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278B1 -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278B1
KR102621278B1 KR1020230011883A KR20230011883A KR102621278B1 KR 102621278 B1 KR102621278 B1 KR 102621278B1 KR 1020230011883 A KR1020230011883 A KR 1020230011883A KR 20230011883 A KR20230011883 A KR 20230011883A KR 102621278 B1 KR102621278 B1 KR 10262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naire
information
smart
pati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건
서영희
김태일
신종준
이남규
석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화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화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화이즈
Priority to KR102023001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Abstract

본 개시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 및 의료기관 문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MART MEDICAL HISTORY TAKING}
본 개시는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My 데이터' 서비스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진이란, 환자에게 의료 처치를 수행하거나 의료 장비를 사용하기 전에 환자 본인 및 가족의 병력, 증상, 발병 시기, 경과 등에 대한 질문을 하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진은 의사의 진료에서 중요한 진단기법으로, 환자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에 따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진료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사전 문진표를 작성하게 하고 있다. 환자는 병원 방문 시 병원에서 제공하는 종이 문진표에 자신의 증상을 기재하고 그 외 여러 항목들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근래의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병원에서는 종이 문진표가 아닌 환자의 스마트폰, PC 등을 통하여 사전 문진표를 작성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종이로 문진표를 작성하실 때의 번거로움을 덜고,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 PC 등으로 편리하게 문진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마다 증상, 병력 등이 다르고 환자 또한 자신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사전 문진표가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딥러닝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기초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방법은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 및 의료기관 문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의료 기록 서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기록 서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문진 양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증상, 성별, 및 연령을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자동으로 작성된 제1 부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상기 환자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절차, 및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정보, 상기 환자의 공공기관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의료기관 진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절차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 및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으로부터 제1 스마트 문진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승낙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문진 양식의 항목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기입한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는,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승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 및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수신하는 단계;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승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y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상기 문진 정보 생성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자동으로 작성된 제1 부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환자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개인 건강 정보, 공공기관 정보,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고,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 및 의료기관 문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승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y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상기 문진 정보 생성 장치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y 데이터' 서비스에 기초하여 정확한 진료를 위한 스마트 문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My 데이터'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My 데이터'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My 데이터'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와 의료기관 서버가 통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각 동작은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 전체를 수식하고, 그 리스트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모두, B와 C 모두, A와 C 모두, A와 B와 C 전체, 또는 그 조합을 가리킨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라는 표현은, 그 시스템이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단말 또는 단말기는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스마트 워치,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 전체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는 컴퓨팅 장치로 지칭되거나, 컴퓨팅 장치에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포함되거나,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My 데이터'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에 근거해 국민 스스로 자신의 의료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관리하고 능동적으로 활용해 원하는 진료 및 건강관리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정보로, My 의료 데이터, 의료 My 데이터, 마이 데이터, 마이 의료데이터, 의료 마이 데이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y 데이터는 병원의 건강검진 정보, 문진 정보,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 식단추천 정보, 응급 진료 기록, 일상생활 속 건강기록, 진료 정보, 처방 정보, 건강 모니터링 정보, 보험 정보, 병원 예약 정보, 병원 대기 서비스 이용 정보, 약 먹을 시간 알림 정보, 유전자 검사 정보, 장내 미생물 검사 정보, 혈당 기록 정보, 혈압 기록 정보, 추천 운동 정보, 임상 기록 정보, 건강 기록 정보, 과거 진료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My 데이터 서비스란 개인이 자신의 건강정보를 한 곳에 모아서 원하는 대상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보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My 데이터를 이용한 문진 정보 생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희망 항목, 건강검진 요청 항목, 성별, 연령, My 데이터 등을 고려한 맞춤형 문진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획득하여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작성이 가능하며, 보다 정확한 문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스템 내에 진료 이력 또는 검진 이력이 있다면 저장되어 있는 문진표에서 변동사항만 입력하면 되므로 더욱 간편한 문진 작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1),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 문진 양식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105), 의료기관 서버(107)에 기초한 문진 정보 생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는 의료기관 서버(107)가 의료기관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도시일 뿐, 의료기관 서버(107)는 의료기관에 대응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의료 기관 서버(107)로부터 예진, 설문 등을 포함하는 의료기록 서식을 획득하고, 의료기록 서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진 양식을 생성하고, 복수의 문진 양식을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기관 서버(107)로부터 획득한 의료기록 서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진 양식을 생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의료 기관 서버(107)에 전달할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140) 정보에 의료기관에게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문진 양식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스마트 문진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107)는 사용자 단말(101)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서버(107)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병원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의료기관 서버(107)는 환자가 전화 등의 방법으로 예약하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107)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1)에 대응되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는 진찰을 받기 위하여 병원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검진을 받기 위하여 병원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환자는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와 대응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병들거나 다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검진을 받으려는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병원 예약 정보는 진료 예약 정보, 검진 예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료 예약 정보 또는 검진 예약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진료 희망 항목, 건강검진 요청 항목, 예약 일시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병원 예약 정보(11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의료기관 서버(107)로부터 병원 예약 정보(110)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병원 예약 정보(110)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병원 예약 정보(110)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문진 양식(120)은 사용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또는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은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의 학습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문진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사용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병원 예약 정보(11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문진 양식을 추출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은 i) 사용자가 예약한 진료 및/또는 검사의 시점 및 종류, ii)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등의 개인 정보, iii) 사용자의 이전 문진 응답 내용 등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사용자 단말(101)에게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 문진 양식(1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단말(101)은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은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120)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한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101)에 디스플레이하고, 업데이트된 스마트 문진 양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한 스마트 문진 양식은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진 양식의 일부에 대한 답변이 채워진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은 수신한 스마트 문진 양식(1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후에 'My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 입력 및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에게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된 부분과 자동으로 작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으로 작성된 부분이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작성된 부분이 아닌, 사용자 단말(101) 또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으로,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게 제공될 수도 있고, 항목이 채워진 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으로 작성된 부분은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답변이 생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는 환자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은 도 5c와 같은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140)을 생성할 수 있다.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140)은 의료기관 서버(107)가 사용하기 위한 정보의 형태로 생성되는 문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는 사전에 만들어진 질문에 대한 단순 텍스트 응답, 통증의 척도, 통증 부위를 나타내는 이미지, 병력을 확인하기 위한 가계도,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응답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로 획득된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130)를 의료기관 서버(107)가 요구하는 문진 형태인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140)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103)는 의료기관 서버(107)에게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140)을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07)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140)을 수신하여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My 데이터'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의료기관 서버(207)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에게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는 병원 식별자, 환자의 식별정보, 성명, 주소, 주민번호, 생년월일, 성별, 증상, 연령, 예약 날짜, 예약 진료과, 문진 요청 식별자, 문진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적 또는 검진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기관 서버(207)는 병원 예약 정보에 환자의 진료 기록, 검진 기록 등을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증상, 성별, 연령 등을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진 양식의 적어도 일부를 수정함으로써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을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마트 문진 양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학습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사용자 단말(203)에게 스마트 문진 양식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3)은 스마트 문진 양식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환자의 My 데이터 연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환자의 My 데이터 연계 절차는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절차 및 환자의 My 데이터 획득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My 데이터'는 My 데이터 관리 서버(201)에 저장되고, 환자의 My 데이터 연계 절차는 단계 240 내지 2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사용자 단말(203)은 My 데이터 관리 서버(201)에게 사용자 단말(203)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45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201)는 사용자 단말(203)의 접근 요청에 대한 정당성을 확인하고, 정당성이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3)에게 접근 승낙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정당성이 부정되는 경우, My 데이터 관리 서버(201)는 사용자 단말(203)에게 접근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201)는 접근 승낙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3)에게 사용자 단말(203)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My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3)에 저장되고, 환자의 My 데이터 연계 절차는 사용자 단말(203) 내에서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절차로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y 데이터'는 맞춤형 건강관리, 헬스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라이프로깅(Lifelogging) 플랫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y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인 디바이스 등에 의하여 수집된 건강 관련 정보, 운동 수행 정보, 수면 패턴 정보, 키, 체중, 혈중 산소도, 활동량, 스트레스 정보, 생활습관 정보, 맥박 정보, 혈당 정보, 식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y 데이터'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수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인 디바이스에 평소에 기록한 약물 종류, 약물의 복용 시간, 이상(고통) 부위, 이상(고통) 시간, 이상(고통) 정도 등을 'My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My 데이터'는 공공기관에 의해 수집된 정보(이하, 공공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 정보는 건강보험 정보, 예방접종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y 데이터'는 의료기관 진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진료정보는 진료 기록 정보, 약물 처방 정보, 검사 결과 정보, 상담 기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사용자 단말(203)은 수신한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3)은 수신한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답변을 채워 넣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모든 양식에 대한 답변이 채워진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3)은 'My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키, 몸무게 등이 입력된 스마트 문진 양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203)의 카메라 등을 통하여 통증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통증 유무, 통증 양상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270에서, 사용자 단말(203)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에게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3)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에게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3)은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와 함께 'My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고려할 수 있다.
단계 28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할 수 있다.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은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의료기관 서버(207)가 이용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되어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가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My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하고 의료기관 서버(207)가 이용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하여 생성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에는 문진 요청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29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205)는 의료기관 서버(207)에게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207)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에 포함된 문진 요청 식별자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정보시스템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My 데이터'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의료기관 서버(307)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에게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31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1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병원 예약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My 데이터 연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y 데이터 연계 절차는 단계 320 내지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에게 사용자 단말(3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접근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301)의 식별자, 환자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의 접근 요청에 대한 정당성을 확인하고, 정당성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325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정당성이 부정되는 경우,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에게 접근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40과 달리 단계 320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가 자신의 정보가 아닌 사용자 단말(30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므로 추가적인 인증 절차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가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에게 사용자 단말(30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근 요청을 전송하면,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가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1)에게 'My 데이터'에 대한 권한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1)로부터 'My 데이터'에 대한 권한 승낙을 수신하는 경우 단계 325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25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는 접근 요청에 대한 정당성이 확인되는 경우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에게 접근 승낙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305)는 접근 승낙 메시지에 기초하여,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에게 사용자 단말(3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50에서의 'My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 및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인공지능 모델의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환자의 진료를 위한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강화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강화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문진 양식들 또는 문진 문항들에 대하여 가중치를 설정하여 가중치가 높게 설정된 특정 개수의 양식 또는 문항을 추출하고, 추출된 결과로 구성된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3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한 문진 제출 및 진료 후, 의료진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양식에 대한 만족도를 수신하여 강화학습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일 뿐, 강화학습이 아닌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단계 35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사용자 단말(301)에게 생성한 스마트 문진 양식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사용자 단말(301)에 대한 'My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일부 문항에 대한 답변이 채워진 스마트 문진 양식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된 문항들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문진 양식이 사용자 단말(301)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 360에서, 사용자 단말(301)은 수신한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1)은 스마트 문진 양식을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 문진 양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 이미지, 영상 등을 획득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3)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통증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통증 유무, 통증 양상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370에서, 사용자 단말(301)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에게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8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은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의료기관 서버(307)가 이용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되어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에는 문진 요청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39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303)는 의료기관 서버(307)에게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307)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에 포함된 문진 요청 식별자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정보시스템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My 데이터'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의료기관 서버(407)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에게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41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1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는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42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2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는 사용자 단말(401)에게 스마트 문진 양식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1)은 스마트 문진 양식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사용자 단말(401)은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작성된 부분,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사용자 단말(401)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에게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는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에게 사용자 단말(4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접근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401)의 식별자, 환자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의 접근 요청에 대한 정당성을 확인하고, 정당성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465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정당성이 부정되는 경우,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에게 접근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40과 달리 단계 460은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가 자신의 정보가 아닌 사용자 단말(40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므로 추가적인 인증 절차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가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에게 사용자 단말(401)의 식별자 또는 'My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근 요청을 전송하면,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가 수신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401)에게 'My 데이터'에 대한 권한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01)로부터 'My 데이터'에 대한 권한 승낙을 수신하는 경우 단계 465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65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는 접근 요청에 대한 정당성이 확인되는 경우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에게 접근 승낙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70에서, My 데이터 관리 서버(405)는 접근 승낙 메시지에 기초하여,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에게 사용자 단말(4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50에서의 'My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48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는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 및 사용자 단말(401)에 대응되는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는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충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은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의료기관 서버(407)가 이용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되어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에는 문진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90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403)는 의료기관 서버(407)에게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407)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에 포함된 문진 식별자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정보시스템 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방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2 내지 도 4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2 내지 도 4에는 연속적인 동작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2 내지 도 4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함에 있어서 'My 데이터'를 고려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함에 있어서도 'My 데이터'를 고려하고, 도 4에서와 같이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함에 있어서도 'My 데이터'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는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스마트 문진 양식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원 하루 전에 사용자 단말에게 스마트 문진 양식이 전송되도록 문진 전송 알고리즘이 생성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은 예시에서 사용자 단말은 키와 몸무게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My 데이터'에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해당 칸이 채워진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해당 인터페이스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 및 'My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키와 몸무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키와 몸무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도 5b와 같이 통증 유무 및 통증 정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통증 유무 및 통증 정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증 정도는 의료기록, 'My 데이터' 및 인공 지능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객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통증에도 제1 환자는 매우 아픔으로 느끼고, 제2 환자는 보통으로 느낄 수 있다. 과거의 통증에 대한 감지 정도를 'My 데이터' 또는 의료 기록 등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통증 정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과거의 통증에 대한 감지 정도 및 통증 정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학습 모델의 입력으로 하여 객관적인 통증 정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관적인 통증 정도를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통증 유무 및 통증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도 5c와 같이 통증 부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 부위에 대한 정보는 글자,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의 형태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통증 부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도 5d와 같이 통증 양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단말은 통증 기간 및 빈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5a 내지 도 5d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다양한 UI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와 의료기관 서버가 통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기관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스마트 문진을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스마트 문진을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신저를 통한 메시지,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문진은 쉽게 배포할 수 있도록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마트 문진을 작성하고, 작성 결과를 문진 정보 생성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문진 정보 생성 장치는 수신한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는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에게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전송하고,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가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고,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와 문진 정보 생성 장치 사이의 허가된 IP(Internet Protocol)와 포트를 연계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는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수신하는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EMR 양식을 고려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에서 생성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수신한 의료기관은 별도의 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의료기관 자체의 EMR 시스템에서 이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은 스마트 문진 게이트웨이를 통해 문진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되고, 환자의 문진 정보와 진료 기록은 EMR 시스템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환자의 문진 정보에는 문진 작성 번호, 환자 등록 번호, 환자의 문진 발송 전화 번호, 환자의 문진 설문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문진 작성 번호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한 스마트 문진을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에 포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와 연계된 번호일 수 있다. 문진 작성 번호는 진료기록과 문진 연계를 위한 번호일 수 있다.
또한, EMR 시스템 내에는 환자의 진료 기록도 저장될 수 있다. 환자의 진료 기록에는 환자 등록 번호, 서식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문진 작성 번호와 진료 기록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문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와의 연계를 위해 의료 정보 시스템 내의 의료기관 서버에서 발급된 문진 작성 번호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는 송수신부(710), 메모리(720),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30)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710), 메모리(720), 및 프로세서(7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710)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 서버,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710)는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72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7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730)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G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30)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문진 정보 생성 장치(700)의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으로서,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라이프 로깅(lifelogging) 플랫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1 부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의료 기록 서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기록 서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문진 양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증상, 성별, 및 연령을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상기 환자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 및 상기 의료기관 문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절차, 및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정보, 상기 환자의 공공기관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의료기관 진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절차를 통하여 획득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 및 상기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문진 양식으로부터 제1 스마트 문진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승낙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마트 문진 양식의 항목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기입한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는,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승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 및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방법.
  9.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문진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수신하는 단계;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승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y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라이프 로깅(lifelogging) 플랫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함; 및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상기 문진 정보 생성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환자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개인 건강 정보, 공공기관 정보,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13.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병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별 맞춤 문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문진 양식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에 기초하여,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생성하고,
    상기 문진 유형별 의료기관 문진을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라이프 로깅(lifelogging) 플랫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1 부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
  14.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문진 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스마트 문진 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문진 양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My 데이터 관리 서버에게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My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My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My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승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y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생성하고 -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는 라이프 로깅(lifelogging) 플랫폼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y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함,
    상기 스마트 문진 작성 결과를 상기 문진 정보 생성 장치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30011883A 2023-01-30 2023-01-30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2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883A KR102621278B1 (ko) 2023-01-30 2023-01-30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883A KR102621278B1 (ko) 2023-01-30 2023-01-30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278B1 true KR102621278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883A KR102621278B1 (ko) 2023-01-30 2023-01-30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2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0437A (ja) * 2020-10-27 2022-05-13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フォレスト 問診システム、問診方法及び問診プログラム
KR20220072049A (ko) *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오퍼스원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프로그램
KR20220131480A (ko) * 2021-03-21 2022-09-28 강민호 응급환자 진단 시스템
KR20230000664A (ko) *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한울아이씨티 문진 문항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0437A (ja) * 2020-10-27 2022-05-13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フォレスト 問診システム、問診方法及び問診プログラム
KR20220072049A (ko) *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오퍼스원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프로그램
KR20220131480A (ko) * 2021-03-21 2022-09-28 강민호 응급환자 진단 시스템
KR20230000664A (ko) *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한울아이씨티 문진 문항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11195A1 (en) System And Method Of User Identity Validation in a Telemedicine System
US10913209B2 (en) Methods and system for improving patient engagement via medical avatars
Lee et al. Using telemedicine to support care for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qualitative analysis of patients’ perspectives
US20150046183A1 (en) Remote, virtual physical exam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US20120278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therapeutic treatment protocols within trusted health-user communities
JP2004514982A (ja) 疾患管理を医師ワークフローにて統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092235A (ja) 医療機関紹介システムと方法
WO2010118327A2 (en) Targeted health care content delivery system
CN109478425A (zh) 按需全点远程医疗会诊的系统和方法
CN109065183B (zh) 问诊对话模板生成及问诊数据获取方法、装置
US20100063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Patient Access to a Patient Electronic Health Records
Roger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wireless connected devices, and body sensor networks in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Sawyer Wearable Internet of Medical Things sensor devices, artificial intelligence-driven smart healthcare services, and personalized clinical care in COVID-19 telemedicine
WO201214881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naging trusted health-user communities
JP7388356B2 (ja) 医療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療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医療用情報処理方法
Abedin et al. AI in primary care, preventative medicine, and triage
KR102621278B1 (ko) 스마트 문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Riffat et al. An interactive tele-medicine system via android application
KR20170061251A (ko)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CN109698025A (zh) 医疗信息管理系统及方法
US20210375411A1 (en) Digital advance healthcare directive management
KR100902359B1 (ko) 계속 진료문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Wolfgang Telemedicine expands oncology care options
Punnoose et al. Adult hearing loss
KR102556812B1 (ko) 환자주도 지능형 간호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