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198B1 -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198B1
KR102620198B1 KR1020230115733A KR20230115733A KR102620198B1 KR 102620198 B1 KR102620198 B1 KR 102620198B1 KR 1020230115733 A KR1020230115733 A KR 1020230115733A KR 20230115733 A KR20230115733 A KR 20230115733A KR 102620198 B1 KR102620198 B1 KR 10262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control device
soun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Priority to KR102023011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는, 메인 보드; 메인 보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메인 보드와 연결된 스피커;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메인 보드에 연결된 무선 모듈; 사용자의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메인 보드에 연결된 통신 모듈; 메인 보드와 연결된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무선 모듈, 통신 모듈 및 메모리와 연결되도록 메인 보드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무선 모듈 및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TELEVISION BOARD EQUIPPED WITH WIRELESS INPUT MODULE AND TELEVISION DEVICE US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텔레비전 시청 환경은 무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텔레비전을 시청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를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제어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려고 한다.
기존의 무선통신 기술은 휴대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블루투스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텔레비전과 외부 입력 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연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신호 전달에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통신 범위도 제한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텔레비전과 기기 및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데, 기존의 한계점을 개선한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9260 호(2021.02.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690 호(2018.09.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7208호(2014.03.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9529 호(2007.06.18 공고)
실시예들은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통신의 연결 강도, 사용자의 상태 및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을 생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는, 메인 보드;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된 스피커;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된 무선 모듈; 사용자의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된 통신 모듈;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스피커, 상기 무선 모듈,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스피커, 상기 무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1 콘텐츠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무선 모듈에서 수신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무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연결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를 추정하고, 상기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점수가 표시되는 제1 점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점수 컨텐츠 생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장치에서 생성한 제2 점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점수 콘텐츠와 상기 제2 점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점수 콘텐츠와 상기 제2 점수 콘텐츠의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은, 상기 제1 콘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콘텐츠와 관련된 공유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의 음의 높이를 확인하고,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까지 상기 음의 높이 중 주요 음의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주요 음의 높이를 만족하면서, 상기 현재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에 설치된 텔레비전 장치를 공유 텔레비전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공유 텔레비전 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 중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주요 음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부분을 추출하여 공유 콘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상기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리의 세기를 적용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를 상기 제2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를 포함하는 음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광고 콘텐츠 중 상기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의 높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 지수에 상기 음의 길이에 기반하여 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상기 음 변화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제2 광고 콘텐츠 중 상기 음 변화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상기 주요 키워드가 포함된 제3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광고 콘텐츠, 상기 제2 광고 콘텐츠 및 상기 제3 광고 콘텐츠를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광고 콘텐츠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고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겹치는 경우, 각 광고 콘텐츠의 조회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기간은,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획득하고, 텔레비전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사이의 거리 및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에 기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의 재생 이력을 획득하고, 상기 재생 이력으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내역인 음성 내역을 획득하고, 상기 음성 내역에서 콘텐츠 별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상기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상기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으로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개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재생될 때, 상기 키워드가 등장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팝업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콘텐츠가 공통 콘텐츠인 경우, 상기 제3 영역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콘텐츠가 개인 콘텐츠인 경우, 상기 제3 영역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통신의 연결 강도, 사용자의 상태 및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공유 콘텐츠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3 영역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기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3 영역에 팝업 형태로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 및 텔레비전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10)는 메인 보드(11), 디스플레이 패널(12), 스피커(13), 무선 모듈(14), 통신 모듈(15), 메모리(16) 및 제어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드(11)는 텔레비전 장치(10)의 중앙 제어 장치로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텔레비전 장치(10)의 기능과 작동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부품으로서, TV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며,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을 생성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보드(11)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 보드(11)는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메모리(RAM), 저장 장치(Flash 또는 HDD), 오디오 및 비디오 입출력 포트, 네트워크 연결 포트, 전원 관리 회로,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2)는 메인 보드(11)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에 표시되어 있는 모니터 화면으로, 텔레비전 및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는 본문에는 작성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행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제어 장치(2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는 프로세서(16)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피커(13)는 메인 보드(11)과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재생되는 콘텐츠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모듈(14)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보드(11)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모듈(14)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외부 입력 장치와 데이터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무선 모듈(14)는 무선으로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하여, 데이터나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모듈(14)은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입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4)는 Wi-Fi, 블루투스, Zigbee, LoRa 등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모듈(14)는 제어 장치(20)나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모듈(14)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형태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 보드(11)에 연결되거나 외부 입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텔레비전 장치는 무선 모듈(14)을 이용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입력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딜레이가 발생하거나, 통신 범위가 짧은 한계점이 있었다.
일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10)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인 보드(11)에 무선 모듈(14)을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연결 속도가 빠르며, 딜레이 발생 문제를 해결하고 통신 범위가 더욱 확장하도록 하여 기존의 텔레비전 장치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적 개선을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더 높은 연결 속도와 적은 딜레이로 인해 실시간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텔레비전 장치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 범위의 확장으로 사용자는 더 넓은 공간에서 무선 통신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텔레비전 장치(10)는 무선 모듈(14)을 통해 다양한 외부 입력 장치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이를 빠르게 처리하여 텔레비전 조작 및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무선 모듈(14)은 텔레비전 보드에 통합되어 작동하며, 주파수 조절 및 통신 프로토콜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더 높은 속도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사용자의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보드(11)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 정보 교환이 가능케 하는 칩셋, RF, 소자, 메모리 등을 포함한 기능 집합체일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통상적으로 통신 모듈(15)이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16)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프로세서(16) 및 메모리(17)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6) 및 메모리(17)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2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메모리(17)은 메인 보드(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 스피커(13), 무선 모듈(14), 통신 모듈(15) 및 메모리(17)와 연결되도록 메인 보드(11)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 스피커(13), 무선 모듈(14) 및 통신 모듈(15)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어 장치(2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2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을 통해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제1 콘텐츠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패널(12)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무선 모듈(14)을 통해 외부 입력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15)을 통해 및 사용자의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 디스플레이 패널(12), 스피커(13), 무선 모듈(14) 및 통신 모듈(15)을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 스피커(13), 무선 모듈(14) 및 통신 모듈(15)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메인 보드(11), 디스플레이 패널(12), 스피커(13), 무선 모듈(14) 및 통신 모듈(15)만을 도시하였으나, 구성 요소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 내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을 통해 제1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표시하고자 하는 콘텐츠인 제1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신 모듈(15)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제1 콘텐츠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제어 장치(20)의 메모리(17)에는 제2 콘텐츠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의 형태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스피커(13)를 통해 무선 모듈(14)에서 수신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스피커(13) 및 무선 모듈(14)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13) 및 무선 모듈(14)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과 사용자의 단말의 연결 강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과 사용자의 단말의 연결 강도를 확인하고, 연결 강도가 강할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짧은 것으로 판단하고, 연결 강도가 약할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에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감지된 통신 신호의 강도를 판단함으로써, 연결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통신 모듈(15)의 연결 강도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점수가 표시되는 제1 점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는 콘텐츠의 주파수, 음의 높이, 음의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의 주파수, 음의 높이, 음의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 장치(20)는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각각의 소리 정보의 유사도를 산출함으로써,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가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 간의 유사도가 높을수록 점수를 높게 생성하고, 유사도가 낮을수록 점수를 낮게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점수를 결정하고,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점수가 표시되는 제1 점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점수 콘텐츠는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점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303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1 점수 컨텐츠 생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장치에서 생성한 제2 점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른 텔레비전 장치의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다른 텔레비전 장치의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비교하여 S302 단계에서 수행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점수를 산출하고, 제2 점수를 포함하는 제2 점수 콘텐츠를 생성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다른 텔레비전 장치의 통신 모듈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1 점수 콘텐츠와 제2 점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12)에 표시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점수 콘텐츠와 제2 점수 콘텐츠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수록 제1 점수 콘텐츠의 크기 비율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2 점수 콘텐츠의 크기 비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1 점수 콘텐츠의 크기 비율을 상대적으로 작게, 제2 점수 콘텐츠의 크기 비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수록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크게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문자 크기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의 텍스트를 더욱 쉽게 읽을 수 있게 되며, 인해 멀리 떨어진 사용자도 콘텐츠의 내용을 잘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과 디스플레이 패널(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문자 크기를 작게 설정하여 콘텐츠의 텍스트가 사용자의 시야를 지나치게 차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까운 거리에서도 콘텐츠를 편안하게 관찰하며 전체 화면을 잘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따라 문자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와 텔레비전 간의 거리에 따라 콘텐츠의 가시성을 최적화하여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스피커(13)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수록 스피커(13)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스피커(13)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 경우, 스피커(13)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크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콘텐츠의 음성이 뚜렷하게 들리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멀리 떨어진 사용자도 콘텐츠의 음성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과 디스플레이 패널(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스피커(13)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작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까운 거리에서도 콘텐츠의 음성을 자연스럽게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20)는 거리에 따라 음향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청각적인 편안함과 콘텐츠 감상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밝기, 채도 및 명도 등의 출력을 크게 조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밝기, 채도 및 명도 등의 출력을 작게 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과 디스플레이 패널(12)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밝기와 채도 명도 등의 출력을 크게 조정하여 멀리 떨어진 사용자도 화면의 내용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과 디스플레이 패널(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밝기와 채도 명도 등의 출력을 작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자연스럽게 관찰하고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2) 화면의 밝기나 채도 명도 등을 최적화하여 에너지 소비를 조절할 수 있다. 가까운 거리에서는 높은 밝기가 필요 없을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하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거리에 따른 화면 출력의 조정을 통해 사용자들이 화면을 더 쾌적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무선 모듈(14)를 통해 외부 입력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한 신호는 음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신호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패널(12)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은, 제1 콘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제1 콘텐츠와 관련된 공유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공유 콘텐츠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의 음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를 노이즈 제거 및 정규화 작업 등을 포함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전처리된 음성 신호를 푸리에 변환을 통해 시간 도메인의 음성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을 통해 음성 신호의 주파수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변환된 주파수 도메인 데이터에서 주요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여 음성 신호의 주요 주파수로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주파수와 음높이 간에는 비례 관계가 있다는 점을 통해 각 음계의 주요 주파수를 기준으로 주요 주파수 성분을 음높이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변환된 음높이 값을 음계와 음표로 식별할 수 있으며, 주요 음계에 따라 각 음높이가 어떤 음계의 음표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주요 음계에는 다양한 음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음계는 특정한 음높이 간격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C 메이저 음계는 C, D, E, F, G, A, B의 음표로 구성되어 있다.
음계의 각 음표는 주요 주파수와 연결되며, 각 주파수는 음의 높이를 나타내며, 음계의 기준음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주파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음높이 값을 기준으로, 해당 값이 어떤 주요 주파수와 가장 가까운지를 확인하고, 주요 주파수와 음높이 값을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음계의 음표를 결정함으로써, 주요 주파수와 음계 음표 간의 가장 작은 차이를 가지는 음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의 음 높이가 어떤 음계와 음표에 가까운지를 판단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까지 음의 높이 중 주요 음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3분이고 현재 시점에 해당되는 시간이 오후 3시인 경우, 제어 장치(20)는 오후 2시 57분부터 오후 3시까지의 기간 동안의 음의 높이 중 주요 음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까지의 음의 높이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음을 주요 음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주요 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로부터,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까지의 음성 신호의 음의 높이 및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소리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음의 높이 중 소리의 세기가 가장 큰 것에 해당하는 음을 주요 음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나, 주요 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에는 위치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에 구비된 위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주요 음의 높이를 만족하면서, 현재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에 설치된 텔레비전 장치를 공유 텔레비전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을 서울특별시 강남구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 설치된 텔레비전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의 메모리(17)에는 텔레비전 장치가 설치된 위치 및 지역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 장치(20)는 다른 텔레비전 장치의 제어 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이 서울특별시 강남구인 경우,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설치된 다른 텔레비전 장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텔레비전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에서의 다른 텔레비전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의 음의 높이를 확인하고, S402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음의 높이에서 주요 음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다른 텔레비전 장치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해당되는 지역에 설치되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에서의 다른 텔레비전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서의 주요 음의 높이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주요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텔레비전 장치를 공유 텔레비전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공유 텔레비전 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공유 텔레비전 장치로부터 공유 텔레비전 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 텔레비전 장치의 메모리에는 공유 텔레비전 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수집된 콘텐츠 중 기준 기간 동안 주요 음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부분을 추출하여 공유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기준 기간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 장치(20)는 주요 음의 높이를 만족하는 음성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의 관련된 콘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므로, 사용자에게 지역에 맞는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공유 텔레비전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지역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 장치(20)는 주요 음의 높이를 충족하는 음성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음악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공유 콘텐츠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재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공유 콘텐츠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관심사, 지역, 취향 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주요 음의 높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탐색하고 공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콘텐츠를 더 다양하게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준 기간 동안 주요 음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부분만을 추출하여 공유 콘텐츠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가 익숙하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해당하는 음역대에 해당하는 공유 콘텐츠의 부분만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심과 부합하는 공유 콘텐츠의 부분을 더욱 빠르고 쉽게 찾아볼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주요 음에 해당하는 공유 콘텐츠의 부분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별도로 공유 콘텐츠 선택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 장치(20)는 주요 음 및 위치에 기반한 공유 콘텐츠 선택은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음성 신호를 통해 공유할 콘텐츠를 제공받으므로, 콘텐츠 공유 과정이 더욱 개인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수록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크게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작게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더 멀리 위치할 때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크게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먼 거리에서도 콘텐츠의 음성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가까이 위치할 때는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작게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 근처에서도 너무 강한 소리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까운 거리에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세기를 조금 낮게 설정하여 쾌적한 청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결정된 소리의 세기를 적용하여, 공유 콘텐츠를 제2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장치(12)가 디스플레이 패널(12)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공유 콘텐츠의 소리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최적화된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유 콘텐츠와 공유 콘텐츠의 특정 부분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제2 영역에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일이 콘텐츠를 찾지 않아도 음성 신호 및 위치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공유 콘텐츠를 선별하고,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패널(12) 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편리하게 찾고 즐길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관심과 편의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 제공과 음향 환경 조절을 동시에 수행하며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3 영역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로부터,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음역 정보는 음성 신호에서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 장치(20)는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성 신호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에 해당하는 음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15초인 경우, 제어 장치(20)는 현재 시점에서 15초 전까지의 기간 동안의 음성 신호의 음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는 15초 동안, 도 3초, 미 4초, 솔 1초, 파 7초를 포함하는 음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메모리(17)에 저장된 제2 콘텐츠 중에서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의 메모리(17)에는 제2 콘텐츠와 제2 콘텐츠의 음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역 정보가 도 3초, 미 4초, 솔 1초, 파 7초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에서 도 3초, 미 4초, 솔 1초, 파 7초에 해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광고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제2 콘텐츠는 음역 정보 및 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광고 콘텐츠는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면서, 광고를 위해 생성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 장치(20)의 메모리(17)에는 제2 콘텐츠의 광고 콘텐츠 여부, 광고 콘텐츠인 경우 광고한 제품의 제품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제품 정보는 제품명, 제품의 제조 회사, 브랜드명, 제품의 종류, 가격, 목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광고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음의 길이, 음의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광고 콘텐츠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악 취향이나 관심사와 더욱 부합하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관련성 높은 광고를 통해 더 흥미로운 콘텐츠를 접하게 되며, 광고 경험이 개인화되어 더욱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20)는 음성의 길이와 높이가 일치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음악 취향이나 감정상태를 표현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부분에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메시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통해 개인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광고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참여와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과 연관된 콘텐츠를 보고 듣는 것은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며, 더욱 적극적으로 광고에 참여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통해 광고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면서, 음악적인 특성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의 특정한 속성과 일치하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더욱 개인화되고 흥미로운 광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504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의 메모리에는 음의 높이에 따른 높이 지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의 길이에 비례하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의 길이가 길수록 가중치를 높게 결정하고, 음의 길이가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음의 높이가 도, 레, 미, 파, 솔, 라, 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에 대응하는 높이 지수는 1, 레는 2, 미는 3, 파는 4, 솔은 5, 라는 6, 시는 7로 높이 지수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역 정보가 도 3초, 미 4초, 솔 1초, 파 7초인 경우, 제어 장치(20)는 음 변화도를 10.3+30.4+50.1+40.7=4.8로 산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 및 제2 콘텐츠 각각의 음 변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광고 콘텐츠 중 음 변화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추출하여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2 광고 콘텐츠 중 음 변화도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추출하여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15초인 경우, 제2 광고 콘텐츠도 동일하게 15초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 변화도를 각각 산출하고, 음 변화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이 오차 범위가 1 이내이고,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가 4.8인 경우,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에서 음 변화도가 3.8 내지 5.8인 것에 해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3 영역에 추출한 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의 높이와 길이에 기반하여 음 변화도를 분석하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음성 신호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음성과 관련된 음의 길이와 높이가 유사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더 쉽게 광고 콘텐츠에 관심을 가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광고에 대한 주목도와 참여도를 증가시켜 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과 유사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더욱 적극적으로 광고에 반응하고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하여, 광고의 목표인 상호작용, 구매 등으로의 전환을 더욱 유도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 중 주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음성 신호에 포함된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변환된 텍스트 중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 중에서 키워드의 빈도가 가장 높은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음성 신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507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주요 키워드가 포함된 제3 광고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주요 키워드가 포함된 부분을 음성 신호의 미리 설정된 기간과 동일한 기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신호의 미리 설정된 기간이 15초인 경우,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주요 키워드가 등장하기 7.5초 전부터 등장 후 7.5초 까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3 광고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1 내지 제3 광고 콘텐츠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고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겹치는 경우, 각 광고 콘텐츠의 조회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제1 내지 제3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20)는 텔레비전 장치(10)에서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한다고 확인된 시점에 즉시 제1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2 광고 콘텐츠가 존재한다고 확인된 시점에 즉시 제2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3 광고 콘텐츠를 제1 콘텐츠가 제1 영역에 재생될 때, 제1 키워드에서 주요 키워드가 등장한 시점에 제3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광고 콘텐츠 중 두개 이상의 광고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겹치게 되는 경우, 제어 장치(20)는 각 광고 콘텐츠의 조회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간이 동일한 경우에는. 조회수가 높은 순서대로 겹치는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간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먼저 재생되고 있는 광고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시점에 이어서 나머지 광고 콘텐츠를 제3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기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모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전 장치(10)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20)는 모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활동 정보는 모션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움직임 거리,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602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텔레비전 장치(10) 및 사용자의 단말의 사이의 거리 및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텔레비전 장치(10) 및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활동 정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의 거리가 많을수록, 이동 방향이 다양할수록,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기준 기간을 길게 설정하고, 텔레비전 장치(10) 및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활동 정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의 거리가 적을수록, 이동 방향이 적을수록,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기준 기간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텔레비전 장치(10)와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와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 텔레비전 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에서 주요 음에 해당하는 부분을 얼마나 추출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텔레비전 장치(10)와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멀고, 사용자의 활동이 많을수록 사용자의 상황과 움직임을 고려하여 더 길게 공유 콘텐츠를 추출하도록 설정하고, 사용자의 활동이 적을수록 더 짧게 공유 콘텐츠를 추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제어 장치(20)는 사용자의 상황과 움직임에 따라 텔레비전 장치(10)에서 재생될 공유 콘텐츠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공유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에 기반하여 기준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가 클수록 가중치를 크게 결정하고,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가 작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가중치를 기준 기간에 적용하여, 기준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에 따라 기준 기간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반응과 상호작용을 감지하고, 그에 맞춘 공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의 소리의 세기가 높을 때, 기준 기간을 증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끌어내고 공유 콘텐츠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사용자가 활동적으로 음성을 내거나 강한 세기의 소리를 발생시킬 때, 이를 감지하여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의 공유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더 많이 소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3 영역에 팝업 형태로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메모리(17)로부터 제2 콘텐츠의 재생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의 메모리에는 제2 콘텐츠의 재생 이력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콘텐츠의 재생 이력은 제2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간 동안 무선 모듈(14)을 통해 수신한 음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702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재생 이력으로부터, 제2 콘텐츠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내역인 음성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재생 이력으로부터 제2 콘텐츠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추출한 음성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음성 내역에서 콘텐츠 별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는 음성 내역에 포함된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별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확인하고, 콘텐츠 별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별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키워드가 상대적으로 많이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다양한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관심을 많이 가지는 콘텐츠로 판단하여, 해당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 중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으로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개인 콘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키워드가 상대적으로 적게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개인 콘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키워드가 상대적으로 적게 언급된 것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개인적으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콘텐츠로 판단하여, 해당 콘텐츠를 개인 콘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가 제3 영역에서 재생될 때, 키워드가 등장하는 경우, 키워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제3 영역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가 제3 영역에서 재생될 때, 키워드가 등장하는 경우, 키워드에 매칭된 제품의 제품 정보를 추출하고, 키워드가 등장하는 시점에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팝업 형태로 제품의 제품 정보를 제3 영역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팝업 형태는 제3 영역에 특정 부분에 표시될 수 있으며, 팝업창의 모양, 크기 및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의 메모리(17)에는 키워드 별 관련된 제품이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가 '비'인 경우, 키워드에 매칭되는 제품이 '우산', '장화', '우의' 등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 장치(20)는 음성 신호에 포함된 키워드와 연관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갖거나 찾고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팝업 형태의 제품 정보의 제공을 통해 콘텐츠의 내용을 확장하고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키워드와 제품 정보의 연결을 통해 특정 제품의 마케팅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가 공통 콘텐츠인 경우, 제3 영역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색상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제어 장치(20)는 제2 콘텐츠가 개인 콘텐츠인 경우, 제3 영역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색상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색상과 상이한 색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20)는 공통 콘텐츠 및 개인 콘텐츠인 경우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떤 종류의 콘텐츠가 재생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색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유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관심을 끌어낼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메모리(12)는 터치스크린 패널(11)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는 터치스크린 패널(11)의 특정 구역에 몇 개의 터치 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되는 것으로 지정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중인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기 설정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통상적으로 메모리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14)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는 프로세서(16) 및 메모리(17)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16)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6)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7)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메인 보드;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된 스피커;
    마이크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된 무선 모듈;
    사용자의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된 통신 모듈;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스피커, 상기 무선 모듈,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스피커, 상기 무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1 콘텐츠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무선 모듈에서 수신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무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연결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를 추정하고,
    상기 콘텐츠에서 재생되는 소리 정보와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점수가 표시되는 제1 점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점수 컨텐츠 생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장치에서 생성한 제2 점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점수 콘텐츠와 상기 제2 점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점수 콘텐츠와 상기 제2 점수 콘텐츠의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을 조정하는,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은,
    상기 제1 콘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콘텐츠와 관련된 공유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의 음의 높이를 확인하고,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까지 상기 음의 높이 중 주요 음의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주요 음의 높이를 만족하면서, 상기 현재 위치가 해당하는 지역에 설치된 텔레비전 장치를 공유 텔레비전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공유 텔레비전 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 중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주요 음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부분을 추출하여 공유 콘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상기 공유 콘텐츠의 소리의 세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리의 세기를 적용하여, 상기 공유 콘텐츠를 상기 제2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현재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를 포함하는 음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광고 콘텐츠 중 상기 음역 정보와 일치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제1 광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의 높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 지수에 상기 음의 길이에 기반하여 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음 변화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상기 음 변화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제2 광고 콘텐츠 중 상기 음 변화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콘텐츠 중 상기 주요 키워드가 포함된 제3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광고 콘텐츠, 상기 제2 광고 콘텐츠 및 상기 제3 광고 콘텐츠를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광고 콘텐츠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고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겹치는 경우, 각 광고 콘텐츠의 조회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상기 제3 영역에 재생하는,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KR1020230115733A 2023-08-31 2023-08-31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KR10262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733A KR102620198B1 (ko) 2023-08-31 2023-08-31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733A KR102620198B1 (ko) 2023-08-31 2023-08-31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198B1 true KR102620198B1 (ko) 2024-01-02

Family

ID=8951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733A KR102620198B1 (ko) 2023-08-31 2023-08-31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9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29B1 (ko) 2005-12-26 2007-06-18 주식회사 엔터기술 가라오케 기능을 구비한 고화질 디지털 텔레비전
KR101377208B1 (ko) 2012-08-17 2014-03-21 주식회사 디자인피버 합성 영상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KR20160144919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주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1690B1 (ko) 2013-03-13 2018-09-27 삼성전기 주식회사 무선통신 모듈
KR20200125359A (ko) * 2019-04-26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19260B1 (ko) 2019-09-23 2021-02-24 성지산업 주식회사 통합 무선 통신 모듈
KR20210066282A (ko) * 2019-11-28 202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57033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영상에 연관된 광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29B1 (ko) 2005-12-26 2007-06-18 주식회사 엔터기술 가라오케 기능을 구비한 고화질 디지털 텔레비전
KR101377208B1 (ko) 2012-08-17 2014-03-21 주식회사 디자인피버 합성 영상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KR101901690B1 (ko) 2013-03-13 2018-09-27 삼성전기 주식회사 무선통신 모듈
KR20160144919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주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25359A (ko) * 2019-04-26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19260B1 (ko) 2019-09-23 2021-02-24 성지산업 주식회사 통합 무선 통신 모듈
KR20210066282A (ko) * 2019-11-28 202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57033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영상에 연관된 광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5465B2 (en) Boo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US9348554B2 (en) Managing playback of supplemental information
US11043216B2 (en) Voice feedback for user interface of media playback device
KR102396375B1 (ko)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52313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의한 자막 표현 방법
US10298640B1 (en) Overlaying personalized content on streaming audio
KR20220062482A (ko)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및 그 디바이스
JP2018517195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20130209981A1 (en) Triggered Sounds in eBooks
JP2016045584A (ja) 応答生成装置、応答生成方法及び応答生成プログラム
US202302447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acoustic information of voice queries
JP5881647B2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US20190129683A1 (en) Audio app user interface for playing an audio file of a book that has associated images capable of rendering at appropriate timings in the audio file
JP2019036191A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US9575960B1 (en) Auditory enhancement using word analysis
KR102620198B1 (ko)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US202303450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coded media, measuring engagement of transition-coded media, and distribution of components of transition-coded media
US118300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coded media, measuring engagement of transition-coded media, and distribution of components of transition-coded media
WO2021200502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023786B2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KR20160004719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6254B1 (ko)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5400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coded media, measuring engagement of transition-coded media, and distribution of components of transition-coded media
JP6791829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103584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udible versions of text sentences from audio snipp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