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945B1 - 부표 - Google Patents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945B1
KR102621945B1 KR1020197032923A KR20197032923A KR102621945B1 KR 102621945 B1 KR102621945 B1 KR 102621945B1 KR 1020197032923 A KR1020197032923 A KR 1020197032923A KR 20197032923 A KR20197032923 A KR 20197032923A KR 102621945 B1 KR102621945 B1 KR 10262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cartridge
volume
gas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827A (ko
Inventor
플로리앙 프레벨
로맹 카레리끄
Original Assignee
탈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레스 filed Critical 탈레스
Publication of KR2019013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03Buoys adapted for being launched from an aircraft or water vehicle;, e.g. with brakes deployed in th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 (1) 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표 (1) 는 인플레터블 백 (3), 축선 (z) 의 관형 벽 (70) 및 저부 (71) 를 포함하는 밀봉 탱크 (1000) 를 포함하는 표면 유닛 (5) 을 포함하고, 상기 관형 벽 및 상기 저부는 내부 체적 (60) 이라 언급되는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표면 유닛은 상기 인플레터블 백이 상기 부표의 작동 구성에서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인플레터블 백을 인플레트하는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는 압축 가스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11)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탱크는 상기 저부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내부 체적으로부터,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돌출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표
본 발명은 인플레터블 백, 및 압축 가스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유형의 부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압축 가스는 인플레트된 백이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플레터블 백을 인플레트하기 위해 방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유형의 통신 부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무선전기 안테나는 원격 베이스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수면 위에 배열되도록 디자인된다. 인플레터블 백에는 무선전기 안테나가 장착되고, 상기 무선전기 안테나는 인플레터블 백이 압축 가스를 이용해 인플레트될 때 상기 인플레터블 백이 다시 떠올라 상기 무선전기 안테나를 수면 위로 가져오고 또한 상기 무선전기 안테나를 수면 위에서 유지시키도록 배열된다. 변형예에서, 부표는 기준점의 역할을 할 수도 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레벨에서 담궈진 물체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표는 수면 위에 위치된 캐리어로부터 또는 잠수함으로부터 전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표는 부표의 기능 요소를 수용하는 동축 실린더의 스택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스택은 부표의 전개 전에 관형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다.
실린더 및 내부 장비의 크기는 관형 리셉터클의 크기에 의해 크게 제약된다.
부표는 통상적으로 스택의 실린더 중 하나를 형성하는 원통형 케이싱 및 인플레터블 백을 포함하는 밀봉 탱크를 포함하는 표면 유닛을 포함한다. 케이싱은 무선전기 안테나로부터 비롯되는 그리고/또는 이를 향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 회로 및/또는 이러한 전기 회로 및/또는 안테나를 파워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장비를 수용한다.
표면 유닛은 인플레터블 백이 인플레트될 때 수면으로 올라오는 반면, 뎁스 유닛은 예를 들어 음파를 방출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깊이로 일반적으로 강하한다.
바다가 거칠더라도 양호한 무선전기 통신을 보장하도록 또는 부표를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인플레터블 백은 해수면 위의 충분한 높이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인플레터블 백의 만족스러운 인플레이션을 예상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의 전개가능한 부표는 케이싱 내에 동봉된 유사한 체적의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그의 종방향 축선이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의 축선에 수직하도록 배열된다. 케이싱의 내부 체적은 인플레터블 백의 내부 체적과 연통된다. 하지만, 케이싱의 크기는 각각의 추가된 카트리지에 대해 꽤 상당히 증가되고, 이러한 체적은 카트리지의 체적보다 더 크고, 따라서 케이싱의 드레그의 꽤 상당한 증가로 이어진다. 실제로, 케이싱의 드레그는 표면 및 깊이에서 길항성 전류 (antagonistic currents) 의 효과를 통해 뎁스 유닛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표면 유닛의 위치상 안정감을 보장하도록 일반적으로 최소화되어야 한다.
동일한 문제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장비의 크기를 배가시키거나 증가시키려는 경우에도 발생된다.
FR 2350245 A1 (1977. 12. 02. 공개) EP 0449371 A1 (1991. 10. 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주제는 인플레터블 백, 축선 (z) 의 관형 벽 및 저부를 포함하는 밀봉 탱크를 포함하는 표면 유닛을 포함하는 부표이고, 관형 벽 및 저부는 내부 체적이라 언급되는 체적을 한정하고, 표면 유닛은 인플레터블 백이 부표의 작동 구성에서 플로트의 기능을 하도록 인플레터블 백을 인플레트하는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는 압축 가스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밀봉 탱크는 저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내부 체적으로부터,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돌출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부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진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 상기 축선 (z) 에 대해 수직인 상기 돌출 컨테이너의 더 큰 치수는 상기 축선 (z) 에 대해 수직인 상기 관형 벽의 더 작은 치수보다 작다.
- 상기 부표는, 상기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표면 유닛 또는 상기 밀봉 탱크의 잠긴 부분의 전방 표면이 상기 돌출 컨테이너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상기 부표는, 상기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표면 유닛 또는 상기 밀봉 탱크의 잠긴 부분의 전방 표면이 상기 관형 벽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상기 부표는 상기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돌출 컨테이너를 둘러싸는 체적 내에 배열된 상기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구성에서 상기 가스가 상기 카트리지 내에 구속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및 상기 표면 유닛은 상기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하나의 동일한 리셉터클 내에 삽입된다.
- 상기 부표는 케이블에 의해 표면 유닛에 연결된 뎁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뎁스 유닛 및 상기 표면 유닛은 상기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연결되고, 상기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분리되며, 상기 저장 구성에서 상기 가스가 상기 카트리지 내에 구속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뎁스 유닛의 일부를 형성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능동 기능 요소이다.
-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돌출 컨테이너를 둘러싸는 관형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케이블 와인딩을 포함한다.
- 상기 부표는 단일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가스가 방출될 때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배열된다.
- 상기 돌출 컨테이너는 상기 카트리지의 일부이다.
- 상기 부표는 상기 부표가 물에 잠길 때 상기 카트리지가 물과 직접 물리적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 내부 체적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및/또는 가스 방출 시스템을 수용한다.
- 돌출 컨테이너는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내부 체적과 연통하는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저장 구성에서 상기 가스가 카트리지 내에 구속된다.
- 돌출 컨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및/또는 부표 및/또는 가스 카트리지의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의 일부를 수용한다.
- 부표는 무선전기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인플레터블 백이 플로트로서 기능을 할 때 수면 위로 오르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조금도 제한적이지 않고 또한 첨부 도면에 의해 예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는 다수의 실시형태들을 연구함으로써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 도 1a 내지 도 1d 는 항공기로부터 전개되는 전개가능한 부표의 전개의 연속적인 단계들을 도시한다.
- 도 2 는 저장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유닛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의 일부를 종방향 축선에서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 도 4 는 작동 구성에서 부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까지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의 전개를 도시한다.
도 1a ~ 도 1d 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부표 (1) 는 수면 위에 위치한 캐리어 (100) 로부터 전개될 수 있는 부표이다. 이러한 캐리어 (100) 는, 예를 들어, 항공기, 헬리콥터 또는 표면 구조체이다. 변형예에서, 부표는 잠수함에 연결되고, 또한 해수면 위에 위치된 스테이션과 잠수함 사이에 무선전기 통신 (radioelectric communication) 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된다.
부표 (1) 는, 도 1a ~ 도 1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의 부력을 가지고 그 안에 도 1a 에 도시된 부표의 저장 구성에서 부표의, 내부 부분이라 불리는, 부분이 수용되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태의 내부 체적을 한정하는 관형 리셉터클 (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표 (1) 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인플레터블 백 (3) 은 인플레트되지 않는다.
내부 체적은 유리하게 그러나 필수적이지 않게 선대칭 (axisymmetrical) 체적이다.
도 1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가 항공기 (100) 로부터 전개될 때, 낙하산 (7) 은 물로의 부표 (1) 의 추락을 늦추기 위하여 리셉터클 (4) 밖으로 전개된다.
도 1c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부표가 물에 잠기면, 인플레터블 백 (3) 이 인플레트되고, 이는 낙하산 (7) 의 분리를 보장하고 리셉터클 (4) 의 표면 유닛 (5) 으로부터의 케이싱 (6) 의 출현, 및 수면으로 표면 유닛 (5) 의 플로트 (3) 를 가져오도록, 도 1c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S) 을 향한 표면 유닛 (5) 의 상승을 유발하는 효과를 가진다.
안테나의 내부 부분은 여러 유닛들의 스택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택은 음의 부력을 갖는 뎁스 유닛 (8; depth unit) 및 표면 유닛 (5) 을 포함한다. 표면 유닛 (5) 및 뎁스 유닛 (8) 은 안테나가 도 1a 의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연결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부표의 전개 전에, 즉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표준 크기의 관형 리셉터클 내에 통상적으로 수용된다. 각 유닛에 기인한 체적은 매우 제한적이고, 튜브 내에 여러 요소들에 의해 채워지는 체적을 제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표면 유닛 (5) 은, 표면 유닛 (5) 이 표면 (S) 을 향해 상승하면서 뎁스 유닛 (8) 이 해저를 향해 계속해서 하강하도록 인플레터블 백 (3) 의 인플레이션 시에 언와인딩되는 케이블 (9) 에 의해 뎁스 유닛 (8) 에 연결된다. 표면 유닛 (5) 이 표면 (S) 을 향해 상승할 때, 뎁스 유닛 (8) 이 계속해서 가라앉고, 따라서 표면 유닛 (5) 으로부터 분리된다. 케이블 (9) 은 뎁스 유닛 (8) 이 미리 결정된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단계 동안 전개되거나 언와인딩된다. 뎁스 유닛 (8) 의 하강은 케이블 (9) 의 언와인딩을 정지함으로써 중단된다. 그런 다음 케이블 (9) 은 장력 하에 있다. 음의 부력을 갖는 리셉터클 (4) 은 계속해서 가라앉고, 그로 인해 뎁스 유닛 (8) 을 해제한다. 그런 다음 안테나 (1) 는 도 1d 에 도시된 작동 구성에 있다.
작동 구성에서, 인플레터블 백 (3) 은 표면 유닛 (5) 의 케이싱 (6) 에 의해 지지된다. 표면 유닛 (5) 의 일부는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물에 잠긴다.
부표 (1) 는, 예를 들어 그러나 필수적이지 않게, 무선전파를 방출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기 안테나 (2) 를 포함하는 유형의 통신 부표이다. 이러한 경우에, 부표 (1) 는, 안테나가 수면 위에 위치될 때, 해수면 위에 위치된, 예를 들어 캐리어 (100) 에 탑재된 (on board) 원격 스테이션과 부표 (1) 사이에 정보의 무선전기 통신을 허용하도록 부표 (1) 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무선전기 안테나 (2) 가 수면 위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부표 (1) 는, 예를 들어, 물리적 값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부표는 부표 (1) 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센서가 물에 잠기도록 구성된다.
부표는, 예를 들어, 수중 음파를 측정하도록 디자인된 하나 이상의 수중 청음기들 (hydrophones) 및/또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잠기도록 디자인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수중 청음기들를 포함하는 부표는 영어로 "소노부이 (sonobuoy)" 라고 또한 알려진 음향 부표이다.
부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중 청음기에 의해 검출된 수중 음파에 대한 정보를 무선전기 안테나에 의해 무선전기적으로 전송하도록 디자인된다.
변형예에서,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더하여, 부표 (1) 는 적어도 하나의 음파 방출 안테나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부표는 "능동화 (active)" 된 것이라고 한다.
부표가 표면 유닛 및 뎁스 유닛을 포함할 때, 적어도 하나의 수중 청음기는 유리하게는 뎁스 유닛에 속한다.
도 2 는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부표 (1) 의 표면 유닛 (5) 의 주요 요소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에서, 인플레터블 백은 캡 (13) 에 의해 보호된다. 도 3 은 저장 구성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표면 유닛 (5) 은 압축 가스를 둘러싸는 가스 카트리지 (11) 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는, 예를 들어, 공기,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이다.
카트리지 내에 구속된 가스는 방출될 수 있다. 즉, 이는 카트리지 (11) 로부터 구속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부표의 저장 구성에서, 가스는 밀봉되는 카트리지 (11) 내에 구속된다. 즉, 인플레터블 백 (3) 은 인플레트되지 않는다. 부표 (1) 의 작동 구성에서, 인플레터블 백 (3) 은 저장 구성에서 카트리지 (11) 내에 구속된 가스를 사용하여 인플레트되고, 그런 다음 인플레터블 백 (3) 은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한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가스는 후술되는 가스 방출 시스템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가스 방출 시스템은 가스를 방출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내에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 (11) 및 인플레터블 백 (3) 은, 가스가 방출될 때, 카트리지 (11) 내에 포함된 가스가 인플레터블 백 (3) 을 인플레트하여 상기 인플레터블 백 (3) 이 플로트가 되도록 배열된다. 즉, 인플레터블 백 (3) 은 기밀 방식으로 카트리지 (11) 에 연결되고, 카트리지의 내부 체적은 가스가 방출될 때 인플레터블 백 (3) 의 내부 체적과 연통한다.
케이싱 (6) 은, 예를 들어, 경량의 저렴하고 가능하게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지만, 이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싱 (6) 은, 부표가 저장 구성으로부터 작동 구성으로 이동할 때,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케이싱 (6) 은 내부 체적 (60) 을 한정한다.
표면 유닛 (5) 은 밀봉 탱크 (1000) 를 포함한다. 밀봉 탱크 (1000) 는 인플레터블 백 (3) 및 케이싱 (6) 을 포함한다. 케이싱 (6) 에 의해 한정된 내부 체적 (60) 은 밀봉 탱크 (1000) 에 의해 한정된 체적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6) 은 축선 (z) 의 관형 측벽 (70) 및 상기 측벽 (70) 을 가로지르는 저부 (71) 를 포함한다. 측벽 (70) 및 저부 (71) 는 탱크 (1000) 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체적에 속하는 케이싱 (6) 의 내부 체적 (60) 을 한정한다. 즉, 내부 체적 (60) 은 축선 (z) 상에서 저부 (71) 의 일측으로부터만 연장된다.
유리하게 그러나 필수적이지 않게, 관형 벽 (70) 은 원통형이다.
유리하게 그러나 필수적이지 않게, 실린더는 선대칭이다. 즉, 이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원통형 형태는 유리하게는 관형 벽의 외부면, 즉 내부 체적 (60) 의 외부를 향해 터닝된 면의 형태이다.
유리하게는, 저부 (71) 는 외부면을 포함하고, 즉 주로 축선 (z) 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부 체적 (60) 에 대향한다.
도면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체적은 벽 (70) 을 가로지르는 다른 벽 (76) 에 의해 한정된다.
유리하게는, 횡방향 벽 (76) 은 외부면을 포함하고, 즉 주로 축선 (z) 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부 체적 (60) 에 대향한다.
내부 체적 (60) 은 벽들 (70, 71, 76) 에 의해 한정된다.
도면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케이싱 (6) 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다.
인플레터블 백 (3) 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시일 (78) 에 의해 케이싱 (6) 에 밀봉된 방식으로 부착되어, 케이싱에 의해 한정된 체적이 인플레터블 백에 의해 한정된 내부 체적과 연통한다.
밀봉 탱크 (1000) 에서 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장비를 수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 (6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62) 및/또는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102, 104) 은 밀봉 탱크 (1000) 내에, 예를 들어 케이싱 (6) 에 의해 한정된 내부 체적 (60) 내에 수용된다. 전자 회로는, 예를 들어, 전자 카드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 (61; 예를 들어, 전자 카드 형태로 구현됨) 를 포함하여, 수중 청음기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뎁스 유닛 (8) 내에 위치된 센서들로부터 비롯되는 그리고/또는 이를 향하는 정보의 처리를 허용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무선전기 안테나를 향하는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비롯되는 정보의 처리를 허용할 수도 있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회로(들) 및/또는 무선전기 안테나 및/또는 후술될 가스 방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밀봉 탱크 (1000) 는, 저부 (71) 로부터 돌출되고 내부 체적 (60) 으로부터, 저부 (71) 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돌출 컨테이너 (17) 로 불리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즉, 돌출 컨테이너 (17) 는 내부 체적 (60) 에 대향하는 저부의 그러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원통형 케이싱 (6) 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밀봉 인클로저 내에 추가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고, 이는 그의 드래그를 제한할 수 있고 또한 관형 리셉터클 (4) 내의 체적의 채움을 최적화한다는 면에서 유리하다. 실제로, 밀봉 인클로저 내에 수용되어야 하는 그러한 아이템들 외의 장비를 돌출 컨테이너 (17) 주위에 수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4) 에 의해 한정된 체적의 채움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밀봉 탱크의 또는 표면 유닛의 잠긴 부분 (수중 부분) 의 전방 표면이 돌출 컨테이너의 일부 및 관형 측벽 (70) 의 일부를 포함할 때,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는 동안, 밀봉 탱크 (1000) 의 또는 표면 유닛 (5) 의 잠긴 부분 (수중 부분) 의 전방 표면의 크기, 따라서 그의 드레그를 제한할 수 있다. 물체가 액체 내에 잠길 때, 이러한 물체의 "전방 표면" 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궤도에 수직인 평면에 걸쳐 액체의 궤도에 따라 돌출된 표면에 적용된다. 즉, 이는 물체가 물에 나타나는 표면이다. 현재 경우에, 축선 (z) 은 작동 구성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해류는 축선 (z) 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직이다.
예를 들어, 38g 의 CO2 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 때 케이싱은 축선 (z) 상에서 높이가 10cm 이고 축선 (z) 에 수직한 직경이 17cm 인 원통형 부분을 갖고, 및 카트리지는 축선 (z) 상에서 높이가 10cm 이고 축선 (z) 에 수직한 직경이 3cm 인 돌기를 형성한다. 각각 16g 의 CO2, 따라서 총 32g 의 CO2 를 포함하는 2 개의 카트리지들을 제공함으로써, 더 큰 전방 표면을 나타내는 높이가 13 cm 이고 직경이 17 cm 인 케이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면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벽 (70) 및 돌출 컨테이너 (17) 는 작동 구성에서 잠긴다.
유리하게는, 축선 (z) 에 수직하는 돌출 컨테이너 (17) 의 더 큰 치수 (d) 는 축선 (z) 에 수직하는 관형 벽 (70) 의 더 작은 치수 (D) 보다 작다. 이는 케이싱 및 돌출 컨테이너에 의해 형성된 전방 표면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싱은 작동 구성에서 완전히 잠긴다.
도 3 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돌출 컨테이너 (17) 는 카트리지의 "돌출부" 라고 불리는 카트리지 (11) 의 일부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11) 는 내부 체적 (60) 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즉, 카트리지 (11) 는 실린더의 경우에 실린더의 축선에서 벽 (70) 및 저부 (71) 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에 연속하여 연장되는 돌출부 (17) 를 포함한다.
밀봉 탱크 (1000) 는 카트리지 (11) 의 벽 (12) 을 포함하는 탱크의 외부를 향해 터닝된 밀봉 벽을 포함한다. 즉, 카트리지 (11) 는 탱크 (1000) 에 의해 한정된 밀봉 체적의 폐쇄에 관련된다. 이는 특히 케이싱 (6; 케이싱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매우 유리함)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체적에 포함된 공기에 의해 물로부터 카트리지를 격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태의 케이싱 (6)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케이싱 (6)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고 따라서 케이싱 (6) 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는 카트리지의 크기가 더 이상 케이싱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싱 (6) 의 체적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케이싱 내에 배열된 카트리지들의 체적보다 큰 체적의 카트리지 (11) 를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하나의 동일한 체적의 가스에 대해, 이는 케이싱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바다가 거칠더라도 무선전기 안테나 (2) 를 해수면 위의 더 높은 고도로 가져와 통신의 관점에서 보다 양호한 성능 수준을 보장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수면 위에서 안테나의 고도를 줄이지 않으면서 더 양호한 음향 성능 수준 및 따라서 더 큰 매스 (mass) 를 제공하는 소나 방출 안테나 및/또는 수중 청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동일한 양의 가스에 대해 표면 유닛 (5) 이 채워지는 총 체적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그의 드래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제로, 요소들 사이에 남은 자유 체적으로 인해, 가스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케이싱의 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체적은 카트리지의 체적보다 크다. 표면 유닛의 드래그에 대한 제한은, 뎁스 유닛 (8) 의 안정화를 허용하는 (표면에서의 그리고 뎁스 유닛 (8) 의 레벨에서의) 길항성 전류의 효과를 통해 표면 유닛 및 뎁스 유닛의 길항성 드리프트 (antagonistic drift) 를 제한할 수 있다.
부표 (1) 가 물에 잠길 때, 물은 카트리지 (11) 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반면, 종래 기술에서, 케이싱 내에 수용된 카트리지들은 케이싱 및 케이싱 내에 포함 된 공기에 의해 물로부터 열적으로 격리된다. 따라서, 가스가 카트리지로부터 방출될 때, 가스 카트리지가 물과 직접 물리적 접촉하고, 가스 온도의 강하가 제한되며, 이는 가스의 응축 및 결빙 (freezing) 가능성 및 이전에 설명된 그의 결과들을 제한한다.
실제로, 인플레터블 백을 인플레트하기 위한 가스의 방출 시에, 지금까지 카트리지 내에 함유된 가스는 빠르게 팽창하고, 이는 그의 온도 및 카트리지 벽의 온도의 감소로 이어져, 케이싱 내에 포함된 공기로부터 수증기의 응축을 야기하고, 이는 따라서 케이싱 내에 수용된 전자 회로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가스 온도의 강하는 또한 이러한 가스의 결빙을 야기할 수도 있고,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트리지로부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차단하여, 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온도가 충분히 상승될 때까지, 인플레터블 백의 인플레이션 및 수면에의 인플레터블 백의 도달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가스 온도의 강하는 체적의 감소를 야기하고, 이는 또한 표면에의 도달을 지연시킨다. 최대 팽창 체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가 주위 온도로 복귀해야 하므로, 온도의 강하가 클수록 이러한 최대 팽창 체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스에 의해 걸린 시간은 길어진다. 따라서, 제안된 구성은 인플레터블 백의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고, 또한 케이싱 내에 배열된 전기 장비의 손상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11) 내에 구속된 가스는 카트리지 (11) 의 벽인 단일 벽 (12) 에 의해 물로부터 떨어진 채로 유지되어야 한다. 즉, 벽 (12) 의 면은 투과성 체적을 향해 터닝된다. 즉, 부표가 물에 잠길 때 카트리지 (11) 는 밀봉 된 탱크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벽 (12) 은 금속이다. 예를 들어, 상당한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이는 강으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 (11) 는 저장 구성에서 이것이 물에 잠길 때 물과 직접 물리적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11) 와 물 사이의 열 교환은 가스 방출이 시작될 때 발생한다.
유리하게는, 부표 (1) 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카트리지 (11) 는 카트리지 (11) 가 잠길 때 물이 카트리지 (11) 와 직접 접촉하게 하는 투과성 탱크에 의해 둘러싸인다. 즉, 탱크는 카트리지 (11) 를 수용하는 체적을 한정하고, 이는 여 밀봉된 방식으로 폐쇄되지 않는다.
도 3 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11) 는 "케이블 컨테이너"로 지칭되는 리셉터클 (14) 에 의해 둘러싸여서, 저장 위치에서 케이블 (9) 을 수용하는 체적을 한정한다. 이러한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리셉터클 (4) 내에 배열된다. 카트리지 (11) 를 둘러싸는 탱크는 투과성이다. 실제로, 부표 (1) 의 내부 부분이 리셉터클 (4) 로부터 나오도록 리셉터클 (4) 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다. 더욱이,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카트리지 (11) 를 수용하는 체적을 한정하고, 이러한 체적은 밀봉된 방식으로 폐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는 밀봉된 방식으로 케이싱 (6) 및/또는 리셉터클 (4) 에 연결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이 리셉터클 (4) 및 케이블 컨테이너 (14) 내로 침투하여, 물이 카트리지 (11) 와 직접 물리적 접촉한다. 즉, 물은 벽 (12) 과 인접하다.
도 3 에서 알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 (6) 은 저부 (71) 내에 형성된 개구 (63) 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 (63) 는 카트리지 (11) 에 의해 횡단된다.
케이싱 (6) 은 부표 (1) 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카트리지 (11) 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이는 케이싱 (6; 케이싱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매우 유리함)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체적에 포함된 공기에 의해 주변 환경으로부터 카트리지를 격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카트리지 (11) 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시일 (77) 에 의해 밀봉된 방식으로 케이싱 (6) 에 부착된다.
유리하게 그러나 필수적이지 않게, 케이싱 (6) 은 카트리지 (11) 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리턴 (81) 을 포함하고, 또한 예를 들어 시일 (77) 에 의해 밀봉된 방식으로 카트리지 (11) 에 부착된다. 이는 카트리지와 케이싱 사이의 연결의 밀봉을 촉진한다.
도 5 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케이싱 (600) 은 원통형 부분 (601) 및 돌출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돌기 (617) 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 컨테이너는 케이싱 (6) 의 원통형 부분과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변형예에서, 이는 케이싱에 부착된다. 이러한 돌기 (617) 는 부표가 저장 구성 및 작동 구성에 있을 때 원통형 부분 (601) 에 의해 한정된 내부 체적 (619) 과 연통하는 내부 체적 (618) 을 한정한다.
원통형 부분은 관형 벽 (620) 및 2 개의 횡방향 벽들 (621, 622) 에 의해 한정되어, 돌기가 축선 (z) 상에서, 내부 체적 (619) 으로부터, 저부 (621) 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저부 (621)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봉된 인클로저 내에 수용된 장비 아이템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이러한 부분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카드의 일부 및/또는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전자 회로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전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카트리지의 가스 방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수용할 수 있다. 이는 그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원통형 부분 (601) 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약간 확보할 수 있다.
카트리지 (11) 는, 예를 들어, 밀봉된 인클로저에 의해 한정된 체적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즉, 카트리지 (11) 는 밀봉된 인클로저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인플레터블 백 (3) 은 축선 (z) 상에서 케이싱 (6) 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돌출 컨테이너 (17) 는 축선 (z) 상에서 인플레터블 백에 대해 케이싱의 타측에서 연장된다. 즉, 돌출 컨테이너 (17) 는 저부 (71) 로부터 인플레터블 백 (3) 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도면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가스가 방출될 때 카트리지 (11) 의 내부 체적은 케이싱 (6) 을 통해 인플레터블 백 (3) 의 내부 체적과 연통한다. 변형예에서, 카트리지 (11) 는 가스가 인플레터블 백 (3) 의 내부 체적 내로 직접 배출되도록 배열된다. 카트리지 (11) 가 밀봉된 인클로저에 의해 완전히 한정될 때, 이러한 2 개의 케이스들이 상정될 수 있다.
인플레터블 백 (3) 의 내부 체적과 케이싱 (6) 의 내부 체적 사이의 연통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 (79) 를 통해 달성된다.
여기서, 오리피스 (79) 는 케이싱 (6) 내에 제공된 개구를 폐쇄하는 전자 카드 (61) 내에 제공된다.
부표 (1) 는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11) 의 천공 시스템이다. 카트리지 (11) 는, 예를 들어, 도 3 에서 볼 수 있는, 필름 (101) 을 포함하고, 이는 카트리지 (11) 및 보다 구체적으로 벽 (12) 내에 만들어진 개구 (103) 를 폐쇄한다. 방출 시스템은 포인트 (102b) 를 갖는 천공기 (102) 를 포함한다. 방출 시스템은 천공기 (102) 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디바이스 (104) 를 포함하여, 가스 방출 상태가 확인될 때, 포인트 (102b) 가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카트리지 (11) 내에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필름 (101) 을 천공한다. 작동 디바이스 (104) 는 예를 들어 레지스터 및 레지스터에 대한 전력 공급원을 포함한다. 작동 디바이스 (104) 는 이것이 필름 (101) 을 천공하도록 천공기 (102) 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가스 방출 상태가 확인될 때 레지스터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천공기 (102) 는,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101) 을 천공하기 위해 레버가 흔들리도록 이것이 파워링될 때 가열되는 레지스터에 의해 연소되는 스레드에 의해 대기 위치에 유지되는 레버이다. 이러한 작동 시스템은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예에서, 방출 시스템은 예를 들어 파이로테크닉 (pyrotechnic) 또는 유체역학적 유형의 작동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방출 시스템 (102, 104) 은 밀봉된 인클로저 내에, 예를 들어 내부 체적 (60) 내에 수용된다. 변형예에서, 가스 방출 시스템은 돌출 컨테이너 (17) 내에 수용된다.
유리하게는, 부표 (1) 는 인플레터블 백 (3) 을 인플레트하기 위해 방출될 수 있는 가스의 단일 카트리지 (11) 를 포함한다. 이는 표면 유닛 (5) 의 드래그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해제 디바이스들의 복잡성 및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싱 (6) 내 여유 공간은 카트리지 (11) 가 케이싱 (6) 내에 수용될 때보다 크고,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단 하나의 레버가 요구되며, 또한 여기에는 작동 디바이스 (104) 에 의해 채워지는 체적을 제한하기 위해 리턴 캠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변형예에서, 부표 (1) 는 인플레터블 백 (3) 을 인플레트하기 위해 방출될 수 있는 가스의 수 개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는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체적 (V)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저장 구성에서 가스는 카트리지 (11) 내에 구속된다.
이러한 요소는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리셉터클 (4) 내에 배열된다. 즉, 관형 체적은 저장 구성에서 리셉터클 (4) 에 의해 둘러싸인다. 돌출 컨테이너 (17) 는 예를 들어 케이블 와인딩 (9) 에 의해 둘러싸인다.
유리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관형 컨테이너 (14) 가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싼다. 이러한 관형 컨테이너 (14) 는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리셉터클 (4) 내에 수용된다.
관형 컨테이너 (14) 는 튜브의 축선 (z) 에서 횡방향 벽 (71) 에 인접한다.
도 3 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 (17) 는 카트리지 (11) 의 돌출부 (17) 를 둘러싸는 와인딩 및 상기 와인딩을 둘러싸는 케이블 컨테이너 (14) 에 의해 둘러싸인다.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그 자체로 와인딩된 케이블은 케이블의 곡률 반경이 자유 원통형 체적의 반경에 대응하는 최소 곡률 반경 아래로 내려갈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자유 원통형 체적을 유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자연적으로 자유롭게 남은 체적을 채움으로써 컨테이너 체적의 채움을 최적화할 수 있다.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전체적으로 관형 형태이다. 이는 축선 (z) 에서 케이싱 (6) 에 연속된다.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선대칭인 외부 표면 (리셉터클 (4) 또는 부표 외부의 환경으로 향해 터닝됨) 을 유리하게는 포함하고, 즉 이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케이블 컨테이너 (14) 및 측벽 (70) 은 저장 구성에서 동축이다. 케이블 컨테이너 (14) 의 외부 표면은 예를 들어 케이싱 (6) 과 동일한 직경, 즉 케이싱 (6) 의 측벽 (70) 의 외부 표면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유리하게는 케이싱 (6) 및 뎁스 유닛의 일부 (140) 에 대해 놓인다. 따라서, 이는 저장 동안 케이블을 통해 케이싱 (6) 과 일부 (140) 사이의 힘의 전달을 제한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부표 (1) 는 케이블 컨테이너 (14) 를 포함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능동 기능 요소는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관형 체적 내에 배열되고, 여기에서 가스는 카트리지 (11) 내에 구속된다. "능동 기능 요소" 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또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전기 또는 광학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전기 또는 광학 에너지를 딜리버링하거나, 축적하거나, 변환하거나 (예를 들면, 전기 트랜스포머와 같이) 또는 변조하는 전기 또는 광학 요소, 즉 전기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파워링되어야 하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와인딩을 형성하는 케이블은 예를 들어 능동 요소이다.
케이블 (9) 은 표면 유닛 (5) 으로부터 뎁스 유닛 (8) 을 향해 그리고/또는 반대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고, 능동 기능 요소이다. 이는 전기캐리어 케이블이다.
케이블 (9) 은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부분들 중 제 1 부분 (15) 은 뎁스 유닛 (8) 에 부착되고 또한 그 길이는 고정되고, 부분들 중 제 2 부분 (16) 은 파도의 영향을 통해 상하로의 표면 유닛 (5) 의 이동으로부터 뎁스 유닛의 격리를 허용하는 인장 디바이스 또는 탄성 케이블을 포함한다. 저장 구성에서, 이러한 2 개의 유닛들은 도 3 의 실시예에서 파티션 (75) 에 의해 분리된다.
표면 유닛 (5) 및 유닛 (8) 은 케이블을 포함하는 수단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된다.
케이블 (9) 은, 예를 들어, 연결 수단의 와이어들 (74) 에 의해 표면 유닛 (5) 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그 중 3 개의 와이어들 (74) 중 2 개만이 도 4 에 도시되어, 작동 구성에 있는 부표를 도시한다. 와이어들 (74) 은 케이싱 (6) 의 중심에서 힘 테이크-업 (force take-up) 을 보장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케이블 (9) 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싱 (6) 의 주변에 걸쳐 케이싱에 부착된다.
변형예에서, 케이블 (9) 은 수동 요소이다.
케이블 대신에 또는 케이블에 더하여, 전기 트랜스포머는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관형 체적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트랜스포머는 돌출 컨테이너를 둘러쌀 수도 있다. 트랜스포머는 돌출 컨테이너 (17) 가 삽입될 수도 있는 자유 공간을 한정하는 링 또는 U 형태를 일반적으로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수중 청음기는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관형 체적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수중 청음기는, 예를 들어,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관형 벽 (70) 의 축선에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디자인된 아암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상당한 길이의 아암들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관형 체적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아암은, 예를 들어,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축선 (z) 에 대해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축선 (z) 에 대한 경사는 저장 구성과 작동 구성 사이에 변한다.
변형예에서, 예를 들어, 부표가 잠수함으로부터 전개되도록 설계될 때, 플로트, 예를 들어 폼 플로트 (foam float) 는 돌출 부분 (17) 을 둘러쌀 수도 있다. 폼 플로트는 돌출 부분을 둘러싸는 환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부표가 전개될 때, 이러한 플로트는 부표가 표면을 향해 자연적으로 상승하게 한다. 인플레터블 백은 이것이 표면 근처에 있을 때까지 인플레트되지 않는다.
플로트는 저장 구성에서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고, 예를 들어 완전히 둘러싼다.
유리하게는, 부표 (1) 는 돌출 컨테이너 (17) 와 부표를 둘러싸는 체적 (V) 내에 배열된 요소(들) 사이의 상대 배열이 부표 (1) 의 저장 구성과 작동 구성 사이에서 변조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부표는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돌출 탱크의 또는 표면 유닛의 잠긴 부분 (수중 부분) 의 전방 표면이 돌출 컨테이너 (17) 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표면 유닛의 드래그를 제한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뎁스 유닛 (8) 의 일부는 작동 구성에서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싼다. 따라서, 돌출 컨테이너는 부표의 저장 구성에서 뎁스 유닛 (8) 의 일부를 관통하고, 이는 반직관적 (counter intuitive) 이지만 리셉터클 (4) 내 공간의 채움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의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뎁스 유닛에 속한다.
도면들의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뎁스 유닛 (8) 의 일부를 형성하여, 이것이 인플레터블 백의 인플레이션 시에, 즉 표면 유닛이 수면을 향해 상승할 때, 표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다. 표면 유닛과 뎁스 유닛을 연결하는 케이블 (9) 은 카트리지를 해제하기 위하여 언와인딩된다.
변형예에서, 표면 유닛 (5) 의 일부는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관형 체적 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컨테이너 (14) 는 케이싱 (6) 이 수면을 향해 상승할 때 수면을 향해 케이싱에 의해 비말 동반되도록 케이싱 (6) 과 일체화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드래그 관점으로부터 덜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돌출 컨테이너 (17) 는 축선 (z) 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출 컨테이너 (17) 는 유리하게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원통형 부분의 축선은 축선 (z) 에 평행하고 또한 예를 들어 (저장 구성에서) 케이블 컨테이너 (14) 및/또는 케이싱 (6) 과 동축이다.
유리하게는, 가스 카트리지 (11) 는 그의 헤드가 상부에 있도록 배향된다. 즉, 카트리지 (11) 는 부표가 전개되어 물에 잠길 때 가스가 지면에 대해 수직 축선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배열된다. 부표가 물로 전개될 때, 이는 그의 무게 중심 및 유체역학적 스러스트의 중심 위치에 따른 자연적인 배향을 채택한다.
따라서, 카트리지는, 가스가 빠져 나오는 오리피스 (103) 가 부표가 전개될 때 카트리지 (11) 의 상부에 위치되고,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잠기도록 유리하게는 배열된다. 이는 케이싱의 손상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실제로, 가스의 방출 시에 가스 분자들이 카트리지의 하부 부분에서 액체 상태로 있고 카트리지의 상부 부분에서 가스 상태로 있으므로, 카트리지가 터닝되어 그 헤드가 저부에 있을 때 또는 카트리지가 그의 측면에 놓여있을 때, 액체에서 가스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을 통해 가스 분자 액적들이 방출될 위험이 있다. (가스의 팽창으로 인해) 매우 낮은 온도에 있는 이러한 액적들은 케이싱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기계적 응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전자 회로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카트리지의 "헤드 상향" 배열은 이러한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도면들의 실시형태에서, 카트리지는 저장 구성에서 필름 (101) 에 의해 폐쇄된 개구 (103) 를 한정하는 넥 (121) 을 포함한다.
도면들의 실시형태에서, 뎁스 유닛 (8) 은 케이블 컨테이너 (14) 및 작동 유닛 (140) 을 포함한다. 작동 유닛은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능동 기능 요소를 포함한다.
작동 유닛은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저장 구성에서 축선 (z) 을 갖는다.

Claims (16)

  1. 부표 (1) 로서,
    상기 부표 (1) 는 인플레터블 백 (3; inflatable bag), 축선 (z) 의 관형 측벽 (70) 및 저부 (71) 를 포함하는 밀봉 탱크 (1000) 를 포함하는 표면 유닛 (5) 을 포함하고, 상기 관형 측벽 (70) 및 상기 저부 (71) 는 내부 체적 (60) 이라 언급되는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표면 유닛 (5) 은 상기 인플레터블 백 (3) 이 상기 부표의 작동 구성에서 플로트 (float) 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인플레터블 백 (3) 을 인플레트하는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는 압축 가스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11) 를 포함하고, 상기 부표 (1) 는 케이블 (9) 에 의해 상기 표면 유닛 (5) 에 연결된 뎁스 유닛 (8; depth unit) 을 포함하고, 상기 뎁스 유닛 (8) 및 상기 표면 유닛 (5) 은 부표 (1) 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연결되고 또한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분리되고, 상기 저장 구성에서 상기 가스가 카트리지 (11) 내에 구속되고, 상기 밀봉 탱크 (1000) 는 상기 저부 (71) 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내부 체적 (60) 으로부터, 저부 (71) 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돌출 컨테이너 (17) 를 포함하고, 상기 부표 (1) 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는 상기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체적 내에 배열되고, 상기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는 케이블 와인딩 (cable winding)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컨테이너는 상기 부표가 상기 저장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체적과 연통하는 체적을 한정하고, 상기 저장 구성에서 상기 가스가 상기 카트리지 내에 구속되고,
    상기 돌출 컨테이너에 의해 한정되는 체적은 전자 회로, 전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및 부표의 가스 방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수용하는, 부표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z) 에 대해 수직인 상기 돌출 컨테이너 (17) 의 더 큰 치수 (d) 는 상기 관형 측벽 (70) 의 더 작은 치수 (D) 보다 작은, 부표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1) 는, 상기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표면 유닛 (5) 의 잠긴 부분의 전방 표면이 상기 돌출 컨테이너 (17) 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부표 (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1) 는, 상기 부표가 작동 구성에 있을 때, 상기 표면 유닛 (5) 의 잠긴 부분의 전방 표면이 상기 관형 측벽 (70) 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부표 (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 및 상기 표면 유닛 (5) 은 상기 부표가 저장 구성에 있을 때 하나의 동일한 리셉터클 내에 삽입되는, 부표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유닛의 일부는 상기 저장 구성에서 돌출 요소를 둘러싸는, 부표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는 능동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부표 (1).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어셈블리는 상기 돌출 컨테이너 (17) 를 둘러싸는 관형 컨테이너 (14) 를 포함하는, 부표 (1).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1) 는 단일 카트리지 (11) 를 포함하는, 부표 (1).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11) 는 가스가 방출될 때 가스가 카트리지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배열되는, 부표 (1).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컨테이너 (17) 는 상기 카트리지 (11) 의 일부인, 부표 (1).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상기 부표가 물에 잠길 때 상기 카트리지 (11) 가 물과 직접 물리적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부표 (1).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적 (60) 은 전자 회로, 전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및 가스 방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부표 (1).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컨테이너 (17) 에 의해 한정되는 체적은 가스 카트리지의 가스 방출 시스템의 일부를 수용하는, 부표 (1).
  1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무선전기 안테나 (radioelectric antenna) 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인플레터블 백이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할 때 상기 안테나가 수면 위로 오르도록 배열되는, 부표 (1).
KR1020197032923A 2017-04-14 2018-04-13 부표 KR102621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00419 2017-04-14
FR1700419A FR3065196B1 (fr) 2017-04-14 2017-04-14 Bouee
PCT/EP2018/059571 WO2018189388A1 (fr) 2017-04-14 2018-04-13 Bou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827A KR20190138827A (ko) 2019-12-16
KR102621945B1 true KR102621945B1 (ko) 2024-01-05

Family

ID=5985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923A KR102621945B1 (ko) 2017-04-14 2018-04-13 부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24273B2 (ko)
EP (1) EP3609777B1 (ko)
JP (2) JP2020516529A (ko)
KR (1) KR102621945B1 (ko)
AU (1) AU2018250916B2 (ko)
CA (1) CA3059827A1 (ko)
ES (1) ES2912649T3 (ko)
FR (1) FR3065196B1 (ko)
SG (1) SG11201909550UA (ko)
WO (1) WO2018189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3447B2 (en) 2020-04-17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camera system
GB2623369A (en) * 2022-10-14 2024-04-17 Ultra Electronics Ltd A Sonobuo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044A (ja) * 2003-06-19 2005-01-13 Nec Network Sensa Kk ブイのパラシュートハウジング構造およびパラシュートハウジングの分離方法
JP2009525226A (ja) 2006-02-02 2009-07-09 メロウグラフィック・リミテッド 浮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7541A (en) * 1950-03-31 1954-08-31 Bannister Bryant Apparatus for refloating submerged objects
FR2350245A1 (fr) * 1976-05-07 1977-12-02 Cit Alcatel Bouee acoustique
US4186374A (en) * 1978-01-03 1980-01-29 Raytheon Company Transducer housing with release mechanism
US4309786A (en) * 1979-10-12 1982-01-12 Raytheon Company Buoy flotation system
JPS6030154Y2 (ja) * 1980-10-27 1985-09-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ブイの浮力装置
JPS615352Y2 (ko) * 1981-01-09 1986-02-18
JPS60169582U (ja) * 1984-04-18 1985-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フレクタ付ソノブイ
JP2553087B2 (ja) * 1987-07-13 1996-11-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ボンベ開封装置
US5073136A (en) * 1990-03-29 1991-12-17 Magnavox Government And Industrial Electronics Company Collapsible sonobuoy floatation device
JPH09159494A (ja) * 1995-12-06 1997-06-20 Oki Electric Ind Co Ltd 投下型海洋センサ
JPH09240579A (ja) * 1996-03-07 1997-09-16 Oki Electric Ind Co Ltd ボンベ開封装置
GB0520653D0 (en) 2005-10-11 2005-11-16 Strachan & Henshaw Ltd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US10131412B2 (en) * 2017-02-13 2018-11-20 Christopher B. Hulbert Ascent and buoy system for div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044A (ja) * 2003-06-19 2005-01-13 Nec Network Sensa Kk ブイのパラシュートハウジング構造およびパラシュートハウジングの分離方法
JP2009525226A (ja) 2006-02-02 2009-07-09 メロウグラフィック・リミテッド 浮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9827A1 (fr) 2018-10-18
FR3065196B1 (fr) 2019-12-13
EP3609777B1 (fr) 2022-04-06
FR3065196A1 (fr) 2018-10-19
EP3609777A1 (fr) 2020-02-19
AU2018250916A1 (en) 2019-11-07
US20200180733A1 (en) 2020-06-11
ES2912649T3 (es) 2022-05-26
AU2018250916B2 (en) 2023-02-02
JP2020516529A (ja) 2020-06-11
JP2023027352A (ja) 2023-03-01
US11124273B2 (en) 2021-09-21
WO2018189388A1 (fr) 2018-10-18
SG11201909550UA (en) 2019-11-28
KR20190138827A (ko)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027352A (ja) ブイ
JP5923169B2 (ja) 通信ブイおよび展開の方法
US4673363A (en) Marine measurement device
US4026188A (en) Modular buoy system
US5132696A (en) Pneumatic extendable antenna for water deployable buoy
US5073136A (en) Collapsible sonobuoy floatation device
US6032607A (en) Emergency location signaling device
US3281765A (en) Miniature sonobuoy and cable
US3382514A (en) Positive scuttling buoy
US3657752A (en) Locator devices
US4216535A (en) System for deploying a moored sensor array
US3906370A (en) Radio beacon enclosure
US5286462A (en) Gas generator system for underwater buoyancy
US9272756B1 (en) Variable buoyancy buoy and deployment methods
US3788255A (en) Expendable submarine receiving antenna
US4357688A (en) Low cost sonobuoy
US3977031A (en) Inflation system
EP0130722B1 (en) Electric circuit assembly apparatus
JPS6030154Y2 (ja) ブイの浮力装置
US4927396A (en) Sonobuoy
US11249175B2 (en) Aerostat deployable from sonobuoy launch container
GB2624775A (en) A sonobuoy
JPH07174844A (ja) 自立型浮遊装置
GB2232647A (en) Float for air-launched sonobuoy
FR3065197A1 (fr) Bou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