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528B1 -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528B1
KR102621528B1 KR1020200154912A KR20200154912A KR102621528B1 KR 102621528 B1 KR102621528 B1 KR 102621528B1 KR 1020200154912 A KR1020200154912 A KR 1020200154912A KR 20200154912 A KR20200154912 A KR 20200154912A KR 102621528 B1 KR102621528 B1 KR 10262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ethylene resin
astm
fus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027A (ko
Inventor
이경호
서정민
박주태
최예진
이기현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Abstract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 종래 온도에 의한 변형에 대해 폴리에틸렌의 전체 용융열 및 결정화도를 증대시키는 부분에만 초점을 두었으나, 전체 용융열이 높음에도 살균 과정 동안 변형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이 2.5 J/g 이하이고,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계수가 175 ㎛/(m·℃) 이하이고,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20시간 이상인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with reduced deforma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기를 밀봉하여 내용물의 누출이나 오염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유지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소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차음료, 커피음료 등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음료들은 미생물에 민감하기 때문에 해당 제품에 사용되는 병마개는 살균 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병마개 살균 방식에는 병과의 체결 전 병마개를 과산화수소 증기(90 내지 110℃)를 활용하는 스프레이(Spray) 방식과 과초산 수용액(60 내지 80℃)을 활용한 침지 방식이 있으며, 또한 음료의 고온 충진을 통해 병과의 체결 후 전도 살균을 하는 방식이 있다. 병마개가 체결 전 살균 공정들을 거칠 거칠 경우 밴드 부분에 변형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 변형으로 인해 병과의 체결 시 불량률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체결 후 전도 살균 과정에서도 30 내지 80℃의 온도 변화를 거치는 동안 변형 발생으로 맞춤성과 밀봉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420017호는 0~50℃ 온도 범위 내 40℃ 온도 차이에서 열림토크의 차이가 10% 미만으로 온도에 따른 열림토크의 변화를 최소화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병마개 살균 온도에서의 변형 방지에 적합하지는 않다.
한국 공개특허 제2020-0062920호는 밀도와 분자량 분포를 적절히 조절하여 내열 특성이 우수하고 산소 투과도가 낮으며, 수축에 의한 변형에 안정적인 마개용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개시하고 있으나, 내열성에 대해 가 낮으며, 수축에 소재 전체에 대한 용융열에 초점을 맞추는 데 그치고 있다.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 종래 온도에 의한 변형에 대해 폴리에틸렌의 전체 용융열 및 결정화도를 증대시키는 부분에만 초점을 두었으나, 전체 용융열이 높음에도 살균 과정 동안 변형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Heat of fusion)이 2.5 J/g 이하이고,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계수가 175 ㎛/(m·℃) 이하이고,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20시간 이상인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5 내지 5 g/10분이고, 용융흐름지수비(MFRR, MI21.6/MI2.16)가 70 내지 150이고 밀도(ASTM D1505)가 0.955 내지 97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200 내지 1,000 g/10분 및 밀도(ASTM D1505)가 0.965 내지 985 g/㎤이고, 상기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01 내지 1 g/10분 및 밀도(ASTM D1505)가 0.946 내지 96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일정 온도 영역에서 특정 수준의 용융열(Heat of fusion) 및 선팽창계수를 가질 때 병마개로 제조 시 살균 과정 동안 거치는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구현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 종래 온도에 의한 변형에 대해 폴리에틸렌의 전체 용융열이 높음에도 살균 과정 동안 변형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일정 온도 영역에서 특정 수준의 용융열 및 선팽창계수를 가질 때 병마개로 제조 시 살균 과정 동안 거치는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이 2.5 J/g 이하이고,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계수가 175 ㎛/(m·℃) 이하이고,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20시간 이상인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는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이용한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반응기를 사용하는 멀티모달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멀티모달 공정으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은 제1 반응기에서 폴리에틸렌 생성물이 중합되고, 시리즈 모드로 제2 반응기에서 연속적으로 공중합이 이루어진다. 두 개의 반응기는 상이한 조건으로 운전되며, 이러한 조건에 따라 폴리에틸렌의 물성 및 가공성을 제어할 수 있다. 멀티모달은 일반적으로 2개의 반응기를 사용하는 바이모달 공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물성 제어에 따라 많게는 6개까지 사용한다.
예컨대, 두 개 이상의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CSTR)에서 지글러-나타 촉매 시스템의 존재 하에서 폴리에틸렌을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소 및 지글러-나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으로부터의 제1 폴리에틸렌 생성물을 제1 반응기에서 중합하고, 제2 폴리에틸렌 생성물을 제2 반응기에서 1 내지 10 중량%의, 탄소수가 3 내지 20인 α-올레핀 공단량체를 공중합하되, 상기의 제1 반응기와는 상이한 중합 조건으로 중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응기에서 중합된 폴리에틸렌 생성물은 일렬로 연결된 제2 반응기에 흘려보내 제2 폴리에틸렌 생성물과 혼합되는 단계를 통해 원하는 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폴리에틸렌 생성물과 제2 폴리에틸렌 생성물의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용융열 및 선팽창계수 특성과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 달성 측면에서 각각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함량으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글러-나타 촉매는 전이금속 화합물이 주성분인 주촉매, 유기금속 화합물인 조촉매, 그리고 전자공여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를 말하며, 예컨대 티타늄, 마그네슘 및 할로겐을 중심으로 한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촉매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서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5 내지 5 g/10분이고, 용융흐름지수비(MFRR, MI21.6/MI2.16)가 70 내지 150이고 밀도(ASTM D1505)가 0.955 내지 975 g/㎤인 것이 채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8 내지 3 g/10분이고, 용융흐름지수비(MFRR, MI21.6/MI2.16)가 80 내지 120이고 밀도(ASTM D1505)가 0.960 내지 970 g/㎤인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5 g/10min 미만일 경우 흐름성이 저하되어 성형이 어렵고, 5 g/10min을 초과할 경우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마개의 보관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밀도가 0.955 g/㎤ 미만일 경우 역시 용융열 및 팽창 특성이 저하되어 성형된 병마개의 변형 및 체결 불량을 유발할 뿐 아니라, 강성 저하로 인한 마개의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0.975 g/㎤을 초과할 경우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마개의 보관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용융흐름지수비가 70 미만일 경우 환경응력균열저항성도 저하되고, 150을 초과하여 과도할 경우에는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은 우수하나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마개의 보관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측정방법에 따른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이 2.5 J/g 이하, 바람직하게는 2.4 J/g 이하이고,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계수가 175 ㎛/(m·℃) 이하, 바람직하게는 170 ㎛/(m·℃) 이하이고,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이 20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시간 이상으로서, 상기 물성 범위 내에서 병마개로 제조 시 살균 과정 동안 거치는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이 2.5 J/g를 초과할 경우 해당 영역에서 상 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결정의 양이 많기 때문에 살균 공정 중 병마개 밴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 계수가 175 ㎛/(m·℃)를 초과할 경우에도 온도에 따른 치수 변화로 인해 병마개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20시간 미만일 경우 병마개로 사용하여 밀봉 후 보관 시 마개에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 및 음료 변질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용융열, 선팽창계수 및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의 물성으로 0.5 내지 5 g/10분의 용융흐름지수, 70 내지 150의 용융흐름지수비 및 0.955 내지 975 g/㎤의 밀도를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이라면 그 구체적인 조성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200 내지 1,000 g/10분,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00 g/10분이고, 밀도(ASTM D1505)가 0.965 내지 985 g/㎤, 바람직하게는 0.970 내지 980 g/㎤이고, 상기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01 내지 1 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g/10분이고, 밀도(ASTM D1505)가 0.946 내지 965 g/㎤, 바람직하게는 0.950 내지 960 g/㎤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두 개 이상의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CSTR)에서 지글러-나타 촉매 시스템(주촉매 사염화티탄, 조촉매 디에틸알루미늄 및 전자공여체 에틸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지글러-나타 촉매계)의 존재 하에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된 지글러-나타 촉매 및 수소의 존재 하에, 에틸렌으로부터의 제1 폴리에틸렌 생성물을 제1 반응기에서 중합하고, 제2 폴리에틸렌(에틸렌 및 1-부텐(1.5 중량% 이하)의 공중합체) 생성물을 제2 반응기에서 중합하되, 제1 반응기에서 중합된 폴리에틸렌 생성물을 일렬로 연결된 제2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2 폴리에틸렌 생성물과 혼합되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제2 반응기에 투입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하여 하기 표 1의 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시험 평가용 압출 시편에 대해 하기 방법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용융흐름지수(MI, 2.16 kgf)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에서 측정하였다.
(2) 용융흐름지수비(MFRR)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에서 21.6 ㎏ 및 2.16 ㎏ 하중 하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의 비율로 측정하였다.
(3) 밀도
ASTM D 1505 밀도구배관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용융열(Heat of fusion)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TA Instrument Q200)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승온 속도 10℃/min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5) 선팽창계수(LCTE)
열기계분석법(Thermomechanical Analyzer; TMA)을 통해 상온에서 85℃까지 분당 5℃씩 승온시키고 다시 -45℃까지 급냉을 진행하여 샘플의 열 이력을 제거한 후, -45℃에서 80℃까지 분당 5℃씩 승온시켜 얻어진 결과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1의 선팽창계수 공식을 이용하여 30 내지 80℃ 범위에서의 평균 값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6)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
ASTM D1693 내 측정 규격 Condition B에 따라, 10 중량% IGEPAL CO-630 용액을 사용하여 50℃의 온도 조건하에서 F50(50% 파괴)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내환경 응력 균열성(ESCR)을 평가하였다.
(7) 밴드 변형 및 체결 불량성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축성형기로 성형한 병마개를 80℃ 물에 침지 후 건조시켜 밴드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여, 변형이 없을 경우 “O”, 변형의 정도가 10°이하인 경우 “△”, 10°를 초과한 경우 “X”로 나타내었고, 병마개를 500 ㎖ PET 용기에 18lb-in(인치)의 토크로 체결하여 제품의 높이 기준을 넘어섰거나 기울어져서 체결되었을 경우 “불량”으로 판정하여 불량률(20개 시험)을 확인하였다.
물성/평가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에틸렌 단독 중합체(A) MI g/10min 650 436 600 2.0 7.0 142
밀도 g/㎤ 0.976 0.975 0.976 0.957 0.959 0.974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B) MI g/10min 0.182 0.073 0.158 2.0 7.0 0.032
밀도 g/㎤ 0.955 0.956 0.945 0.957 0.959 0.940
혼합비율(A/B, 중량비) - 55/45 57.5/42.5 55/45 50/50 50/50 55/45
혼합품 MI g/10min 2.0 1.0 1.9 2.0 7.0 0.35
MFRR - 88 104 84 33 28 110
밀도 g/㎤ 0.967 0.966 0.962 0.957 0.959 0.959
녹는점 132 132 130 131 131 132
용융열 J/g 224 228 216 203 214 205
용융열 (≤80℃) J/g 2.33 2.13 3.27 2.64 2.21 3.11
LCTE(30~80℃) ㎛/(m·℃) 169 169 184 178 166 199
ESCR F50hr 30 20 35 14 7 200
성형품 밴드 변형 - X X O X O
체결 불량률 % 0 0 15 5 0 20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특정 물성을 가지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일정 수준의 흐름 특성 및 밀도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의 경우(실시예 1 및 2)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이 2.5 J/g 이하 수준,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계수가 175 ㎛/(m·℃) 이하 수준으로서 병마개 성형품의 밴드 변형 특성이 우수하고 체결 불량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20 이상 수준으로 마개의 보관 안정성에도 문제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낮은 밀도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가 적용되거나(비교예 1 및 4) 수지 조성물의 흐름성이 너무 낮을 경우(비교예 4) 용융열 및 선팽창계수가 과도해져 성형된 병마개의 변형 및 체결 불량이 발생하고, 낮은 밀도의 에틸렌 단독 중합체와 흐름성이 과도한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적용하여 수지 조성물 흐름성 또는 밀도가 본 발명에서 예정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비교예 2 및 3) 병마개의 변형 및 체결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지글러-나타계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80℃ 이하 영역에서의 용융열(Heat of fusion)이 2.5 J/g 이하이고, 30 내지 80℃ 영역에서의 선팽창계수가 175 ㎛/(m·℃) 이하이고,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이 20시간 이상인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용융열(Heat of fusion) 측정방법]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승온 속도 10℃/min 조건으로 측정함.
    [선팽창계수 측정방법]
    열기계분석법(Thermomechanical Analyzer; TMA)을 통해 상온에서 85℃까지 분당 5℃씩 승온시키고 다시 -45℃까지 급냉을 진행하여 샘플의 열 이력을 제거한 후, -45℃에서 80℃까지 분당 5℃씩 승온시켜 얻어진 결과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1의 선팽창계수 공식을 이용하여 30 내지 80℃ 범위에서의 평균 값을 측정함.
    [수학식 1]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 측정방법]
    ASTM D1693 내 측정 규격 Condition B에 따라, 10 중량% IGEPAL CO-630 용액을 사용하여 50℃의 온도 조건하에서 F50(50% 파괴)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내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을 평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5 내지 5 g/10분이고, 용융흐름지수비(MFRR, MI21.6/MI2.16)가 70 내지 150이고 밀도(ASTM D1505)가 0.955 내지 97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200 내지 1,000 g/10분 및 밀도(ASTM D1505)가 0.965 내지 985 g/㎤이고, 상기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I, 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01 내지 1 g/10분 및 밀도(ASTM D1505)가 0.946 내지 96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0200154912A 2020-11-18 2020-11-18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62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912A KR102621528B1 (ko) 2020-11-18 2020-11-18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912A KR102621528B1 (ko) 2020-11-18 2020-11-18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027A KR20220068027A (ko) 2022-05-25
KR102621528B1 true KR102621528B1 (ko) 2024-01-04

Family

ID=8179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912A KR102621528B1 (ko) 2020-11-18 2020-11-18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667A (ja) 2006-03-23 2007-11-01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ボトルキャップ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17B1 (ko) * 2012-11-12 2014-07-15 삼성토탈 주식회사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A3022996A1 (en) * 2017-12-04 2019-06-04 Nova Chemicals Corporation Bottle closure assembly comprising a polyethylene composition
KR20200062872A (ko) * 2018-11-27 2020-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고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667A (ja) 2006-03-23 2007-11-01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ボトルキャップ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027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5964C (en) Screw cap composition
EP2424729B1 (en)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a c4-c10 alpha olefin containing polyolefin
EP1819770B1 (en) Mult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 obtainable with high activity catalyst
US7592395B2 (en) Multimodal polyethylene for use in single piece beverage bottle caps and closures
EP2746334B1 (en) Polyethylene blend with improved ESCR
AU2002357492A1 (en) Screw cap composition
WO2015101667A1 (en) Polymer blend: hdpe with ethylene-norbornene or propylene-norbornene copolymer
EP3394167B1 (en) Polyethylene formulations with improved barrier and 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
KR102621528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20200062872A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성형품
KR102635449B1 (ko) 용기 마개용 폴리머 조성물
KR101675641B1 (ko)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2060559A (ja) 容器用ポリエチレン樹脂
EP3988615B1 (en)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bottle cap produced by the composition
KR20210059910A (ko) 음료의 맛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 된 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20230064987A (ko) 우수한 물성을 갖는 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A3203104A1 (en) Polymer composition for caps and closures
KR20200062920A (ko) 무균 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EP4163323A1 (en) Biaxially oriented film
EP3983482A1 (en) Injection molded caps or closures, and methods thereof
KR20220074104A (ko) 우수한 충격강도 및 내화학성을 갖는 부표용 폴리에틸렌 수지
KR20230094481A (ko)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