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883B1 -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883B1
KR102621883B1 KR1020230057720A KR20230057720A KR102621883B1 KR 102621883 B1 KR102621883 B1 KR 102621883B1 KR 1020230057720 A KR1020230057720 A KR 1020230057720A KR 20230057720 A KR20230057720 A KR 20230057720A KR 102621883 B1 KR102621883 B1 KR 10262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anel
drone
wireless charg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주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주 filed Critical 김귀주
Priority to KR102023005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7Charging when not in flight
    • B64U50/38Charging when not in flight by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64U2101/31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for surveil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설치되되 상부에는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C')가 설치되는 지주부(100'); 상기 지주부(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처진 상기 배전선로(C')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절부(200')를 포함하는 전신주를 포함하며, 상기 전신주가 위치되는 현장에는 상기 위치확인 시스템의 동작상태, 주변환경, 상기 현장 주변인원을 포함하는 요소를 촬영하여 모니터하는 모니터링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제1 위치(L1')에 구비되고, 제1 드론(1')이 운용되는 제1 운용타워(100'); 상기 제1 위치(L1')와 다른 제2 위치(L2')에 구비되고, 제2 드론(2')이 운용되는 제2 운용타워(200'); 상기 제2 위치(L2') 다른 제3 위치(L3')에 구비되고, 제3 드론(3')이 운용되는 제3 운용타워(300'); 상기 제1 운용타워(100')와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이송타워(400'); 및 상기 제2 운용타워(200')와 상기 제3 운용타워(3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이송타워(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the pole of an overhead distribution line connected to a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가 상방으로 신속하게 위치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배전선로의 처짐에 의한 애자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동시에 주변 상황에 대한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최종 수요처에 공급하는 가공의 배전선로는 설치 후 시간경과에 의한 노후화와 주변 기후변화 및 눈, 비, 바람 그리고 충격과 진동 등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처짐은 감전, 누전, 화재, 단전 등의 다양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배전선로의 처짐을 육안으로 식별한 이후에 컨트롤러에 의해 아지드화나트륨을 폭발시켜 팽창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위치조절부를 하방으로 처진 배전선로의 중앙부를 지나칠 수 있을 때까지 이동시켜 배전선로가 상방으로 신속하게 위치이동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의 처짐에 의한 애자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신주를 보호하며 주변의 상황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66896호(2014년 02월 18일)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전선로가 상방으로 신속하게 위치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배전선로의 처짐에 의한 애자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동시에 주변 상황에 대한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는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제반시설에 대한 유지 보수 관리를 함에 있어 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제 관리하여 주변의 상황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 수단으로서 각가의 드론을 운용하는 제1 운용타워, 제2 운용타워 및 제3 운용타워를 제공하되, 제1 운용타워 주변 비행 장애물 존재, 어느 하나의 운용타워에 집중된 기상악재(예 : 우박, 호우, 천둥, 바람 등) 발생, 이 존재하거나, 장애가 발생되면, 제1 운용타워의 드론을 제2 운용타워 내지 제3 운용타워로 이동시켜 운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 운용타워에 동일한 상황이 발생되면, 제3 운용타워로 드론을 이동시켜 운용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제3 운용타워에서 제1 운용타워로드론을 역방향 이동시켜 운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운용타워에서 제2 운용타워, 제3 운용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단순 이동이 아닌, 전원충전을 통해 도착지점에서 최상의 상태로 장시간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운용타워, 제2 운용타워 및 제3 운용타워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근접한 거리 혹은 서로 기설정딘 장거리로 이격되도록 선택하여 구축할 수 있어, 드론 운용의 실용성과 효과성의 폭을 예산과 함께 고려하여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설치되되 상부에는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C')가 설치되는 지주부(100'); 상기 지주부(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처진 상기 배전선로(C')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절부(200')를 포함하는 전신주를 포함하며, 상기 전신주가 위치되는 현장에는 상기 위치확인 시스템의 동작상태, 주변환경, 상기 현장 주변인원을 포함하는 요소를 촬영하여 모니터하는 모니터링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제1 위치(L1')에 구비되고, 제1 드론(1')이 운용되는 제1 운용타워(100'); 상기 제1 위치(L1')와 다른 제2 위치(L2')에 구비되고, 제2 드론(2')이 운용되는 제2 운용타워(200'); 상기 제2 위치(L2') 다른 제3 위치(L3')에 구비되고, 제3 드론(3')이 운용되는 제3 운용타워(300'); 상기 제1 운용타워(100')와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이송타워(400'); 및 상기 제2 운용타워(200')와 상기 제3 운용타워(3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이송타워(500')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가 상방으로 신속하게 위치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배전선로의 처짐에 의한 애자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동시에 주변 상황에 대한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제반시설에 대한 유지 보수 관리를 함에 있어 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제 관리하여 주변의 상황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수단으로서 각가의 드론을 운용하는 제1 운용타워, 제2 운용타워 및 제3 운용타워를 제공하되, 제1 운용타워 주변 비행 장애물 존재, 어느 하나의 운용타워에 집중된 기상악재(예 : 우박, 호우, 천둥, 바람 등) 발생, 이 존재하거나, 장애가 발생되면, 제1 운용타워의 드론을 제2 운용타워 내지 제3 운용타워로 이동시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 운용타워에 동일한 상황이 발생되면, 제3 운용타워로 드론을 이동시켜 운용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제3 운용타워에서 제1 운용타워로드론을 역방향 이동시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용타워에서 제2 운용타워, 제3 운용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단순 이동이 아닌, 전원충전을 통해 도착지점에서 최상의 상태로 장시간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용타워, 제2 운용타워 및 제3 운용타워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근접한 거리 혹은 서로 기설정딘 장거리로 이격되도록 선택하여 구축할 수 있어, 드론 운용의 실용성과 효과성의 폭을 예산과 함께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지주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가이드편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이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팽창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팽창부에 대한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인향선에 대한 작용관계를 나타낸도면.
도 9는 종래의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완철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모니터링을 위한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하기에서는 변전소, 보조구분소, 구분소 등에 설치되는 고장점 표정 장치의 동작은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주 또는 전신주(이하, 간략하게 '전신주'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크게 지주부(100), 위치조절부(200) 및 팽창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지주부(100) 상부에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전선로(C)의 처짐을 육안으로 확인하면 팽창부(300) 내부에 수용된 아지드화나트륨(N:NaN3)를 폭발을 통해 팽창주머니(330)를 팽창시켜 위치조절부(200)가 배전선로(C)의 길이 중앙부(Q)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앙부(Q)의 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C)의 처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주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위치조절부(200) 및 팽창부(300)가 설치되되 지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설치된 지주(P,P')들 간에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C)가 애자(11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프레임(110), 고정기둥(120), 가이드봉(130) 및 가이드편(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상면이 평탄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각각의 지주(P,P')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하부에는 배전선로(C)가 서로 연결되는 애자(111)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고정기둥(120)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고정기둥(120)은 고정프레임(110) 양측 상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후술하는 팽창부(300)가 가이드편(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된다.
가이드봉(130)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의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이 지면을 따라 이웃하게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주(P,P')에 각각 설치된 고정기둥(120)들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위치조절부(200)가 팽창부(300)의 팽창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한다.
가이드편(140)은 판 형상을 갖되 한 쌍으로 설치된 가이드봉(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돌출구(311)가 삽입되는 장홈(141)이 형성되어 하우징(31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한다. 이때, 장홈(141) 일측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된 돌출구(311)가 걸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한 하우징(310)이 가이드편(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편(140)은 가이드봉(130)과 소정거리 이웃하게 설치되어 장홈(141)에 삽입된 돌출구(311)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가이드봉(13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들 중 팽창부(300)가 설치된 지주(P)에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2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팽창부(300)의 팽창력에 의해 배전선로(C)를 따라 이동하여 하방으로 처진 상기 배전선로(C)의 위치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210), 롤러(220) 및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1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양측에는 각각 롤러(2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편(211)이 서로 이웃하게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몸체(210) 하부에는 플레이트(230)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2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롤러(220)는 결합편(211)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가이드봉(130)의 외면을 따라 몸체(2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봉(130)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여 이동가능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편(211)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이 구비된다.
플레이트(23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배전선로(C)가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31)이 천공형성되며, 상부는 몸체(210) 하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관통공(231)에 삽입되는 배전선로(C)의 위치, 개수 및 굵기(외경)에 따라 적절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관통공(231)의 내경은 삽입되는 배전선로(C)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몸체(210)가 이동시마찰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300)는 도 1 및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에 의해 위치조절부(200)를 일 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전선로(C)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310), 점화플러그(330) 및 팽창주머니(330, 도 5,6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310)은 팽창주머니(33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팽창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함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에는 장홈(141)에 삽입되는 돌출구(31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하우징(310)의 개방된 일측은 후술하는 팽창주머니(330)의 보호 및 상기 팽창주머니(330)가 팽창시에 용이하게 하우징(310) 외부로 팽창할 수 있도록 비닐 종류나 깨지기 쉬운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310)의 개방된 일측은 배전선로(C)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후술하는 팽창주머니(330)의 팽창에 의해 위치조절부(200)가 상기 배전선로(C) 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하우징(310) 전면은 소정길이를 갖는 인향선(313)에 의해 배전선로(C)와 연결되어 아지드화나트륨(N)의 폭발에 의해 하우징(310)의 이동방향으로 배전선로(C)가 이끌려 이동하도록 한다.
즉, 아지드화나트륨(N)의 폭발에 의해 위치조절부(200)가 배전선로(C)의 중앙부(Q)를 지나칠 정도까지 이동하여 하방으로 처진 배전선로(C)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한 이후, 상기 배전선로(C) 일측은 하중에 의해 또 다른 처짐부(Q')가 발생하게 된다. 하여, 인향선(313)을 통해 하우징(310)이 후방으로 이동시 배전선로(C)가 후방으로 따라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짐부(Q')의 평행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향선(313)에 의해 배전선로(C)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하우징(310)의 돌출구(311)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장홈(141)에 고정되어 평행해진 배전선로(C)가 다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하우징(310) 상부에는 이동부(2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거리제한수단(35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거리제한수단(350)은 돌기축(351), 와이어(353) 및 고리(355)를 포함한다.(도 6 참조)
돌기축(351)은 하우징(310)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외면에는 위치조절부(200)가 이동시에 와이어(353)가 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와이어(353)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돌기축(35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타단이 고리(355)에 고정되어 몸체(2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와이어(353)의 길이는 몸체(210)가 이동시에 늘어진 배전선로(C)의 하중이 가장 많이 걸리는 상기 배전선로(C)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거리 중앙부(Q)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355)는 몸체(210) 외면에 형성되며, 와이어(353) 타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거리제한수단(350)은 아지드화나트륨(N)이 폭발시 팽창주머니(330)의 팽창에 의해 이동하는 몸체(210)가 늘어진 배전선로(C)의 하중이 가장 많이 걸리는 중앙부(Q)를 지나칠 때까지 와이어(353)와 고리(35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하는데, 이 경우 위치조절부(200)의 무게, 상기 위치조절부(200)가 이동시에 가이드봉(130) 또는 배전선로(C)와의 마찰에 의한 저항, 조류에 의한 저항 및 날씨 등의 변수에 의해 어느 정도의 양으로 아지드화나트륨(N)를 폭발시켜 팽창주머니(330)의 팽창력에 의해 위치조절부(200)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여, 바람직하게는 몸체(210)가 팽창주머니(330)의 팽창에 의해 이웃하는 지주(P')까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아지드화나트륨(N) 양을 주입하는게 일반적이므로 거리제한수단(350)을 통해 아지드화나트륨(N)의 양과는 상관없이 몸체(210)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6 참조)
점화플러그(330)는 팽창주머니(330) 내부와 연통되게 하우징(310) 후방에 고정설치되며, 작업자에 제어되는 컨트롤러(360)의 온/오프(On/Off)에 의해 전기스파크를 발생시켜 아지드화나트륨(N)를 폭발시킨다. 아울러 컨트롤러(360)는 작업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배전반(미도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점화플러그(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과 연결되어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하방으로 처진 배전선로(C)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는 팽창부(300)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팽창주머니(330)는 점화플러그(320)와 연통되게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며, 점화플러그(330)의 스파크에 의해 폭발할 수 있는 아지드화나트륨(N)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지드화나트륨(N)이 폭발시 개방된 하우징(310)일측으로 소정부피를 갖게 팽창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팽창주머니(330)는 평상시(질소가스의 폭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310)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구비되며, 아지드화나트륨(N)의 폭발시에만 하우징(310)의 개방된 일측으로 팽창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가 배전선로(C)의 처짐을 육으로 식별한 이후에 컨트롤러(360)에 의해 아지드화나트륨(N)을 폭발시켜 팽창주머니(330)의 팽창에 의해 위치조절부(200)를 하방으로 처진 배전선로(C)의 중앙부(Q)를 지나칠 수 있을 때까지 이동시켜 상기 배전선로가 상방으로 신속하게 위치이동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C)의 처짐에 의한 애자(111)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신주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설치되되 상부에는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C'')가 설치되는 지주부(100''); 상기 지주부(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처진 상기 배전선로(C'')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절부(200'')를 포함하는 전신주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전신주가 위치되는 현장에는 상기 위치확인 시스템의 동작상태, 주변환경, 상기 현장 주변인원을 포함하는 요소를 촬영하여 모니터하는 모니터링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제1 위치(L1'')에 구비되고, 제1 드론(1'')이 운용되는 제1 운용타워(100''); 상기 제1 위치(L1'')와 다른 제2 위치(L2'')에 구비되고, 제2 드론(2'')이 운용되는 제2 운용타워(200''); 상기 제2 위치(L2'') 다른 제3 위치(L3'')에 구비되고, 제3 드론(3'')이 운용되는 제3 운용타워(300'') 상기 제1 운용타워(100'')와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이송타워(400''); 및 상기 제2 운용타워(200'')와 상기 제3 운용타워(3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이송타워(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운용타워(100'')는, 제1 높이의 제1 기둥부(111'')와, 상기 제1 기둥부(1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1드론(11'')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1-1 이송수단(121'')과, 상기 제1-1 이송수단(121'') 하부에 구비되는 제1-1 무선충전수단(131'')을 포함하는 제1-1 패널부(110'')와, 상기 제1-1 패널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2드론(12'')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1-2 이송수단(122'')과, 상기 제1-2 이송수단(122'')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무선충전수단(132'')을 포함하는 제1-2 패널부(120'')와, 상기 제1-2 패널부(1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3드론(13'')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1-3 이송수단(123'')과, 상기 제1-3 이송수단(123'') 하부에 구비되는 제1-3 무선충전수단(133'')을 포함하는 제1-3 패널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운용타워(200'')는, 제2 기둥부(211'')와, 상기 제2 기둥부(2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1드론(21'')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2-1 이송수단(221'')과, 상기 제2-1 이송수단(221'') 하부에 구비되는 제2-1 무선충전수단(231'')을 포함하는 제2-1 패널부(210'')와, 상기 제2-1 패널부(2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2드론(22'')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2-2 이송수단(222'')과, 상기 제2-2 이송수단(222'')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무선충전수단(232'')을 포함하는 제2-2 패널부(220'')와, 상기 제2-2 패널부(2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3드론(23'')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2-3 이송수단(223'')과, 상기 제2-3 이송수단(223'') 하부에 구비되는 제2-3 무선충전수단(233'')을 포함하는 제2-3 패널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운용타워(300'')는, 제3 기둥부(311'')와, 상기 제3 기둥부(3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1드론(31'')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3-1 이송수단(321'')과, 상기 제3-1 이송수단(321'') 하부에 구비되는 제3-1 무선충전수단(331'')을 포함하는 제3-1 패널부(310'')와, 상기 제3-1 패널부(3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2드론(32'')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3-2 이송수단(322'')과, 상기 제3-2 이송수단(322'') 하부에 구비되는 제3-2 무선충전수단(332'')을 포함하는 제3-2 패널부(320'')와, 상기 제3-2 패널부(3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3드론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3-3 이송수단과, 상기 제3-3 이송수단 하부에 구비되는 제3-3 무선충전수단(333'')을 포함하는 제3-3 패널부(3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3-1 패널부(310'')는 제1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2 패널부(320'')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3 패널부(330'')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높은 제3 높이로 위치된다.
상기 제2-1 패널부(210'')는 제2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2 패널부(320'')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3 패널부(330'')는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1-1 패널부(110'')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2 패널부(320'')는 상기 제4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3 패널부(330'')는 상기 제4 높이보다 높은 제5 높이로 위치된다.
상기 제1 이송타워(400'')는, 제1 구동부(411'')와, 상기 제1 구동부(411'')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제1 서브기둥부(412'')와,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 상에 설치되고, 제1-1 서브이동수단(413'')과, 상기 제1-1 서브이동수단(413'') 하부에 위치되는 제1-1 서브무선충전수단(414'')을 포함하는 제1-1 서브패널부(410'')와,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1 서브패널부(410'') 상부에 위치되고, 제1-2 서브이동수단(414'')과, 상기 제1-2 서브이동수단(414'') 하부에 위치되는 제1-2 서브무선충전수단(415'')을 포함하는 제1-2 서브패널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는 상기 제1 구동부(411'')에서 승강과 하강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제1-1 서브패널부(410'')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제1-2 서브패널부(420'')로는 상기 제4 높이로 위치 가능하여, 상기 제1-1 패널부(110'')의 상기 제1-1 드론(11'')을 상기 제2-2 패널부(220'') 상으로의 이동시키고, 상기 제1-2 패널부(120'')의 상기 제1-2 드론(12'')을 상기 제2-3 패널부(230'') 상으로의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2 이송타워(500')는, 제2 구동부(511')와, 상기 제2 구동부(511')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제2 서브기둥부(512'),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 상에 설치되고, 제2-1 서브이동수단(513')과, 상기 제2-1 서브이동수단(513') 하부에 위치되는 제2-1 서브무선충전수단(514')을 포함하는 제2-1 서브 패널부(5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1 서브패널부(510') 상부에 위치되고, 제2-2 서브이동수단(514')과, 상기 제2-2 서브이동수단(514') 하부에 위치되는 제2-2 서브무선충전수단(515')을 포함하는 제2-2 서브패널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는 상기 제2 구동부(511')에서 승강과 하강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제2-1 서브패널부(510')는 상기 제2 높이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제2-2 서브패널부(520')로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 가능하여, 상기 제2-1 패널부(210')의 상기 제2-1 드론(21')을 상기 제3-2 패널부(320')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2 패널부(220')의 상기 제2-2 드론(22')을 상기 제3-3 패널부(330')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1 드론(11')은 상기 제1 운용타워(100')에서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1-1 무선충전수단(131'), 상기 제1-1서브무선충전수단(414') 및 상기 제2-2 무선충전수단(232')을 통해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2 드론(12')은 상기 제1 운용타워(100')에서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1-2 무선충전수단(132'), 상기 제1-2서브무선충전수단(415') 및 상기 제2-3무선충전수단(233')을 통해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2-1 드론(21')은 상기 제2 운용타워(200')에서 상기 제3 운용타워(300')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1 무선충전수단(231'), 상기 제2-1 서브무선충전수단(514') 및 상기 제3-2 무선충전수단(332')을 통해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2 드론(22')은 상기 제2 운용타워(200')에서 상기 제3 운용타워(300')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2-2 무선충전수단(232'), 상기 제2-2 서브무선충전수단(515') 및 상기 제3-3무선충전수단(333')을 통해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구동부(411')에서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가 설정위치로 승강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구동부(511')에서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가 설정위치로 승강되어 위치되면, 상기 제1 기둥부(111')와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는 제1 연결유닛(600')을 통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와 상기 제2 기둥부(211')는 제2 연결유닛(700')을 통해 상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둥부(211')와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는 제3 연결유닛(800')을 통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와 상기 제3 기둥부(311')는 제4 연결유닛(900')을 통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 제1 연결유닛(600')은 제1 지지대(611')로 지지되고 상기 제1 기둥부(111')로 제1-1 브릿지(621')를 돌출시켜 장착시키고,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로 제1-2 브릿지(622')를 돌출시켜 장착고정시키는 제1 몸체(61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연결유닛(700')은, 제2지지대(711')로 지지되고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로 제2-1 브릿지(721')를 돌출시켜 장착시키고, 상기 제2 기둥부(211')로 제2-2 브릿지(722')를 돌출시켜 장착고정시키는 제2 몸체(71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연결유닛(800')은, 제3 지지대(811')로 지지되고 상기 제2 기둥부(211')로 제3-1 브릿지(821')를 돌출시켜 장착시키고,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로 제3-2 브릿지(822')를 돌출시켜 장착고정시키는 제3 몸체(810')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연결유닛(900')은, 제4 지지대(911')로 지지되고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로 제4-1 브릿지(921')를 돌출시켜 장착시키고, 상기 제3 기둥부(311')로 제4-2 브릿지(922')를 돌출시켜 장착고정시키는 제4 몸체(910')를 포함한다. 한편 이상에서 상기 제1 운용타워(100')로부터 상기 제3 운용타워(300')로의 드론들이 이동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역방향으로의 운용도 수행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1: 애자 120: 고정기둥
130: 가이드봉 140: 가이드편
141: 장홈 200: 위치조절부

Claims (3)

  1. 지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설치되되 상부에는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C')가 설치되는 지주부(100'); 상기 지주부(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처진 상기 배전선로(C')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절부(200')를 포함하는 전신주를 포함하며,
    상기 전신주가 위치되는 현장에는 위치확인 시스템의 동작상태, 주변환경, 상기 현장 주변인원을 포함하는 요소를 촬영하여 모니터하는 모니터링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제1 위치(L1')에 구비되고, 제1 드론(1')이 운용되는 제1 운용타워(100');
    상기 제1 위치(L1')와 다른 제2 위치(L2')에 구비되고, 제2 드론(2')이 운용되는 제2 운용타워(200');
    상기 제2 위치(L2') 다른 제3 위치(L3')에 구비되고, 제3 드론(3')이 운용되는 제3 운용타워(300')
    상기 제1 운용타워(100')와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이송타워(400'); 및
    상기 제2 운용타워(200')와 상기 제3 운용타워(3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이송타워(500')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확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운용타워(100')는,
    제1 높이의 제1 기둥부(111')와,
    상기 제1 기둥부(1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1드론(11')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1-1 이송수단(121')과, 상기 제1-1 이송수단(121') 하부에 구비되는 제1-1 무선충전수단(131')을 포함하는 제1-1 패널부(110')와,
    상기 제1-1 패널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2드론(12')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1-2 이송수단(122')과, 상기 제1-2 이송수단(122')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무선충전수단(132')을 포함하는 제1-2 패널부(120')와,
    상기 제1-2 패널부(1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3드론(13')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1-3 이송수단(123')과, 상기 제1-3 이송수단(123') 하부에 구비되는 제1-3 무선충전수단(133')을 포함하는 제1-3 패널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운용타워(200')는,
    제2 기둥부(211')와,
    상기 제2 기둥부(2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1드론(21')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2-1 이송수단(221')과, 상기 제2-1 이송수단(221') 하부에 구비되는 제2-1 무선충전수단(231')을 포함하는 제2-1 패널부(210')와,
    상기 제2-1 패널부(2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2드론(22')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2-2 이송수단(222')과, 상기 제2-2 이송수단(222')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무선충전수단(232')을 포함하는 제2-2 패널부(220')와,
    상기 제2-2 패널부(2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3드론(23')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2-3 이송수단(223')과, 상기 제2-3 이송수단(223') 하부에 구비되는 제2-3 무선충전수단(233')을 포함하는 제2-3 패널부(230')와,
    상기 제3 운용타워(300')는,
    제3 기둥부(311')와,
    상기 제3 기둥부(3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1드론(31')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3-1 이송수단(321')과, 상기 제3-1 이송수단(321') 하부에 구비되는 제3-1 무선충전수단(331')을 포함하는 제3-1 패널부(310')와,
    상기 제3-1 패널부(3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2드론(32')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3-2 이송수단(322')과, 상기 제3-2 이송수단(322') 하부에 구비되는 제3-2 무선충전수단(332')을 포함하는 제3-2 패널부(320')와,
    상기 제3-2 패널부(3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3드론이 위치되며, 복수로 서로 이격되는 제3-3 이송수단과, 상기 제3-3 이송수단 하부에 구비되는 제3-3 무선충전수단(333')을 포함하는 제3-3 패널부(330')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3-1 패널부(310')는 제1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2 패널부(320')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3 패널부(330')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높은 제3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2-1 패널부(210')는 제2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2 패널부(320')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3 패널부(330')는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1-1 패널부(110')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2 패널부(320')는 상기 제4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3-3 패널부(330')는 상기 제4 높이보다 높은 제5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1 이송타워(400')는,
    제1 구동부(411')와, 상기 제1 구동부(411')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제1 서브기둥부(412')와,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 상에 설치되고, 제1-1 서브이동수단(413')과, 상기 제1-1 서브이동수단(413') 하부에 위치되는 제1-1 서브무선충전수단(414')을 포함하는 제1-1 서브패널부(410')와,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1 서브패널부(410') 상부에 위치되고, 제1-2 서브이동수단(414')과, 상기 제1-2 서브이동수단(414') 하부에 위치되는 제1-2 서브무선충전수단(415')을 포함하는 제1-2 서브패널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기둥부(412')는 상기 제1 구동부(411')에서 승강과 하강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제1-1 서브패널부(410')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제1-2 서브패널부(420')로는 상기 제4 높이로 위치 가능하여,
    상기 제1-1 패널부(110')의 상기 제1-1 드론(11')을 상기 제2-2 패널부(220') 상으로의 이동시키고, 상기 제1-2 패널부(120')의 상기 제1-2 드론(12')을 상기 제2-3 패널부(230') 상으로의 이동시키되,

    상기 제2 이송타워(500')는, 제2 구동부(511')와, 상기 제2 구동부(511')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제2 서브기둥부(512'),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 상에 설치되고, 제2-1 서브이동수단(513')과, 상기 제2-1 서브이동수단(513') 하부에 위치되는 제2-1 서브무선충전수단(514')을 포함하는 제2-1 서브 패널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1 서브패널부(510') 상부에 위치되고, 제2-2 서브이동수단(514')과, 상기 제2-2 서브이동수단(514') 하부에 위치되는 제2-2 서브무선충전수단(515')을 포함하는 제2-2 서브패널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기둥부(512')는 상기 제2 구동부(511')에서 승강과 하강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제2-1 서브패널부(510')는 상기 제2 높이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제2-2 서브패널부(520')로는 상기 제3 높이로 위치 가능하여, 상기 제2-1 패널부(210')의 상기 제2-1 드론(21')을 상기 제3-2 패널부(320')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2 패널부(220')의 상기 제2-2 드론(22')을 상기 제3-3 패널부(330')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1 드론(11')은 상기 제1 운용타워(100')에서 상기 제2 운용타워(200')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1 무선충전수단(131'), 상기 제1-1서브무선충전수단(414') 및 상기 제2-2 무선충전수단(232')을 통해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인,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확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57720A 2023-05-03 2023-05-0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KR10262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720A KR102621883B1 (ko) 2023-05-03 2023-05-0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720A KR102621883B1 (ko) 2023-05-03 2023-05-0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883B1 true KR102621883B1 (ko) 2024-01-05

Family

ID=8954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720A KR102621883B1 (ko) 2023-05-03 2023-05-03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896B1 (ko) 2014-01-10 2014-02-24 홍기곤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KR101774240B1 (ko) * 2016-04-11 2017-09-05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20190054789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전력공사 주상형 무인비행체 충전 스테이션
KR102464142B1 (ko) * 2021-07-30 2022-11-09 주식회사 화승전력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시스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896B1 (ko) 2014-01-10 2014-02-24 홍기곤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KR101774240B1 (ko) * 2016-04-11 2017-09-05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20190054789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전력공사 주상형 무인비행체 충전 스테이션
KR102464142B1 (ko) * 2021-07-30 2022-11-09 주식회사 화승전력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063A (en) Antenna structure
US20120111682A1 (en) Aerial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ground vehicle provided with an upper collecting structure
KR101158558B1 (ko) 송?배전 케이블용 앵커연결체
KR101079244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US11209120B1 (en) Camera mount plate and module access slide for poles used for roadside electronic systems
KR10194337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차단 장치
KR102377571B1 (ko)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KR102621883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주의 위치 확인 시스템
US20180138736A1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20090073662A1 (en) Weather cover for electronic equipment, use thereof for hanging on a mast tower, or mono-pole, and antenna carrier for weather cover
KR101948007B1 (ko) 빌트인 태양광 발전시설
KR102340182B1 (ko) 높이 조절형 내진 전신주
KR100619438B1 (ko)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의 늘어짐 방지와 위치조절이 가능한전선연결기구
CN214740404U (zh) 一种幼儿园用防护栏
KR20190041341A (ko)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JP5258454B2 (ja) 接地システム
CN220434406U (zh) 一种沙漠能源基站的外圈地防护网
CN214592288U (zh) 一种便于移动的通讯箱柜
KR200465344Y1 (ko) 지상기기 오물투기 및 화재방지용 덮개
CN217166901U (zh) 一种电焊机专用防雨小车
CN219927510U (zh) 一种适用于社区智能充电装置及控制预警系统
CN111478267A (zh) 一种具有无人机起落充电平台的电缆干式终端支撑装置
CN204596084U (zh) 自然灾害监测装置及其监测防护报警系统
US11913247B1 (en) Mobile perimeter security system
CN213847304U (zh) 一种户外互联网通讯设备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