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04B1 -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04B1
KR102620004B1 KR1020200115606A KR20200115606A KR102620004B1 KR 102620004 B1 KR102620004 B1 KR 102620004B1 KR 1020200115606 A KR1020200115606 A KR 1020200115606A KR 20200115606 A KR20200115606 A KR 20200115606A KR 102620004 B1 KR102620004 B1 KR 10262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cash
stocks
terminal
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332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to KR102020011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32A/ko
Priority to KR1020230191221A priority patent/KR2024000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제1 단말기)와 연동된 제1 사용자 계좌(제1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제2 단말기)와 연동된 제2 사용자 계좌(제2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송금 수신자 입장에서는 받을 소액을 보다 다양하게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곳에 투자하고자 하는 니즈를 해소한다. 또한 송금자 입장에서도 단순히 현금의 이체를 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투자 제안을 할 수 있는 니즈를 해소한다. 또한 소액 송금시 새로운 비즈니스를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apital movement}
본 발명은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금 수신 시 소액 주식을 바로 매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핀테크 발달에 따라 송금을 쉽게 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의 채팅앱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송금을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카카오톡 송금하기 기능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다른 사용자에게 채팅앱의 대화창을 통해 매우 쉬운 방법으로 소액을 송금할 수 있다. 관련 법령이 정하는 현재 소액은 최대 200만원이며, 앞으로는 관련 법률 개정에 따라 이체 한도는 더 크게 증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관련 송금을 쉽게 해주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핀테크 업체들이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은 4차 산업혁명과 괘를 같이 한다.
기존의 송금 서비스는 단순히 현금의 이체에 불과하다. A계좌로부터 돈이 빠져나가서 B계좌로 들어간다. 고전적 방식으로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지 못한다. 단순한 현금의 이체는 점점 간소화해지는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해결될 수 있는 바, 핀테크 발달과 함께 새로운 비즈니스로 젊은 고객층들을 끌어들일 유인책이 필요하다. 즉, 현금의 이체를 넘어선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사용자 A에서 사용자 B로 송금할 때에 새로운 비즈니스를 접목시킬 니즈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간 송금할 때에 새로운 비즈니즈를 접목시킬 수 있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기(제1 단말기)와 연동된 제1 사용자 계좌(제1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제2 단말기)와 연동된 제2 사용자 계좌(제2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상기 단말기들 중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되, 상기 송금 액수와 상기 주식 종목을 기초로 생성된 제1 GUI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GUI에 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1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1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금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2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으로 환전가능한 예수금 액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와의 차액을 상기 제1 계좌에 반영하는 단계와,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에 대한 입고 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산출된 주식 수량을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고시킬 수 있다.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상기 단말기들 중 제2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되, 상기 송금 액수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으로부터 추출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GUI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GUI에 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4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2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GUI는, 상기 추천 주식 종목별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한 주식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기(제1 단말기)와 연동된 제1 사용자 계좌(제1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제2 단말기)와 연동된 제2 사용자 계좌(제2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의 고객지급계좌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된 사용자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송금 수신자 입장에서는 받을 소액을 보다 다양하게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곳에 투자하고자 하는 니즈를 해소한다.
또한 본 기술은 송금자 입장에서도 단순히 현금의 이체를 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투자 제안을 할 수 있는 니즈를 해소한다.
또한 본 기술은 소액 송금시 새로운 비즈니스를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을 통한 자본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금하기 과정이 진행되는 단말기의 화면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손익 처리를 중심으로 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금하기 과정이 진행되는 단말기의 화면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 추출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서 발생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서 발생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 및 도 5에서 발생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4 및 도 5에서 발생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을 통한 자본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1)을 통한 자본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1)을 통하여 제1 사용자(USER1)로부터 제2 사용자(USER2)로 자본의 이동이 발생한다. 상세하게는 제1 사용자의 계좌(미도시)로부터 제2 사용자의 계좌(미도시)로 자본의 이동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의 계좌를 제1 계좌로, 제2 사용자의 계좌를 제2 계좌로 참조할 수 있다.
자본의 이동은 현금의 이동 또는 주식의 이동을 포함한다. 즉,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송금할 금액이 있는 경우 현금으로 보낼 수도 있고 또는 주식으로 보낼 수도 있다.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은 제1 계좌로부터 제2 계좌로 현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는 제1 계좌로부터 제2 계좌로 주식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의 송금 요청으로 인해 제2 사용자로 자본이 이동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송금 요청에 의해 자본의 이동이 처리되는 것은 다양한 사용자들간에도 발생할 수 있다.
현금으로 보내는 것은 제1 계좌로부터 돈이 빠져서 제2 계좌로 들어가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은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인벤토리 계좌를 둘 수 있다. 재고 보유 계좌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간 실시간 현금 거래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인벤토리 계좌 없이 실시간으로 각각의 계좌로부터 현금이 인출 및 계좌로 현금이 입금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주식으로 보내는 것은 제1 계좌에서 주식이 출고되어서 제2 계좌로 주식이 입고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은 충분한 주식 수량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인벤토리 계좌를 둘 수 있다. 재고 보유 계좌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간 실시간 주식 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현금으로 보내기 위한 인벤토리 계좌와 주식으로 보내기 위한 인벤토리 계좌는 하나의 단일 계좌일 수도 있다.
한편, 주식으로 보내는 것은 다른 여러 방식으로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제1 계좌에서 주식 매매 대금이 빠져서 제2 계좌로 주식이 입고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매매대금을 제1 계좌가 대신 지급하는 것과 같은 돈의 흐름이 발생하는 방식이다. 또는 주식 매수체결은 각각의 계좌에서 발생하고 매매대금만이 이체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제1 계좌에서 주식 매매 대금이 빠져서 제1 계좌로 주식이 입고된 이후, 제2 계좌에서 주식 매매 대금이 빠져서 제2 계좌로 주식이 입고되고, 이와 함께 제1 계좌에서 기입고된 주식이 매도 처리되어 제1 계좌로 주식 매매 대금이 되돌아 들어갔다가 다시 제2 계좌로 이체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제1 계좌에서 송금액만큼의 돈이 빠지고, 제2 계좌로 송금액만큼의 주식이 입고된다는 점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제1 계좌와 제2 계좌는 현금 거래와 주식 거래 모두 가능한 종합주식계좌, 종합거래계좌 또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금 거래와 주식 거래가 모두 가능한 계좌이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의 이동은 주식의 이동과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반드시 지폐(또는 캐쉬)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화폐 기능을 갖는 다양한 수단, 즉, 가상 화폐, 충전 머니, 멤버쉽 포인트, 전자 지급머니 등의 이동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본 이동 장치(100)는 제1 계좌로부터 제2 계좌로 현금의 이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처리를 함에 있어서, 일례로, 충전 머니인 경우 제1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송금액에 상당하는 머니를 차감하고 제2 사용자의 계좌로 해당 송금액만큼의 머니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멤버쉽 포인트인 경우 제1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송금액에 상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제2 사용자의 계좌로 해당 송금액만큼의 포인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가상 화폐인 경우 제1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송금액에 상당하는 코인을 차감하고 제2 사용자의 계좌로 해당 송금액만큼의 코인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주식의 이동과 대비되는 다양한 방식의 현금 대체 수단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자본의 이동은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것처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면 족하며 반드시 실제로 실시간 현금의 이동 또는 주식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후정산 방식이어도 충분하다. 이는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이 거래에 필요한 현금이나 주식을 충분한 수량으로 미리 재고로써 보유하고 있는 인벤토리 계좌를 운영함을 의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1)은 제1 사용자 단말기(TM1), 제2 사용자 단말기(TM2) 및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TM1)는 제1 사용자(USER1) 소유이고, 제2 사용자 단말기(TM2)는 제2 사용자(USER2) 소유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간단히 제1 단말기로,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간단히 제2 단말기로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PC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를 통해 제1 단말기는 제1 계좌의 잔고 현황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2 단말기는 제2 계좌의 잔고 현황을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잔고 현황은 현금 보유 수량일 수도 있고 주식 보유 수량일 수도 있다.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각 사용자의 거래 요청에 따라 각 계좌의 잔고를 관리하고 그 잔고의 현황에 관한 정보를 각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채팅 프로그램(메신저 등)을 통해 자본 이동이 처리되도록 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므로, 메신저 회사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은행사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식의 이동(즉, 주식 매매)을 가능하게 하므로, 증권사의 서버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서버만이 도시되나 본 발명이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신저 회사의 서버, 은행사의 서버 및 증권사의 서버 중 복수개가 연동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뱅킹서비스, 스톡서비스 및 메신저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회사의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들(TM1, TM2)과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는 제1 단말기로부터 송금 요청을 받아 제1 계좌에서 제2 계좌로 자본 이동을 처리하고, 이를 위한 GUI를 생성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송금을 진행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송금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본 이동 처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하면서 GU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들과 연동된 계좌간 자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채팅창을 통해 송금 서비스가 제공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방식의 단말기들간 의사소통 방식을 통해 송금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실시예로 제시하는 통화의 종류나 주식 종목의 종류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금하기 과정이 진행되는 단말기의 화면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송금자인 제1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 2d는 송금 수신자인 제2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화면의 구성은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 및 단말기들(TM1, TM2)간 정보 교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를 통해 제1 사용자(ID: 깃)는 제2 사용자(ID: 알버트)와 채팅을 위한 채팅창에서 송금하기 GUI에 대해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송금하기 터치입력 버튼(SD)을 눌러 송금을 요청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그러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금할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 현금으로 보내거나 주식으로 보내는 액수가 여기서 결정된다. 송금 액수를 입력받는 단계(S1)에 해당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S1)에서 송금 액수가 10만원으로 입력되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금받을 자와 송금 액수가 표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식 추천종목 선택 GUI(RC_G)가 함께 표시된다. 상세하게, 도면에서 A사, B사, C사, D사 중 어느 한 주식을 보낼 수 있는 터치입력 GUI가 도시된다. 본 발명이 주식 종목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4개보다 적거나 더 많은 수의 주식 종목을 포함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A사 내지 D사는 송금시 현금을 대신해 주식으로 송부할 수 있는, 즉, 자본 이동 처리 장치가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는 주식이므로, 미리 일정 수량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주식일 수 있다. 인벤토리 계좌에서 재고 수량을 보유하고 있는 주식일 수 있다. 즉, 인벤토리 계좌에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초로 주식 추천종목 선택 GUI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식 송부는 주식 개수 기반의 거래가 아닌 금액 기반의 거래(dollar-based trade와 같이)로 인하여 소수점 거래를 수반하므로, 이러한 소수점 거래를 위해서는 자본 이동 처리 장치가 충분한 재고 수량을 인벤토리 계좌(미도시)를 두고서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사 내지 D사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회사에서 미리 보유하고 있는(소수점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주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수점 거래가 가능한 주식을 기초로 주식 추천종목 선택 GUI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사용자에 의해 금액만큼 주식 보내기 GUI가 선택되고, 또한 A사 내지 D사 중 A사 주식을 보내기로 주식 추천종목 선택 GUI에 대한 제1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를 가정한다.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단계(S2)에 해당한다.
그러면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말기로 송금 수신방식 선택 GUI(TC_G)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송금 수신방식 선택 GUI가 제1 GUI로 참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송금 액수 정보 및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 정보를 수신하여 제1 GUI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1 GUI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한다. 제1 GUI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3)에 해당한다.
그러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를 통해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와 채팅을 위한 채팅창에서 제1 GUI에 대해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GUI는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주식 종목으로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영역(ST) 및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영역(CA)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앱을 통해 송금 수신방식 선택 과정이 제공되므로, 이러한 제1 GUI는 우측에 메시지 수신 시간 정보와 함께 제2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오후 1:33으로 도시됨).
이러한 시간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ST에 대한 터치 입력시 주식 시세가 결정되는 시기에 관한 시작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영역(ST)에 해당 시점(메시지 수신 시점)에서의 주식 시세(+2.5%로 도시됨)가 함께 도시된다. 이로써 메시지 수신 시점에서의 시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GUI는 자본 이동 처리 장치가 생성한 것으로서 송금자가 송금시 송금자가 제안하는 주식 종목으로 현금 대신 받도록 송금 수신자에게 선택 사항을 제공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주식 추천을 가능하게 한다. 송금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송금 과정에서 주식의 매입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GUI에 대한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주식-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자본 이동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S4)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ST에 대한 터치 입력 결과를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주식-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는 CA에 대한 터치 입력 결과를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하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상기 단계(S3) 이전에, 상기 단계(S2)를 통해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1 시점(직전일 장마감시 또는 송금자의 보내기 터치 입력시)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단계(S1)을 통해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S21)를 수행한다. 즉, 제1 사용자는 주식 추천시 주식을 구매한 후 추천한다. 이는 시세 차익으로 인한 수익이 제2 사용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주식을 구매하지 않고 단순히 종목을 추천하는 것이라면, 수신자에게 수익이 돌아갈 수 없다. 이는 송금 과정에 본 발명이 도입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단계들은 송금 과정에서 현금 대신 주식으로 보내기의 비즈니스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하여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상술한 단계들(S1, S2, S21, S3) 이후,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단계(S4)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부터 현금으로 받기가 선택되었음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계(S1)에서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금시키는 단계(S41)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S2)에서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2 시점(직전일 장마감시 또는 송금 수신자의 제1 GUI(즉, CA)에 대한 터치 입력시)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단계(S21)에서 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으로 환전가능한 예수금 액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와의 차액(실현 손익)을 상기 제1 계좌에 반영하는 단계(S42)와,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에 대한 입고 취소를 처리하는 단계(S43)를 수행한다. 즉, 단계(S21)에서 입고된 주식을 매도 처리한다. 송금자는 송금을 의도하였을 뿐, 주식 매수를 의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방 선택에 따라 현금으로 송금이 마쳐진 경우 기매수한 주식을 매도 처리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현금으로 받기를 선택함에 따라 기매수한 주식에 대한 손익 부담을 송금자가 지는 구조이다.
한편, 단계(S21)를 통해 기매수한 주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으로 송금이 마쳐지면(S41) 자동으로 매도 처리되게 되나(S42, S4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대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즉, 송금자)가 자동 매도 처리 대신에 주식 보유 처리로 설정한 경우에는 자동 매도 처리되지 않고, 보유 처리될 수도 있다. 보유 처리는 기매입한 주식을 그대로 보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 제1 시점은 제2 시점과 같거나 그보다 이른 시점이다. 제1 시점은 직전일 장마감시 또는 송금자의 보내기 터치 입력시이다. 제2 시점은 직전일 장마감시 또는 송금 수신자의 제1 GUI(즉, CA)에 대한 터치 입력시이다.
두 시점이 같은 직전일 장마감시로 설정됨으로써 같은 시점인 경우에는 손익 부담이 없다. 다르게는, 송금 수신자가 메시지를 수신한 이튿날 현금으로 받기를 선택한다면, 일자가 변경됨에 따라 손익 부담이 발생한다.
제1 시점이 송금자의 보내기 터치 입력시로 설정되고 제2 시점이 송금 수신자의 CA에 대한 터치 입력시로 설정됨으로써 서로 다른 시점인 경우에는 손익 부담이 발생한다.
이하 주식-이체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상술한 단계(S21)는 동일하게 수행됨을 주목한다.
상술한 단계들(S1, S2, S21, S3) 이후,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단계(S4)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가 제안하는 주식 종목으로 받기가 선택되었음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계(S21)에서 산출된 주식 수량을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고시킨다. 즉, 단계(S21)에서 입고된 주식 수량을 제1 계좌로부터 출고시키고(제1 계좌에서 해당 주식 수량이 (-) 처리될 수 있다), 단계(S21)에서 입고된 주식 수량을 제2 계좌에 입고시킨다(제2 계좌에서 해당 주식 수량이 (+) 처리될 수 있다).
제1 GUI(즉, ST)에 대한 터치 입력 시점에서 수익이 발생한 경우 송금 수신자는 ST를 터치 입력함으로써 당초 송금받을 액수보다 큰 평가 금액의 주식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대로 손실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수신자는 ST를 터치 입력함으로써 당초 송금받을 액수보다 작은 평가 금액의 주식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대방이 추천한 주식을 손쉽게 구매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손실을 부담하기 싫은 경우에는 수신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통해 현금으로 받으면 그만이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금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접목이 사용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가 있다.
한편 이때 현금으로 받기 한 경우 손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송금자가 부담하게 되나, 송금자 본인은 추천할만큼 확신하고 있으므로 손실을 떠안아도 무방하다. 더욱이, 기매수한 주식에 대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동 매도 처리되지 않고 보유 처리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송금자 본인은 추천할만큼 확신하고 있으므로 시세가 하락한 주식을 보유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금자는 현금 이외의 다양한 상품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수신자 입장에서는 언제 수신할지를 판단해야 하는 재미 요소가 있다. 주가가 상승할 경우 송금 금액보다 더 높은 금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주가가 하락한 경우 현금으로 받으면 손해를 보지 않는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손익 처리를 중심으로 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21가 수행된다. 그리고 제1 GUI가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제2 사용자는 송금 수신방식을 선택한다.
송금 수신자가 현금으로 받기를 선택한 경우, 현금을 받게 된다. 이때, 상술한 단계(S41)의 수행에 따라 송금자 입장에서는 돈이 2중으로 인출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동 매도 처리된 경우 매매대금으로 환급되며(S42, S43), 주식 보유 처리된 경우 주식을 매수한 결과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무방하다.
송금 수신자가 주식으로 받기를 선택한 경우, 주식을 받게 된다. 송금자가 구매한만큼의 주식을 받는다.
이때, 구매 시점 대비 수익이 발생한 경우 수익이 발생된 주식 수량을 그대로 받게 되므로 이익은 송금 수신자에게 돌아간다. 반대로, 구매 시점 대비 손실이 발생한 경우 손실이 발생된 주식 수량을 그대로 받게 되므로 손실은 송금 수신자에게 돌아간다. 이 경우, 손실을 원하지 않는 송금 수신자는 (시세 파악이 가능하므로) 주식으로 받기가 아닌 현금으로 받기를 선택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주식 종목 추천이 송금자에 의해 결정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지만, 수신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금하기 과정이 진행되는 단말기의 화면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모두 송금 수신자인 제2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화면의 구성은 지본 이동 처리 장치(100) 및 단말기들간(TM1, TM2) 정보 교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송금자에 의한 주식 종목 추천 과정이 없으며, 도 4에서는 송금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초로 주식 종목이 추천된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살펴본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금 수신방식 선택 GUI(TC_G2)가 표시된다. 이하 이를 제2 GUI로 참조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상술한 도 2a 및 도 2b에서의 과정은 동일하게 수행됨을 주목한다. 즉, 송금자로부터 송금 액수를 입력받는 단계(S1)는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송금자로부터 송금 액수가 1만4천원으로 입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의 실시예는 송금 수신자가 수신할 금액이 얼마인가가 중요하며, 송금 액수가 입력되는 방식은 제1 단말기를 통하지 않고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받을 금액을 자동으로 산출한 자본 이동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방식도 가능하다(더치 페이 기능을 생각하면 된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송금받을 금액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정부 환급금, 보험금 수령 등).
도 4a를 계속 참조하면, 제2 GUI는 주식으로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영역(ST2) 및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영역(CA2)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앱을 통해 송금 수신방식 선택 과정이 제공되므로, 이러한 제2 GUI는 우측에 메시지 수신 시간 정보와 함께 제2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오후 1:33으로 도시됨).
제2 GUI는 자본 이동 처리 장치가 생성한 것으로서 수신자가 송금 수신시 자신의 단말기 정보를 갖고서 추천된 주식 종목으로 현금 대신 받도록 송금 수신자에게 선택 사항을 제공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주식 추천을 가능하게 한다. 송금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송금 과정에서 주식의 매입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S1)을 통해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제2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S6).
이를 위해,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송금 액수와 제2 단말기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횟수, 시간 등)으로부터 추출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를 기초로 제2 GUI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2 GUI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한다. 제2 GUI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11)에 해당한다.
상세하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을 갖는다. 가장 많은 사용 내역을 갖는 인터넷(Internet) 앱, 그 다음 순위의 톡(Talk) 앱, 이어서 메일(Mail) 앱, 콘텐츠(Contents) 앱, 포털(Portal) 앱, 그리고 설정(Setting) 앱이 표시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 정보를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제2 단말기와 통신하여 수신하고(S111), 이를 기초로 관련 주식을 추출하여(S112) 제2 GUI를 생성할 수 있다(S113).
예를 들어, 인터넷 앱의 개발사가 A사, 톡 앱의 개발사가 C사, 메일 앱의 개발사가 E사, 콘텐츠 앱의 개발사가 F사, 포탈 앱의 개발사가 G사인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순위대로 A사 주식, C사 주식, E사 주식, F사 주식 및 G사 주식을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GUI에는 해당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별 수량이 소수점 단위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총 5개 주식 종목들에 대해 송금 액수가 앱별 사용시간만큼 자동 분배가 선택되고 그에 따라 송금 액수보다 작은 금액으로 각 주식 종목들에 대한 소수점 구매가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천 종목 리스트 중 1개의 종목을 선택한 경웅는 송금 액수 전체에 대해 소수점 구매가 가능한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GUI에 대한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주식-대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단계 S7).
구체적으로,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ST2에 대한 터치 입력 결과를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주식-대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는 CA2에 대한 터치 입력 결과를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현금-이체 프로세스는 도 2에서 상술한 것과는 다르게 제1 계좌로부터 제2 계좌로 현금의 이체가 발생하면 충분하며, 도 2에서와 같은 단계(S21, S41-S43)는 요청되지 않는다.
주식-대체 프로세스는 도 2에서 상술한 것과는 다르게 제1 계좌에서 송금 액수에 해당하는 금액이 인출되고 제2 계좌로 송금 액수에 해당하는 주식 수량이 입고되면 충분하며, 도 2에서와 같은 단계(S21, S46)는 요청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S7)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시점(직전일 장마감시 또는 송금 수신자의 제2 GUI(즉, ST2)에 대한 터치 입력시)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2 계좌에 입고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 추출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2 사용자가 주식으로 받기를 선택해서 송금 금액을 주식으로 받는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S11이 수행된다. 상세하게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제2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앱 사용 내역으로부터 추천 주식 종목을 추출한다(S111, S112). 추출 과정(S112)에서는 앱 개발사나 유통사, 앱 카테고리나 장르, 유사 기술 스택 등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GUI가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제2 사용자는 송금 수신방식을 선택하고, 현금으로 받기를 선택한 경우, 현금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제2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앱별 사용시간만큼 자동 분배를 선택함으로써, 송금 수신 금액에 맞는 주식 포트폴리오 분배가 가능하다.
상술한 도 2의 경우와 달리,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구매 시점 대비 손익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송금 금액을 주식으로 받기를 원하는 시점에 송금 수신자가 해당하는 금액만큼을 주식으로 받으면 충분하다.
도 6 및 도 7은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 발생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송금 액수를 입력받는 단계(S1),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단말기들 중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단계(S2),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1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S21), 송금 액수와 주식 종목을 기초로 생성된 제1 GUI를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3), 및 제1 GUI에 대한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주식-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사전 입고 처리부(120), 제1 GUI 제공부(130), 프로세스 수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S1, S2)은 통신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1)는 사전 입고 처리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3)는 제1 GUI 제공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4)는 프로세스 수행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의 단계(S4)는 현금-이체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제2 계좌로 입금시키는 단계(S41),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2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으로 환전가능한 예수금 액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와의 차액을 상기 제1 계좌에 반영하는 단계(S42) 및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에 대한 입고 취소를 처리하는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의 단계(S4)는 주식-이체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산출된 주식 수량을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고시키는 단계(S46)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S41 내지 S43, S46)은 프로세스 수행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 발생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송금 액수를 입력받는 단계(S1), 상기 송금 액수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으로부터 추출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GUI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11),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단말기들 중 제2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단계(S6), 및 제2 GUI에 대한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현금-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주식-대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S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GUI 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S1, S6)은 통신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1)는 제2 GUI 제공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7)는 프로세스 수행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자본 이동 처리 방법의 단계(S11)는 제2 단말기로부터 스마트폰 앱 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S111), 앱 사용 내역으로부터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S112), 및 추출 정보를 기초로 제2 GUI를 생성하는 단계(S1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S111 내지 S113)은 제2 GUI 제공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들간 (즉, 개인간 거래시) 동작을 중심으로 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 서버와 단말기간 송금시에도(즉, 기업-개인간 또는 기관-개인간 거래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1')을 통한 자본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1')은 외부 서버(SV), 사용자 단말기(TM) 및 자본 이동 처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내용과는 제1 사용자 단말기(TM1)가 외부 서버(SV)로 변경되고, 제1 사용자 계좌가 외부 서버의 고객지급계좌로 변경된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설명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외부 서버(SV)는 금융회사(CS)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는 보험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는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외부 서버의 고객지급계좌는 금융회사, 보험회사 또는 공공기관에서 고객에게 각종 비용을 지급하기 위해 관리하는 계좌일 수 있다. 회사/기관 내부 고객관리용 계좌일 수 있다. 또는 회사/기관과 연동된 은행 계좌(일례로 신한은행 계좌와 같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지급계좌는 회사/기관에서 고객에게 비용을 지급하기 위해 관리하는 계좌이면 충분하다.
외부 서버와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외부 서버(SV)는 사용자 단말기(TM)의 사용자를 고객으로 하는 회사의 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는 고객에게 지급(또는 환급)할 금액이 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본 이동 장치를 통해 송금해줄 수 있다. 따라서 송금시 현금 또는 주식으로 받기가 가능해진다.
일례로, 외부 서버가 금융사 서버인 경우, 금융사에서 고객에게 지급할 이자 수익 또는 환불금을 자본 이동 장치를 통해 현금 또는 주식으로 송금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서버가 보험사 서버인 경우, 보험사에서 고객에게 지급할 보험금을 자본 이동 장치를 통해 현금 또는 주식으로 송금해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국가기관이 고객에게 지급할 환급금을 자본 이동 장치를 통해 현금 또는 주식으로 송금해줄 수 있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3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자본 이동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d에서 상술한 제1 GUI(TC_G)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때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제1 GUI는 송금자로부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을 기초로 생성되는 반면(그래서 송금자로부터 주식 종목을 입력받는 절차를 포함하지만),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외부 서버이므로, 외부 서버로부터 주식 종목을 입력받는 절차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그러한 절차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자본 이동 처리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송금 액수 및 그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입력받아 제1 GUI를 생성하면 충분하다. 또는 경우에 따라, 외부 서버의 관리자가 외부 서버를 제어하는 단말기(중앙 컴퓨터 등)를 통해 송금 액수 및 그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입력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의 제1 GUI에 대한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현금-이체 프로세스 또는 주식-이체 프로세스가 수행된다는 점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3과 동일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도 4 내지 도 5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자본 이동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상술한 제2 GUI(TC_G2)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되, 송금 액수와 사용자 단말기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으로부터 추출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를 기초로 제2 GU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의 제2 GUI에 대한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현금-이체 프로세스 또는 주식-대체 프로세스가 수행된다는 점은 상술한 도 4 내지 도 5와 동일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자본 이동 처리 시스템
100 : 자본 이동 처리 장치
110 : 통신부
120 : 사전 입고 처리부
130 : 제1 GUI 제공부
140 : 프로세스 수행부
150 : 제2 GUI 제공부
TM1 : 제1 사용자 단말기
TM2 : 제2 사용자 단말기
RC_G : 주식 추천종목 선택 GUI
TC_G : 송금 수신방식 선택 GUI, 제1 GUI
TC_G2 : 송금 수신방식 선택 GUI, 제2 GUI

Claims (12)

  1. 제1 사용자 단말기(제1 단말기)와 연동된 제1 사용자 계좌(제1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제2 단말기)와 연동된 제2 사용자 계좌(제2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GUI는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제1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으로 받을 수 있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시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1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시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주식 종목의 소정의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금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2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으로 환전가능한 예수금 액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와의 차액을 상기 제1 계좌에 반영하는 단계와,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에 대한 입고 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상기 단말기들 중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되,
    상기 송금 액수와 상기 주식 종목을 기초로 생성된 제1 GUI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GUI에 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1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1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산출된 주식 수량을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고시키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을 상기 단말기들 중 제2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되, 상기 송금 액수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내역으로부터 추출된 추천 주식 종목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GUI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에 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터치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4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2 계좌에 입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는, 상기 추천 주식 종목별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한 주식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11. 제1 사용자 단말기(제1 단말기)와 연동된 제1 사용자 계좌(제1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제2 단말기)와 연동된 제2 사용자 계좌(제2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GUI는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제1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으로 받을 수 있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시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1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시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주식 종목의 소정의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고,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금시키며,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2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으로 환전가능한 예수금 액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와의 차액을 상기 제1 계좌에 반영, 및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에 대한 입고 취소를 처리하는 자본 이동 처리 장치.
  12. 외부 서버의 고객지급계좌(제1 계좌)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된 사용자 계좌(제2 계좌)로 자본의 이동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기초로, 현금으로 받거나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GUI는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제1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종목으로 받을 수 있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시 상기 제1 계좌로부터 현금을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현금을 입금시키는 제1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시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주식을 출고 및 상기 제2 계좌로 주식을 입고시키는 제2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주식 종목의 소정의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로 구매가능한 주식 수량을 소수점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제1 계좌에 입고 처리하고,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를 상기 제1 계좌로부터 인출 및 상기 제2 계좌로 입금시키며,
    상기 제1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입력받은 주식 종목의 소정의 제2 시점에서의 시세를 기초로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으로 환전가능한 예수금 액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송금 액수와의 차액을 상기 제1 계좌에 반영, 및 상기 입고 처리된 주식 수량에 대한 입고 취소를 처리하는 자본 이동 처리 방법.
KR1020200115606A 2020-09-09 2020-09-09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2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06A KR102620004B1 (ko) 2020-09-09 2020-09-09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230191221A KR20240006474A (ko) 2020-09-09 2023-12-26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06A KR102620004B1 (ko) 2020-09-09 2020-09-09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1221A Division KR20240006474A (ko) 2020-09-09 2023-12-26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32A KR20220033332A (ko) 2022-03-16
KR102620004B1 true KR102620004B1 (ko) 2023-12-29

Family

ID=80937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606A KR102620004B1 (ko) 2020-09-09 2020-09-09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230191221A KR20240006474A (ko) 2020-09-09 2023-12-26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1221A KR20240006474A (ko) 2020-09-09 2023-12-26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00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6147A (ja) * 2000-06-06 2003-12-02 イージーログイン・ドット・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送金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443A (ko) * 2010-11-29 2011-01-12 이영실 주식교환권 운용시스템 및 방법
US20120203681A1 (en) * 2011-02-07 2012-08-09 Lele Avinash 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ift certificates of stock
KR20170073271A (ko) * 2015-12-18 2017-06-28 양정원 여행자를 위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6147A (ja) * 2000-06-06 2003-12-02 イージーログイン・ドット・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送金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474A (ko) 2024-01-15
KR20220033332A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2374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90784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050018865A (ko) 신용카드 사용과 연계된 적립식 금융상품 운용 시스템 및방법
JP202003046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2015930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297975B1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온라인 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JP2001243400A (ja) 関連口座を用いた口座管理システム
CA3027815A1 (en) Server arrangement and related methods for performing financial operations
KR102143639B1 (ko) 은행과 연계된 코인-포인트 중계거래용 앱의 금 거래 운영방법
JP6708802B1 (ja) 電子マネー仲介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仲介方法
Al-Mahbubah et al. The Frame of Sharia Economic on Paylater Payment System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JP2013101590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620004B1 (ko)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TW201327446A (zh) 網路平台信託交易方法及該網路交易平台
CN116802668A (zh) 用于自动账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JP2002074235A (ja) オンライン決済システム、サービスポイント決済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10099672A (ko) 코인-포인트 중계거래용 앱에서 금을 담보로 한 보장성 보험을 이용한 금 거래 운영방법
WO2020016944A1 (ja) 電子マネー用エスクロー決済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用エスクロー決済方法
KR101738992B1 (ko) 컴퓨터 수행 가능한 전자금고를 통한 전환사채 거래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461851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전자결제매출 실시간 선지급 시스템
KR102502997B1 (ko) 플랫폼간 자산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U2021105552A4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and settlement and managing reward account using Block-chain smart contracts
KR102259547B1 (ko) 스테이지 시스템과 연계된 금융 상품을 운영하는 방법
KR102458285B1 (ko) 가상화폐를 온오프라인에서 사용시 즉시 현금결제가 가능한 pg시스템에 의한 지불결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