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8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82A
KR20210066282A KR1020190155321A KR20190155321A KR20210066282A KR 20210066282 A KR20210066282 A KR 20210066282A KR 1020190155321 A KR1020190155321 A KR 1020190155321A KR 20190155321 A KR20190155321 A KR 20190155321A KR 20210066282 A KR20210066282 A KR 20210066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utput
sound signal
contents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혜
고창석
유승민
이재경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82A/ko
Priority to PCT/KR2020/016678 priority patent/WO2021107558A1/en
Priority to US17/104,341 priority patent/US11363328B2/en
Publication of KR2021006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 화면 출력 시 미리 결정된 조건의 화면 및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분할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련된 기술입니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의 경우 3D 컨텐츠나 보다 높은 해상도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방송 기술에 있어서도 3D 컨텐츠, 멀티앵글 컨텐츠, Depth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등과 같이 다수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UHD 급 화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를 분할하여 분할된 각 화면에 다양한 컨텐츠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분할 화면 설정 시, 기본 설정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 뒤 시청하기를 원하는 화면 레이아웃과 음량을 수동으로 조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분할 화면 출력 시 미리 결정된 조건의 화면 및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소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전달받고,
상기 복수의 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에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는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이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하나의 컨텐츠는 정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적 컨텐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컨텐츠 및 상기 정적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상기 정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보다 크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적 컨텐츠가 다른 동적 컨텐츠로 전환되면,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와 상기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캠(CAM)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오프(Off)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모션을 검출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온(On)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 출력된 기존 컨텐츠와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고 출력된 신규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같은 경우,
상기 이전 컨텐츠의 소리 신호와 상기 신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상기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복수의 소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전달받고,
상기 복수의 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에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는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이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하나의 컨텐츠는 정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적 컨텐츠이고,
상기 동적 컨텐츠 및 상기 정적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상기 정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보다 크게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정적 컨텐츠가 다른 동적 컨텐츠로 전환되면,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와 상기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카메라로 마련되고,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오프(Off)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은, 상기 외부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한 모션을 검출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온(On)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 출력된 기존 컨텐츠와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고 출력된 신규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같은 경우, 상기 이전 컨텐츠의 소리 신호와 상기 신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분할 화면 출력 시 미리 결정된 조건의 화면 및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일 실시에에 따른 출력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 및 도8은 실시예 따른 출력 명령 입력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적 컨텐츠 및 동적 컨텐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에 대응된 컨텐츠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및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형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 하우징(99)과, 디스플레이 패널(152)과, 지지대(98) 및 레그(97)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하우징(99)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장을 형성하며, 내측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각종 화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품을 내장시킨다. 외장 하우징(99)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하우징, 일례로 전면 하우징 및 배면 하우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외장 하우징(99) 내부에는, 중간 하우징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외장 하우징(99)의 정면에 설치되고 각종 화상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필요에 따라서 터치 패널 등과 같이 별도의 부품을 더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지지대(98)는 외장 하우징(99)을 지지하면서 외장 하우징(99)과 레그(97)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대(98)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지지대(98)는 필요에 따라서 외장 하우징(99)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다.
레그(97)는 지지대(98)와 연결되고 외장 하우징(99)이 안정적으로 바닥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레그(97)는, 필요에 따라서 지지대(98)와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레그(97)는, 외장 하우징(99)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레그(97)는,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O)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110)과,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180)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1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제어부(140)에 의하여 처리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6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된 영역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라도 개별적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해당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나 소리신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10)은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특정 펄스 성분으로 구성된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레이더 칩(11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안테나(112)를 통하여 영상 소스 장치(20 또는 30)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복수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 이 입력되면, 미리 결정된 복수의 콘텐츠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출력 명령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복수의 컨텐츠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콘텐츠의 우선 순위는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출력되었을 때 결정되는 해당 컨텐츠의 크기 및 해당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콘텐츠를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은 상술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콘텐츠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소리 신호 각각을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가 우선 순위를 기초로 컨텐츠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과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제어부는,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 시점에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할 화면을 출력하는 그 당시에는 제어부는 저장된 우선 순위로 화면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이후 사용자가 해당 화면의 크기 및 소리 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 시점에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의 소리 신호 각각을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소리 신호 역시 분할 화면 출력 명령 이후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출력되는 화면에 비례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는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와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이미지는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정적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모션이 없는 스틸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동적 이미지 및 정적 이미지를 출력하고 동적 이미지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와 정적 이미지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적 이미지는 소리 신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어부는 정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소리 신호 출력을 줄일 수 있다.
정적 컨텐츠가 다른 동적 컨텐츠로 전환되면,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와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다른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정적 이미지에서 동적 이미지가 출력되면 동영상 등이 출력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컨텐츠에 소리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적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라도 소리 신호를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컨텐츠를 수신하고,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외부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외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디스플레이 자체가 수신한 신호가 아닌 디스플레이와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경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오프(Off)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외부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모션을 검출하면 외부 기기에 대응된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온(On)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 출력된 기존 컨텐츠와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고 출력된 신규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같은 경우, 이전 컨텐츠의 소리 신호와 신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상기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같은 경우에는 분할 화면 출력 명령 전 출력 중인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주로 출력하고 분할 화면 출력 명령 후 출력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작게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비디오/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 수신부(120), 디스플레이부(150) 및 음향 출력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컨텐츠 소스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컨텐츠 소스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신호 수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또한, 신호 수신부(120)를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40)는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티를 수신하도록 신호 수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신호 수신부(120)의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2)는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중에 발행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또한, 메모리(14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는 중에 발행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42)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신호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로 출력될 수 있다.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영상 프레임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각각 디스플레이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사용자 입력부(18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50) 및/또는 음향 출력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신호 수신부(120)를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 수신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연산 회로와, 연산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앰프(161)는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버튼 그룹(18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음향 조절 버튼, 컨텐츠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 그룹(181)는 각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으며, 푸시 스위치, 터치 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신호 수신부(120)는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선 통신 모듈(131)과 무선 통신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위치 정보 요청 신호, 위치 정보, 공신호 및 레이 아웃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31)은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31)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제1 및 제2 영상 소스 장치(20, 30)및/또는 외부 장치와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2)은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제1 및 제2 영상 소스 장치(20, 30) 및/또는 외부 장치와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2)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AP)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52)과,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각각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로부터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이처럼, 복수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52)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제어부(14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각각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가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각각의 픽셀은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각각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음향을 증폭하는 앰프(161)와, 증폭된 음향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한다.
스피커(162)는 앰프(181)에 의하여 증폭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음향(음파)으로 변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피커(182)는 전기적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생성될 수 있다.
스피커(162)는 컨텐츠에 포함된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80), 신호 수신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및 그 밖의 모든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170)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171) (이하 'SMPS'라 한다)를 포함한다.
SMPS (171)는 외부 전원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직류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외부 전원의 교류 전력은 AC-DC 컨버터에 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며, 직류 전력의 전압은 DC-DC 컨버터에 의하여 다양한 전압(예를 들어, 5V 및/또는15V)으로 변경될 수 있다.전압이 변경되는 직류 전력을 각각 사용자 입력부(180), 신호 수신부(12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및 그 밖의 모든 구성들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은 영상 프레임 데이터의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리된 영역에 각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A및 컨텐츠B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해당 영역(3A, 3B)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컨텐츠는 "드라마/영화", "스포츠", "사진"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3과 도4 및 도5를 함께 참고하면, 컨텐츠 A 및 컨텐츠B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순위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우선 순위 정보는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순위 정보는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 및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는 음악, 동영상 및 게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동영상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드라마, 영화 등은 음악 보다 우선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의 종류에 사용다의 선호도가 반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틸 이미지에 해당하는 WEB을 동영상 보다 더 자주 사용한다면, 제어부는 WEB이 드라마나 영화에 우선하는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장르의 예시는 예능, 뉴스, 드라마, 영화 및 스포츠 가 해당될 수 있다.
도 4및 도5를 참고하면, "드라마"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장르는 "스포츠"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장르보다 우선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의 장르에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드마라/영화"에 해당되는 컨텐츠보다 더 자주 사용한다면, 제어부는 "정보"가 드라마나 영화에 우선하는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4 및 도5에 제시된 우선순위 정보와 별개로 사용자가 직접 우선 순위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포츠"를 최우선순위로 결정한 경우 다른 어떤 컨텐츠가 출력되더라도 제어부는 "스포츠"를 가장 최우선 컨텐츠로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저장된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드라마"를 많이 시청한 경우 제어부는 "드라마"에 높은 우선 순위 정보를 부여하여 다른 컨텐츠보다 우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복수의 소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복수의 소스는 TV 튜너, 휴대폰, HDMI,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USB를 통한 컨텐츠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소스의 우선 순위 정보는 제한 없이 결정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V튜너, 휴대폰 페어링 및 HDMI는 다른 소스에 비하여 우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실제 우선 순위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기초로 결정될 있다.예를 들어 컨텐츠 A에 할당된 컨텐츠가 "음악"이고 컨텐츠 B에 할당된 컨텐츠가 "드라마"인 경우 제어부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드라마"에 넓은 영역을 할당하고, "드라마"에 더 큰 소리 출력을 할당할 수 있다(E41, E51)).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음악을 청취하다가 분할 화면 출력명령으로 드라마를 출력하는 경우 음악의 소리 신호 출력 볼륨은 낮추고 드라마 컨텐츠의 소리 신호 출력은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기존 음악의 소리 신호보다 드라마의 소리신호를 5배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화면 출력 시 "스포츠"와 동적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E42, E52)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영상을 포함하지 않는 이상 제어부는 기존의 "스포츠"를 큰 분할 영역에서 출력하고, 정적 이미지만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영역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스포츠"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이 "100%"라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적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소리 신호 출력을 "20%"로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3에서 표시한 분할 화면의 출력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도4 및 도5에서 나타낸 우선 순위 정보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분할 화면의 컨텐츠 출력 형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정보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4 및 도5에 재시된 우선 순위 정보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6은 일 실시에에 따른 출력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출력 명령을 입력하여 분할 화면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6에서는 출력 명령을 입력하기 전 특정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S61). 사용자의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 컨텐츠(6A)는 기존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에 사용자는 복수로 출력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른 외부 기기의 컨텐츠(IoT Camera)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는 실내에 마련된 IoT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입력하고 새롭게 입력되는 신규 컨텐츠로 카메라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컨텐츠(A, 스포츠)와 신규 컨텐츠(B, IoT CAM)를 출력할 수 있다(S63).
도6에서는 사용자가 기존의 컨텐츠에서 카메라를 선택하였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기존의 컨텐츠(6A)와 사용자가 선택한 외부 기기의 컨텐츠(6B)을 출력할 수 있다(S63).
한편 도5와 도6을 함께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출력되는 복수의 컨텐츠 A 및 B를 우선 순위를 기초로 결정된 영역의 크기로 출력하고(S63),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소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6에서는 컨텐츠 A의 소리 신호를 100%로 출력하고, IoT CAM에 대응되는 컨텐츠B의 소리 신호를 2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6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분할된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작의 제한은 없다.
도7 및 도8은 실시예 따른 출력 명령 입력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라마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출력 명령에 기초하여 드라마 컨텐츠(7A-1, 7A-2)와 뉴스 컨텐츠(7B)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하나의 컨텐츠 중에 다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으로 기존 컨텐츠는 "드라마(7A-1, 7A-2)"에 대응될 수 있고 신규 컨텐츠는 "뉴스(7B)"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4및 도5를 같이 참고하면, "드라마"는 컨텐츠 A에 대응되고 "뉴스"는 컨텐츠 B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드라마"를 "뉴스" 보다 더 큰 영역의 크기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드라마의 소리 신호를 100%세기로 출력한다면 뉴스의 소리는 20%의 출력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8은 컨텐츠 A(8A-1, 8A-2) 및 B(8B)의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을 참고하면 컨텐츠 A(8A)는 드라마에 대응되고 컨텐츠 B(8B)도 드라마에 대응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 A(8A-1, 8A-2)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의 기존 컨텐츠이며, 컨텐츠 B는 출력 명령이 입력된 후의 신규 컨텐츠로 출력될 수 있다.
도8은 컨텐츠 A(8A-1, 8A-2)가 드라마이고 컨텐츠 B(8B)도 드라마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같은 두 컨텐츠는 우선 순위가 같으므로 동일한 크기의 영역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소리 신호의 출력에 있어서, 기존 컨텐츠와 신규 컨텐츠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될 수 있다.
우선 순위 정보는 기존 컨텐츠와 신규 컨텐츠의 소리 출력 비율을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기존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세기를 신규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2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8에서 설명한 동작은 같은 우선 순위의 경우 동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컨텐츠의 종류나 소리 신호 출력의 비율에 제한은 없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적 컨텐츠 및 동적 컨텐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9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라마 컨텐츠(9A)와 웹 사이트 컨텐츠(9B)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드라마는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9A)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웹 사이트의 경우에는 동영상과 같은 동적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스틸 이미지와 같은 정적 이미지만을 포함하는 컨텐츠(9B-1)일 수도 있다.
한편 동적 컨텐츠(9A)는 소리 신호와 같이 출력될 수 있고 정적 컨텐츠(9B-1)는 소리 신호를 포함하거나, 동적 컨텐츠에 비하여 소리 신호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상기 정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보다 크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드라마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를 100%의 세기로 출력하고, 웹 사이트에 대응되는 소리신호의 세기를 2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9에 나타난 웹사이트 컨텐츠는 동적 이미지(9B-2)를 포함하는 컨텐츠로 변경 될 수 있다.
웹 사이트에서는 동영상을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제어 명령을 통하여 웹 사이트를 동적 컨텐츠(9B-2)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정적 컨텐츠가 다른 동적 컨텐츠(9B-2)로 전환되면,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와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웹 사이트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드라마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세기보다 더 큰 소리 신호의 세기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웹 사이트에 포함된 동적 이미지의 출력이 정지되면 웹 사이트는 다시 정적 컨텐츠로 전환될 수 있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에 대응된 컨텐츠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을 참고하면, 컨텐츠 A(10A)는 드라마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컨텐츠B(10B-1)는 외부 기기 중 카메라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4, 도5 및 도10을 함께 참고하면 컨텐츠 A(10A)가 "드라마"이고 컨텐츠B(10B-1)가 "IoT CAM"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제어부는 컨텐츠A를 전체 화면에 출력(10A)하고 그 일부에 컨텐츠 B를 출력(10B)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드라마" 컨텐츠의 영역의 크기는 크게 출력(10A)하고, "IoT CAM"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영역의 크기는 작게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10B).
한편, 외부 기기가 "IoT CAM"인 경우 제어부는 해당 외부기기에 대응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오프(Off)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외부기기가 획득한 영상의 변화를 기초로 영상의 모션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해당 외부기기가 획득한 영상의 변화량, 즉 모션의 변화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면 해당 "IoT CAM"의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10B-2).
한편 도3내지 도10에서 설명한 우선 순위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의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복수의 영역에 다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본 발명의 동작의 제한은 없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1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1001).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하고,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1002).
또한 이후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1003), 해당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1004).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컨텐츠 및 정적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입력하고(1011), 출력 대상의 컨텐츠가 정적 컨텐츠 및 동적 컨텐츠인 경우(1012), 제어부는 동적 컨텐츠의 소리 신호 세기를 정적 컨텐츠의 소리 신호의 세기보다 더 크게 출력할 수 있다(1013).
한편, 정적 컨텐츠가 동적 컨텐츠로 변경되면(1014), 제어부는 변경된 동적 컨텐츠의 소리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켜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와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1015).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음향 출력부

Claims (30)

  1.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소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전달받고,
    상기 복수의 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에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는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이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하나의 컨텐츠는 정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적 컨텐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 컨텐츠 및 상기 정적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상기 정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보다 크게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컨텐츠가 다른 동적 컨텐츠로 전환되면,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와 상기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캠(CAM)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오프(Off)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모션을 검출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온(On)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 출력된 기존 컨텐츠와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고 출력된 신규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같은 경우,
    상기 이전 컨텐츠의 소리 신호와 상기 신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장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복수의 소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전달받고,
    상기 복수의 소스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명령을 입력한 이후에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는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이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하나의 컨텐츠는 정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적 컨텐츠이고,
    상기 동적 컨텐츠 및 상기 정적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상기 정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보다 크게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컨텐츠가 다른 동적 컨텐츠로 전환되면,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와 상기 다른 동적 컨텐츠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의 출력세기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외부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되어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하여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카메라로 마련되고,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오프(Off)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의 소리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은,
    상기 외부기기가 기준 값을 초과한 모션을 검출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응된 상기 외부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온(On)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기 전 출력된 기존 컨텐츠와 상기 출력 명령이 입력되고 출력된 신규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같은 경우,
    상기 이전 컨텐츠의 소리 신호와 상기 신규 컨텐츠의 소리 신호를 미리 결정된 비율로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KR1020190155321A 2019-11-28 2019-1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6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21A KR20210066282A (ko) 2019-11-28 2019-1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0/016678 WO2021107558A1 (en) 2019-11-28 2020-11-2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7/104,341 US11363328B2 (en) 2019-11-28 2020-11-25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21A KR20210066282A (ko) 2019-11-28 2019-1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82A true KR20210066282A (ko) 2021-06-07

Family

ID=7609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21A KR20210066282A (ko) 2019-11-28 2019-1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63328B2 (ko)
KR (1) KR20210066282A (ko)
WO (1) WO20211075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198B1 (ko) * 2023-08-31 2024-01-02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WO2024136104A1 (ko) * 2022-12-23 202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94002B (zh) * 2022-01-28 2023-02-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多媒體系統以及多媒體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644A (ja) * 2003-03-28 2004-10-21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CN100518269C (zh) * 2004-04-08 2009-07-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声级的设备和方法
US7532253B1 (en) * 2005-07-26 2009-05-12 Pixelworks, Inc. Television channel change picture-in-picture circuit and method
JP4926464B2 (ja) * 2005-11-29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100943914B1 (ko) 2006-01-12 201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의 처리 방법 및 장치
US9143825B2 (en) * 2010-11-22 2015-09-22 Sling Media Pvt. Lt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o reduce change latency in placeshifted media streams using predictive secondary streaming
JP5837009B2 (ja) * 2012-09-26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88303A (ja) * 2013-03-28 2014-10-06 Nintendo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ゲーム装置
CA2912351A1 (en) * 2013-05-31 2014-12-0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099594B1 (ko) * 2013-10-23 2020-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54190A (ko)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6901B1 (ko) 2014-11-10 2021-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104A1 (ko) * 2022-12-23 202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KR102620198B1 (ko) * 2023-08-31 2024-01-02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무선 입력 모듈이 장착된 텔레비전 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8431A1 (en) 2021-06-03
WO2021107558A1 (en) 2021-06-03
US11363328B2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887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36332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440036B2 (en) Television receiver that produces a contracted image
KR20160121782A (ko) Hdr 디스플레이 장치, hdr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미지 밝기를 감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8254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20033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audio Corresponding to a PIP Display
US2022031945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364091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20262483A1 (en) Display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700240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content
US20170230603A1 (en) High resolution user interface
JP7081107B2 (ja) 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139494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130322B2 (en) Method of picture control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1027113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3243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방법
US1127061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900679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036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15768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display system
KR102697125B1 (ko) 무선 미디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15041B1 (ko)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37395B1 (ko) 영상표시장치
US20230362543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system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