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960B1 -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 Google Patents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960B1
KR102621960B1 KR1020220154105A KR20220154105A KR102621960B1 KR 102621960 B1 KR102621960 B1 KR 102621960B1 KR 1020220154105 A KR1020220154105 A KR 1020220154105A KR 20220154105 A KR20220154105 A KR 20220154105A KR 102621960 B1 KR102621960 B1 KR 102621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able
air
air inlet
conne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윤
Original Assignee
(주)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완산 filed Critical (주)완산
Priority to KR102022015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2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devices moved through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의 막힘을 뚫어주는 장치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에어의 압력으로 제거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의 막힌 곳을 뚫어주는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일측에 에어의 투입이 가능한 구조의 에어투입유닛을 설치하여,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사용 후 호스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에어의 압력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잔류물 제거기구를 구현함으로써, 케이블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겨울철에 호스 내의 물이 어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DEVICE FOR REMOVING WATER REMAINING IN DRAINAGE DE B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의 막힘을 뚫어주는 장치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에어의 압력으로 제거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구나 배수구 등은 각종 이물질이 배출되는 곳이기 때문에 배출되는 오물에 의해 하수구나 배수구가 자주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통상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소위 '뚫어 뻥'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배수구의 막힌 관로를 뚫어 사용하는데, 다양한 이물질로 막혀 있는 하수구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구를 사용하여 막힌 관로를 제대로 뚫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36478호에는 코일식 와이어를 핸들로 강제하여 돌려줌으로써 코일식 와이어가 하수구를 막고 있는 각종 오물 등을 제거하면서 뚫어주는『하수구 천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등록공보 제10-0861067호에는 주름이 진 자바라 형식의 압착구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발생함으로써 변기나 세면기 및 하수구의 막힌 곳을 뚫는『공기 압축식 배수구멍 소통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장치들을 한층 개량시킨 형태로서, 미국특허 US 10,987,708 및 US 2021/0205863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드레인 세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드레인 세정 시스템』은 전면벽, 원추형 측벽 및 후면벽으로 구성되는 호스 권취기 하우징과, 케이블 견인을 위한 체인과,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축과, 전동드릴에 의해 회전되는 제2축과, 전동드릴의 동력을 케이블측으로 출력하는 전송조립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드레인 세정 시스템』은 작업자가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호스 안의 케이블이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케이블의 끝에 부착되어 있는 체인 로커가 회전하면서 하수구 속의 막힌 곳을 뚫어주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이때 작업자는 권취되어 있는 호스 및 케이블을 풀어서 하수구 관로 내에 계속 밀어 넣으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드레인 세정 시스템』은 사용 후, 즉 하수구 청소를 마친 후, 케이블이 들어 있는 호스의 내부에 하수구 청소 시에 유입된 물이 일부 남아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이 녹슬면서 케이블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호스 내부에 얼어 있는 물을 녹인 후에 사용해야 하는 등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US 10,987,708 미국특허 US 2021/020586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48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637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수구의 막힌 곳을 뚫어주는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일측에 에어의 투입이 가능한 구조의 에어투입유닛을 설치하여,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사용 후 호스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에어의 압력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잔류물 제거기구를 구현함으로써, 케이블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겨울철에 호스 내의 물이 어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공지의 드레인 세정 시스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서부터 내주면 안쪽으로 조성되어 있는 공간부까지 관통 형성되는 에어라인을 가지면서 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투입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에어투입유닛의 커넥터를 통해 들어온 에어가 에어라인을 경유하여 케이블은 물론 호스가 속해 있는 공간부로 유입됨과 더불어 호스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호스 속에 남아 있는 물을 호스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에어투입유닛의 전면부에 결합되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케이블 구동축을 지지하는 전동드릴 연결블럭과, 상기 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면서 에어투입유닛의 후면부에 동축 구조로 배치되는 고정형 지지블럭과, 호스 권취기 상에 고정 설치되어 호스 권취기와 함께 회전 가능한 동시에 내측으로 케이블과 호스를 수용하고 상기 고정형 지지블럭의 뒤쪽으로 동축 구조를 이루며 배치되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고정형 지지블럭에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에어투입유닛의 후면부에 동축 구조로 끼워짐과 더불어 내부는 공간부와 통하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이 들어 있는 호스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의 후면 중심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설치되는 호스 어댑터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투입유닛의 전면 중심부에는 케이블 구동축의 외주면을 감싸는 리테이너가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후면 중심부에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의 외주면을 감싸는 O-링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투입유닛은 에어 공급 대신에 오일 공급을 통해 호스의 내부에 들어 있는 케이블에 오일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수구의 막힌 곳을 뚫어주는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일측에 에어의 투입이 가능한 구조의 에어튜입유닛을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한 에어투입유닛을 이용하여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사용 후 호스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에어의 압력으로 완전히 제거함으로서, 케이블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겨울철에 호스 내의 물이 어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사용 후 에어투입유닛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여 호스 속의 케이블에 오일을 도포함으로써, 케이블의 윤활 및 녹 방지를 통해 케이블의 수명을 한층 더 연장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블의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공지의 드레인 세정 시스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케이블이 들어 있는 호스의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투입하여 호스 속에 잔존하는 물을 밖으로 빼내어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에어 투입을 위한 수단으로 에어투입유닛(1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은 중심부가 뚫려 있는 원판형의 블럭 형태로서, 케이스(13)의 한쪽 측면부 중심 영역, 예를 들면 케이블 구동축(17)이 설치되어 있는 중심 영역에 볼트 체결구조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투입유닛(14)의 외주면 일측에는 커넥터(10)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커넥터(10)에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주면 안쪽으로 조성되는 공간부(11)까지 에어라인(1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1)는 에어투입유닛(14)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내측 영역에 조성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이렇게 조성되는 공간부(11)는 케이블(15)은 물론 호스(16)가 속해 있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내부와 그대로 통하게 되고, 결국 공간부(11)의 내부로 들어온 에어는 호스(16)의 내부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라인(12)은 에어투입유닛(14)의 블럭 몸체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는 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에어투입유닛(14)의 블럭 몸체 상에 관통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는 원터치 작업으로 연결과 분리가 용이한 퀵커플러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어라인(12)을 통해 공간부(11)로 들어온 에어가 밖으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서, 에어투입유닛(14)에는 리테이너(23)와 O-링(24)이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23)는 에어투입유닛(14)의 전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테이너 안착홈(25)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리테이너(23)는 케이블 구동축(17)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공간부(11)의 앞쪽으로 에어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O-링(24)은 에어투입유닛(14)의 후면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선단부 외주면과 에어투입유닛(14)의 후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홈 부분의 내주면 사이에 압착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O-링(24)은 에어투입유닛(14)과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 간의 틈새를 막아주면서 공간부(11)의 뒤쪽으로 에어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의 커넥터(10)에 콤프레서 등과 같은 에어공급원측에서 연장되는 호스(미도시)를 연결한 후에 콤프레서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때의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는 에어라인(12)을 따라 공간부(11)로 들어오게 되고, 계속해서 이렇게 들어온 고압의 에어는 호스(16)의 내부, 즉 호스(16)의 내주면과 케이블(15)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투입되면서 호스(16)의 내부에 남아 있던 물을 밖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은 에어 공급을 대신한 오일 공급을 통해 호스(16)의 내부에 들어 있는 케이블(15)에 오일을 도포하여 케이블(15)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외부의 오일공급원(미도시)측에서 연장되는 호스(미도시)를 커넥터(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오일공급원으로부터 오일이 공급되면, 이때의 오일은 에어라인(12)을 통해 공간부(11)로 들어간 후에 계속해서 호스(16)의 내부로 투입되므로서, 호스(16)의 안에 있는 케이블(15)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오일이 도포되면서 케이블 윤활 작용은 물론 물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케이블(15)에 녹이 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는 에어투입유닛(14)과 함께 어셈블리 형태로 조합되는 전동드릴 연결블럭(18), 고정형 지지블럭(19) 및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드릴 연결블럭(18)은 전면부에 벽체로 둘러싸여 있는 하우징 구조를 가지면서 중심부가 뚫려 있는 원판형의 블럭 형태로서, 에어투입유닛(14)의 전면부에 동축 구조를 이루며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전동드릴 연결블럭(18)의 중심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이때의 베어링의 내륜에는 전동드릴과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 구동축(17)이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케이블 구동축(17)의 선단부는 전동드릴 연결블럭(18)의 전면쪽으로 돌출되어 이곳에 전동드릴을 걸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후단부는 공간부(11) 내에 위치되어 이곳에 케이블(15)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전동드릴(미도시)을 케이블 구동축(17)에 건 다음,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케이블 구동축(17)이 회전하게 되고, 결국 케이블(15)이 회전하면서 하수구 막힌 곳을 뚫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형 지지블럭(19)은 중심부가 뚫려 있는 원판형의 블럭 형태로서, 에어투입유닛(14)의 후면부에 동축을 이루며 배치되면서 케이스(13) 상에 볼트체결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 지지블럭(19)의 내주면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베어링의 내륜에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므로서, 이때의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은 고정형 지지블럭(19)을 지지체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은 원형의 관 형태 블럭으로서, 에어투입유닛(14) 및 고정형 지지블럭(19)과 동축을 이루며 뒤쪽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그 상단 부분을 통해 에어투입유닛(14)의 후면 중심부와 고정형 지지블럭(19)에 있는 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스냅링이 체결되어 에어투입유닛(14)측과 전후 방향으로의 결속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내부는 에어투입유닛(14)의 공간부(11)와 그대로 연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공간부(11)의 내부로 들어온 에어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내부를 거쳐 호스(16)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은 후단부 외주면에 있는 플랜지 부분을 통해 호스 권취기(20)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호스(16)를 풀거나 감기 위해 호스 권취기(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때의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도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때의 암나사산에는 호스 어댑터(22)의 수나사산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후면 중심부에는 호스 어댑터(22)가 나사체결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호스 어댑터(22)에는 케이블(15)이 들어 있는 호스(16)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 세정 시스템의 케이스(13) 상에 관통 설치되는 케이블(15) 및 호스(16)측에 에어를 투입하는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서, 에어투입유닛(14)의 앞쪽과 뒤쪽으로 전동드릴 연결블럭(18)과 고정형 지지블럭(19)을 배치하고, 또 고정형 지지블럭(19)의 뒤쪽으로 호스 권취기(20)측과 결합되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을 배치하여 이러한 3개의 블럭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조합되도록 설계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케이블 구동축(17) 및 케이블(15)의 회전 작동, 그리고 호스(16)의 권취 작동 등과 같은 구동 메카니즘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호스(16)의 내부로는 누설 등의 문제없이 에어가 효과적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에어공급원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호스(16)의 내부까지 투입되는 경로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트레인 세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수구 청소 작업을 완료한 다음, 에어투입유닛(14)의 커넥터(10)에 컴프레서에서 연장되는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컴프레서를 작동시키게 되면,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는 에어라인(12)을 통해 에어투입유닛(14)의 내부, 즉 공간부(11)로 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들어온 에어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내부를 거쳐 호스(16)의 내부로 투입되며, 이때의 에어가 밀어내는 힘에 의해 호스(16) 속에 남아 있던 물은 호스(16)의 반대쪽 끝 부분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트레인 세정 시스템의 사용 후 호스(16) 속에 남아 있던 물을 완전히 빼내서 제거함으로써, 케이블(15)이 물에 의해 녹스는 문제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는 등 케이블(15)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보관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에어투입유닛(14)이 설치되어 있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 예를 들면 에어 세정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즉, 상기 에어 세정 시스템(100)의 케이스(13)에는 커넥터(10)를 가지는 에어투입유닛(14)과 전동드릴 연결블럭(18)이 적층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 한쪽 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드릴 연결블럭(18)의 중심부에는 케이블 구동축(17)이 밖으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케이블(15)이 들어 있는 호스(16)가 권취되어 있게 되고, 이때의 호스(16)의 끝 부분은 물론 호스(16)의 끝 부분보다 좀더 밖으로 나와 있는 케이블(15)의 끝 부분은 케이스(13)의 밖으로 나와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15) 및 호스(16)를 인출하여 하수구의 내부로 집어넣은 다음, 케이블 구동축(17)에 전동드릴(미도시)의 척을 꽂고 전동드릴을 작동시키게 되면, 케이블(15)이 회전하면서 하수구의 막힌 곳을 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수구 청소 완료 후, 커넥터(10)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이때의 에어는 호스(16)의 내부로 투입되고, 결국 에어의 압력에 의해 호스(16) 속에 남아 있던 물이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 세정 시스템에 에어의 투입이 가능한 구조의 에어투입유닛을 구비하여 드레인 세정 시스템의 사용 후 호스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에어의 압력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잔류물 제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남아 있는 물로 인해 케이블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케이블의 수명은 물론 드레인 세정 시스템 전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겨울철에 호스 내의 물이 어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커넥터
11 : 공간부
12 : 에어라인
13 : 케이스
14 : 에어투입유닛
15 : 케이블
16 : 호스
17 : 케이블 구동축
18 : 전동드릴 연결블럭
19 : 고정형 지지블럭
20 : 호스 권취기
21 :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
22 : 호스 어댑터
23 : 리테이너
24 : O-링
25 : 리테이너 안착홈

Claims (5)

  1. 공지의 드레인 세정 시스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10)에서부터 내주면 안쪽으로 조성되어 있는 공간부(11)까지 관통 형성되는 에어라인(12)을 가지면서 케이스(13) 상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투입유닛(14)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의 커넥터(10)를 통해 들어온 에어가 에어라인(12)을 경유하여 케이블(15)은 물론 호스(16)가 속해 있는 공간부(11)로 유입됨과 더불어 호스(16)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호스(16) 속에 남아 있는 물을 호스 밖으로 빼낼 수 있으며,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의 전면부에 결합되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케이블 구동축(17)을 지지하는 전동드릴 연결블럭(18)과, 상기 케이스(13) 상에 고정 설치되면서 에어투입유닛(14)의 후면부에 동축 구조로 배치되는 고정형 지지블럭(19)과, 호스 권취기(20) 상에 고정 설치되어 호스 권취기(20)와 함께 회전 가능한 동시에 내측으로 케이블(15)과 호스(16)를 수용하고 상기 고정형 지지블럭(19)의 뒤쪽으로 동축 구조를 이루며 배치되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고정형 지지블럭(19)에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의 후면부에 동축 구조로 끼워짐과 더불어 내부는 공간부(11)와 통하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5)이 들어 있는 호스(16)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1)의 후면 중심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설치되는 호스 어댑터(22)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의 전면 중심부에는 케이블 구동축(17)의 외주면을 감싸는 리테이너(23)가 설치되는 동시에 후면 중심부에는 회전형 호스 연결블럭(22)의 외주면을 감싸는 O-링(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투입유닛(14)은 에어 공급 대신에 오일 공급을 통해 호스(16)의 내부에 들어 있는 케이블(15)에 오일을 도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물 제거기구.
KR1020220154105A 2022-11-17 2022-11-17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KR102621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05A KR102621960B1 (ko) 2022-11-17 2022-11-17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05A KR102621960B1 (ko) 2022-11-17 2022-11-17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960B1 true KR102621960B1 (ko) 2024-01-11

Family

ID=8953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105A KR102621960B1 (ko) 2022-11-17 2022-11-17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96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984A (en) * 1991-08-09 1992-12-29 Lewisan Products, Inc. Self-drying powered drain auger
KR20010006372A (ko) 1997-04-16 2001-01-26 매틀슈와이저 페테르 하향 파이프를 갖는 콘덕트의 소제방법 및 장치
KR200286381Y1 (ko) * 2002-05-11 2002-08-22 조성범 하수관 청소기
US20100263140A1 (en) * 2010-06-30 2010-10-21 Mehdi Khani Moghanaki Pipe & tubes cleaning mechanism
US8479354B1 (en) * 2010-11-17 2013-07-09 Peter T. Doyle Drill brush and vacuum attachment apparatus
KR200468487Y1 (ko) 2013-06-10 2013-08-21 황민영 하수구 소통 장치
KR20150005303A (ko) * 2013-07-05 2015-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잔수 처리장치
US10987708B2 (en) 2019-01-28 2021-04-27 Ridge Tool Company Drain cleaning systems using sheath protected flexible shaft
US20210205863A1 (en) 2019-01-28 2021-07-08 Ridge Tool Company Torque limiter for powered drain clean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984A (en) * 1991-08-09 1992-12-29 Lewisan Products, Inc. Self-drying powered drain auger
KR20010006372A (ko) 1997-04-16 2001-01-26 매틀슈와이저 페테르 하향 파이프를 갖는 콘덕트의 소제방법 및 장치
KR200286381Y1 (ko) * 2002-05-11 2002-08-22 조성범 하수관 청소기
US20100263140A1 (en) * 2010-06-30 2010-10-21 Mehdi Khani Moghanaki Pipe & tubes cleaning mechanism
US8479354B1 (en) * 2010-11-17 2013-07-09 Peter T. Doyle Drill brush and vacuum attachment apparatus
KR200468487Y1 (ko) 2013-06-10 2013-08-21 황민영 하수구 소통 장치
KR20150005303A (ko) * 2013-07-05 2015-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잔수 처리장치
US10987708B2 (en) 2019-01-28 2021-04-27 Ridge Tool Company Drain cleaning systems using sheath protected flexible shaft
US20210205863A1 (en) 2019-01-28 2021-07-08 Ridge Tool Company Torque limiter for powered drain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4505A (en) Method for cleaning pipe
US5090079A (en) Apparatus for cleaning pipe
US4420852A (en) Drain cleaning machines
CN112196087B (zh) 一种市政管道清淤装置
KR101276759B1 (ko) 하수관 청소장치
US5535473A (en) Drain cleaning apparatus
KR102621960B1 (ko) 하수구 막힘 뚫는 장치의 잔류 물 제거기구
CA3012264A1 (en) Well access tool
KR20040053756A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CA2472609A1 (en) Pipe clearing system and device
KR200286381Y1 (ko) 하수관 청소기
KR101111886B1 (ko) 하수관의 지관 플러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물돌리기 공법
US20210222412A1 (en) Drain auger machine attachment for unclogging drains
JP5662193B2 (ja) 流体配管系の分岐流路遮断方法
JP5325046B2 (ja) 管内清掃装置
KR200378376Y1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US2705613A (en) Apparatus for replacing gas service pipe
KR100609601B1 (ko) 상하수도관 내부의 슬러지 제거용 고압 분사 장치
US20040129498A1 (en) Lubrica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5484758B2 (ja) 管切断装置
KR100561192B1 (ko) 상수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CN208267075U (zh) 手动式市政管道疏通器
KR20240060148A (ko) 기밀구조를 형성한 하수구 청소기 오물 집개헤드
JP2555225Y2 (ja) 埋設管の地中引き込み装置
JP2545444Y2 (ja) 埋設管の地中引き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