |
KR20200118971A (ko) | 실시간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Siew et al. | Measuring project sustainability maturity level-a fuzzy-based approach | |
KR102559430B1 (ko) | 업무성실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Lukács et al. |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working time reduction: Do we have sufficient data? | |
Sedlmeyer et al. | Fire officer leadership strategies for cost management | |
US20200202278A1 (en) |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Compliance Metering and Reporting | |
Walcher et al. | Measuring innovation performance | |
KR102622630B1 (ko) | 업무성실도와 업무집중도 기반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Fenner et al. | Lean service: a contingency perspective | |
AU2018101100A4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mpliance metering and reporting | |
Mörtl et al. | Worker characteristics moderate the impact of socio-technical workplace interventions on job satisfaction | |
Markova et al. | Identifying and measuring the success factors of mobile business services | |
Haapavirta | Designing a Map for Analyzing and Measuring Safety Performance | |
JP7344139B2 (ja) | 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Herry et al. | Unima risk management development | |
Neuendorf | Project measurement | |
Moraru et al. | Applying elvie-tool for psychosocial risk assessment: results of a case study | |
Yadav | Employee leave management in S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