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851B1 - 페달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851B1
KR102620851B1 KR1020210193358A KR20210193358A KR102620851B1 KR 102620851 B1 KR102620851 B1 KR 102620851B1 KR 1020210193358 A KR1020210193358 A KR 1020210193358A KR 20210193358 A KR20210193358 A KR 20210193358A KR 102620851 B1 KR102620851 B1 KR 10262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usher member
pedal
push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892A (ko
Inventor
박태상
정충표
신동환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9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85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페달 시뮬레이터가 개시된다. 본 페달 시뮬레이터는, 페달, 페달의 스트로크에 연동되어 제1 축을 따라 이동하고, 전단에 제1 축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푸셔 부재 및 푸셔 부재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반력 부재를 포함하고, 반력 부재는, 제1 경사면과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푸셔 부재에 밀려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따라 이동하는 쐐기 부재 및 쐐기 부재를 푸셔 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달 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본 개시는 정확한 답력 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개선된 구조를 갖는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달 시뮬레이터는, 복수의 스프링이 서로 직렬로 배치되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정확한 답력 특성을 모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은 과도하게 압축됨에 따라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이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됨에 스프링의 압축력과 자유 길이가 감소되어 정확한 답력 특성을 모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정확한 답력 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개선된 구조를 갖는 페달 시뮬레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페달, 상기 페달의 스트로크에 연동되어 제1 축을 따라 이동하고, 전단에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푸셔 부재 및 상기 푸셔 부재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반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력 부재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 부재에 밀려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따라 이동하는 쐐기 부재 및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푸셔 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력 부재는, 상기 제2 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쐐기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이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제2 경사면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 부재에 밀리면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제2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페달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1 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셔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푸셔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력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자유 길이와 밀착 길이의 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푸셔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따라 일정한 너비를 갖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달 시뮬레이터는, 상기 푸셔 부재 및 상기 쐐기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쐐기 부재에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은, 전방을 따라 상기 제1 축과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푸셔 부재 및 반력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페달의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푸셔 부재가 전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페달의 스트로크와 답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페달(10), 베이스(20), 제1 내지 제2 조인트 핀(31, 32, 33), 포텐셔 미터(40), 커넥팅 로드(50), 푸시 로드(60), 리니어 부시(70), 프레임(80), 로드셀(90), 푸셔 부재(100) 및 반력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1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일단(11) 및 제1 브라켓(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단(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인트 핀(31)은, 페달(10)의 타단(12)을 제1 브라켓(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라켓(21)은 베이스(20)의 상면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20)는 제1 브라켓(2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1)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사이에 배치된 페달(10)의 타단(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브라켓(22)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제1 브라켓(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80)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제2 브라켓(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80)은 “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80)은 후술할 푸셔 부재(100) 및 반력 부재(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지지할 수 있다.
제2 조인트 핀(32)은, 페달(10)의 중간부와 커넥팅 로드(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3 조인트 핀(33)은, 커넥팅 로드(50)와 푸시 로드(6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리니어 부시(70)는, 제2 브라켓(22)에 고정되고, 수평하게 배치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니어 부시(70)는, 푸시 로드(60)에 의해 관통되어 푸시 로드(6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페달(10)이 회전하면, 커넥팅 로드(50)에 의해 푸시 로드(60)가 전방으로 밀리고, 푸시 로드(60)는 리니어 부시(70)에 삽입된 상태로 전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포텐셔 미터(40)는, 제1 브라켓(21)에 고정되며, 페달(1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로드셀(90)은 푸셔 부재(100)와 일체로 이동하고, 푸셔 부재(100) 및 푸시 로드(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셀(90)은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반력을 측정할 수 있다.
푸셔 부재(100)는 푸시 로드(60)와 연결되어 일체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의 동작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페달(10)을 밟아 회전시키면, 페달(10)의 중간부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50)는 기울어지면서 푸시 로드(6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푸시 로드(60)는 리니어 부시(70)에 삽입된 상태로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고, 푸셔 부재(100)는 푸시 로드(60)와 일체로 전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반력 부재(20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반력을 푸셔 부재(100)에 가하여, 푸셔 부재(100)는 반력 부재(200)에 의하여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포텐셔 미터(40)는 페달(1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페달(10)의 스트로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로드셀(90)은, 푸셔 부재(100)와 푸시 로드(60)의 사이에 위치하여, 반력 부재(200)에 의해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답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포텐셔 미터(40) 및 로드셀(90)을 통하여, 페달(10)의 스트로크와 답력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3은 푸셔 부재 및 반력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페달의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푸셔 부재가 전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페달의 스트로크와 답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셔 부재(100)는 페달(10)의 스트로크에 연동되어 제1 축(A1)을 따라 이동하고, 전단(101)에 제1 축(A1)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121)은, 전방을 따라 제1 축(A1)과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반력 부재(200)는, 푸셔 부재(10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반력 부재(200)는 푸셔 부재(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반력 부재(200)는, 쐐기 부재(210) 및 탄성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쐐기 부재(210)는, 제1 경사면(121)과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제2 경사면(211)을 포함하고, 푸셔 부재(100)에 밀려 제1 축(A1)과 수직인 제2 축(A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쐐기 부재(210)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21)에 각각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쐐기 부재(210)의 제2 경사면(211)은 한 쌍의 제1 경사면(121)과 각각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쐐기 부재(210)를 푸셔 부재(10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경사면(121, 211)이 면 접촉한 상태에서, 푸셔 부재(100)가 전진하면, 탄성 부재(22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쐐기 부재(21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푸셔 부재(100)에 반력을 가할 수 있다.
반력 부재(200)는, 제1 가이드 로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로드(230)는, 제2 축(A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쐐기 부재(2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압축 스프링이고, 제1 가이드 로드(2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80)은, 푸셔 부재(100) 및 쐐기 부재(21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프레임(80)에 연결되는 일단(221) 및 쐐기 부재(210)에 연결되는 타단(222)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부재(100)는, 메인 영역(110) 및 경사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110)은, 제1 축(A1)을 따라 일정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경사 영역(120)은, 메인 영역(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제1 경사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부재(100)가 전진함에 따라, 쐐기 부재(210)는 푸셔 부재(100)의 경사 영역(120)을 먼저 가압하고, 이후 푸셔 부재(100)의 메인 영역(110)을 가압할 수 있다.
쐐기 부재(210)가 경사 영역(120)을 가압할 때,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탄성 부재(220)가 압축될 수 있다. 쐐기 부재(210)가 메인 영역(110)을 가압할 때,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와 무관하게 탄성 부재(220)는 기설정된 길이만큼 압축될 수 있다.
푸셔 부재(100)의 제1 경사면(121)의 제2 축(A2) 방향으로의 길이(D1)는, 탄성 부재(220)의 자유 길이와 밀착 길이의 차보다 작을 수 있다.
탄성 부재(220)의 자유 길이는, 탄성 부재(22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의 탄성 부재(220)의 제2 축(A2)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탄성 부재(220)의 밀착 길이는, 탄성 부재(220)가 최대로 압축되어 인접한 코일끼리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220)의 제2 축(A2)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셔 부재(100)가 전진하여도, 탄성 부재(220)는 밀착 길이보다 충분히 긴 길이로 압축되므로 변형되지 않고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20)의 탄성 계수는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정확한 답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쐐기 부재(210)는, 삽입홀(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쐐기 부재(210)의 삽입홀(212a)은, 제2 경사면(211)의 반대면(212)에 형성되고, 제1 가이드 로드(230)의 일단(231)이 삽입될 수 있다. 쐐기 부재(210)는, 푸셔 부재(100)에 밀리면 제1 가이드 로드(230)를 따라 제2 축(A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페달 시뮬레이터(1)는, 제2 가이드 로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로드(300)는, 제1 축(A1)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 부재(100)를 관통하여 푸셔 부재(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푸셔 부재(100)는 후단에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부재(100)의 플레이트(130)는 복수로 구비된 제2 가이드 로드(3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는 제2 가이드 로드(30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제1 축(A1)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셔 부재(100)는 제2 가이드 로드(3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축(A1)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반력 부재(200)는, 제1 축(A1)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반력 부재(200)는 2쌍(4개), 3쌍(6개) 또는 4쌍(8개)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반력 부재(200)는 제1 축(A1)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와 도 5를 참조하여, 푸셔 부재(100)가 전진함에 따라 반력 부재(200)에 의해 가해지는 반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한다. 반력 부재(200)는, 제1 축(A1)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내지 제4 반력 부재(201, 202, 202, 20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력 부재(200)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의 L축은 페달(10)의 스트로크 또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를 의미하고, P축은 페달(10) 또는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반력 또는 답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페달(10)을 밟기 전, 푸셔 부재(100)는 한 쌍의 제1 반력 부재(201)에 의해 P0의 예압이 가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반력 부재(201)의 쐐기 부재(210)는, 푸셔 부재(100)의 경사 영역(12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페달(10)을 밟기 시작하면, 푸셔 부재(100)는 제1 축(A1)을 따라 L1만큼 전진하고, 한 쌍의 제1 반력 부재(201)의 쐐기 부재(210)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고, 탄성 부재(22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반력은 S1 구간에서 P0에서 P1으로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페달(10)을 더 밟으면, 푸셔 부재(100)는 제1 축(A1)을 따라 L2만큼 전진하고, 한 쌍의 제2 반력 부재(202)의 쐐기 부재(210)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고, 탄성 부재(22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1 반력 부재(201)의 쐐기 부재(210)는 고정된 위치에서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와 무관하게 푸셔 부재(100)의 메인 영역(110)을 P1만큼의 일정한 반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반력은 S2 구간에서 P1에서 P2로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4d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페달(10)을 더 밟으면, 푸셔 부재(100)는 제1 축(A1)을 따라 L3만큼 전진하고, 한 쌍의 제3 반력 부재(203)의 쐐기 부재(210)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고, 탄성 부재(22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1 및 제2 반력 부재(201, 202)의 쐐기 부재(210)는 고정된 위치에서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와 무관하게 푸셔 부재(100)의 메인 영역(110)을 P2만큼의 일정한 반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반력은 S3 구간에서 P2에서 P3로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4e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페달(10)을 더 밟으면, 푸셔 부재(100)는 제1 축(A1)을 따라 L4만큼 전진하고, 한 쌍의 제4 반력 부재(204)의 쐐기 부재(210)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고, 탄성 부재(22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1 내지 제3 반력 부재(201, 202, 203)의 쐐기 부재(210)는 고정된 위치에서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와 무관하게 푸셔 부재(100)의 메인 영역(110)을 P3만큼의 일정한 반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셔 부재(100)에 작용하는 반력은 S4 구간에서 P3에서 P4로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포텐셔 미터(40) 및 로드셀(90)을 통하여, 페달(10)의 스트로크와 답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를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푸셔 부재(10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계속 압축되는 것이 아니라 밀착 길이보다 충분히 긴 길이로 압축되므로 변형되지 않고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20)의 탄성 계수는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답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페달 시뮬레이터 10: 페달
100: 푸셔 부재 121: 제1 경사면
200: 반력 부재 210: 쐐기 부재
211: 제2 경사면 220: 탄성 부재

Claims (10)

  1. 페달;
    상기 페달의 스트로크에 연동되어 제1 축을 따라 이동하고, 전단에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푸셔 부재; 및
    상기 푸셔 부재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반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력 부재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 부재에 밀려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따라 이동하는 쐐기 부재 및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푸셔 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자유 길이와 밀착 길이의 차보다 작은, 페달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부재는,
    상기 제2 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쐐기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이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페달 시뮬레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제2 경사면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 부재에 밀리면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제2 축을 따라 이동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셔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푸셔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페달 시뮬레이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따라 일정한 너비를 갖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 영역을 포함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부재 및 상기 쐐기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쐐기 부재에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은, 전방을 따라 상기 제1 축과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페달 시뮬레이터.
KR1020210193358A 2021-12-30 2021-12-30 페달 시뮬레이터 KR10262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358A KR102620851B1 (ko) 2021-12-30 2021-12-30 페달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358A KR102620851B1 (ko) 2021-12-30 2021-12-30 페달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92A KR20230102892A (ko) 2023-07-07
KR102620851B1 true KR102620851B1 (ko) 2024-01-04

Family

ID=8715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358A KR102620851B1 (ko) 2021-12-30 2021-12-30 페달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8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456A (ja) * 2013-03-05 2014-09-18 Fuji Heavy Ind Ltd ペダル装置
JP2018058384A (ja) * 2016-09-30 2018-04-1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反力付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3959B2 (ja) * 2014-07-16 2018-09-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倍力装置、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及び抵抗力付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456A (ja) * 2013-03-05 2014-09-18 Fuji Heavy Ind Ltd ペダル装置
JP2018058384A (ja) * 2016-09-30 2018-04-1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反力付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92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386B2 (en) Pin bending device
US9681746B1 (en) Platform on desktop with elevation function
CN101587024B (zh) 用于按键寿命测试的压头装置
DE102013217475B4 (de) System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messkraftschwellen in einem kraftmessenden messschieber
KR102620851B1 (ko) 페달 시뮬레이터
US6526837B1 (en) Screw action grip with adjustable stiffness and alignment guides
DE102008025384A1 (de) Verbinder einer doppelseitigen Verbindungsart mit einem flexiblen internen Mechanismus
EP3073485B1 (en) Support assembly and keyboard apparatus
DE742426T1 (de) Selbsttragender Gewichtsensor und damit ausgestattete Waage
KR20090106034A (ko) 비지에이 테스트소켓
KR102627259B1 (ko) 페달 시뮬레이터
CN101281212A (zh) 探针组装体
KR101959471B1 (ko) 벤딩 장치
TWI712799B (zh) 兩段式行程之檢測裝置及使用該檢測裝置的檢測平台
CN219417620U (zh) 测试工装
DE112017003687T5 (de) Klaviaturvorrichtung
KR101981275B1 (ko) 압입 충격 시험기
US7194819B2 (en) Opposed type fulcrum member of lever detector
KR102281304B1 (ko) 웨더스트립 시험장치
US8865989B1 (en) Kinetic measurement of piano key mechanisms for inertial properties and keystroke characteristics
CN218329721U (zh) 一种数显螺纹深度规
CN215179256U (zh) 一种利用压入方式对材料力学性能进行测试的装置
DE2112107C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von Kontaktfedern
CN216386280U (zh) 弹簧试验机
KR102369302B1 (ko) 압축 타입 힌지 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