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205B1 -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 Google Patents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205B1
KR102622205B1 KR1020210190782A KR20210190782A KR102622205B1 KR 102622205 B1 KR102622205 B1 KR 102622205B1 KR 1020210190782 A KR1020210190782 A KR 1020210190782A KR 20210190782 A KR20210190782 A KR 20210190782A KR 102622205 B1 KR102622205 B1 KR 10262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nnection
solar
solar pane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1031A (ko
Inventor
이찬우
정혜숙
천윤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마린
Priority to KR102021019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205B1/ko
Priority to US17/880,728 priority patent/US11757401B2/en
Priority to CN202210991060.9A priority patent/CN116409454A/zh
Publication of KR2023010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63B2017/026Rigid awnings, or sun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63H2021/171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making use of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e.g. using so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B63J2003/003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g. using solar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선실부, 상기 선실부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보트본체, 상기 선실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패널부, 상단에 제1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단에 제2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는 제1기둥, 상단에 제3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부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4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4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는 제2기둥, 상단에 제5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5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6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6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6연결부 하부에 제7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7연결부를 매개로 제1조절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3기둥, 상단에 제8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8연결부를 매개로 태양광패널부의 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9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9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9연결부 하부에 제10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0연결부를 매개로 제2조절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4기둥, 상기 제7연결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1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1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1조절부 및 상기 제10연결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2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2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광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주변의 환경이나 일조 방향에 따른 효율적 태양광발전을 수행하고, 태양광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보트몸체로 수납이 가능하게 하여 정박시에는 태양광보트의 부피를 줄이며, 정박시 고정된 태양광패널에 의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Solar boat with adjustable angle of solar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운행되는 태양광보트에 있어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운행 중에는 각도조절을 통해 태양광패널을 통한 태양광발전 효율을 높이고, 정박 중에는 각도조절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도 태양광보트의 정박을 용이하게 하며, 작은 힘에 의해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석탄이나 석유 등과 같은 화석 연료는 그 사용에 따라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고, 또한, 화석 연료의 연소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이나 황산화물 등이 사람의 건강을 해치거나, 삼림을 파괴하는 산성비를 내리게 하는 원인도 되고 있다. 나아가,화석 연료는 그 매장량에 한계가 있고, 인류의 무분멸한 사용에 의해 곧 고갈될 수있다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석 연료의 소비를 줄여 지구온난화 위험을 감소시키고,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자연 에너지로서는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수력발전 등이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은 온실가스의 저감이 크고 에너지 효율의 측면에서 다른 자연 에너지 보다 우수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은 태양으로부터 발생되는 빛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발전 방식으로, 에너지원인 태양광이 지구의 모든 곳에 존재하여 장소에 제한이 없으므로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만큼 발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은 설비를 구축하거나 건설하는 기간이 짧아 다양한 곳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일시적인 수요 증가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며, 태양광을 이용한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태양광패널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고, 이를 동력으로 사용하여 수상을 이동하는 태양광보트까지 출현하기에 이르렀다. 태양광보트는 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을 이용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으로 태양광보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그 여분을 축전지에 저장하여 추후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보트이다. 태양광보트는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하므로 친환경적이고, 해상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태양광보트의 경우 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이 고정되어 있어 주변의 환경이나 일조 방향에 따른 효율적 태양광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정박시에는 부피가 크고 고정된 태양광패널에 의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나아가, 레져 활동을 위해 지상에서 태양광보트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부피가 크고 고정된 태양광패널 때문에 이동에 어려움이 있고 이동 중 사고 발생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운행 중에는 각도조절을 통해 태양광패널을 통한 태양광발전 효율을 높이고, 정박 중에는 각도조절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도 태양광보트의 정박을 용이하게 하며, 작은 힘에 의해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를 발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태양보트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73817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의자(11)가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추진력을 부여하는 프로펠러(20)와, 몸체(10)의 저면 후방에서 주행 방향을 단속하는 방향전환축(31)과 방향전환날개(32)로 된 방향키(30)와, 상기 몸체(10)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양측 경사형 지붕(120)과 상기 지붕(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130)과 몸체(10)에 설치되는 축전지(140)로 된 태양광발전부(100)와, 상기 몸체(10)에서 상기 프로펠러(20)와 연결되는 한편, 축전지(140)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몸체(10)의 주행을 조작하는 손잡이(310) 와 상기 방향키(30)의 방향을 단속하는 회전축(320)으로 된 조작레버(300)와, 일단이 각각 상기 회전축(3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방향키(3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400)(400') 및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10)에는 몸체(10)의 주행을 조작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된 스위칭부(31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20)은, 그 하단이 일측에 한 쌍의 제1 분기공(331a)(331a')을 갖는 전방 가이드편(331)이 돌출 형성된 회전축 고정대(33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그 회전축(320)의 하부 양측에는 대응되는 한 쌍의 회전축 연결대(320a)(320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고정대(330)는 와이어(400) (400')가 인출 및 회전축(320)이 관통되는 회전축 하우징(340)으로 마감하되, 상기 와이어(400)(400')의 일단이 회전축 하우징(340) 및 전방 가이드편 (331)의 제1 분기공(331a)(331a')을 통해 회전축 연결대(320a)(320a')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태양광보트 관련 선행기술은 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이 고정되어 있어 효율적 태양광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 부피가 크고 고정된 태양광패널에 의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 등이 여전히 잔존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817호(공고일: 2014년 03월 11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주변의 환경이나 일조 방향에 따른 효율적 태양광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보트몸체로 수납이 가능하게 하여 정박시에는 태양광보트의 부피를 줄이며, 정박시 고정된 태양광패널에 의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보트몸체로 수납이 가능하게 하여 레져 활동을 위해 지상에서 태양광보트를 이동시킬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부피가 크고 고정된 태양광패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상에서의 이동 중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작은 힘을 이용하여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성이 우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선실부, 상기 선실부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보트본체, 상기 선실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패널부, 상단에 제1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단에 제2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는 제1기둥, 상단에 제3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부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4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4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는 제2기둥, 상단에 제5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5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6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6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6연결부 하부에 제7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7연결부를 매개로 제1조절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3기둥, 상단에 제8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8연결부를 매개로 태양광패널부의 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9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9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9연결부 하부에 제10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0연결부를 매개로 제2조절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4기둥, 상기 제7연결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1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1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1조절부 및 상기 제10연결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2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2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상기 제3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1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4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제4기둥이 수평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때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가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 및 제4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제4기둥이 수평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때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가 늘어나면서 전기실린더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 및 제4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보트본체에는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을 수납하는 제1기둥수납부, 제2기둥수납부, 제3기둥수납부 및 제4기둥수납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기둥수납부, 제2기둥수납부, 제3기둥수납부 및 제4기둥수납부에는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의 수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제1완충부재, 제2완충부재, 제3완충부재 및 제4완충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은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태양광패널부 하부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물체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태양광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주변의 환경이나 일조 방향에 따른 효율적 태양광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태양광보트의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보트몸체로 수납이 가능하게 하여 정박시에는 태양광보트의 부피를 줄이며, 정박시 고정된 태양광패널에 의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보트몸체로 수납이 가능하게 하여 레져 활동을 위해 지상에서 태양광보트를 이동시킬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부피가 크고 고정된 태양광패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상에서의 이동 중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간단한 구조와 작은 힘을 이용하여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의 구성과 태양광패널 접이 완료 전,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탄성부재가 추가로 포함되고 조절부가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기둥수납부와 완충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기둥이 수납되고 수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기둥이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태양광패널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물체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되어 태양광패널부 하부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고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의 구성과 태양광패널 접이 완료 전,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는 선실부(100), 상기 선실부(100)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를 포함하는 보트본체(200), 상기 선실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패널부(300), 상단에 제1연결부(4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411)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의 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단에 제2연결부(412)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412)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200)와 연결되는 제1기둥(410), 상단에 제3연결부(4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부(421)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의 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4연결부(422)가 구비되어 상기 제4연결부(422)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200)와 연결되는 제2기둥(420), 상단에 제5연결부(431)가 구비되며 상기 제5연결부(431)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의 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6연결부(432)가 구비되어 상기 제6연결부(432)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200)와 연결되며, 상기 제6연결부(432) 하부에 제7연결부(433)가 구비되어 상기 제7연결부(433)를 매개로 제1조절부(510) 상단과 연결되는 제3기둥(430), 상단에 제8연결부(441)가 구비되며 상기 제8연결부(441)를 매개로 태양광패널부(300)의 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9연결부(442)가 구비되어 상기 제9연결부(442)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200)와 연결되며, 상기 제9연결부(442) 하부에 제10연결부(443)가 구비되어 상기 제10연결부(443)를 매개로 제2조절부(520) 상단과 연결되는 제4기둥(440), 상기 제7연결부(433)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1연결부(5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연결부(511)를 매개로 상기 제1고정부(210)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1조절부(510) 및 상기 제10연결부(443)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2연결부(5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2연결부(521)를 매개로 상기 제2고정부(220)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2조절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실부(100)에는 조종석(미도시)과 승객이 탑승하는 객실(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실부(100)의 하부에는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를 포함하는 보트본체(2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트본체(200)는 좌우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선저부로 구성될 수 있고, 단일의 선저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는 상기 보트본체(200) 내부에 좌우로 대칭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10)에는 제11연결부(511)를 매개로 제1조절부(510)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220)에는 제12연결부(521)를 매개로 제2조절부(5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10)에 제11연결부(511)를 매개로 제1조절부(510)가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220)에 제12연결부(521)를 매개로 제2조절부(52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조절부(510)와 제2조절부(520)는 상기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에 대해 상기 제11연결부(511)와 제12연결부(521)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제11연결부(511)를 매개로 제1조절부(510)가 연결되고, 제12연결부(521)를 매개로 제2조절부(520)가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상기 제1고정부(210)와 상기 제2고정부(220)의 구조나 구성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태양광패널부(300)는 상기 선실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에서 생산한 전기는 보트본체(200)에 포함된 배터리부(미도시)에 저장되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기가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고, 이하에서 설명할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제1조절부(510), 제2조절부(520),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기가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제1조절부(510)와 제2조절부(520)를 구동시킴으로써, 태양광패널(300)이 접혀 상기 제3기둥(430)과 상기 제4기둥(440)이 전방으로 회동하고 수평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때, 상기 제1조절부(510)와 상기 제2조절부(520)가 늘어나면서 전기실린더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3기둥(430) 및 상기 제4기둥(440)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감소시켜 안정적으로 태양광패널(300)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기가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을 구동시킴으로써, 태양광패널(300)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조절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항조건에 따라 안정적으로 태양광패널(3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제1기둥(410)과 제2기둥(420)은 대칭의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기둥(410)에 대한 설명으로 상기 제2기둥(42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 상기 제1기둥(410)은 상단에 제1연결부(4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둥(410)은 상기 제1연결부(411)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의 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기둥(410)은 상기 태양광패널(300)에 대해 상기 제1연결부(411)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410)은 하단에 제2연결부(4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둥(410)은 상기 제2연결부(412)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200)와 연결되며, 상기 제1기둥(410)은 상기 보트본체(200)에 대해 상기 제2연결부(412)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기둥(430)과 제4기둥(440)은 대칭의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3기둥(430)에 대한 설명으로 상기 제4기둥(44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 상기 제3기둥(430)은 상단에 제5연결부(4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제5연결부(431)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의 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태양광패널(300)에 대해 상기 제5연결부(431)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기둥(431)은 하부에 제6연결부(43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제6연결부(432)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200)와 연결되며,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보트본체(200)에 대해 상기 제6연결부(432)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제6연결부(432) 하부에 제7연결부(4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제7연결부(433)를 매개로 제1조절부(510)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3기둥(430)은 상기 제1조절부(510)에 대해 상기 제7연결부(433)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조절부(510)와 제2조절부(520)는 대칭의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조절부(510)에 대한 설명으로 상기 제2조절부(52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 상기 제1조절부(510)는 상단에서 제7연결부(433)와 연결되며, 상기 제1조절부(510)는 상기 제7연결부(433)를 매개로 상기 제3기둥(430)과 연결되며, 상기 제1조절부(510)는 상기 제3기둥(430)에 대해 상기 제7연결부(433)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510)는 하단에 제11연결부(5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조절부(510)는 상기 제11연결부(511)를 매개로 상기 제1고정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조절부(510)는 상기 제1고정부(210)에 대해 상기 제11연결부(511)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510)가 상기 제3기둥(430)에 대해 상기 제7연결부(433)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1고정부(210)에 대해 상기 제11연결부(511)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조절부(510)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510)가 상기 제3기둥(430)에 대해 상기 제7연결부(433)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조절부(510)와 상기 제3기둥(430)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조절부(51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고, 상기 제1조절부(510)와 상기 제3기둥(430)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조절부(51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탄성부재가 추가로 포함되고 조절부가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3기둥(430)의 하단과 상기 제1고정부(210)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610), 상기 제4기둥(440)의 하단과 상기 제2고정부(220)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620)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상기 제1조절부(510)와 상기 제2조절부(520)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제3기둥(430)과 상기 제4기둥(440)이 수평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때 상기 제1탄성부재(610)와 상기 제2탄성부재(620)가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거나 상기 제1조절부(510)와 상기 제2조절부(520)가 늘어나면서 전기실린더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제1탄성부재(610)와 제2탄성부재(620)는 동일한 재질과 대칭의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610)에 대한 설명으로 상기 제2탄성부재(62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제1탄성부재(610)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일체의 수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의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제1탄성부재(61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일단은 상기 제3기둥(43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타단은 상기 제1고정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기둥(430)과 수평면의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즉 상기 제1고정부(210)와 상기 제3기둥(430)의 하단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610)가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430)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고, 상기 제1고정부(210)가 상기 제3기둥(430)의 하단과 멀어지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조절부재(510)와 제2조절부(520)는 동일한 재질과 대칭의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조절부(510)에 대한 설명으로 상기 제2조절부(52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 상기 제1조절부(510)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기둥(430)과 수평면의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즉 상기 제1고정부(210)와 상기 제3기둥(430)의 하단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조절부(510)가 늘어나면서 전기실린더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430)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고, 상기 제1고정부(210)가 상기 제3기둥(430)의 하단과 멀어지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조절부(510)는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에서 생산한 전기가 저장되는 보트본체(200)에 포함된 배터리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기둥수납부와 완충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기둥이 수납되고 수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보트본체(200)에는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을 수납하는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가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에는 제1완충부재(231), 제2완충부재(241), 제3완충부재(251) 및 제4완충부재(261)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상기 보트본체(200)에 대해 회동운동을 수행하여 태양광패널(300)이 완전히 접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게 하고,,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수평면과 평행을 이루어 상기 태양광패널(300)이 완전히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보트본체(200)에는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상기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 내로 수납됨으로써 태양광패널(300)이 완전히 접혀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수평면과 평행을 이룰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상기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상기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 내부로 수납될 때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에는 수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제1완충부재(231), 제2완충부재(241), 제3완충부재(251) 및 제4완충부재(261)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상기 제1기둥수납부(230), 제2기둥수납부(240), 제3기둥수납부(250) 및 제4기둥수납부(260) 내부로 수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제1완충부재(231), 제2완충부재(241), 제3완충부재(251) 및 제4완충부재(261)의 종류와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고무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기둥이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태양광패널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은 전기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이 전기실린더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의 전후, 좌우에서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은 상기 태양광패널부(300)에서 생산한 전기가 저장되는 보트본체(200)에 포함된 배터리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은 동시에 작동하거나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패널(300)의 전체 높이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 전체가 길어질 수 있고, 태양광패널(300)의 전체 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 전체가 짧아질 수 있다. 나아가 태양광패널(300)의 앞부분만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기둥(410) 및 제2기둥(42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상기 제3기둥(430) 및 제4기둥(440)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태양광패널(300)의 우측 후면만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4기둥(44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전기실린더로 구성된 상기 제1기둥(410), 제2기둥(420) 및 제3기둥(430)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물체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되어 태양광패널부 하부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고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는 태양광패널(300)의 각도조절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태양광패널부(300) 하부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물체감지센서(700)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물체감지센서(700)는 태양광패널부(300) 하부에서 물체를 감지하여 경고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그 구조나 구성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물체감지센서(700)가 태양광패널부(300) 하부 물체를 감지하여 경고를 발생시킴으로써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에서 물체감지센서(700)가 태양광패널부(300) 하부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기능에 추가로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을 비상 중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선박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운행하는 보트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선실부
200: 보트본체
210: 제1고정부
220: 제2고정부
230: 제1기둥수납부
231: 제1완충부재
240: 제2기둥수납부
241: 제2완충부재
250: 제3기둥수납부
251: 제3완충부재
260: 제4기둥수납부
261: 제4완충부재
300: 태양광패널부
410: 제1기둥
411: 제1연결부
412: 제2연결부
420: 제2기둥
421: 제3연결부
422: 제4연결부
430: 제3기둥
431: 제5연결부
432: 제6연결부
433: 제7연결부
440: 제4기둥
441: 제8연결부
442: 제9연결부
443: 제10연결부
510: 제1조절부
511: 제11연결부
520: 제2조절부
521: 제12연결부
610: 제1탄성부재
620: 제2탄성부재
700: 물체감지센서

Claims (7)

  1. 선실부;
    상기 선실부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보트본체;
    상기 선실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패널부;
    상단에 제1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단에 제2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는 제1기둥;
    상단에 제3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부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4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4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는 제2기둥;
    상단에 제5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5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후방좌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6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6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6연결부 하부에 제7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7연결부를 매개로 제1조절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3기둥;
    상단에 제8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8연결부를 매개로 태양광패널부의 후방우측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제9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9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보트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9연결부 하부에 제10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0연결부를 매개로 제2조절부 상단과 연결되는 제4기둥;
    상기 제7연결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1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1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1조절부; 및
    상기 제10연결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제12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2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2조절부;를 포함며,
    상기 제3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1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제4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제4기둥이 수평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때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가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 및 제4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태양광패널부 하부에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물체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는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제4기둥이 수평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때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가 늘어나면서 전기실린더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3기둥 및 제4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 감소 속도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본체에는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을 수납하는 제1기둥수납부, 제2기둥수납부, 제3기둥수납부 및 제4기둥수납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수납부, 제2기둥수납부, 제3기둥수납부 및 제4기둥수납부에는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의 수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제1완충부재, 제2완충부재, 제3완충부재 및 제4완충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선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은 전기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패널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선박.
  7. 삭제
KR1020210190782A 2021-12-29 2021-12-29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KR10262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82A KR102622205B1 (ko) 2021-12-29 2021-12-29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US17/880,728 US11757401B2 (en) 2021-12-29 2022-08-04 Solar boat with adjustable angle of solar panel
CN202210991060.9A CN116409454A (zh) 2021-12-29 2022-08-18 可以调整太阳能电池板角度的太阳能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82A KR102622205B1 (ko) 2021-12-29 2021-12-29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031A KR20230101031A (ko) 2023-07-06
KR102622205B1 true KR102622205B1 (ko) 2024-01-08

Family

ID=8689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782A KR102622205B1 (ko) 2021-12-29 2021-12-29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57401B2 (ko)
KR (1) KR102622205B1 (ko)
CN (1) CN11640945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498A (ja) * 2009-12-04 2011-06-16 Daido Metal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KR101385575B1 (ko) * 2012-11-15 2014-04-29 (주)다보스티엔지 가구용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218781B1 (ko) * 2020-09-01 2021-02-22 연성흠 캠핑용 수납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3945B2 (en) * 2002-06-21 2007-09-04 Little Rolland N Pontoon for watercraft
US20130298958A1 (en) * 2012-05-14 2013-11-14 Eduard Kopylov Portable rigid solar photovoltaic module and applications
KR101373817B1 (ko) 2013-03-08 2014-03-11 구권회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
KR200478489Y1 (ko) * 2014-01-07 2015-10-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력과 풍력을 이용한 레저용 선박
KR20160116883A (ko) * 2015-03-31 2016-10-10 코리아터빈(주) 솔라보트의 지붕높이 가변장치 및 그 구성방법
CA3023443A1 (en) * 2017-11-15 2019-05-15 Designer Direct, Inc., d/b/a Levin Associates Portable solar-electric watercra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498A (ja) * 2009-12-04 2011-06-16 Daido Metal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KR101385575B1 (ko) * 2012-11-15 2014-04-29 (주)다보스티엔지 가구용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218781B1 (ko) * 2020-09-01 2021-02-22 연성흠 캠핑용 수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09454A (zh) 2023-07-11
US11757401B2 (en) 2023-09-12
KR20230101031A (ko) 2023-07-06
US20230208347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4100A1 (en) System for storing electrical power
KR101740365B1 (ko) 자연 동력을 이용한 가변형 트리마란 보트
CN109774906B (zh) 船用折叠伸缩和智能追光太阳能发电板及风帆推进装置
KR20130006931A (ko) 태양광발전 및 풍력터빈발전 융합 동력시스템 선박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60188A1 (en) Migler's windmill as a lamppost-windmill, and with sails mounted on a common mast, and with horizontally yoked sails, and as a river-turbine, and as a windmill-sailboat
KR20100089855A (ko) 광전지 셀, 필름 및 패널을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포획하기 위한, 특히 선박을 위한, 고정 형상 및/또는 가변 형상 표면
KR102622205B1 (ko) 태양광패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보트
KR20180004449A (ko) 바람에 의한 외력 운항 및 쏠라셀 발전에 의한 자가 운행이 가능한 하드 세일링 요트
CN101823552A (zh) 全风光动力船
CN108820177A (zh) 一种使用风能太阳能复合驱动的新能源帆船及其控制方法
JP2008075486A (ja) 風力走行体
KR200478489Y1 (ko) 태양력과 풍력을 이용한 레저용 선박
CN202080426U (zh) 全风光动力船
KR101707628B1 (ko) 솔라셀 부착형 다관절 날개를 갖는 선박
JP2018507819A (ja) 可変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帆
KR101398784B1 (ko) 태양력과 풍력을 이용하는 레저용 선박
CN101413357A (zh) 太阳能帐篷
KR101426143B1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솔라 세일 추진 시스템
KR20110127449A (ko) 자가발전으로 기동하는 요트
CN201791370U (zh) 太阳和风力驱动的小车
KR20100088642A (ko) 자연력변환시스템
CN2799398Y (zh) 太阳能电动船
CN102240456A (zh) 太阳和风力驱动的小车
KR101226007B1 (ko) 태양광 전지 패널 지지 장치
CN201228616Y (zh) 浮力式风力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