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15B1 - 우축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우축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15B1
KR102620015B1 KR1020230034685A KR20230034685A KR102620015B1 KR 102620015 B1 KR102620015 B1 KR 102620015B1 KR 1020230034685 A KR1020230034685 A KR 1020230034685A KR 20230034685 A KR20230034685 A KR 20230034685A KR 102620015 B1 KR102620015 B1 KR 10262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raw materials
discharge
fram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만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복만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만, 이재용 filed Critical 이복만
Priority to KR102023003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축분 처리장치(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우축분 처리장치(1)는, 우축분과 물을 배합하는 배합기(11)와; 프레임(3)의 상단에 배치되며, 배합된 원재료를 탈수, 압착, 압축하여 배출하는 전처리부(5)와;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전처리부(5)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7)와; 프레임(3)의 하단에 배치되며, 건조부(7)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기(9)와; 그리고 배합기(11)와, 전처리부(5)와, 건조부(7)와, 펠렛기(9)를 제어하는 제어반(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축분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cow poop}
본 발명은 우축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축분을 처리하는 과정을 자동화 및 연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우축분을 처리할 수 있고,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가축 수 및 그에 따른 축분 발생량은 2020년 1월 기준 젖소 포함 한육우의 경우 3,571,185두, 우분 발생량은 하루 55,633톤이고, 돼지의 경우 2019년 4월 기준 11,208,399두, 돈분 발생량은 하루 57,163톤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전체 축분 발생량 대비 80%는 퇴비화, 10.2%는 액비화, 8.7% 는 정화처리, 1.1%는 기타로서 처리/처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축분은 매년 다량 발생하는 바, 이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축분은 고농도의 유기물 함량과 수분함량이 높아 부패가 잘 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축분은 부숙도 검사를 통과해야 하는 바, 부숙도는 가축분뇨가 퇴비화 과정을 거쳐 식물과 토양에 안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숙도는 1년 2회 검사를 받도록 법제화 되었다.
그러나, 부숙되지 않은 우축분은 무단으로 적재 및 반출할 수 없음으로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여야 하는 바, 종래의 축분 처리장치는 처리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설을 증개축하기 위하여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 10-1995-0040608호(명칭:목장의 자동 사료급여 방법 및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축분을 처리하는 과정을 자동화 및 연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우축분을 처리할 수 있고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축분을 탈수, 압착, 압출, 건조 과정을 거쳐서 펠렛으로 제조함으로써 다량의 우축분을 처리하거나, 부숙처리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우축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러한 우축분 처리장치는,
우축분과 물을 배합하는 배합기(11)와;
프레임(3)의 상단에 배치되며, 배합된 원재료를 탈수, 압착, 압축하여 배출하는 전처리부(5)와;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전처리부(5)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7)와;
프레임(3)의 하단에 배치되며, 건조부(7)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기(9)와; 그리고
배합기(11)와, 전처리부(5)와, 건조부(7)와, 펠렛기(9)를 제어하는 제어반(15)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축분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임을 3단으로 구분하여, 최상단에는 원재료를 탈수, 압착, 압축하여 배출하는 전처리부를 배치하고, 중단에는 전처리부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배치하며, 하단에는 건조부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기를 배치함으로써 우축분을 처리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공정이 하나의 프레임에서 일관 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로 배치된 각 공정간에 원재료가 중력에 의하여 낙하방식에 의하여 이송되므로 별도의 이송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둘째, 프레임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전처리부에 있어서, 회전축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크류간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일측의 탈수구간과 타측의 압착구간으로 구분함으로써 원재료가 압착구간으로 갈수록 스크류간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이송되는 원재료의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압착구간에서는 원재료가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고, 탈수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수분이 분리되어 탈수된다.
셋째, 프레임의 중단에 배치되는 건조부에 있어서, 다수개의 스크류 사이에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섞음바를 배치함으로써 원재료를 이송중에 뒤섞을 수 있다.
넷째, 건조부에 배치되는 스크류가 스크류축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나선 형상중 일부 구간을 절단함으로써 원재료가 이송중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건조부에 상부에는 팬 모터를 배치하여 열풍을 공급하고, 외부에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배치함으로써 건조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프레임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펠렛기에 있어서, 원판상에 원재료가 적층된 상태에서 원판이 회전하게 되면, 원판 표면의 다수의 홈이 마찰에 의하여 원재료를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된 원재료가 2개의 롤러와 원판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압됨으로써 펠렛이 제조될 수 있다.
일곱째, 우축분을 탈수, 압착, 압출, 건조 과정을 거쳐서 펠렛으로 제조함으로써 다량의 우축분을 처리하거나, 부숙처리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축분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처리부의 압축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스크류에 배치된 섞음바와, 일부 구간을 절단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펠렛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우축분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우축분 처리장치(1)는 우축분과 물을 배합하는 배합기(11)와; 프레임(3)의 상단에 배치되며, 배합된 원재료를 탈수, 압착, 압축하여 배출하는 전처리부(5)와;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전처리부(5)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7)와; 프레임(3)의 하단에 배치되며, 건조부(7)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기(Pellet machine;9)와; 배합기(11)와, 전처리부(5)와, 건조부(7)와, 펠렛기(9)를 제어하는 제어반(1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우축분 처리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배합기(11)는 우축분과 물이 저장되는 배합조(12)와; 배합조(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교반기 모터(M)와; 교반기 모터(M)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배합조(1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우축분과 물을 교반시키는 임펠러(Impeller;10)와; 배합조(12)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모터(M1)와; 배합조(12)의 내부에 배치되며 흡입모터(M1)에 연결되어 우축분과 물이 배합된 원재료를 전처리부(5)의 탈수부로 공급하는 펌프(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배합기(11)에 있어서,
먼저 배합조(12)의 내부에 우축분과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교반기 모터(M)를 구동시킴으로써 임펠러를 소정 RPM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우축분과 물을 교반시킨다.
일정시간 교반 시킨 후, 흡입모터(M1)를 구동시킴으로써 배합조(12) 내부의 펌프(8)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원재료를 흡입배관(L1)을 통하여 전처리부(5)로 공급한다. 이때, 흡입배관(L1)을 통하여 전처리부(5)로 공급되는 원재료중 일부는 다른 배관(L2)을 통하여 리턴될 수도 있다.
프레임(3) 상부의 배합기(11)에서 프레임(3) 중간에 배치된 전처리부(5)로 공급된 원재료는 제 1호퍼(19)를 통하여 전처리부(5)의 내부로 투입됨으로써 탈수, 압착, 압축, 및 배출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부(5)는 프레임(3)의 상단에 배치되며, 제 1호퍼(hopper;19)가 구비되는 관체(17)와; 관체(17)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의 일측 표면에 다수의 제 1스크류(First Screw;S1)가 돌출되어 원재료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탈수하는 탈수구간(25)과; 회전축(21)의 타측 표면에 다수의 제 2스크류(Second screw;S2)가 돌출되며 탈수구간(25)의 제 1스크류(S1) 보다 좁은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탈수된 원재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압착하는 압착구간(27)과; 관체(17)의 타단에 배치되며 압착구간(27)으로부터 배출된 원재료를 압출하여 아래의 건조부(7)로 배출하는 압출부(2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처리부(5)에 있어서,
원재료는 제 1호퍼(19)를 통하여 관체(17)의 내부로 투입되며, 관체(17)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21)과 제 1 및 제 2스크류(S1,S2)에 의하여 압출부(29)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회전축(21)은 일단은 관체(17)의 일측 외부에 배치된 회전모터(23)에 연결되고, 타단은 관체(17)의 타측 외부에 배치된 베어링(Bearing;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모터(23)가 제어반(15)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하는 경우, 회전축(21)이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함으로써 다수개의 제 1 및 제 2스크류(S1,S2)가 원재료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21)의 표면에 돌출된 다수의 제 1 및 제 2스크류(S1,S2)는 스크류간의 간격(D1,D2)이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즉, 회전축(21)의 일측에 배치된 제 1스크류(S1)의 간격(D1)보다 타측에 배치된 제 2스크류(S2)의 간격(D2)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 1 및 제 2스크류(S1,S2)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재료는 관체(17)의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스크류간의 간격(D2)이 좁아지므로 이송되는 원재료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즉, 탈수구간(25) 보다 압착구간(27)을 통과하는 원재료의 이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되므로 탈수구간(25)에서 압착구간(27)에서부터 갈수록 원재료의 이송이 지체되어 압착구간(27)에서는 원재료가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고, 탈수구간(25)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탈수구간(25)에서는 원재료로부터 수분이 분리되어 탈수되고, 압착구간(27)에서는 원재료가 압착된다.
그리고, 관체(17)의 하부에는 압착 및 탈수과정에서 배출되는 퇴수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배관(L3,L4)이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배관(L3,L4)은 퇴수 저장조(13)에 연결됨으로써 관체(17)로부터 배출된 퇴수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압착구간(27)에서 이송된 원재료는 압출부(29)로 배출되어 2차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배출된다.
이러한 압출부(2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7)의 타측에 배치되는 토출커버(94)와; 토출커버(94)의 내측에 배치되어 관체(17)의 압착구간(27)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2차적으로 압축하는 토출구(92)와; 토출커버(94)에서 돌출되며 회전축(21)의 타단이 베어링(2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토출 프레임(96)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9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체(17)형상으로서 선단에는 원형홀(90)이 형성되고, 원형홀(90)의 주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토출홀(h1)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원형홀(90)에는 회전축(21)의 타단이 관통하여 토출 프레임(96)의 베어링(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다수개의 토출홀(h1)에는 압착구간(27)에서 압축된 원재료가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원재료가 2차적으로 압축된다. 이때, 원재료의 수분 함수량이 약 50%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홀(h1)을 통과한 원재료는 하부로 낙하하여 건조부(7)의 제 2호퍼(33)로 투입된다.
상기 토출 프레임(96)은 복수개, 예를 들면 3개가 돌출되며 그 선단을 중간에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베어링(25)이 배치되고, 이 베어링(25)에는 회전축(21)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건조부(7)는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전처리부(5)를 통과한 원재료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건조부(7)는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제 2호퍼(33)가 배치된 원통(31)과; 원통(3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원재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조립체(34)와; 원통(31)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열된 공기를 원통(31)의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37)와; 원통(31)의 일측에 배치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펠렛기(9)로 공급하는 제 1배출구(39)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부(7)에 있어서, 스크류 조립체(34)는 원통(3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축(35)과; 스크류축(35)의 표면에 배치되어 원재료를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제 3스크류(Third screw;78)와; 제 3스크류(78) 사이에 배치되어 원재료를 이송중에 뒤섞는 섞음바(80)를 포함한다.
스크류축(35)은 일단은 스프로켓(41) 및 체인(45)을 통하여 모터(43)에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3)에 베어링(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모터(41)가 구동하는 경우, 체인(45) 및 스크로켓(41)을 통하여 스크류축(35)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스크류축(35)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스크류축(35)의 표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제 3스크류(78)가 원재료를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 3스크류(78) 사이에 돌출된 다수의 섞음바(80)도 같이 회전함으로써 원재료를 뒤섞게 된다.
이러한 섞음바(80)는 스크류축(35)의 표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면, 사각 단면, 오각 단면, 원형 단면 등 다양한 단면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축(35)이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섞음바(80)도 같이 회전함으로써 원재료를 이송중에 뒤섞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재료를 뒤섞음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82)의 일부 구간(84)을 부분 절단할 수도 있다. 즉, 스크류(82)가 스크류축(35)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나선 형상중 일부 구간을 절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스크류(82)의 일부 구간(84)을 부분 절단함으로써 원재료가 이송중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원통(31)의 상부에는 송풍기(37)가 배치됨으로써 열풍을 원통(31)의 내부로 주입하여 원재료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송풍기(37)는 팬모터(Fan Motor)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며, 열풍을 주입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통(31)에 히터(Heater;49)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원통(31)에 히터(49)코일 등 발열부재를 배치하고, 온도센서(47)를 연결시킨 구조이다. 따라서, 제어반(15)에 의하여 일정 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설정 온도에 맞도록 자동으로 히터(49)에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킴으로써 가열 혹은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부(7)에 히터(49) 및 온도센서(47)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원통(31)의 내부에서 건조된 원재료는 제 1배출구(3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하부로 낙하하여 펠렛기(9)로 공급된다.
이러한 펠렛기(9)는 프레임(3)의 최하단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건조된 원재료를 이용하여 펠렛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펠렛기(9)는 본체(62)와; 본체(62)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오목홈(h)이 형성되는 원판(64)과; 원판(6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판(64)과 연동하여 원재료를 압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회전롤러(68)와; 원판(64)을 회전시키는 회전부(52)와; 본체(62)의 상부에 배치되어 원재료가 투입되는 제 3호퍼(66)와; 본체(62)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조된 펠렛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배출구(77)를 포함한다.
이러한 펠렛기(9)에 있어서,
회전부(52)는 모터(52)에 연결되며 일측부에 제 1나사산(56)이 형성되는 수평축(54)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 제 2나사산(60)이 형성되어 제 1나사산(56)이 직교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상부에는 원판(64)이 결합되는 수직축(58)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M3)가 구동하는 경우, 수평축(54)이 회전하여 수직축(58)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판(64)이 회전가능하다.
이때, 원판(64)의 표면에는 반구 형상을 갖는 다수의 오목홈(h)이 형성됨으로써 회전롤러(68)와 연동하여 마찰 및 가압에 의하여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회전롤러(68)는 축(74)의 양단이 본체(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의 롤러(70,72)가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2개의 롤러(70,72)의 표면에는 폭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홈(76)이 형성된다.
따라서, 원판(64)상에 원재료가 적층된 상태에서 원판(64)이 회전하게 되면, 원판(64) 표면의 다수의 오목홈(h)이 마찰에 의하여 원재료를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된 원재료가 2개의 롤러(70,72)와 원판(64)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목홈(h)과 홈(76)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덩어리 혹은 기둥 형태의 펠렛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펠렛은 본체(62)의 일측에 배치된 제 2배출구(7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처리부(5)에서 배출된 퇴수는 퇴수 저장조(13)에 의하여 일정기간 저장 및 발효 후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퇴수 저장조(13)는 수위 표시기(88)가 배치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퇴수의 현재 저장량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퇴수가 만수위인 경우에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배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퇴수 저장조(13)에는 기포기 모터(89) 및 기포기 배관(86)이 배치됨으로써 기포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포기 모터(89) 및 배관(86)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퇴수 저장조(13)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퇴수가 발효될 수 있고, 악취가 방지될 수 있다.

Claims (8)

  1. 우축분과 물을 배합하는 배합기(11)와;
    프레임(3)의 상단에 배치되며, 배합된 원재료를 탈수, 압착, 압축하여 배출하는 전처리부(5)와;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전처리부(5)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7)와;
    프레임(3)의 하단에 배치되며, 건조부(7)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기(9)와; 그리고
    배합기(11)와, 전처리부(5)와, 건조부(7)와, 펠렛기(9)를 제어하는 제어반(15)을 포함하며,
    전처리부(5)는 프레임(3)의 상단에 배치되며, 호퍼(hopper;19)가 구비되는 관체(17)와; 관체(17)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의 일측 표면에 다수의 제 1스크류(S1)가 돌출되어 원재료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탈수하는 탈수구간(25)과; 회전축(21)의 타측 표면에 다수의 제 2스크류(S2)가 돌출되며 탈수구간(25)의 제 1스크류(S1) 보다 좁은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탈수된 원재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압착하는 압착구간(27)과; 관체(17)의 타단에 배치되며 압착구간(27)으로부터 배출된 원재료를 압출하여 아래의 건조부(7)로 배출하는 압출부(29)를 포함하는 우축분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배합기(11)는 우축분과 물이 저장되는 배합조(12)와; 배합조(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교반기 모터(M)와; 교반기 모터(M)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배합조(1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우축분과 물을 교반시키는 임펠러(Impeller;10)와; 배합조(12)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모터(M1)와; 배합조(12)의 내부에 배치되며 흡입모터(M1)에 연결되어 우축분과 물이 배합된 원재료를 전처리부(5)로 공급하는 펌프(8)를 포함하는 우축분 처리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압출부(29)는 관체(17)의 타측에 배치되는 토출커버(94)와; 토출커버(94)의 내측에 배치되어 관체(17)의 압착구간(27)에서 배출된 원재료를 2차적으로 압축하는 토출구(92)와; 토출커버(94)에서 돌출되며 회전축(21)의 타단이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토출 프레임(96)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9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체(17)형상으로서 선단에는 원형홀(90)이 형성되고, 원형홀(90)의 주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토출홀(h1)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압축된 원재료가 다수개의 토출홀(h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우축분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3)의 중간에 배치되며 제 2호퍼(33)가 배치된 원통(31)과; 원통(3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원재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 조립체(34)와; 원통(31)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열된 공기를 원통(31)의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37)와; 원통(31)의 일측에 배치되어 건조된 원재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펠렛기(9)로 공급하는 제 1배출구(39)를 포함하며,
    스크류 조립체(34)는 원통(3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축(35)과; 스크류축(35)의 표면에 배치되어 원재료를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제 3스크류(78)와; 제 3스크류(78) 사이에 배치되어 원재료를 이송중에 뒤섞는 섞음바(80)를 포함하는 우축분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스크류(82)의 스크류축(35)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구간중 일부 구간을 절단함으로써 원재료가 이송중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축분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펠렛기(9)는 본체(62)와; 본체(62)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오목홈(h)이 형성되는 원판(64)과; 원판(6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판(64)과 연동하여 원재료를 압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회전롤러(68)와; 원판(64)을 회전시키는 회전부(52)와; 본체(62)의 상부에 배치되어 원재료가 투입되는 제 3호퍼(66)와; 본체(62)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조된 펠렛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배출구(77)를 포함하며,
    회전롤러(68)는 축(74)의 양단이 본체(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표면에 폭방향의 홈(76)이 형성된 2개의 롤러(70,72)가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원판(64)상에 원재료가 적층된 상태에서 원판(64)이 회전하게 되면, 원판(64) 표면의 다수의 오목홈(h)이 마찰에 의하여 원재료를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된 원재료가 2개의 롤러(70,72)와 원판(64)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압됨으로써 펠렛이 제조되는 우축분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관체(17)로부터 배출된 퇴수는 퇴수 저장조(13)에 저장되는 바,
    퇴수 저장조(13)는 내부 퇴수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표시기(88)와; 퇴수 저장조(13)의 내부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기 모터(89)와;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86)을 포함하는 우축분 처리장치.
KR1020230034685A 2023-03-16 2023-03-16 우축분 처리장치 KR10262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685A KR102620015B1 (ko) 2023-03-16 2023-03-16 우축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685A KR102620015B1 (ko) 2023-03-16 2023-03-16 우축분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015B1 true KR102620015B1 (ko) 2024-01-02

Family

ID=8951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685A KR102620015B1 (ko) 2023-03-16 2023-03-16 우축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1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91Y1 (ko) *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20060128578A (ko) * 2005-06-11 2006-12-14 여인봉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90114952A (ko) * 2008-04-30 2009-11-04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20813A (ko) * 2009-05-07 2010-11-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20120093686A (ko) *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이레 축분을 이용한 연료 성형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98566B1 (ko) *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91Y1 (ko) *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20060128578A (ko) * 2005-06-11 2006-12-14 여인봉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90114952A (ko) * 2008-04-30 2009-11-04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20813A (ko) * 2009-05-07 2010-11-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20120093686A (ko) *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이레 축분을 이용한 연료 성형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98566B1 (ko) *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008B1 (ko) 축분 발효장치
KR101997420B1 (ko)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KR102224761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및 시스템
KR101823349B1 (ko) 가축분의 원통형 입상화장치
KR20070047893A (ko) 타워형 무교반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620015B1 (ko) 우축분 처리장치
KR20100067984A (ko) 로드셀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기
JP2004009009A (ja) 混練混合解砕装置
KR102636406B1 (ko) 우축분 처리방법
FI11596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orgaanisen materiaalin kompostoimiseksi
KR101229735B1 (ko) 축산분뇨의 비료화 처리장치
KR20160043313A (ko) 원통형 수평 교반 발효조
KR101634977B1 (ko) 축분 연료화 시스템
FI56370C (fi) Anlaeggning foer kompostering av avfallsmaterial
JPS5918352B2 (ja) 被処理物の処理方法
KR102380732B1 (ko) 축산분뇨처리시스템
KR101408205B1 (ko) 다층구조 폐유기물 발효장치
RU26836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 переработке твердой фракции навоза в подстилку для КРС при регулируемом биотермическом процессе
KR101646895B1 (ko) 축산분뇨 및 음식물 슬러지 원형 퇴비화 장치
KR101193052B1 (ko) 음식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7227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035942U (zh) 一种饲料高效发酵装置
KR101243471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KR0185256B1 (ko) 열 절약형 회전식 퇴비 건조발효장치
RU2164905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с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