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341A -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341A
KR20190041341A KR1020170132800A KR20170132800A KR20190041341A KR 20190041341 A KR20190041341 A KR 20190041341A KR 1020170132800 A KR1020170132800 A KR 1020170132800A KR 20170132800 A KR20170132800 A KR 20170132800A KR 20190041341 A KR20190041341 A KR 2019004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moving
vertical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섭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스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13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341A/ko
Publication of KR2019004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은 지붕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부가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 이동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태양광 모듈부의 일부 영역만을 자유롭게 오픈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환기와 투광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ROOF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S}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부를 구성하는 단위 모듈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해 태양광 모듈부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킬 수 있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광 모듈을 이용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방식으로, 태양빛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광 모듈에 닿으면 태양빛이 가진 에너지에 의해 태양광 모듈에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며,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면서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한다. 태양광 모듈의 연결 개수에 따라 개인 휴대 기기의 충전 등을 위한 소규모 발전부터 많은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 정도의 대규모 발전까지 이룰 수 있다.
최근 이루어진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 분야 시장은 지속적인 증가세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누적 942.8백만 달러의 시장규모를 이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공해가 없고, 태양빛이 도달하는 지구상의 어디서나 발전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의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와 함께 날씨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고, 설치 장소가 제한되어 있으며, 초기 투자비와 발전 단가가 높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태양광 모듈은 넓은 대지에 대규모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최근에는 건물에 설치되어 전력 공급원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태양광 모듈은 건물의 외벽이나 지붕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거치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태양광 모듈이 축사, 양계장, 재배시설 등에 설치되어 사육이나 재배에 필요한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한다.
태양광 모듈을 축사나 재배시설 등에 이용하는 경우 태양광 모듈이 완전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태양광 모듈이 투명 패널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태양광 모듈이 지붕에 설치되는 경우 태양빛이 시설 내부로 절대 진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고, 외부 공기의 유입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축사나 재배시설 등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은 수광에 최적화된 위치와 각도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반해 위와 같은 환기와 투광의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8566호(발명의 명칭: 태양광전지 모듈 가변 클램핑 장치)는 집광 효율을 위한 위치조절이 용이한 태양광전지 모듈 가변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고정부가 수직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고, 대향 인접한 수평고정부의 첨단부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홈이 형성되며, 레일홈이 제1 고정수단이 상향 관통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 역할을 함으로써 태양광전지 모듈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태양광전지 모듈의 일부를 완전히 오픈시켜 태양광을 유입시킬 수 없는 구조를 취하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531095호(발명의 명칭: 태양전지 유닛의 설치 장치)는 태양전지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레일 구조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유닛을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며, 태양전지유닛의 일부를 완전 오픈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축사나 재배시설 등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로서 환기와 투광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8566호 (2015.02.26) 특허문헌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531095호 (2004.08.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에 설치되는 설치 구조물로서 태양광 모듈부의 일부 영역만을 오픈시켜 환기와 투광을 조절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은 지붕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부가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 이동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고정 레일; 및 상기 고정 레일 상에 적층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단위 모듈을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수평 조정 와이어; 및 상기 지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 모듈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평 조정 와이어를 고정하는 수평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듈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될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상기 고정 레일에서 상기 이동 레일의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모듈을 수직 이동시키는 상기 수직 이동부의 조정을 위한 힘을 인가하는 수직 조정 와이어; 및 상기 지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 모듈의 수직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직 조정 와이어를 고정하는 수직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이동부는, 상기 단위 모듈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 및 상기 모듈 이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단위 모듈과 상기 스톱퍼의 접촉에 의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단위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부; 및 상기 단위 모듈의 수평 이동에 따른 상기 전선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부는 상기 단위 모듈의 수평 이동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은 빛을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 및 빛을 통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개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은 상기 개방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 의하면, 태양광 모듈부의 일부 영역만을 자유롭게 오픈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환기와 투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모듈 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서 단위 모듈의 이동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서 단위 모듈의 이동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서 단위 모듈의 이동을 상측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서 단위 모듈의 이동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평 조정 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평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직 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직 조정 와이어 및 수직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직 조정 와이어 및 수직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은 지붕(R)에 설치되는 지지부(120)와 태양광 모듈 설치부로 이루어지며, 태양광 모듈 설치부는 지지부(120)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부(110)가 설치되며, 태양광 모듈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a 내지 1c에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지지부(120)와 태양광 모듈 설치부(130)는 생략하고 태양광 모듈부(110)만을 도시했다.
태양광 모듈부(110)는 복수의 단위 모듈(111a,111b,112,111c)을 포함하며, 도 1a 내지 1c에는 4개의 단위 모듈만을 도시했지만, 통상적으로는 이보다 많은 수의 단위 모듈이 설치된다.
태양광 모듈부(110)는 지붕(R) 위에 설치됨으로써 태양 에너지를 받아들이며, 태양광 모듈부(110)가 받아들인 태양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저장된다. 도 1a는 태양광 모듈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모듈(111a,111b,112,111c)이 지붕(R)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때에는 모든 단위 모듈(111a,111b,112,111c)이 태양광 발전에 이용된다.
도 1b는 복수의 단위 모듈(111a,111b,112,111c) 중 하나의 단위 모듈(112)이 이동된 모습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태양광 모듈부(110)는 후술할 모듈 이동부(131,132)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수평 이동시킨다. 이때 수평 이동이라 함은 복수의 단위 모듈이 설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그와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면을 기준으로 한 수평과는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수평 이동된 단위 모듈(112)은 인접하는 단위 모듈(111b)의 상부를 덮기 때문에 인접 단위 모듈(111b)은 태양광 발전에 이용될 수 없지만, 지붕의 일부 영역이 오픈되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c는 하나의 단위 모듈(112)이 이동되어 태양광(L)이 실내로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때, 태양광(L)의 유입을 돕기 위하여 지붕(R)은 차단부(Rp)와 개방부(R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부(Rp)는 빛이나 빗물 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동하지 않는 단위 모듈(111a,111b,11c)는 차단부(Rp) 위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개방부(Rt)는 빛은 차단하지 않되 빗물은 차단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빛과 빗물을 모두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이 가능한 단위 모듈(112)은 개방부(Rt) 위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모듈 이동부(130)를 도시한다. 모듈 이동부(130)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2개의 레일을 포함하며, 2개의 레일은 하층에 구비된 고정 레일(131;131L,131R)과 상층에 구비된 이동 레일(132;132L,131R)로 구성된다.
고정 레일(131;131L,131R)은 태양광 모듈부(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모듈(111a,111b,112,111c)을 설치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태양광 모듈 설치자는 고정 레일(131;131L,131R)에 단위 모듈을 하나씩 끼워넣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태양광 모듈부(110)를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모듈(111a,111b,112,111c)이 고정 레일(131;131L,131R)로 삽입되어 설치가 이루어지면 도 1a와 같은 모습이 된다.
이동 레일(132;132L,132R)은 고정 레일(131;131L,131R)의 상층부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이 고정 레일(131;131L,131R)의 높이에서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로 올라간 후에 이동 레일(132;132L,132R)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이 고정 레일(131;131L,131R)로부터 이동 레일(132;132L,132R)로 올라가고, 이동 레일(132;132L,132R)을 통해 슬라이딩되면 도 1b와 같은 모습이 된다. 즉, 하부의 고정 레일(131;131L,131R)에는 인접 단위 모듈(111b)이 그대로 고정되고, 상부의 이동 레일(132;132L,132R)에는 이동된 단위 모듈(112)이 적층된 형태로 있게 된다.
한편, 태양광 모듈부(110)의 복수의 단위 모듈(111a,111b,112,111c)은 고정 레일(131;131L,131R) 혹은 이동 레일(132;132L,132R)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6은 모듈 이동부(130)를 통해 단위 모듈이 이동하는 방식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은 단위 모듈의 이동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단위 모듈의 이동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단위 모듈의 이동을 상측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단위 모듈의 이동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하게 될 단위 모듈(이하, '이동 단위 모듈'이라 함)(112)과 그에 인접하는 단위 모듈(이하, '인접 단위 모듈'이라 함)(111b)은 고정 레일(131;131L,131R) 상에 위치한다(도 3의 (a) 및 도 4의 (a)).
이후, 고정 레일(131;131L,131R) 상에 존재하던 이동 단위 모듈(112)은 이동 레일(132;132L,132R)의 위치까지 상승한다(도 3의 (b) 및 도 4의 (b)). 구체적으로, 도 2 및 3과 같이 이동 단위 모듈(112)이 위치하는 영역(130Rt)에는 이동 레일(132;132L,132R)이 연장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이동 레일(132;132L,132R)은 인접 단위 모듈(111b)이 위치하는 영역(130Rp)까지만 연장되며, 따라서 이동 단위 모듈(112)은 제약 없이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로 상승한 이동 단위 모듈(112)은 이동 레일(132;132L,132R)을 따라 인접 단위 모듈(111b)의 위치까지 슬라이딩된다(도 3의 (c) 및 도 4의 (c)).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인접 단위 모듈(111b)과 이동 단위 모듈(112)은 좌측 고정 레일(131L)과 우측 고정 레일(131R)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가 이동 단위 모듈(112)이 상승한 뒤 좌측 이동 레일(132L)과 우측 이동 레일(132R)로 슬라이딩되어 인접 단위 모듈(111b)의 상부로 이동한다. 도 6은 이동 단위 모듈(112)이 완전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모듈 이동부(130)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톱퍼(미도시)는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단부에 돌출부로 구비되어 이동 단위 모듈(112)이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모듈 이동부(130)는 이동 단위 모듈(120)과 스톱퍼(미도시)의 접촉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 단위 모듈(120)과 스톱퍼(미도시)가 접촉하는 순간 빛을 생성하는 발광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미도시)는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동 단위 모듈(120)의 단부 및 스톱퍼(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센서(예: 전기센서, 광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등)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스톱퍼(미도시)에 의하여 이동 단위 모듈(120)이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는 발광부(미도시)를 통해 이동 단위 모듈(120)이 적절한 위치로 슬라이딩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평 조정 와이어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평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한 이동 단위 모듈(112)의 슬라이딩은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각 일단은 이동 단위 모듈(112)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단부에 연결된다. 도 7에서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네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가 연결되지만, 이보다 적거나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평 이동이 수동식으로 제어되는 경우,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일단은 이동 단위 모듈(1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붕(R)을 통해 실내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타단을 끌어당김으로써 이동 단위 모듈(112)의 슬라이딩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타단이 롤러(미도시)에 감긴 상태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롤러(미도시)를 감거나 풀어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동 단위 모듈(1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평 이동이 자동식으로 제어되는 경우,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타단이 롤러(미도시)에 감기고, 해당 롤러(미도시)에 모터부(미도시)가 연결되며, 모터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롤러(미도시)가 회전함으로써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에는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타단이 지붕(R)을 통해 실내로 연장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모터부(미도시)의 구동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지붕(R)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도록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를 고정시키는 수평 고정 부재(145a,145b,145c,145d)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일단은 이동 단위 모듈(1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붕(R)을 통해 실내로 연장된 경우, 사용자가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타단을 끌어당겨 이동 단위 모듈(112)의 위치 맞춤을 수행한 후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의 타단을 수평 고정 부재(145a,145b,145c,145d)에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 고정 부재(145a,145b,145c,145d)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위치 조정 후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를 감아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평 고정 부재(145a,145b,145c,145d)는 서로 마주보는 원판 형상의 제1 및 제2 압착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압착 유닛에 대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단위 모듈(112)의 위치 조정 후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를 상기 제1 및 제2 압착 유닛 사이에 끼우기만 하면 탄성 유닛이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를 압착하여, 수평 조정 와이어(140a,140b,140c,140d)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고정 부재(145a,145b,145c,145d)는 고리 형상의 부재와 위에서 설명한 압착 방식을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직 이동부를 도시하고, 도 10은 수직 이동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지부(120)는 태양광 모듈부(110) 및 모듈 이동부(130)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부를 지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태양광 모듈 설치부의 모듈 이동부(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0)는 모듈 이동부(130)에 의하여 이동될 이동 단위 모듈(112)을 고정 레일(131;131L,131R)의 높이에서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로 상승시키는 수직 이동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이동부(125)는 모듈 이동부(130)에 의해 이동될 이동 단위 모듈(112)의 하부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이동부(125)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하부를 지지한다(도 9의 (a)). 이후, 수직 이동부(125)의 구동에 의하여 수직 이동부(125)의 길이가 연장되고, 이에 의하여 이동 단위 모듈(112)이 상부(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도 9의 (b)). 마지막으로, 도 3 내지 6과 같은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수평 이동한다(도 9의 (c)).
수직 이동부(125)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수직 이동부(125L-1,125R-1)는 원통형의 하단 유닛과 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상단 유닛으로 구성되고, 공압식 혹은 유압식 실린더에 의하여 상단 유닛이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이동 단위 유닛(112)의 승강을 도모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수직 이동부(125L-1,125R-1)는 하단 유닛과 상단 유닛 사이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하단 유닛 및 상단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함으로써 수직 이동부(125L-1,125R-1)에 지지되고 있던 이동 단위 유닛(112)이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의 수직 조정 와이어 및 수직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상승이나 하강을 조정하기 위한 수직 이동부(125)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고, 수직 고정 부재(155L,155R)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상승이나 하강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직 이동은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12에서는 2개의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보다 많은 개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직 이동이 수동식으로 제어되는 경우,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일단은 이동 단위 모듈(1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붕(R)을 통해 실내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타단을 끌어당김으로써 이동 단위 모듈(112)을 하강시킬 수 있다.
수직 이동부(125)가 공압식 혹은 유압식 실린더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최초 설치시에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가 끌어당겨진 상태로 고정되어 이동 단위 모듈(112)이 고정 레일(131;131L,131R) 상에 머무르다가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풀어놓는 것에 의해 이동 단위 모듈(112)을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수직 이동부(125)가 힌지부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최초 설치시에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가 끌어당겨진 상태로 고정되어 이동 단위 모듈(112)이 고정 레일(131;131L,131R) 상에 머무르다가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풀어놓음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이동 단위 모듈(112)이 이동 레일(132;132L,132R)의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위 모듈(112)이 자동식으로 제어되는 경우,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타단이 롤러(미도시)에 감기고, 해당 롤러(미도시)에 모터부(미도시)가 연결되며, 모터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롤러(미도시)가 회전함으로써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에는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타단이 지붕(R)을 통해 실내로 연장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모터부(미도시)의 구동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지붕(R)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직 이동을 차단하도록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 부재(155L,155R)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일단이 이동 단위 모듈(1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붕(R)을 통해 실내로 연장된 경우, 사용자가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타단을 끌어당겨 이동 단위 모듈(112)의 높이 맞춤을 수행한 후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의 타단을 수직 고정 부재(155L,155R)에 고정시킬 수 있다.
수직 고정 부재(150L,150R)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높이 조정 후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감아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고정 부재(150L,150R)는 서로 마주보는 원판 형상의 제1 및 제2 압착 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압착 유닛에 대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동 단위 모듈(112)의 높이 조정 후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상기 제1 및 제2 압착 유닛 사이에 끼우기만 하면 탄성 유닛이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를 압착하여, 수직 조정 와이어(150L,150R)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고정 부재(155L,155R)는 고리 형상의 부재와 위에서 설명한 압착 방식을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을 위해서는 인접하는 단위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다. 전선부(미도시)는 인접하는 단위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 이동 단위 모듈(112)의 이동시에 전선부(미도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동 단위 모듈(112)의 이동에 동반하여 함께 이동되는 전선부(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미도시)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모서리 및 인접 단위 모듈(111b)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이동 단위 모듈(112)로부터 연장된 전선부(미도시)는 각 모서리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미도시)를 거쳐 인접 단위 모듈(111b)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동 단위 모듈(112)의 슬라이딩시에도 전선부(미도시)가 얽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선부(미도시)의 길이는 이동 단위 모듈(112)의 수평 이동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롤러(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전선부(미도시)의 길이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에 의하면, 태양광 모듈부의 일부 영역만을 자유롭게 오픈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환기와 투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R : 지붕
110 : 태양광 모듈부
111a,111b,111c,111d,112 : 단위 모듈
120: 지지부
125,125L-1,125R-1,125L-2,125R-2 : 수직 이동부
130: 모듈 이동부
140a,140b,140c,140d : 수평 고정 와이어
145a,145b,145c,145d : 수평 고정 부재
150L,150R : 수직 고정 와이어
155L,155R : 수직 고정 부재

Claims (9)

  1. 지붕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부가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 이동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고정 레일; 및
    상기 고정 레일 상에 적층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단위 모듈을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수평 조정 와이어; 및
    상기 지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 모듈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평 조정 와이어를 고정하는 수평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듈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될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을 상기 고정 레일에서 상기 이동 레일의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을 수직 이동시키는 상기 수직 이동부의 조정을 위한 힘을 인가하는 수직 조정 와이어; 및
    상기 지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 모듈의 수직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직 조정 와이어를 고정하는 수직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 부재 및 상기 수직 고정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원판 형상의 제1 및 제2 압착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압착 유닛에 대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조정 와이어 및 상기 수직 조정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압착 유닛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이동부는,
    상기 단위 모듈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 및
    상기 모듈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단위 모듈과 상기 스톱퍼의 접촉에 의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위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부; 및
    상기 단위 모듈의 수평 이동에 동반하는 상기 전선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부는 상기 단위 모듈의 수평 이동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갖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빛을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 및 빛을 통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개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모듈은 상기 개방부 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KR1020170132800A 2017-10-12 2017-10-12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KR20190041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800A KR20190041341A (ko) 2017-10-12 2017-10-12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800A KR20190041341A (ko) 2017-10-12 2017-10-12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41A true KR20190041341A (ko) 2019-04-22

Family

ID=6628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800A KR20190041341A (ko) 2017-10-12 2017-10-12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3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220105842A (ko) * 2021-01-21 2022-07-28 최도헌 캠핑카용 태양광 발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66B1 (ko) 2014-09-18 2015-03-04 주식회사 지에스기술단 태양광전지 모듈 가변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66B1 (ko) 2014-09-18 2015-03-04 주식회사 지에스기술단 태양광전지 모듈 가변 클램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2005001A1 (ko) * 2020-06-29 2022-01-06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220105842A (ko) * 2021-01-21 2022-07-28 최도헌 캠핑카용 태양광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976B1 (ko)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장착장치
KR101621315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660495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JP6304596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190041341A (ko)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 구조물
CN101662237B (zh) 追日式太阳能储能装置及其方法
KR20170111586A (ko) 태양전지모듈 및 배터리 일체형 구조를 갖는 led 가로등
KR20130059170A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WO2018151418A1 (ko) 태양광 발전 설비 장치
KR101227088B1 (ko) 추적형 비아이피브이 패널
KR101670331B1 (ko) 솔라셀 어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대 전력 생산 방법
KR20090003900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78184B1 (ko) 추적식 태양광발전 트랙커장치
KR101948007B1 (ko) 빌트인 태양광 발전시설
KR101986633B1 (ko) 옥상 난간용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US8375715B2 (en) Energy converter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power
KR101198702B1 (ko) 태양전지모듈 고정장치
CN108729702B (zh) 一种基于物联网的防盗性能良好的智能型通讯基站
KR102250487B1 (ko) 태양광 발전 패널 일체형 창호 시스템
CN113612434A (zh) 用于滩涂光伏的支架单体和由单体组成的光伏系统
KR20220166090A (ko) 각도 조절과 적층 수납이 가능한 IoT 연동 태양광 패널 구조체
KR101312093B1 (ko) 차량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91396B1 (ko) 창호형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KR102507871B1 (ko)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공공시설 스마트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