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10B1 -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 Google Patents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10B1
KR102620310B1 KR1020160173972A KR20160173972A KR102620310B1 KR 102620310 B1 KR102620310 B1 KR 102620310B1 KR 1020160173972 A KR1020160173972 A KR 1020160173972A KR 20160173972 A KR20160173972 A KR 20160173972A KR 102620310 B1 KR102620310 B1 KR 10262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zone
black powder
surface area
specific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474A (ko
Inventor
박재흥
손수진
이재석
최석경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포함하는 연속 반응계에서, 상기 제1 구역에서 원료유, 연료유 및 연소촉진가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역에서 승온에 의해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카본 블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METHOD OF PREPARING CARBON BLACK POWDER AND CARBON BLACK POWDER PREPARED THEREFROM}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표면적이 큰 카본 블랙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료유와 원료유가 투입되는 부분에 수증기를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수증기와 카본 블랙의 접촉시간이 길어 비교적 큰 비표면적의 카본 블랙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증기가 혼합됨에 따라 반응 온도의 감소가 불가피하게 되어 기본적인 카본 블랙의 물성 조절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응 온도 뿐만 아니라, 압력, 농도 등의 다른 조건 또한 변동하게 되어 균일한 카본 블랙 제조에 결코 유리하지 않다.
반면, 반응구역의 하류구역에서 활성제와 카본블랙을 접촉하게 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다. 냉각수 대신 활성제로서 수증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반응이 종료된 카본 블랙과 활성제가 만나서 산화하므로 카본 블랙의 기본 물성을 조절하는 것이 쉬운 장점이 있으나, 활성제와의 접촉시간이 짧아지므로 비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고비표면적을 가지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한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고비표면적을 가지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한 카본 블랙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포함하는 연속 반응계에서,
상기 제1 구역에서 원료유, 연료유 및 연소촉진가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역에서 승온에 의해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카본 블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얻어진 카본 블랙 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고비표면적을 가지면서도 가공 특성이 우수한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대한 BJH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5에 대한 BJH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포함하는 연속 반응계에서,
상기 제1 구역에서 원료유, 연료유 및 연소 촉진 가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역에서 승온에 의해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카본 블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4 구역에서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료유는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반응 조건에 상응할 수 있도록 고온을 위해 불태우는 연료이고, 상기 원료유는 카본 블랙의 시드 (seed)로서 생성 시동 물질입니다. 상기 연료유와 상기 원료류는 상기 제1 구역에 투입되고, 각각의 분사 지점과 온도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원료유는, 예를 들면, 휘발류, 경유, 등유, 벙커C유, 석유계 FCC, EBO, 크레오소트, 소프트 피치, 석탄계 콜타르, 나프탈렌, 카르복실산, FCC 등의 액체 원료, 천연 가스, 석탄 가스와 같은 기체 원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유는 휘발류, 경유, 등유, 벙커C유, 석유계 FCC, EBO, 크레오소트, 소프트 피치, 석탄계 콜타르, 나프탈렌, 카르복실산, FCC 등의 액체 연료, 천연가스, 석탄가스와 같은 기체 연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 촉진 가스는, 예를 들어, 공기 또는 산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역에서 투입된 상기 원료유, 상기 연료유 및 상기 연소 촉진 가스는 혼합되어 제2 구역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 구역에서는 온도를 승온시켜 카본 블랙이 생성되게 한다. 상기 생성된 카본 블랙은 상기 제3 구역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으로 상기 생성된 카본 블랙을 활성화한다. 상기 스팀에 의해서 카본 블랙이 산화되어 비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3 구역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압력은 0 초과 내지 50kgf일 수 있다.
상기 제3 구역에서 혼입되는 스팀량은 0 초과 내지 1000kg/hr일 수 있다.
카본 블랙은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용도가 많다. 카본 블랙의 비표면적이 증가되면, 카본 블랙을 수지와 혼합시 수지와의 혼화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비표면적을 높인 카본 블랙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스팀을 제3 구역에서 공급하기 때문에, 이전에 제2 구역에서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반응시 조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기본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공정 제어가 용이하다.
상기 제3 구역에서 제2 구역에서 생성된 카본 블랙이 스팀을 접하는 시간은 0.1 내지 3초 일 수 있다.
상기 제4 구역에서는 생성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다시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생성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다시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함으로써, 재투입된 카본 블랙은 상기 반응계에서 보다 오래 머물게 되면서, 스팀과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카본 블랙의 비표면적이 더욱 증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재투입되지 않은 다른 일부의 카본 블랙은 그대로 수득되어 최종 수득물로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카본 블랙 분말은 개별적인 입자 차원에서 살펴보면 상기 연속 반응계에 머문 총 시간이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않을 것이고, 그에 따라 다양한 비표면적을 가지는 카본 블랙 입자들을 포함하는 분말로서 얻어질 것이다.
즉,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카본 블랙 분말은 비표면적의 분포가 넓은 범위에 걸쳐 존재하게 된다.
카본 블랙은 그 비표면적이 증가됨에 따라서 수지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비표면적이 향상된 카본 블랙은 상대적으로 같은 무게 대비 높은 부피를 가지므로,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고무와 배합하는 경우 혼합을 위해 높은 토크가 필요로 하며 에너지 소모가 많고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가공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비표면적의 분포가 넓은 범위에 걸쳐 존재하는 카본 블랙 분말은 전체적으로는 비표면적을 향상시키면서도 비표면적이 낮은 카본 블랙 입자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입자들이 공존함으로써 가공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한다. 동시에,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카본 블랙 분말은 전체적으로 비표면적은 향상되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비표면적을 향상시킨 카본 블랙 분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카본 블랙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4 구역에서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제4 구역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제4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기 위해 회수하는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얻어지는 카본 블랙 분말의 총 비표면적과 그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재투입 단계가 연속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최종 얻어지는 카본 블랙 분말의 총 비표면적이 초기에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정상 상태가 되어 얻어지는 카본 블랙 분말의 총 비표면적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그 분포 또한 일정 수준을 유지하여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얻어진 카본 블랙 분말은 넓은 범위의 비표면적 분포를 가지며, 카본 블랙 분말은 비표면적이 높으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의 비표면적이 0 내지 1500 m2/g의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의 평균 비표면적이 0 내지 1000 m2/g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의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공성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용융흐름지수(MI)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용융흐름지수(MI)는 온도 및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카본블랙 컴파운드의 토출량을 측정한 값을 의미하고, 값이 클수록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융흐름지수(MI)는 CEAST 사의 melt flow modular line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1.6kg의 압력 추를 사용하여, 190℃에서 10분 동안 측정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의 용융흐름지수(MI)가 50 g/10분 내지 150 g/10분 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의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전도도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체적 저항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체적 저항은 Mitubishi 사의 MCP-T610 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의 체적 저항은 10-1 내지 10-10 Ω/cm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 실시예 )
실시예 1
카본 블랙 제조로로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포함하는 연속 반응계를 구비한 반응 장치를 준비하였다.
원료유로서 크레오소트, 연료유로서 석유계 FCC 및 공기를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투입 속도로 상기 제1 구역에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제2 구역의 온도를 약 1500℃로 승온하여 상기 혼합물을 반응시켜 카본 블랙을 생성하였다.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카본블랙 활성화 반응을 유도하였다. 스팀 공급 속도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50 중량%를 진공을 이용하여 회수하여 제2 구역으로 재투입시켰다. 재투입되는 카본블랙의 반응 생성물은 이송 중에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질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와 같이 이송하였으며, 피드스톡 노즐 (feedstock nozzle) 뒷부분으로 재투입되어 앞에서 생산되는 카본 블랙과의 초기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였다. 또한 카본블랙 반응로인 제2 구역 내의 온도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 재투입 직전에 프리히터를 통해 온도를 증가시켰다.
정상 상태에 도달하여 리싸이클된 카본 블랙의 함량 분포가 일정해진 이후인 30분 이후에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연속 반응계를 사용하고, 다만,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스팀 공급 속도만 변화시켜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연속 반응계를 사용하고, 다만, 제2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지 않았고,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을 회수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제2 구역에 재투입시키지 않고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연속 반응계를 사용하고, 다만,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을 회수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제2 구역에 재투입시키지 않고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연속 반응계를 사용하고, 다만,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스팀 공급 속도를 변화시켰고,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을 회수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제2 구역에 재투입시키지 않고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연속 반응계를 사용하고, 다만,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스팀 공급 속도를 변화시켰고,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을 회수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제2 구역에 재투입시키지 않고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연속 반응계를 사용하고, 다만,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스팀 공급 속도를 변화시켰고,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을 회수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제2 구역에 재투입시키지 않고 카본 블랙 분말을 수득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공기 투입 속도 (Nm3/hr) 4560 4560 4560 4560 4560 4560 4560
연료 투입 속도 (kg/hr) 250 250 250 250 250 250 250
원료 투입 속도 (kg/hr) 2800 2800 2800 2800 2800 2800 2800
스팀 공급 속도 (kg/hr) 300 500 0 300 400 500 700
스팀 / 원료 (wt%) 10.7 17.9 0 10.7 14.3 17.9 25.0
재투입 카본블랙 비율 (wt%) 50 50 0 0 0 0 0
실험예 1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에서 수득한 카본 블랙 분말에 대하여 비표면적, OAN (Oil absorption number) 값, 체적 저항, 용융흐름지수를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1) 비표면적은 BET (Belsorp, BEL JAPAN 社)로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카본 블랙 분말의 비표면적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2) OAN (Oil absorption number) 값은 카본블랙 100g에 함유될 수 있는 DBP (디부틸프탈레이트)의 흡유량을 평가하여 나타낸 값이고, ASTM D-2414 규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OAN의 수치가 높을수록 카본블랙 구조가 복잡하고 발달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체적 저항은 Mitubishi 사의 MCP-T610 에 의해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수지 (LG화학, EC28005)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각각에 대하여 카본 블랙 분말의 함량이 15wt%가 되도록 혼합하여 internal mixer (HAAKE Rheocord 90)를 사용하여 약 15분간 배합하였고, 이를 핫프레스로 일정 크기의 시트 모양으로 성형제작하였다. 시트의 크기는 가로, 세로가 10cm이며, 두께는 2mm이다. 준비된 카본 블랙이 혼합된 EVA 시트를 사용하여 체적 저항 (Volume resistance)을 9회 측정하였으며, 평균 값을 결과로 나타내었다.
(4) 용융흐름지수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수지 (LG화학, EC28005)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각각에 대하여 카본 블랙 분말의 함량이 15wt%가 되도록 혼합하여 internal mixer (HAAKE Rheocord 90)를 사용하여 약 15분간 배합하여 컴파운드를 준비하였다. 190℃에서, 21.6kg의 추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토출되는 컴파운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표면적 (m2/g) 227 565 82 153 235 357 524
OAN (g/CB100g) 199 224 193 196 - 210 -
체적저항
(Ωcm)
8.21x10-3 1.08x10-3 1.43x10-7 1.82x10-4 9.25x10-3 2.89x10-3 1.13x10-3
용융흐름지수 (g/10min) 106 94 120 110 98 99 82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2의 카본 블랙 분말의 비표면적의 평균 값은 스팀을 전혀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높았다. 이는 실시예 1-2에서 스팀이 카본 블랙을 활성화시켰기 때문이다. 같은 스팀 투입 속도로 진행한 실시예 1과 비교예 2를 대비하면,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 분말의 일부를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한 실시예 1이 재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2 보다 비표면적인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같은 스팀 투입 속도로 진행한 실시예 2과 비교예 4을 대비하면,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 분말의 일부를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한 실시예 2가 재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4 보다 비표면적인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5는 비교예 2에서 스팀 투입 속도를 변화시켜 실시한 것이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유사한 체적 저항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용융흐름지수가 실시예 1보다 낮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5는 실시예 2와 유사한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유사한 체적 저항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용융흐름지수가 실시예 2보다 낮다. 이로부터,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은 비표면적이 높으면서도, 용융흐름지수도 우수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이러한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말 전체의 비표면적의 평균 값이 높아지면서도 비표면적 분포가 넓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카본 블랙 분말이 비교예 4 및 비교예 5와 대비하여 비표면적 분포가 넓게 분포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Barrett-Joyner-Halenda(BJH) 그래프를 비교 평가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대한 BJH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5에 대한 BJH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의 결과에서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의 카본 블랙 분말의 비표면적 분포가 비교예 3 및 비교예 5 각각에 대비하여 더 넓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포함하는 연속 반응계에서,
    상기 제1 구역에서 원료유, 연료유 및 연소촉진가스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역에서 승온에 의해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구역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카본 블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구역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역에서 분사되는 스팀은 0 초과 내지 50kgf 인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에서 생성된 카본 블랙이 상기 스팀을 접하는 시간이 0.1초 내지 3초인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구역에서 반응 생성물 전체 중 0 초과 내지 50 중량%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구역에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구역으로 재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수한 카본 블랙의 반응 생성물 일부를 피드스톡 노즐 (feedstock nozzle) 뒷부분으로 재투입되어, 앞에서 생산되는 카본 블랙과의 초기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얻은 카본 블랙 분말의 비표면적이 0 내지 1500 m2/g의 범위에 존재하는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얻은 카본 블랙 분말의 평균 비표면적이 0 내지 1000 m2/g인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얻은 카본 블랙 분말의 체적 저항이 10-1 내지 10-10 Ω/cm인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에 따른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얻어진 카본 블랙 분말.
KR1020160173972A 2016-12-19 2016-12-19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KR10262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72A KR102620310B1 (ko) 2016-12-19 2016-12-19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72A KR102620310B1 (ko) 2016-12-19 2016-12-19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474A KR20180071474A (ko) 2018-06-28
KR102620310B1 true KR102620310B1 (ko) 2024-01-04

Family

ID=6277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72A KR102620310B1 (ko) 2016-12-19 2016-12-19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11B1 (ko) * 2018-11-30 2024-01-03 오씨아이 주식회사 카본 블랙 제조 장치 및 카본 블랙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7721A (ja) 2005-04-06 2008-09-25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水素または合成ガスの精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5829A (en) * 1960-05-13 1963-01-29 Continental Carbon Co Process for manufacture of carbon black
JP2832734B2 (ja) * 1989-10-16 1998-12-09 三菱化学株式会社 カーボンブラックの製造方法
JPH05117908A (ja) * 1991-10-24 1993-05-14 Sumika Hercules Kk 新規な紡糸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乾湿式紡糸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7721A (ja) 2005-04-06 2008-09-25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水素または合成ガスの精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474A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86C (zh) 从天然气和/或甲烷的热分解生产纯炭黑颗粒的方法和用途
US4755371A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black
KR20170048344A (ko) 카본 블랙의 공극율 제어 방법
KR102620310B1 (ko) 카본 블랙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카본 블랙 분말
CN103305739A (zh) 一种高氮钒氮合金vn18及其生产方法
KR20190062828A (ko) 카본 블랙의 산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본 블랙의 제조 방법
CN112430095A (zh) 一种氧化石墨烯改性煤沥青制备高性能石墨的方法
CN105623685B (zh) 一种连续式生物质原料原位催化裂解气、炭联产的方法与设备
CN86104761A (zh) 低灰分导电炭黑的制造方法
KR101267686B1 (ko) 코크스 제조용 원료탄 배합방법
US11332622B2 (en) Method for preparing a carbon black of high resistivity and a carbon black of high resistivity prepared by this method
CN1834210A (zh) 劣质煤全氧气化生产甲醇和二甲醚合成气的方法
CN105883797A (zh) 一种烟气内循环的氧化炭化系统及方法
KR102620311B1 (ko) 카본 블랙 제조 장치 및 카본 블랙 제조 방법
CN109054685B (zh) 焦粉粘合剂,适用于密闭电石炉生产的焦球及其制备方法,密闭电石炉电石生产方法
CN113549346A (zh) 一种特种炭黑的生产工艺
KR101693524B1 (ko) 실리콘 또는 페로실리콘 제조용 환원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5105415A (ja) 成型活性コ−クスの製造方法
KR102009835B1 (ko) 코크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590304U (zh) 一种烟气内循环的氧化炭化系统
KR102203754B1 (ko) 고품위 환원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품위 환원철
CN114539822B (zh) 食品级炭黑的生产方法
KR20190071944A (ko) 직접환원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355882B1 (ko) 저질탄을 원료로한 저공해성 고온탄의 제조 및 이를 위한첨가제 조성물
KR102178436B1 (ko) 코크스 오븐 내 적열 코크스와 co2의 직접 반응을 통한 합성가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