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845B1 -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 Google Patents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845B1
KR102620845B1 KR1020200177599A KR20200177599A KR102620845B1 KR 102620845 B1 KR102620845 B1 KR 102620845B1 KR 1020200177599 A KR1020200177599 A KR 1020200177599A KR 20200177599 A KR20200177599 A KR 20200177599A KR 102620845 B1 KR102620845 B1 KR 10262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object detection
security device
preset
detection b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162A (ko
Inventor
송동수
고혜정
송인옥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8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06Ballistically deployed systems for restraining persons or animals, e.g. ballistically deployed n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체 및 상기 외형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외형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과부를 구비하는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로 접근하는 물체를 탐지하는 물체탐지수단;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외형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인 내부정보의 획득을 차단하는 보안수단; 상기 물체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통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될 경우 상기 보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OBJECT DETECTION BASED WINDOW SECURITY DEVICE}
본 발명은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에서 내부 정보에 접근하는 물체를 미연에 탐지한 후 차단하여 내부의 정보 침해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보안장치는 문이나 창문 등의 출입이 가능하거나 내부가 보이는 곳을 통해 이루어지는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안장치는 주로 문이나 창문 등에 센서를 달아 허가되지 않은 출입이 감지되면 불법 침입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보안업체에 통보한다.
그러나 최근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 또는 벌이 윙윙거리는 소리를 따 만들어진 이름인 드론(drone)과 관련한 기술이 발전함과 함께, 민간에서 쉽게 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드론은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공중에 뜰 수 있으며, 프로펠러의 특성상 특정 위치에 머무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촬영카메라로써 사용이 가능하며 드라마, 영화, 지형 촬영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민간(개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유로 조종이 미숙한 경우 추락과 사고의 위험이 있을뿐더러 애초 군사용으로 개발된 드론이 가지고 있는 기능적 특성은 범죄나 테러에 악용 될 수 있으며, 카메라를 달아 몰래 사진, 영상을 찍는 등 사생활 침해의 위험도 존재한다.
미래에는 드론의 사용처 및 사용빈도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위와 같이 드론을 악용하는 사례도 존재하기에 악용된 드론을 무력화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4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투명한 창문이나 출입구 등으로 접근하는 비행체를 탐지하여 창문이나 출입구를 차단하여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드론을 무력화하여 촬영된 사진 및 영상을 수집하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체 및 상기 외형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외형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과부를 구비하는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로 접근하는 물체를 탐지하는 물체탐지수단;과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외형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인 내부정보의 획득을 차단하는 보안수단;과 상기 물체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통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될 경우 상기 보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수단은 레이더(Radar), 무선전파 신호 감지(RF Sensing), 전기 광학(Electro-optical), 자기(Magnetic Detection) 및 음향(Acousti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수단은 상기 건물의 창문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를 차단하는 차단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하고, 상기 차단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수단은 일정 공간 내의 상기 물체를 무력화시키는 무력화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비행체가 규칙성을 가지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무력화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비행체가 규칙성을 가지지 않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 긴급 전원을 공급하는 긴급 전원 공급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물체를 기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비행체가 아님이 확인된 경우 상기 보안수단 및 상기 건물 창문의 개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건물 외부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력화부는 상기 물체에 고출력 방해 신호를 송출하여 작동을 제한시키는 제1 무력화기; 및 상기 물체에 그물망을 발사하여 포획하는 제2 무력화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력화기는 상기 물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그물망을 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안수단이 작동될 경우 경고 문자 발송 및 경고음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경고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는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가 자연적으로 비행하게 된 물체인지 인위적인 비행체인지 구분하여 건물 내부의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위적 비행체로 판단된 경우 비행체를 포획하여 내부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파악하여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에 접근하는 비행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창문 및 출입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창문보안장치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가 탐지될 경우 경고음 및 경고문자를 발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의 차단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에서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가 비행체로 확인되었을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에서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가 비행체로 판단된 상태에서 규칙성을 가지는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의 차단부(210)의 정면도이다.
도 1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체 및 상기 외형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외형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과부(110)를 구비하는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로 접근하는 물체를 탐지하는 물체탐지수단(100);과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110)를 통해 상기 외형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인 내부정보의 획득을 차단하는 보안수단(200);과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통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될 경우 상기 보안수단(2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형체는 외형을 가지는 것으로 출입구 및 창문이 형성되어 있는 건물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110)는 투명한 재질(유리)로 형성된 창일 수 있으며 입구나 건물 외벽 자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경우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안수단(200)은 외부의 물체가 상기 투과부(110)를 통해 촬영할 경우 투과부(110)에 블라인드 및 차단막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투과부(110)를 기준으로 외부와 내부의 정보 교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무력화시킴으로써 정보 탈취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보안수단(200)의 일 실시예로 창문,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물체의 접근이 탐지될 경우 완전 차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은 레이더(Radar), 무선전파 신호 감지(RF Sensing), 전기 광학(Electro-optical), 자기(Magnetic Detection) 및 음향(Acousti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은 비행체를 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상의 움직이는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는 전통적으로 날아다니는 물체를 탐지하는데 특화된 기술이다. 그러나 레이더의 설치지점 아래 및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사각지대가 많은 문제가 있다. 가장 강점은 3km 이내거리의 초소형 드론 추적에서는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파 신호 감지는 비행체가 무선 연결을 통해 신호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추적하는 기술이다. 어두운 곳, 안개낀 곳 등에서도 탐지가 가능하고 비행체와 조종자를 모두 찾을 수 있지만, 경로가 이미 입력되어 자율 비행하는 드론에는 사용이 불가하다.
상기 전기 광학 기술 기반 탐지는 자외선, 적외선을 이용하여 드론의 가시 이미지나 드론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 이미지를 식별해 탐지하는 기술이다.
상기 자기 감지는 전자기장에 영향을 미치는 금속 물체를 감지하는 기술이다. 큰 금속 부품을 주로 감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용 드론과 같은 작거나 금속 부품이 최소화된 드론에는 탐지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음향 감지 방법은 비행체의 프로펠러 회전, 엔진 구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이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을 통해 탐지된 물체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어수단(300)이 상기 보안수단(200)을 제어하는 구성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에서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가 비행체로 확인되었을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안수단(200)은 상기 건물의 창문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를 차단하는 차단부(210);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300)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기준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하고, 상기 차단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투과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광학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은 상기 건물에서부터의 일정거리 이격된 공간을 뜻한다. 일례로 상기 건물을 기준으로 4km반경의 공간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건물 근처에 다른 건물이 많이 있는 경우 건물과 건물 사이 간격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그 외에 건물에 의해 막히지 않은 상측 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체공시간은 자연적으로 비행하게 된 물체(나뭇가지, 새 등)와 인위적으로 비행하는 물체(드론, 무인비행기 등)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써 일례로 30초, 1분, 2분, 5분 등 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바람에 의해 공중으로 상승하게 된 나뭇가지나 날아다니는 새 등이 체공이 불가능한 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시간 이상을 체공하면서 움직인 거리가 짧고, 상기 건물에서 거리가 먼 경우(예로써 4km 이상의 거리), 상기 물체를 위험하지 않은 선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어 비행체로 판단하되 상기 차단부(210)를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단부(21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상기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기설정된 체공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상을 비행하는 물체에 대해서 비행체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차단부(210)를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비행체로 판단된 물체에 의해 상기 건물 내부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과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건물 외부와 내부를 차단한다.
상기 제어는 작동 또는 해제일 수 있으나, 상기 물체가 비행체로 판단된 경우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0)의 작동은 상기 투과부(110)를 차단하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기설정된 체공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하 비행하는 물체에 대해서는 보안에 있어서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차단부(210)를 개방(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제로 인하여 상기 투과부(110)는 기존의 창문, 출입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부(210)는 상기 물체에 의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물체가 머무는 동안은 지속적으로 상기 차단부(210)를 제어하여야 하며 상기 물체를 조종하는 사람 혹은 단체의 정체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을 통해 탐지된 물체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어수단(300)이 상기 보안수단(200)을 제어하는 구성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보안장치에서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가 비행체로 판단된 상태에서 규칙성을 가지는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수단(200)은 일정 공간 내의 상기 물체를 무력화시키는 무력화부(220);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300)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비행체가 규칙성을 가지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무력화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안수단(200)은 상기 차단부(210)와 함께 무력화부(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체가 비행체로 판단된 상태에서 규칙성을 가진 경우 인위적인 비행체일 확률이 매우 높고 보안상으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력화부(220)는 상기 물체를 조종(움직일 수 없는)할 수 없는 상태를 만들어 상기 건물의 내부를 촬영하는 행위 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규칙성은 상기 물체가 상기 건물쪽을 향해 비행하면서 흔들림이 비교적 적고, 먼 거리(1km 이상)를 직선비행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규칙성은 새에게는 보이지 않는 형태로 전형적인 비행체(드론, 무인 비행기 등)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상기 무력화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를 무력화시키는 경우 상기 물체를 회수할 수 있게 되고 회수된 물체를 통해 촬영된 영상 및 이미지를 수집하고 배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차단부(210)만을 이용하는 제1 실시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를 이용한 재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비행체가 규칙성을 가지지 않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력화부(220)에 의하여 상기 물체를 무력화시키는 경우, 상기 물체가 훼손될 수 있으며 무력화된 물체가 바닥에 떨어짐으로 인해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 때문에, 해당 물체가 비행체로 판단된 상태에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무력화부(220)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상기의 규칙성을 기준으로 상기 건물의 보안을 위협하는 비행체가 아님이 판단된 경우 상기 무력화부(220)를 제어하지 않고, 상기 차단부(210)만을 제어하여 혹시라도 있을 정보탈취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합적,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창문보안장치는 상기 건물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 긴급 전원을 공급하는 긴급 전원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체탐지수단(100), 보안수단(200) 및 제어수단(300)은 모두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장치이다. 이 때, 전원은 상기 건물에 형성되어 있는 자체적인 전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에 문제가 생기거나 번개 등으로 인해 상기 건물이 정전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을 긴급 전원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할 수 있을 수 있다.
상기 긴급 전원 공급수단은 자체적으로 가진 배터리를 운용하여 상기 건물의 전원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수단이 사용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발전(가스, 석유 등)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물체를 기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비행체가 아님이 확인된 경우 상기 보안수단(200) 및 상기 건물 창문의 개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를 비행체와 비행체가 아님을 구분하게 되는데, 비행체일 경우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비행체가 아닌 경우 상기 보안수단(20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일례로 상기 물체가 비행체가 아님이 판단되었다 하더라도, 체공시간을 이용하여 비행체가 아닌 것처럼 움직이는 비행체일 수 있는 관계로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은 해당 물체를 지속적으로 탐지하며,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위협적인 움직임이 있을 경우 상기 보안수단(2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체공시간을 기준으로 비행체가 아님이 판단된 경우 상기 투과부(110)는 일반 창문 또는 출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창문은 상기 보안수단(200)이 설치되며 상기 창문 역시 자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창문은 상기 건물 외부 환경와 내부 환경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 환경이 상쾌하게 유지되도록 자동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창문의 개방은 상기 건물 내부 환경이 상쾌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창문이 개방될 때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일례로, 일산화탄소 -> 라돈 -> 휘발성 유기화합물 -> 아황산가스 -> 이상화질소 -> 이산화탄소 -> 오존 -> 미세먼지 -> 자외선 -> 적외선 순으로 위험성을 판단하여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건물 내부에 일산화탄소가 존재하여 창문을 개방함과 외부의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창을 폐쇄함이 동시에 측정될 경우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창문의 개방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건물 외부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물에서 일정거리(4km) 이내의 물체는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거리에 있는 물체는 탐지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지상으로 접근하여 상기 건물 근처에서 비행체를 띄워 공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건물 근처에 있는 사람이 직접 파악하거나 공격 정보를 미연에 획득하여 상기 보안수단(200)을 원격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원격 조정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리모컨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스마트폰, 노트북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라인을 통해 원격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조정은 상기 제어수단(300)의 단점(일정 시간 이상 체공해야 비행체로 판단됨)을 보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력화부(220)는 상기 물체에 고출력 방해 신호를 송출하여 작동을 제한시키는 제1 무력화기 및 상기 물체에 그물망을 발사하여 포획하는 제2 무력화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력화기는 드론 및 무인 비행체를 포획하는 방법 중에 비파괴적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고출력 방해 신호를 송출하여 정산 신호와 간섭을 일으켜 드론과 원격조종장치 간 통신 신호 및 GPS 신호와 같은 모든 무선 통신을 일시에 교란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신호 교란 방법은 거리에 크게 구애 받지 않으며 상기 물체의 위치가 명확하게 파악될 경우 쉽게 제압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체는 해당 공격을 받으면 방향을 잃고 추락하게 되므로 손쉽게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제2 무력화기는 그물망을 발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물망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를 포획하는 방법은 상기 물체가 상기 건물 근처로 접근하였을 경우 가장 확실하게 포획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물체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물체보다 큰 그물망을 넓게 발사하여 포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그물망의 경우 발사 거리(10 ~ 20m)에 한계가 있다.
그 이상의 거리에 있는 물체에 대해서는 포획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무력화기를 통해 제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력화기는 상기 물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그물망을 발사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크기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그물망을 발사하여 상기 물체를 포획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력화기는 단일개 구비될 수 있으나, 다양한 크기의 제2 무력화기가 상기 건물 외벽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력화기의 일례로는 상기 그물망을 구비한 드론일 수 있다.
상기 그물망을 구비한 드론은 상기 건물에 접근하는 물체 중에 비행체로 판단한 상태에서 규칙성이 확인된 경우 상기 물체에 근접하여 그물망을 발사하여 포획하여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물망을 구비한 드론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점이 단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무력화기는 상기 물체를 포획하는 방법 중에 비파괴적 방법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파괴적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EMP(Elecro-magnetic pulse), 레이저(Laser) 및 화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EMP는 강력한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켜 전자기기에 영향을 주는 무기고, 각종 전자기기가 EMP에 노출되면 회로에 과전류가 발생해 고장 또는 파손된다.
즉, EMP가 상기 물체를 향해 발사된다면 전자 부품이 망가져 추락 또는 파괴될 수 있다.
해당 기술의 단점으로는 사용 시 상기 물체 뿐만 아니라 창문보안장치의 각종 전자기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레이저는 고출력 광자 빔을 드론에 발사해 격추하는 무기이다.
여러 방향으로 접근하는 드론을 다루는데 유용하지만, 구름, 비 및 안개 등과 같은 기상 상황에 영향을 받고 사람과 주변 시설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화기는 재래식 화기로 상기 물체를 격추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물체의 무단 침입에 가장 빠르게 대응할 수 있지만, 레이저와 마찬가지로 사람과 주변 시설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보안수단(200)이 작동될 경우 경고 문자 발송 및 경고음 발생이 가능한 경고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림부는 상기 물체탐지수단(100)을 통해 탐지된 비행체로 인해 상기 보안수단(200)이 작동한 경우 해당 작동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림부는 상기 차단부(210) 및 상기 무력화부(220)의 작동 단계에 따라 별도로 문자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구성들은 단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중합적 및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물체탐지수단
110 : 투과부
200 : 보안수단
210 : 차단부
220 : 무력화부
300 : 제어수단

Claims (11)

  1.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체 및 상기 외형체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외형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과부를 구비하는 건물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로 접근하는 물체를 탐지하는 물체탐지수단;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외형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인 내부정보의 획득을 차단하는 보안수단;
    상기 물체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통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될 경우 상기 보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보안수단은,
    상기 투과부를 기준으로 상기 건물의 내부 및 외부를 차단하는 차단부 및 일정 공간 내의 상기 물체를 무력화하는 무력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과부는,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가 비행체가 아님이 판단되는 경우, 일반 창문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는 경우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비행체가 규칙성을 가지지 않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측정 공간 내에서 상기 물체가 기설정된 체공시간 이상으로 체공하여, 상기 물체를 비행체라고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비행체가 규칙성을 가지고 비행하는 경우, 상기 무력화부를 제어하며,
    상기 건물의 내부 환경이 상쾌하게 유지되지 않을 경우 창문으로 사용되는 상기 투과부를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개폐하며,
    상기 우선순위는,
    일산화탄소, 라돈, 휘발성 유기화합물, 아황산가스, 이상화질소, 이산화탄소, 오존, 미세먼지, 자외선, 적외선 순이며,
    상기 규칙성은,
    상기 물체가 상기 건물 쪽을 향해 비행하면서 소정 거리 직선비행하는 경우 인정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탐지수단은,
    레이더(Radar), 무선전파 신호 감지(RF Sensing), 전기 광학(Electro-optical), 자기(Magnetic Detection) 및 음향(Acousti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 긴급 전원을 공급하는 긴급 전원 공급수단; 을 포함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물체를 기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비행체가 아님이 확인된 경우 상기 보안수단 및 상기 건물 창문의 개방이 가능한,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건물 외부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한,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력화부는,
    상기 물체에 고출력 방해 신호를 송출하여 작동을 제한시키는 제1 무력화기; 및
    상기 물체에 그물망을 발사하여 포획하는 제2 무력화기; 를 포함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력화기는,
    상기 물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그물망을 발사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안수단이 작동될 경우 경고 문자 발송 및 경고음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경고 알림부를 포함하는,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KR1020200177599A 2020-12-17 2020-12-17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KR10262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99A KR102620845B1 (ko) 2020-12-17 2020-12-17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99A KR102620845B1 (ko) 2020-12-17 2020-12-17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62A KR20220087162A (ko) 2022-06-24
KR102620845B1 true KR102620845B1 (ko) 2024-01-02

Family

ID=8221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99A KR102620845B1 (ko) 2020-12-17 2020-12-17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8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244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ディスコ 小型無人飛行機撃退装置
US20190221092A1 (en) * 2018-01-16 2019-07-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unknown dron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85B1 (ko) 2015-09-09 2017-04-25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창문 감시장치
KR102006545B1 (ko) * 2017-09-28 2019-08-01 김상환 드론 차단 시스템
KR102034935B1 (ko) * 2017-12-15 2019-10-2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탐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244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ディスコ 小型無人飛行機撃退装置
US20190221092A1 (en) * 2018-01-16 2019-07-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unknown dron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62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odov et al. Analyzing the threa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to nuclear facilities
US20200354059A1 (en) Surveillance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AU2014405635B2 (en) An offshore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853903B1 (ko) Cctv, 드론 및 광펜스를 포함한 침입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365578B1 (ko) 고성능 레이더 및 머신 러닝을 이용한 침입탐지 시스템
KR102292117B1 (ko) 드론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탐지 및 식별 방법
CN209993060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子围栏联动系统
CN108037545A (zh) 一种针对无人机的定向式光学干扰系统
US20230070772A1 (en) Active threat tracking and response
KR20150100589A (ko) 민간경비 드론 시스템
KR20170101673A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드론 보안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Buric et al. Counter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
KR102113807B1 (ko) 지구의 치안 유지를 위한 무인 비행체 순찰 시스템 및 순찰 방법
Yatman et al. Intrusion detection sensors used by electronic security systems for critical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s: a review
KR102620845B1 (ko) 물체 탐지 기반 창문보안장치
EP3815064A2 (en) Autonomous virtual wall
US20060038678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13890734A (zh) 一种无人机识别监管方法
WO2018167349A2 (es) Sistema autónomo de seguridad privada, capaz de prestar servicios pasivos y activos y en la lucha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KR102450210B1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안티 드론 탐지방법
KR102329792B1 (ko) 방범 기능이 탑재된 비디오 초인종 및 도어락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20190123031A (ko) 무인 비행체 포획 장치 및 그 방법
RU2726942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физической защиты периметров и территорий объектов
US201503236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 immobile space region
RU2792588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физической защиты объектов, территорий и прилегающих акваторий с автоматизацией процессов охраны для сокращения численности людских ресурсов по его обслуживани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