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01A -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301A
KR20220159301A KR1020220125919A KR20220125919A KR20220159301A KR 20220159301 A KR20220159301 A KR 20220159301A KR 1020220125919 A KR1020220125919 A KR 1020220125919A KR 20220125919 A KR20220125919 A KR 20220125919A KR 20220159301 A KR20220159301 A KR 2022015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price
purchase request
reques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22012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301A/ko
Publication of KR2022015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혜택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혜택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 이상의 혜택으로 낙찰혜택이 결정되면서,
낙찰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혜택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혜택을 초과한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차이나는 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Description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THE METHOD OF SNS GROUP PURCHASE}
SNS연계 공동구매 방법.
요즘 들어 SNS사이트와 연계한 공동구매가 인기를 끌고 있다.
SNS란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줄임말로써,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용자들은 SNS를 통해 인맥을 새롭게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SNS사이트의 대표적인 예로, 트위터 또는 페이스북이 있다.
어떤 공동구매 사이트에서 특정의 상품에 대하여 일정 수량 이상의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되면 상당히 큰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공동구매를 진행하겠다고 공시를 하면, 불특정 다수의 구매자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특정상품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 정보를 획득하여 공동구매에 참여하게 된다. 특히,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SNS사이트를 통하여 사이트 회원들끼리 공동구매에 참여하자고 서로 독려하여 많은 구매자들이 공동구매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SNS 공동구매라고도 하고, 소셜 커머스라도도 한다.
이러한 공동구매 사이트의 대표적인 예로, 미국에는 그루폰(http://www.groupon.com)이 있고, 한국에는 티켓몬스터(http://www.ticketmonster.co.kr/) 이 있다. 한국만 해도 티켓몬스터를 포함하여 수많은 SNS 공동구매 사이트가 존재하고 있는데, 모두 미국의 그루폰의 성공을 보고 공동구매 사업에 뛰어 들었다고 볼 수 있다.
SNS공동구매를 진행하는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진입장벽이 매우 낮음에 따라 업체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고, 그에 따라 폐업하는 곳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별한 전략이 없이, 모두 거의 동일한 형태로 영업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SNS공동구매 방법에 1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
도1처럼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따른 1개의 할인율이 적용된 1개의 구매신청가격만이 존재하게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SNS 공동구매에 구매신청하는 구매자는 50%정도 까지는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대부분의 SNS 공동구매 공시가 일정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되면 50%정도의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될 수 있다고 되어 있고, 그렇게 거래가 이루어 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50%정도 할인은 마진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엄청나게 큰 물량이 거래되지 않고서는 이익을 내기 힘든 가격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종래의 방식처럼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과 1개의 구매신청가격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가 진행해야 한다면, 만약, 좀처럼 구매신청되지 않을 것 같은 엄청나게 큰 물량이 구매신청되어야만 50%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다고 판매자가 공동구매 공시를 하면, 구매자들이 비난할 것 같아서, 판매자 입장에서는 별로 큰 물량이 아닌 물량이 구매신청되어도 50% 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를 할 수 있다고 공동구매 공시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즉, 종래의 방식에서는 구매신청된 수량에 비하여 과도한 할인율이 적용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구매신청된 수량이 공시 조건을 만족하여 거래가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50% 정도 할인된 가격인 마진이 거의 없는 가격(또는 손해보는 가격)으로 별로 큰 물량이 아닌 물량이 거래되면 총 마진도 거의 없다(또는 손해본다 ). 즉, 종래의 SNS 연계 공동구매는 박리다매에 의한 큰 이익을 위한 전략 이라기 보다는, 단지 사업체 홍보목적으로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공시를 게 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서비스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판매자가 공동구매를 자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엄청난 물량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50%정도를 할인해 줄 수 없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또는 50%정도 할인해서라도 판매해보고 싶은 생각이 없는 판매자는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SNS 공동구매 진행해보겠다는 생각조차 할 수가 없게 된다.
신문 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한국 소셜커머스 1위 업체 티켓몬스터 신현성 대표의 인터뷰(2011.01.11)에도 간접적으로 종래의 소셜커머스 문제점이 나와 있다.
500개에 이르는 웹사이트(= 소셜커머스업체 )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습니다. 국내 소셜커머스 서비스에 대해 고객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질 떨어지는 상품을 팔거나, 잠깐 영업하다 문을 닫는 곳도 적잖고요. 티몬은 올해부턴 업체를 까다롭게 선정하고 현장 방문과 교육도 진행할 생각입니다. 업체 입장에선 소셜쇼핑 서비스로 물건을 팔았을 때 생각만큼 홍보 효과를 올려야 한다는 과제도 있습니다. 이런 거래업체들이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채널을 새로 만들 예정입니다.”
상기의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면, 홍보효과만 강조하고 있고, 박리다매에 의한 많은 이익은 전혀 거론되지 않고 있읍니다. 하지만, 홍보효과마저도 미비한 경우가 대분이다. 저렴한 가격만을 쫓아다니는 무리들 또는 뜨내기 손님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히려 엄청난 손해만 봤다는 피해사례가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KBS '소비자 고발'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제목 : 반값 할인 쿠폰, 서비스도 반값?
인터넷을 통한 공동구매로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소셜 커머스! 음식, 공연, 미용, 교육 등 다양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사이트는 2010년 3월 우리나라에 처음 등장했다. 지난해 쿠폰판매액이 약 6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소셜커머스 시장. 소비자들의 피해사례 또한 급증하고 있다. 소셜커머스를 통해 구입한 할인쿠폰으로 업체를 방문할 경우, 일반 손님과 다른 차별대우를 받는다는 것. 과연 사실일까?
확인을 위해 찾아간 한 스테이크 전문점. 제작진은 할인쿠폰 손님 팀과 일반 손님 팀으로 나누어 같은 메뉴를 주문해 봤다. 한눈에도 일반 손님 팀보다 부실해 보이는 할인쿠폰 손님 팀의 접시. 고기의 양이 다를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메뉴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일부 소셜커머스 업체의 경우, 서비스 제공업체에게 무리한 쿠폰 발행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할인쿠폰 남발로 인해 소비자들은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가격할인을 이유로 제대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소셜커머스'의 문제점을 <소비자 고발>이 취재했다."
그리고, 과다한 할인 및 소셜커머스 업체의 운영상의 문제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우려를 표명하는 기사도 있다.
"이처럼 소셜커머스의 부작용이 짙게 불거지면서 공정거래위원회는 8일부터 피해 실태 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규모를 갖춘 업체 몇곳을 상대로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한 뒤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해 11월 소셜커머스와 관련해 소비자피해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그리고, 한국만에도 2011.1.1 기준으로만 해도 500여개의 소셜커머스 업체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전 세계적으로는 최소한 10,000여개의 소셜커머스 업체는 존재하리라고 예상되는데, 영업방식은 소셜커머스 원조회사인 미국의 그루폰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언론에서도 다음과 같이 이야기되고 있다.
"소셜커머스 러시, 전략의 부재가 문제다"
"선점 외에는 별다른 전략이 없다는 문제가 발견된다."
"나만의 성공요인을 더한다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
그리고, 그루폰이 온라인 경매 사업자 이베이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왔다. 온라인 쿠폰 사업이 초기에는 소비자의 큰 관심을 끌었으되 곧 인기가 식기 시작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전형이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원의 방법이 꼭 필요하겠다고 주장한다.
이제, 도1처럼,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따른 1개의 할인율이 적용된 1개의 구매신청가격만이 존재하게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있는 종래 방법의 문제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예를 들어, 도2(또는 도4)와 같이, 평상시에 판매되는 가격, 즉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가격이 10,000원인 상품에 대하여,“150 이상” 구간, “300 이상” 구간, “500 이상” 구간을 포함한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이 적용된 다수의 구매신청가격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싶어도,
도1 의“500 이상” 구간을 포함한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과 1개의 할인율이 적용된 1개의 구매신청가격만이 존재하게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있다.
그래서, 공동구매에 구매신청된 수량이, 예를 들어, 도5처럼 490개 정도로 상당히 많았고, 굳이 50%할인율이라는 큰 할인율이 아닌 30%정도의 할인율만 적용된 가격에도 만족되는 구매신청 수량이 350개(=40+130+180) 정도로 상당히 많았음에도, 도1의 500개와 같은 공동구매 공시에서 제시된 할인이 적용될 수 있는 최하 수량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490개 중 일부라도 거래 성사되는 것이 없이, 490개 모두가 거래가 성사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단원에서 본원의 방법의 실시 예로서 자세히 설명되고 있는 도5 또는 도6과 같이 490개의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된 상황에서는 도1과 같은 종래의 방식처럼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만 존재하는 형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의 하한인 500개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본원 방법에 의하면 350개의 구매신청수량이 구매가 가능하게 되지만, 종래의 방식에서는 1명의 구매자도 구매가능하지 못하게 되어, 구매자나 판매자에게 너무 큰 기회손실을 주고 있다.
SNS 공동구매에서 도2처럼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이 적용된 다수의 구매신청가격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하는데 있어서의 장애물들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한다.
[수단항 1]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혜택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혜택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 이상의 혜택으로 낙찰혜택이 결정되면서,
낙찰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혜택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혜택을 초과한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차이나는 비용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
제15항에 있어서,
"혜택"이라는 것은 다음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 가격 또는 가격이 낮아지는 것.
2. 할인율 또는 할인율이 높아지는 것.
3. 상품(=재화나 용역) 또는 상품(=재화나 용역)이 추가되는 것.
[수단항 2]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혜택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혜택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 이상의 혜택으로 낙찰혜택이 결정되면서,
낙찰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혜택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혜택을 초과한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결제가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3]
제1항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4]
제2항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어느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의 구매취소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받아들여지면, 구매신청이 취소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환수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이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10]
제 9 항에 있어서,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전체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받아들여지거나
상기 낙찰혜택 초과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상기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비용이 결제 완료되는 것이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상기 낙찰혜택으로 구매신청하는 것이 받아들여져서,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혜택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혜택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혜택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낙찰혜택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각 구매신청혜택 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에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 추가 혜택이 적용되어 낙찰혜택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수단항 14]
제13항에 있어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혜택 결정 방법이라는 것이 다음과 같은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낙찰가격 = A - B
A :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
B : 추가할인금액 = C * D/E
상기 B에 대한 계산식에서,
C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D은 총구매신청 수량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 숫자를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E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다음 구간의 하한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상기의 숫자들은 확정된 숫자가가 아니라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를 포함한 사람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숫자일 수도 있다.)
[수단항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혜택"이라는 것은 다음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 가격 또는 가격이 낮아지는 것.
2. 할인율 또는 할인율이 높아지는 것.
3. 상품(=재화나 용역) 또는 상품(=재화나 용역)이 추가되는 것.
[수단항 16]
.
[수단항 17]
.
[수단항 18]
.
[수단항 19]
.
[수단항 20]
.
[수단항 21]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가격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가격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가격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면서,
낙찰가격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차이나는 비용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2]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가격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가격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가격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면서,
낙찰가격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어느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의 구매취소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받아들여지면, 구매신청이 취소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전체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거나
상기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상기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비용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결제 완료되는 것이 받아들여저서,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수단항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낙찰가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에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가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수단항 30]
제29항에 있어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가격이 결정 방법이라는 것이 다음과 같은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낙찰가격 = A - B
A :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
B : 추가할인금액 = C * D/E
상기 B에 대한 계산식에서,
C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D은 총구매신청 수량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 숫자를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E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다음 구간의 하한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상기의 숫자들은 확정된 숫자가가 아니라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를 포함한 사람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숫자일 수도 있다.)
SNS 공동구매에서 도2의 “150 이상” 구간, “300 이상” 구간, “500 이상” 구간과 같은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특정의 할인율이 적용된 다수의 구매신청가격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 있는 것 자체가 판매자들의 오랜 숙원을 해결하는 것이며, 공동구매에 구매신청된 총 수량이 산출되기만 하면 합리적인 낙찰가격이 결정될 수 있게 한다.
그러면서, 종래에 많이 발생하였던 기회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구매자와 보다 많은 판매자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되고, 낮은 할인율이 적용된 가격으로도 거래가 체결될 수 있으므로, 판매자들이 적정한 마진을 얻을 수 있게되어, 상품의 질이 향상될 수 있고, 판매자가 공동구매를 자주 진행할 수가 있게 되므로, 공동구매, 특히 SNS연계 공동구매와 같은 판매처가 1곳인 공동구매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심지어 도4의 "150 미만"이라는 구간처럼 할인이 전혀 적용되지 못하는 구매신청수량 구간도 포함되게 공동구매를 진행한다고 하여도,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만족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효과들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원 방식처럼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특정의 할인율이 적용된 다수의 구매신청가격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를 공시할 수 있게 되면, 도8처럼 엄청나게 큰 물량에만 마진이 거의 없는 가격인 50%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다고 공시하고, 별로 큰 물량이 아닌 물량은 15~30%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다고 공시하면, 구매자도 50%할인된 가격도 있는 상태로 공동구매 공시가 되었으니까 큰 불만은 없게 되고, 판매자도, 적은 물량이 구매신청되어 거래가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적은 물량에는 적은 할인율이 적용된 마진이 어느 정도 있는 가격이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므로, 판매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총 마진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품질에도 이상이 없게 되고, 판매자가 공동구매를 자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30%할인된 가격과 50%할인된 가격을 구매자 입장에서 보면, 20%차이의 가격이라고만 보여지지만, 판매자입장에서는 단가당 마진을 생각해보면 30%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 50%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보다 10배의 마진을 가질 수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도5에서는 150수량 이상이면 15%할인, 300수량 이상이면 30%할인, 500수량 이상이면 50%할인으로 해서 본원의 실시 예 설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따른 할인율이 예시되어 있지만,
판매자 입장에서는 도8 처럼 150수량 이상이면 15%할인, 500수량 이상이면 30%할인, 3000수량 이상이면 50%할인으로 되어야만 합리적인 구성일 수 있다. 본원의 방식에 의하여 판매자가 150수량 이상이면 15%할인, 500수량 이상이면 30%할인, 3000수량 이상이면 50%할인이라고 합리적으로 공동구매 공시를 하여, 150수량 또는 500수량만 구매신청되어도 상당한 총 마진을 얻을 수 있고, 3000수량이 구매신청되기는 어렵지만(또는 판매자 입장에서는 도9 처럼 25수량 이상이면 15%할인, 100수량 이상이면 30%할인, 500수량 이상이면 50%할인으로 되어야만 합리적인 구성일 수 있다. 본원의 방식에 의하여 판매자가 25수량 이상이면 15%할인, 100수량 이상이면 30%할인, 500수량 이상이면 50%할인이라고 합리적으로 공동구매 공시를 하여, 25수량 또는 100수량만 구매신청되어도 상당한 총 마진을 얻을 수 있고, 500수량이 구매신청되기는 어렵지만,)그렇게 되어도 상당한 총 마진을 얻을 수 있어서 판매자가 만족할 수 있게 되는 데 반하여, 종래의 방식처럼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따른 1개의 구매신청가격만 존해하도록 공동구매를 공시할 수 밖에 없으면, 3000수량 이상이면 50%할인된다고만 공시하면 3000수량은 너무 큰 수량이라서 그 정도의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되지 않아서 거래가 체결되지 않을 것 같아며, 판매자가 판매보다는 홍보목적으로만 공시하였다고 구매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을 까봐서, 500수량 이상이면 50% 할인하여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고 공동구매 공시를 하므로, 500수량이 구매신청되어 50%할인된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고 하여도, 판매자 입장에서는 별로 마진이 없게 되어 판매자가 마진측면에서는 만족하기가 어렵고, 인기 공동구매 사이트에 노출된 것으로 인한 홍보효과만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많게 된다. 그리고, 사실상, 홍보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대분이다. 저렴한 가격만을 쫓아다니는 무리들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서비스 분야의 상품만 소셜커머스 방식의 공동구매방법으로 유통되는 것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본원의 방법을 이용하면 공산품도 소셜커머스 방식의 공동구매가 활성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사실, 공산품은 재료비가 많이 들어가고, 원래부터 마진이 박한 경우가 많으 므로, 할인율이 50%정도로 해서 판매할 수 있는 공산품은 극소수이다.
그런 경우에는 본원의 방법처럼 여러 단계의 할인율이 제시되어야만 다양한 종류의 공산품이 소셜커머스 방식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형태로도 공동구매를 진행하여 구매자 입장에서는 가격은 어떠한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택 요인이 되지 않게되어, 가격이 유료인 상품도 유용하지만, 보험가입, 인터넷 가입, 휴대폰 가입상품처럼 애초부터 가격이 무료이며, 계약서만 필요한 상품에는 더욱 유용하게 하며, 판매자에게는 마진 측면에서 더욱 이득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1 : 종래 SNS연계 공동구매 조건 공시 예시도.
도2 : 종래 SNS연계 공동구매에서 판매자에 의해 열망되었으나 시행하지 못했던 조건 공시 예시도.
도3 : 도2와 같은 형태이면서 종래방법대로 공동구매 진행시의 문제점 설명을 위한 예시도.
도4 : 본원의 방법에 의한 공동구매 조건 공시 예시도.
도5 : 도4와 같은 형태로 본원의 방법대로 공동구매 진행시 장점 설명을 위한 예시도.
도6 : 또다른 형태의 본원의 방법대로 공동구매 진행시 장점 설명을 위한 예시도.
도7 : 본원의 거래를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도8~ 도22 : 본원의 다양한 응용 및 효과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도면
상기의 도면의 표에서 '환급'란에 있는 금액은 낙찰가격(또는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미리 결제했을 때, 그 결제한 금액에서 환급되는 금액만 표시한 것이다.
********용어의 정의
1. 판매자 : 사람 또는 회사를 포함한 모든 판매 주체를 말한다.
2. 구매자 : 사람 또는 회사를 포함한 모든 구매신청 주체를 말한다.
3. 상품 : 거래의 대상이 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말한다.
4. 구매신청수량 : 구매신청되는 상품의 수량을 말한다.
구매신청수량은 인원수 일수도 있고, 개수 일수도 있고, 횟수 일수도 있다.
인원수, 상품의 개수, 서비스 이용 횟수 등을 설명할 때 "인원수, 개수 또는 횟수"라는 어구로 되어 있지 않고, "인원수, 개수 또는 횟수" 중 어느 하나의 단어만 사용하여 설명되어도, 그 뜻은 "인원수, 개수 또는 횟수"를 포함한 판매자 임의로 제시한 수량 단위로 확장하여 해석될 수 있다.
구매신청수량 구간의 단위는 인원수, 개수, 횟수를 포함하여 판매자가 제시한 어떠한 단위라도 가능하다. 그래서, 화폐단위, 미터, 리터를 포함한 개수로는 셀 수 없는 단위도 가능하다. 실시 예 및 도면에서는 셀 수 있는 단위 위주로 설명되어서 개수 또는 횟수를 셀 수 있는 상품의 거래 위주로 설명되지만, 셀 수 없는 단위로 수량이 측정되는 상품의 거래도 본원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화폐단위에 있어서도, 실시예에서는 한국의 화폐단위인 '원'화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미국의 '달러'화를 포함해서 어떤 화폐단위도 상관없다.
5. 구매신청가격 : 각 구매자 별로, 구매신청시에, 구매할 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이라고 의사표명한 금액으로서, 그 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최종)낙찰가격이 결정되면, 구매를 이행하겠다는 의사표시의 금액이다.
그리고,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자가 그 금액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정비율이상 또는 그 금액만큼을 포함한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결제할 수도 있다.
평상시 가격대비 특정의 할인율로 구매신청가격을 대신할 수도 있다.
구매자입장에서의 구매신청가격은 판매자입장에서는 판매신청가격이다.
7. 구매신청정보 : 구매자가 구매신청할 때 필요한 정보로서,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 시에 입력하여 공동구매 서버(16) 측으로 제공하는 정보로서, 구매대상상품, 구매신청가격 및 구매신청수량, 자신의 인적정보, 환급받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매신청정보 예 : 구매자 이름, 구매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거주지 주소 등의 구매자의 인적사항과 환급받을 통장번호, 사이버머니 구좌 등의 환급처와 구매할 상품명, 구매신청가격, 구매신청수량 등을 포함한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신용카드 또는 사이트의 사이버머니 등을 이용하여 결제하면, 구매자가 환급처를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결제된 곳으로 환급될 수 있다. 하지만, 통장계좌 이체로 결제하면 환급될 계좌를 지정해주어야 할 수도 있다.)
8. 구매신청정보 데이터베이스 : 구매신청정보가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더 세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9. 판매정보 : 판매자가 판매신청할 때 필요한 정보로서, 공동구매를 공시할 때에 입력하여 공동구매 서버(16) 측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판매대상상품, 구매신청수량 구간별 판매신청가격, 자신의 인적정보, 환급받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판매정보와 공동구매 공시 정보는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판매정보 중에서 구매자가 알아야할 내용만을 공동구매 공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공동구매 공시 정보는 공동구매 조건 정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판매정보 예 : 판매자 이름, 판매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무실 주소 등의 판매자의 인적사항과 환급받을 통장번호, 사이버머니 구좌 등의 환급처와 판매할 상품명, 판매신청가격 등을 포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신용카드 또는 사이트의 사이버머니 등을 이용하여 결제하면, 판매자가 환급처를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결제된 곳으로 환급될 수 있다. 하지만, 통장계좌 이체로 결제하면 환급될 계좌를 지정해주어야 할 수도 있다.)
판매정보에서의 판매신청가격은 구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신청가격이 될 수 있다.
10. 판매정보 데이터베이스 : 판매정보가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더 세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11. 단말기 :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될 수 있는 장치
(예 : 컴퓨터,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PDA, (인터넷)TV, (인터넷)전화기)
12. 구매신청 단말기 : 구매신청 정보를 입력하거나 공동구매 진행 정보를 받을 수 있는 단말기
13. 판매신청 단말기 : 판매정보를 입력하거나 공동구매 진행 정보를 받을 수 있는 단말기
14. 미리 결제 :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자가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결제하거나 구매보증금을 결제하거나 판매자가 판매보증금을 결제하는 것을 포함한 공동구매에 대한 어떠한 결과가 나오기 전에 결제하는 것
15. 나중 결제 : 낙찰가격이 결정된 후에 구매자가 구매비용을 결제하거나 구매보증금을 결제하거나 판매자가 판매보증금을 결제하는 것을 포함한 공동구매에 대한 어떠한 결과가 나온 후에 결제하는 것.
16.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수량(예: 인원수, 개수 또는 횟수)를 곱하여 산출된 구매비용이다.
더 나아가 후술할 '변동비용'까지 고려한 금액으로 개념을 확대할 수도 있다.
17.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 낙찰가격에 구매신청수량(예: 인원수, 개수 또는 횟수)을 곱하여 산출된 구매비용이다.
더 나아가 후술할 '변동비용'까지 고려한 금액으로 개념을 확대할 수도 있다.
18. 변동비용 : 특정의 산출된 금액에서, 선택적 또는 강제적으로 감액 또는 증액될 수 있는 비용이며, 변동비용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감액되는 경우의 예로서, 카드사 특별할인, 우수고객 할인, 전체고객 할인, 적립포인트 사용, 금액 면제, 구매자,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의 재량에 의한 감액 등이 있고, 증액되는 경우의 예로서, 카드 수수료 부담, 페널티 부담, 택배비 부담, 구매자,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의 재량에 의한 증액 등이 있다.
감액 또는 증액을 포함한 변동비용은 구매자, 판매자, 사이트 운영자를 포함한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자들이 결제하거나 환급하거나 환급받는 경우를 포함한 다양한 경우에 있어서, 1차적으로 산출된 금액에서 더 세부적인 금액 계산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다(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의 구매자 또는 판매자에게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모든 구매자 또는 판매자에게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변동비용은 본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금액에 내포되어 있거나 추가로 자동으로 또는 절차상 필요해서 계산되는 금액이므로, 변동비용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실제로는 감안하고 있거나 감안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일일이 언급하면, 오히려 본원의 문장이 난잡해져서, 본원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하지 아니한다. 아니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라고 해서 괄호 속에 변동비용에 대한 문구를 삽입하여, 그러한 문구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게끔 문장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19. 변동혜택 : 변동비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변동비용은 금액 측면에서만 금액이 변동하는 것을 뜻하지만, 변동혜택은 금액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포함한 혜택 측면에서 혜택이 변동하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변동혜택은 본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혜택에 내포되어 있거나 추가로 자동으로 또는 절차상 필요해서 산정되는 혜택이므로, 변동혜택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실제로는 감안하고 있거나 감안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일일이 언급하면, 오히려 본원의 문장이 난잡해져서, 본원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하지 아니한다. 아니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라고 해서 괄호 속에 변동혜택에 대한 문구를 삽입하여, 그러한 문구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게끔 문장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20. 환급 : 환불을 포함하여 미리 결제한 금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되돌려 주는 의미이다.
**********용어의 정의 끝.
본원에 대하여 이해가 쉽도록, 실시 예부터 설명하겠다.
음식이라는 서비스 상품을 예를 들어 실시 예를 들고 있지만, 공산품도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어떤 레스토랑에서 A라는 스테이크는 평상시에는 10,000 원에 팔리고 있다.
그런데, 어떤 공동구매 사이트에서 A라는 스테이크에 대하여 공동구매 행사를 하게 되었는데, 도4과 같은 공동구매 조건을 내걸면서 공동구매를 공시하였다고 하자.
많은 구매자들이 상기 도4과 같은 공동구매조건을 검토해본 다음에 공동구매에 신청한다고 하자.
본원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 공동구매에 구매신청할 때에는,
각 구매자별로 생각하기를, 자기는 얼마의 가격 정도만 되면 구매를 이행하겠다고 하는 자기만의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을 의사표현 하면서, 구매신청하게 된다.
(물론,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할 때 2개 이상의 상품을 구매하겠다고 하면서 구매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매자 입장에서의 구매신청가격이란 자기가 구매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가격인 것이다.
예를 들어, 7,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다는 것은
낙찰가격이 7,000원을 초과하면 구매하지 않겠고,
낙찰가격이 7,000원 이하이기만 하면 구매를 이행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그리고, 구매신청하면서, 낙찰가격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음에도, 각 구매자별로, 의사표현한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결제한다.
결제수단은 다양하다. 결제수단의 예로, 예치금, 적립금, 각종 포인트, 신용카드, 계좌이제, 휴대폰 결제가 있다. 그에 따라 환급되는 방식도 다양하다. 그리고, 그러한 결제시스템은 통상의 전자상거래 기술자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만약, 도4와 같은 공동구매 공시에 구매신청한 결과가 다음의 도5와 같다고 가정하자.
이하에서 개수로 표현한 상품 수량도 미용실 서비스, 손톱관리 서비스를 포함한 셀 수 없는 서비스 상품 수량도 포함함을 알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횟수를 개수로 표현하여도, 본원의 방법을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의 실시예는 주로 개수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인원수 또는 횟수가 필요한 상품에 대해서도 똑같은 원리가 적용됨은 누구나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그에 대해서는 따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도5를 설명하자면,
총 490개의 상품이 공동구매에 구매신청되었는데, 그 490개의 상품 중에서는
10,000원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가 40개 있었고,
8,500원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가 130개 있었고,
7,000원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가 180개 있었고,
5,000원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가 140개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개수에 상관없이 평상시 가격인 할인이 전혀 적용되지 않은 가격인 10,000원에 구매한다는 것은 무조건 가능한 것이므로,“구매신청수량 구간”열의 “150 미만”행의 “만족여부”란이 “만족”이고,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50개 미만이면 평상시 가격인 10,000원에 공급한다고 공시되어 있는데, 10,000원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의 누계가 40개로서 그 행에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의 하한은, 사실상, 1 개이므로, 일단 평상시 가격으로 거래체결이 성사 가능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래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열의 “150미만”행의 “만족여부”란이 “만족”인 것이다.)
150개 이상이면 15%할인이 적용된 가격인 8,500원에 공급한다고 공시되어 있는데, 8,500원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의 누계가 170개로서 그 행에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의 하한은 150개이므로, 일단 15% 할인가격으로 거래체결이 성사 가능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래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열의 “150이상(=150~299)”행의 “만족여부”란이 “만족”이고,
300개 이상이면 30%할인이 적용된 가격인 7,000원에 공급한다고 공시되어 있는데, 7,000원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의 누계가 350개로서 그 행에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하한은 300개이므로, 일단 30% 할인가격으로도 거래체결이 성사 가능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래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열의 “300이상(=300~499)”행의 “만족여부”란이 “만족”이고,
500개 이상이면 50%할인이 적용된 가격인 5,000원에 공급한다고 공시되어 있는데, 5,000원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개수의 누계가 490개로서 그 행에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의 하한인 500개 보다 작으므로, 50% 할인가격으로는 거래체결이 성사 불가능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래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열의 “500이상”행의 “만족여부”란이 “불만족”이다.
여기까지 설명한 상태에서 낙찰가격이 결정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1번째 방법은,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그 구매신청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될 수 있는)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이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해서, 결국은) “만족여부”란이 “만족”인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인 10,000원, 8,500원, 7,000원 중 가장 낮은 가격인 7,000 원이 낙찰가격이 된다.
그리고, 낙찰가격인 7,000 원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모든 개수의 누계인 350개는 낙찰가격인 7,000원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거래 가능하게 된다.
즉,
10,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구매자도 7,000원에 구매가능하게 되고,
8,5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구매자도 7,000원에 구매가능하게 된다.
물론 7,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구매자도 7,000원에 구매가능하게 된다.
구매 가능하게 된다는 말을 구매신청에 합격하게 된다고도 표현하겠고 구매체결된다고도 표현하겠으나 모두 같은 의미이다.
그리고, 낙찰가격인 7,000 원 미만인 5,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140개는 구매 불가능 하게 된다. 구매 불가능하게 된다는 말을 구매신청에 불합격하게 된다고도 표현하겠고 구매체결되지 못한다고도 표현하겠으나 모두 같은 의미이다.
그리고, 구매신청할 때, 각 구매자별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도 전에, 자기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이 고려된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만큼 미리 결제하였으므로,
구매 불가능하게 된 구매자에게는 자기가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한 만큼의 금액을 모두 환급해주고 상품은 공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구매 가능하게 된 구매자에게는 자기가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낙찰가격 곱하기 구매신청수량)를 제외한 금액을 환급해 주면서 상품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낙찰가격인 7,000원보다 더 낮은 5,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개당 5,000원씩이 미리 결제된 14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개당 5,000원씩을 환급해 주고, 상품은 공급되지 않는다.왜냐하면 낙찰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구매신청하여 구매가능하지 않게 되었으므로, 미리 결제한 금액의 전부를 환급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낙찰가격과 똑같은 금액인 7,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7,000원을 미리 결제한 18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금액인 개당 7,000 원과 낙찰가격인 개당 7,000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개당 0원씩이 환급되면서, 상품이 공급된다. 즉, 낙찰가격과 미리 결제한 금액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0원이 환급된다는 것은 환급금이 없다는 뜻이다.
낙찰가격인 7,000원 보다 더 높은 8,5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개당 8,500원씩이 미리 결제된 13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금액인 개당 8,5000 원과 낙찰가격인 개당 7,000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개당 1,500원씩이 환급되면서, 상품이 공급된다.
낙찰가격인 7,000원 보다 더 높은 10,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개당 10,000원씩이 미리 결제된 4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금액인 개당 10,000 원과 낙찰가격인 개당 7,000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개당 3,000원씩이 환급되면서, 상품이 공급된다.
2번째 방법은, 1번째 방법을 조금 더 개선한 방법으로써,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그 구매신청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될 수 있는)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 중 특정의 가격이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하자면, 1번째 방법에 의한 낙찰가격에서 추가로 할인이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추가 할인 방법은 생각해 내기에 따라서 굉장히 다양한 방법, 즉, 무한대 개수의 방법이 고안될 수 있다.
추가로 할인되는 한도에 대해 언급하자면, 추가로 할인된 후의 가격은 1번째 방법에 의한 낙찰가격이 속한 구간의(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이상일 것을 권장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할인된 후의 가격이 5,000원 이상일 것을 권장한다는 뜻이다.(만약, 1번째 방법에 의한 낙찰가격이 속한 구간의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없다면, 예를 들어, 도5에서 총 구매신청수량이 500개 이상이 되었다면, 추가 할인이 없을 수도 있고, 별도의 추가 할인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할인이 적용되는 다양한 방법 중 1가지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1번째 방법에 의하면 300개이든 499개이든 30%할인이 적용되지만,
여기의 2번째 방법에 의하면, 300개는 30%할인, 490개는 49%(정도)할인이 적용되도록 한다는 식이다.
그래서, 어떤 구매자가 7,000원에 구매신청하였더라도,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개가 되었다면 49%(정도)할인되어 5,100원 정도가 낙찰가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낙찰가격 = A - B = 7,000-1,900=5,100원
상기 낙찰가격 계산식에서,
A는 총 구매신청수량(490개)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7,000원)이고,
B는 추가할인금액( 1,900= 2,000 X 190/200)이다.
상기 B에 대한 계산식에서,
2,000은 490개가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인 7,000원에서, 490개가 속하는 구간의 (구매신청 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인 5,000원을 뺀 숫자이다.
190은 총 구매신청수량(490개)에서 490개가 속하는 구간의 하한 숫자인 300을 뺀 숫자이다.
200은 총 구매신청수량(490개)이 속하는 구간의 다음 구간의 하한인 500에서 은 490개가 속하는 구간의 하한인 300을 뺀 숫자이다.
통상의 기술자, 당업자는 상기 실시 예의 추가할인 방법과는 다른 또 다른 추가 할인 방법도 얼마든지 쉽게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므로 또 다른 방법은 더 이상 열거하지 않겠다.
(그래도, 다른 추가 할인 방법을 소개하자면,
공동구매자들 중에서도 많은(예: 20개) 수량으로 구매신청하는 고객에게는 총 구매신청 수량이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에서 일정액 또는 일정비율이상으로 추가 할인된 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게 할 수도 있고,
총 구매신청 수량이 포함되는 구간 보다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식으로의 추가 할인율이 너무 크면 불특정 모르는 사람들끼리의 공동구매로도 할인이 되는 효과의 취지가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5% 추가 할인 정도를 권장하며, 최대 10%추가 할인 정도를 권장한다. 하여튼 기여도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추가 할인을 해 줄 수 있다.)
많은 수량으로 구매신청할 때, 특정인 1명의 아이디로 구매신청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구매자들이 자기는 어떤 아이디의 구매자와 함께 공동구매를 추진하는 사람이라고 표현하게 할 수도 있다.
판매자가 허락한다면, 현재의 누적 구매신청수량으로는 가능하지 않은 낙찰가격인,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그 구매신청가격으로 결정될 수 있는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작은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으로도 낙찰가격으로 결정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미국의 소셜네트워크 업체인 페이스북은 내가 페이스북 크레딧으로 결제한 사실을 내 친구들에게 알리고, 내 친구들이 다시 구매를 할 경우 나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프로모션 기능을 이미 제공하고 있는데, 그러한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도 할인 혜택을 줄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 2번째 방법에서도 ,만약, 구매신청할 때, 각 구매자별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도 전에, 자기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인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만큼 미리 결제하였으므로,
구매 불가능하게 된 구매자에게는 자기가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한 만큼의 금액을 모두 환급해주고 상품은 공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구매 가능하게 된 구매자에게는 자기가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낙찰가격 곱하기 구매신청수량)를 제외한 금액을 환급해 주면서 상품이 공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2번째 낙찰가격 결정 방법에 의한 낙찰가격인 5,100원보다 더 낮은 5,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개당 5,000원씩이 미리 결제된 14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개당 5,000원씩을 환급해 주고, 상품은 공급되지 않는다.왜냐하면 낙찰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구매신청하여 구매가능하지 않게 되었으므로, 미리 결제한 금액의 전부를 환급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7,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7,000원을 미리 결제한 18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금액인 개당 7,000 원과 낙찰가격인 개당 5,100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개당 1,900원씩이 환급되면서, 상품이 공급된다.
낙찰가격인 5,100원 보다 더 높은 8,5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개당 8,500원씩이 미리 결제된 13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금액인 개당 8,5000 원과 낙찰가격인 개당 5,100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개당 3,400원씩이 환급되면서, 상품이 공급된다.
낙찰가격인 5,100원 보다 더 높은 10,000원이라는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면서 개당 10,000원씩이 미리 결제된 40개에 대하여 구매신청한 구매자에게는 미리 결제한 금액인 개당 10,000 원과 낙찰가격인 개당 5,100과의 차이나는 비용인 개당 4,900원씩이 환급되면서, 상품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1번째 방법과 2번째 방법에 의한 낙찰가격 결정방식 또는 그에 따른 환급 개념이 있는 상기 실시 예의 방식을 포함한 본원의 방법에서 파생될 수 있는 방법들로 공동구매가 진행되면,
적은 할인율로도 만족하는 구매자들만큼은 구매가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구매자 및 판매자의 기회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만약, 종래처럼 500개 이상의 상품이 구매신청된 경우에만 50% 할인된 금액으로 상품을 공급하겠다는 판매공시가 있었다면, 490개가 구매신청되었음에도 구매가 가능하게 되는 구매자가 1명도 없게 된다.
본원의 방식에 의하면 구매신청된 490개 중 350개는 거래가 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방식은 본원의 방식에 비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크나 큰 기회손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낙찰가격보다 더 큰 금액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하였음에도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므로, 어차피 낮은 할인율이 적용된 높은 가격에도 대강 만족하는 구매자는 굳이 아주 높은 할인율이 적용된 아주 낮은 가격의 구매신청가격으로만 구매신청할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15%가 할인된 가격에도 만족하는 구매자는 15%가 할인된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하면서도, 혹시나 30% 또는 50%(또는 기타 할인율)가 할인된 금액에 낙찰가격이 결정될 수도 있음을 기대하면서 구매신청할 수 있게 된다. 혹시나 30% 또는 50%(또는 기타 할인율)가 할인된 금액이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면, 자신은 15%가 할인된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하였음에도 30% 또는 50%(또는 기타 할인율)가 할인된 금액에 구매가능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할인이 없어도 어차피 구매하려고 하였던, 할인이 전혀 안된 가격에도 만족하는 구매자는 할인이 전혀 안된 가격의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하면서도, 혹시나 15% 또는 30% 또는 50%(또는 기타 할인율)가 할인된 금액에 낙찰가격 결정될 수도 있음을 기대하면서 구매신청할 수 있게 된다. 혹시나 15% 또는 30% 또는 50%(또는 기타 할인율)가 할인된 금액이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면, 자신은 할인이 전혀 안된 구매신청가격에 구매신청하였음에도 15% 또는 30% 또는 50%(또는 기타 할인율)가 할인된 금액에 구매가능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에 가서는, 본원의 방법에 의한 공동구매에 구매신청할 때에는 자기가 대강 만족할 만한 할인율이 적용된 가격에 구매신청하기만 하면 되고, 매우 높은 할인율이 적용된 가격이 아니면 절대로 구매하지 않으려고 하는 의지가 강한 구매자만 매우 높은 할인율이 적용된 매우 낮은 가격에 구매신청하면 되는 것이다.
구매자 스스로 더 많은 구매자를 유치하기 위한 홍보에 더 주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음의 도6에서와 같이 구매신청 수량이 “150이상”인 구간에서는 “불만족”이 발생하였으나, 구매자수가 “300이상”인 구간에서는 “만족”이 발생해도, “만족여부”란이 “만족”인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 가장 낮은 가격인 “300이상”인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인 7,000 원이 낙찰가격이 된다는 것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본원의 방법을 적용하는 초기 시점에 있어서, 종래부터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과 구매신청가격만이 대응되어 있도록 공동구매가 실시되어 왔는데, 본원의 효과가 좋다고 하여, 갑자기 너무 많은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하도록 하면, 구매자들이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거나 혼선을 가져올 수도 있으므로,
일단은 도21처럼 2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점차 구매신청수량 구간을 늘려가는 것을 권장한다.
1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만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비하면 2개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만 해도 엄청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구매신청시에 각 구매자별로, 자기는 얼마의 가격 정도만 되면 구매를 이행하겠다고 하는 자기만의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을 의사표현 하지 않고, 무작정 구매신청하면,
도2(또는 도4)의 “150 이상” 구간, “300 이상” 구간, “500 이상” 구간처럼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 서로 다른 할인율이 적용된 다수의 구매신청가격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하지 못함을 설명하겠다.
도2와 같은 공동구매 진행에 대한 공시 정보를 다수의 구매자가 획득하여, 도3처럼 총 470개의 구매신청 수량이 구매신청되었다고 가정하자
각 구매자별로, 구매신청시에 낙찰가격이 얼마의 가격 이하로 결정되기만 하면 구매를 이행하겠다는 의사표명을 하지 않고, 즉, 도2를 포함한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의 다양한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각 구매자가 자기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구매신청가격을 선택하지 않고, 단지, 많은 구매자에 의해 많은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되기만을 바라면서, 구매신청하였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공동구매신청이 마감된 후에 총 구매신청 수량이 산출되었음에도 판매가격이 결정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자.
총 구매신청 수량인 470개는 공동구매 공시에서의 “300이상(=300~499)”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속하므로, 낙찰가격은 30%할인율이 적용된 개당 7,000원으로, 결정되어 470개가 개당 7,000원씩으로 결제되어 완전히 거래체결이 완료되면 아무 문제가 없지만 그러지 못한다.
왜냐하면, 470개를 구매신청한 각 구매자들의 심리상태가 도3과 같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3은 구매자들이 실제로 각자의 구매신청가격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구매신청시의 심리상태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을 살펴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인 470개 중에서, 180개가 50% 할인율이 적용된 개당 5,000원이라는 가격을 염두에 두고 구매신청되었는데, 낙찰가격이 개당 7,000원으로 결정됨에 따라, 180개의 구매신청 수량이 구매취소 되어버릴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신청시에 각 구매자별로 자신의 구매신청가격을 선택하지 않았으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판매자 또는 각 구매자들은 도3과 같은 심리상태를 분석한 것을 모르기 때문에, 언제, 얼마만큼의 수량이 구매취소될지를 모른다. 개당 7,000원이라는 낙찰가격으로 구매를 체결할 것인지, 구매를 취소할 것인지에 대한 각 구매자별로의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기한이 지난 후에나 알 수 있다.
의사 표명 기한이 지나고 보니, 개당 5,000원의 구매신청가격을 염두에 두고 구매신청된 180개의 구매신청 수량이 구매취소되어, 남은 수량은 290(=470-180)개가 되고, 290개는 공동구매 공시에서의 “150이상(=150~299)”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에 속하므로, 낙찰가격은 15%할인율이 적용된 8,500원으로 다시 재조정된다.
(하지만, 어떤 구매자는 낙찰가격이 재조정되는 것이 선뜻 용납되지 않는 경우가 많게 된다. 왜냐하면, 어떤 구매자가 생각하기에, 어쨋든 애초에 470개의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되기 때문에 낙찰가격은 7,000원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판매자 입장에서는 남은 구매신청 수량인 290개로는 낙찰가격이 8,500원이 되어야 하며, (낙찰가격이 7,000원이 되어,) 7,000원씩에 판매하기에는 마진이 너무 작거나 또는 손해볼 수도 있다고 판단되어, 이번 공동구매는 없었던 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너무나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빠르게 진행되어야하는 온라인 구매에서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란 사실상 매우 어렵지만, 겨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합의되었다고 하더라도,)
290개의 수량을 구매신청한 구매자가 개당 8,500원이라는 낙찰가격으로 구매체결 할 것인지, 구매를 취소할 것인지에 대한 각 구매자별로의 의사 표명을 수렴해 보아야 한다.
이렇게 다시 한번 각 구매자의 의사를 파악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어쨌든, 다시 한 번의 의사 표명 기한이 지나고 보니,
290개의 구매신청수량 중에서 애초부터 개당 8,500원의 구매신청가격을 염두에 두고 구매신청된 140개에 대해서는 8,500원의 낙찰가격이 수용되었는데, 개당 7,000원의 구매신청가격을 염두에 두고 구매신청된 150개의 구매신청 수량이 구매취소되어, 남은 수량은 140(=290-150)개가 되고, 140개는 공동구매 공시에서의 “150이상(=150~299)”의 구간에도 속하지 않게 되므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15% 할인율이 적용된 8,500원에도 판매하기를 거부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너무나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도2처럼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게 많게 된다.
도2는 판매자에 의해 제시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3개라서 최초 낙찰가격 또는 변경된 낙찰가격에 대한 각 구매자의 의사 표명을 2번만 수렴해보면 되지만, 사실상 이렇게 2번 의견수렴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 이지만, 더 많은 구매신청수량 구간 개수 존재하도록 공동구매 공시가 된다면, 구매신청수량 구간 개수가 많을수록 의사표명을 수렴해보아야 할 횟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더욱 도2처럼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하도록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도2처럼 다수의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포함되도록 공동구매 공시가 되고, 구매신청시에 각 구매자가 자기가 대강 만족할만한 수준의 구매신청가격을 선택하지 않으면서 무작정 구매신청하는 방법에서는,
각 구매자들에게 여러 번에 걸쳐서 최초 낙찰가격 또는 변경된 낙찰가격으로 구매체결 할 것인지 구매취소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표명을 수렴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한데다가, 각 구매자가 구매의사를 보증하는 목적으로 수행하는, 낙찰가격이 결정되기도 전에, 각 구매자가 상품 구매에 최대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인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비용 또는 구매보증금을 미리 결제한다는 것은 전혀 상상할 수도 없게 된다.
참고로, 각 구매자가 공동구매신청할 때, 각 구매자별로 자기는 어느 정도의 가격이면 만족한다는 가격을 의사표현하면서 '낙찰가격가 결정되기도 전에' 그 가격만큼 결재를 해야 공동구매를 진행가능하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겠읍니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낙찰가격이 결정된 후에 낙찰가격만큼 결제하는 것이나 낙찰가격가 결정되기 전에 결제하는 것이나 차이가 없을 것 같기도 하고, 낙찰가격이 결정된 후에 결제하는 것이 더 쉬운 방식이라고 생각되지만 그렇게는 공동구매가 진행될 수 없습니다.
구매자입장에서는 낙찰가격가 결정되기도 전에 자기가 만족할만한 수준의 가격을 결제한다는 것에 대하여 의아해할 수도 있지만,
판매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낙찰가격이 결정된 후에 공동구매신청한 구매자들 중에서 구매체결된 구매자 중에 결제를 하지 않는 구매자가 발생할 확률이
낙찰가격가 결정되기 전에, 즉, 공동구매신청할 때, 각 구매자가 자기가 만족할만한 수준의 가격을 결제한 후에, 공동구매신청한 구매자들 중에서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중에서 결제를 취소하는 구매자가 발생할 확률보다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즉, 공동구매신청한 시각에서 낙찰가격이 결정되는 시각 사이에 구매의사가 감소하거나 다시 한번 사이트를 방문하여 결제행위를 한다는 것이 귀찮아져서 또는 결제 기한을 놓쳐버려서 결제하지 않거나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구매자의 입장에서도
낙찰가격이 결정된 후에 다시 한번 사이트를 방문하여 결제행위를 한다는 것도 상당히 귀찮은 일이기도 합니다.
높은 할인율만 보고 약간만이라도 충동적으로 공동구매에 참여한 구매자는 결제를 회피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하지만 구매참여시에 결제하였다면 어차피 저질러 버린 결제를 취소할 확률은 비교적 낮습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의 구현을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10)은, 불특정 다수의 구매자가 구매신청에 이용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구매신청단말기(12), 또는 (주로 1인(또는 1회사)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18), 또는 공동구매가 실시되는 온라인 사이트를 운용하는 공동구매 서버(16) 또는 통신을 위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14)을 포함한다.
(판매정보를 입력하는 데 있어서,
사이트 운영자가 판매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전달받아, 사이트 운영자가 사이트 운영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를 통하여 판매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통하여 판매자가 판매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만약, 판매정보를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통하여 판매자가 직접 입력하려면,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18)가 필요할 수도 있다. 만약, 판매정보를 사이트 운영자가 판매자로부터 전달받아 사이트 운영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통하여 판매정보를 입력하면, 사이트 운영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18)가 필요하다고 할 수도 있다. 어쨋든, 판매신청단말기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구매신청단말기(12)는 구매자가 공동구매 서버(16)에 접속하여 공동구매 진행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특정 물품을 공동구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신의 구매신청정보를 입력하거나 공동구매 진행정보를 받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다.
판매신청단말기(18)는 판매자가 공동구매 서버(16)에 접속하여 자신의 공동구매 조건 정보를 입력하고, 공동구매 진행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다.
공동구매 진행 사이트 운영자가 판매자로부터 공동구매 조건에 대한 내용을 전달받고 나서 사이트 운영자가 직접 공동구매 조건 정보를 입력하는 식으로 공동구매 조건이 입력되면 굳이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이트 운영자의 단말기를 판매신청단말기로 간주하면, 역시나, 판매신청단말기(18)가 필요하다고 할 수도 있다.
공동구매 서버(16)는 공동구매 방식에 의한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운용하는 것으로, 공동구매 진행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신청단말기(12)로부터 구매신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또한 판매신청단말기(18)로부터 공동구매 공시 정보(또는 판매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공동구매 진행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에서는 공동구매 서버(16) 측이 구매자나 판매자로부터 금액을 미리 결제받고 환급해주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공동구매 서버(16)는 별도의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되거나 자체적으로 결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아울러 공동구매 서버(16)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판매 서버(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시스템(10)은 종래의 일반적인 소셜커머스 공동구매 쇼핑몰, 인터넷 쇼핑몰, 인터넷 경매 사이트를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공동구매를 운용하는 방식만 종래와 다른 것이고, 그에 따라 공동구매 서버(16) 측에 구비되는 운용 프로그램만 변경되면 되는 것으로, 구지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 않아도 당업자라면 통상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 기술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은, 동일 진행 시간에 동일 상품을 대상으로 행해지고 판매자(주로, 1인) 와 1인 이상(주로 다수)의 구매자가 참여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상의 공동구매 방법으로서,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가능시간 내에 구매대상상품에 대해 자신이 지불할 수 있는 최대 가격에 해당하는 구매신청가격과 구매를 원하는 상품 수량인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를 입력하여 구매를 신청한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고,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그 구매신청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될 수 있는)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 중 특정가격이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면서,
낙찰가격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신청된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됨과 아울러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신청된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제공 또는 통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공동구매 방법과 다르게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존재함에도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발생될 수도 있다.
구매자는 자신의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를 입력하여 구매신청하면서 그에 따른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결제하여 자신의 구매신청을 보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추후 공동구매 서버(16)는 낙찰가격이 결정이 된 이후 시점에, 구매체결 되었음에도 구매신청을 취소하는 구매자에 대해서는 미리 결제 받은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취소 위약금 형식으로 환수하여 판매자들에게 지불함으로써, 구매자의 구매 취소에 따른 판매자의 손실이 보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구매신청한 모든 구매자는 확실히 구매를 실행할 것이 담보될 수 있다.
물론, 공동구매 서버(16)는 미리 결제한 구매자가 추후 공동구매 결과에 따라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경우 미리 결제받은 금액을 즉시 환급하며, 한편 미리 결제한 구매자가 추후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제받은 금액을 상품의 구매비용으로 대체하되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미리 결제된 차이나는 비용은 계산하여 환급한다.
아울러, 판매자도 소정의 판매보증금을 미리 결제하여 추후 낙찰가격이 결정되고도 판매를 취소하거나 구매자에게 상품 전달을 원활히 이행하지 않는 경우, 공동구매 서버(16)는 미리 결제받은 판매보증금을 환수하여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의 판매 취소에 따른 구매자의 손실이 보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거래의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구매 서버(16)는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가격으로 거래를 성사시키지 않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는 모든 구매자들은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한 번의 공동구매 시행으로 다수의 구매자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다. (불만을 갖는 구매자가 1명도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동구매 서버(16)는 기본적으로 각 구매자가 신청하는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구매비용을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주로,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구매체결이 결정된 이후 시점에서 각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과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간의 차이나는 비용은 바로 각 구매자별로 계산하여 환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들로 이루어진다.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도4처럼 특정의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조건을 판매자가 사이트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사이트 운영자가 입력하거나 판매자가 직접 입력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공동구매 공시에 서로 다른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지 않고, 서로 다른 평상시 가격 대비 특정의 할인율이 대응되어 있어도 서로 다른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자명하며, 본원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왜냐하면, 평상시 가격에 할인율을 적용하면 할인된 가격이 도출되기 때문이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특정의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는)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도4처럼 특정의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조건을 판매자가 사이트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사이트 운영자가 입력하거나 판매자가 직접 입력한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특정의 할인율이 적용될 때,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이 되는 것을 권장하지만, 서로 다른 구간임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같은 할인율이 적용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의 할인율이 0%일 수도 있다. 즉, 평상이 가격이 적용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가격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가격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 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12)를 통하여 공동구매 서버(16)에 접속한 후, 공동구매 서버(16)가 제공하는 판매 상품들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공동구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신청가능시간 내에 자신이 원하는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구매신청정보가 공동구매 서버(16)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매신청가격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에서의 도4 또는 도5를 통한 예를 든 설명에서처럼 공동구매 서버(16)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구매신청가격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구매신청가격 숫자를 일일이 입력할 수도 있고, 제공된 구매신청가격 숫자와 관련된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하여 선택입력방법은 다양하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도4 또는 도5를 가지고 예들 들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이정도로 해서 설명으로 끝내겠다.
그리고, 구매신청수량이 1개이면 별도로 구매신청수량을 입력하지 않아도 구매신청수량이 1개로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구매신청수량이 1인 경우를 포함한 특정의 구매신청수량에 대해서는 별도로 구매신청수량을 입력하지 않아도 구매신청수량이 자동으로 입력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구매자는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까지는 자기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가격을 변경할 수 있게 운영할 수도 있다. 변경하는 방법의 예를 들자면, 새로운 구매신청가격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이전의 구매신청을 취소하고 새로운 구매신청가격으로 새롭게 구매신청할 수도 있다.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하였다면, 변경된 가격 결제규칙에 따라 추가로 결제하거나 환급될 수 있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3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하면서 자신이 신청하는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에 따른 구매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하여 자신의 구매신청을 보증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만약, 구매자가 구매비용을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주로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아무런 제약 없이 구매신청을 취소하여 판매자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구매체결되었음에도 구매신청을 취소하는 경우 일부 금액을 구매취소 위약금 형식으로 환수받기 위해 또는 구매의사를 강력히 피력하기 위해 미리 결제 받는 것이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공동구매 서버(16)가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이나 각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에 대한 구매신청현황을 집계 또는 제공한다.
여기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이란, 해당 구매신청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구매신청된 모든 구매신청수량에 대한 합계 수량을 말한다.
예컨대, 공동구매 서버(16)는 도5의 "누계"열에 표시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5 또는 도6의 "누계"가 각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나타낸다.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그 구매신청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될 수 있는)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 중 특정의) 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면서,
낙찰가격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어,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제공 또는 통지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공동구매신청 기한 종료에 따라 낙찰가격이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나뉘어지는 것을 포함한 거래성사 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따라서, 종래의 공동구매 방법과 다르게 공동구매임에도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존재함에도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가 발생될 수도 있다. )
이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도5의 예를 들어 자세히 가장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따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물론, 사이트 운영자 재량 또는 판매자 재량 또는 별도의 구제 방법에 의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인정 또는 구제해주어서, 인정 또는 구제받은 구매자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수량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매체결되게 하거나 일부 비용지원이 되게 할 수는 있다.
나중에 설명될 단계(또는 수단)인,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한 (주로 구매희망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보다 큰 경우 그 차이나는 비용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에서, 환급금액이 산출되고 나서, 사이트 운영자 재량 또는 판매자 재량에 의하여 산출된 환급금액보다 더 많이 환급해 줄 수도 있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미리 결제된 차이나는 비용(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제4-1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공동구매 서버(16)가 공동구매 종료 후에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지 못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이상)을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모두 환급해주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 중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미리 결제된 비용(이상)을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해주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즉, 최종 판매가는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바, 최초에 구매자가 자신의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산출하여 미리 결제한 금액 중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제하고 나머지는 환급해주는 것이다.
거의 그럴 리는 없겠지만, 누군가의 재량으로 상기 '나머지' 금액보다 환급을 더 많이 해 줄 수도 있다. 그래서 차이나는 비용 '이상'을 환급해 준다고 한것이다. 그리고, 본원의 다른 부분에서의 다른 비용의 환급에서의 '이상' 이라는 단어도 같은 의도에서 사용한 단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결제된 금액 중 일부 금액을 환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는 것이 아니므로, 즉, 전자상거래에 관련 특허 분야 중 전자결제에 관한 특허 출원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카드로 미리 결제한 금액에 대해 환급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 하자면,
즉, 카드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금액을 미리 결제한 구매자에게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이상)을 환급해주는 방법에 대하여 몇 가지 언급하자면 아래와 같다.(다른 방법들도 가능할 것이다.)
1. 미리 (카드)결제된 것이 취소되고, 새롭게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이 결제되는 것을 자동화한다.
2. 카드 청구서에 미리 결제한 금액을 플러스 금액로 청구하고, 차이나는 비용( =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마이너스 금액으로 청구하여, 결과적으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결제하는 것으로 정리(현재도 항공사에서 예약변경시에 가격변동이 있으면 이런 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3. 카드사에서 고객의 통장에 차이나는 비용을 송금
4. 판매자가 고객의 통장에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송금(판매자가 카드 수수료 손해감수)
5.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카드사에 포인트 적립 또는 사이버 머니 적립(언제든 현금화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6.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운영 싸이트에 포인트 또는 사이버 머니 적립(언제든 현금화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가 더 추가 될 수도 있다.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본 단계(또는 수단)는 구매자가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미리 결제한 금액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보다 더 적었을 때 부족분만큼 더 결제한다는 뜻으로 , 본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어느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의 구매취소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받아들여지면, 구매신청이 취소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제4-2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구매신청을 취소하여 판매자에게 손해를 야기할 수 있을 경우에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약금으로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하여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의 손실을 보전해주고, 거래의 신뢰성이 보증되도록 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즉, 판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신청한 모든 구매자는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면 반드시 구매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박리다매식 이익 계산을 통해 판매가격을 최대한 낮추어 판매신청하여 상품을 판매하였는데, 구매자가 나중에 구매신청을 취소해 버리면, 낙찰받은 후에 상품을 판매하여도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이익이 훨씬 줄어들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구매신청을 취소하는 구매자에게는 소정의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제1-1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도출되었음에도 판매를 취소하거나 상품 제공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의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하여, 판매자로부터 판매보증금을 미리 결제(주로 판매신청시에) 받아두었다가 추후 판매자가 자신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제 받은 판매보증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며,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도출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 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매자가 정당한 이유없이 판매를 취소하거나 상품 제공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는 경우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의 손실을 보상해주기 위하여 판매자가 미리 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환급할 것이다.
또, 다음과 같은 2가지의 단계(또는 수단)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전체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거나
상기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상기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비용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결제 완료되는 것이 받아들여저서 ,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 또는 새로운 구매자일지라도 낙찰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기회가 더 주어지면,
-새로운 구매자는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결제하면 되고,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부족하게 결제한 금액을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게 된다.
즉,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이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에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을
뺀 금액을
구매자가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다.
(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부족하게 결제한 금액을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게 된다. )
즉,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이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에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을
뺀 금액을
구매자가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다.
아니면,
미리 결제한 것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취소 되게 한 후에,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대금 전체를 다시 한번 결제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자동으로 이 단계(또는 수단)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구매신청정보 입력시에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자동으로 여기 이 단계(또는 수단)가 진행되도록 한다는 말은 부족한 금액 만큼이 자동으로 결제되게 하거나 구매대금 전체가 결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댓글, 쪽지, 게시판을 포함한 수단으로 합리적인 낙찰가격에 대한 예측, 토론을 포함한 정보교류를 할 수 있게 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적절한 낙찰 판매가격 예측에 대한 충분한 정보습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리하여, 적당한 가격 선이라면 반드시 구매하려고 하였던 구매자 중에서, 정보가 부족하여 너무 낮은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결과로 구매에 실패하는 구매자 수를 최소화한다.
지금까지는, 사실은, 본원의 포괄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쉽도록 본원에서 주장하는 개념의 실시 예에 속할 수 있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이제부터 본원의 포괄적인 개념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본원의 포괄적인 개념이 적용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는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구매자에게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지게 한다는 내용이 들어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혜택은 혜택이 전혀 없는 것도 포함한다. 일정 구매신청수량 미만으로는 혜택을 주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혜택 중 가격이 낮아진다는 혜택만을 가지고 본원의 방법을 설명하였었다. 즉, 도4, 도5 또는 도6처럼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가격이 낮아지는 혜택이 주어진다는 판매자의 공동구매 공시가 있을 때만을 가지고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였다.
구매자 입장에서 혜택은 가격이 낮아진다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가격이 낮아지는 것 외에도,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기본 상품 외에 다양한 상품(=재화 또는 용역)이 구매자에게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어 공급되는 조건도 구매자입장에서의 혜택에 해당한다.
심지어,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그대로 이면서도,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기본 상품 외에 다양한 상품(=재화 또는 용역)이 구매자에게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어 공급되는 조건도 구매자입장에서의 혜택에 해당한다. 가격이 그대로인 경우는 무료인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또는 아주 조금 낮아지면서도), 상품이 구매자에게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면 구매자입장에서는 어떠한 가치의 상품이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는 효과가 있으면서, 판매자입장에서는 구매자가 받은 어떠한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였을 때보다 저 적은 금액만큼만 더 지출하면 되는 것이므로, 결국은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가격할인 보다 더 이익이다.
예를 들어, 평상시 가격이 10,000원짜리 고기를 4,000원 할인해서 6,000원에 판매하는 것 보다, 가격은 10,000원 그대로 두고, 4,000원 어치를 더 주는 것이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더 이익인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추가로 공급한 4,000원 어치의 고기 중의 원가는 1,000원 밖에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판매자 입장에서는 4,000원 할인해서 판매하는 것 보다 3,000 원 이익이다. 그러면서도, 구매자도 만족하는 경우도 많이 있을 것이다.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기본 상품 외에 어떠한 상품이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어 구매자에게 공급되는 상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판매자가 정하기 나름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품이 추가로 주어질 수 있다.
상품권(예: 1만원권, 5만원권, 10만원권), 현금환급(예: 1만원, 5만원, 10만원), 서비스시간(예: 10분, 30분, 1시간), 서비스 기간(예: 1달, 6개월, 1년), 할인율(예: 10%, 30%, 50%), 특정 금액 면제(예 : 가입비 3만원 중 1만원 면제, 가입비 3만원 중 2만원 면제, 가입비 3만원 중 3만원 면제), 상품(예: 휴대폰 고리, 스타일러스펜, 액정보호필름), 상품(예 : 음료수, 차, 포도주), 기타 등등.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이 "현급환급"이라면, 구매자에게 판매자가 현금을 줄수 있다는 뜻이다.
도4와 도5는 평상시 가격이 10,000원인 A라는 스테이크에 대하여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 수록, 가격이 낮아지는 공동구매 공시 및 구매신청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하지만, 도10과 같이 판매자에 따라서는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변동없이,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어떠한 상품이 구매자에게 더 추가(또는 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어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도면의 숫자를 줄이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와 결과를 한꺼번에 표현하였다.)
도10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10,000원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2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만 추가로 공급되고,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와 차가 추가로 공급되고,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와 차와 포도주가 추가로 공급된다고 공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니면,
2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만 추가로 공급되고,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차만 추가로 공급되고,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포도주만 추가로 공급된다고 공시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도10과 같은 공동구매 공시 정보를 나타내는 표에서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추가 공급상품을 어떤 식으로 해석해야 하는지를 공동구매 공시를 할때 고지만 하면 혼선은 없을 것이다.
본원에서는 추가 공급상품이 표시 되는 표에서
도10 처럼 각 구매수량구간 별로 대응되는 구매신청혜택란에 중복되는 혜택이 없을 때,
2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만 추가로 공급되고,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와 차가 추가로 공급되고,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와 차와 포도주가 추가로 공급된다고 해석하는 방법을 추가 혜택 적용 방법에 있어서의 '누적 혜택 적용 방법'이라고 지칭할 것이며,
2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만 추가로 공급되고,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차만 추가로 공급되고,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포도주만 추가로 공급된다고 해석하는 방법을 추가 혜택 적용 방법에 있어서의 '개별 혜택 적용 방법'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도11처럼 추가 공급상품을 각 구매수량구간 별로 대응되는 구매신청혜택란에 중복되게 혜택을 표기하면 도표 해석에 대한 공지가 없어도 혼선은 없을 것이다.
(도11의 2번 구간과 3번 구간에는 음료수 추가 라는 중복혜택이 표기되어 있고, 3번 구간과 4번 구간에는 음료수와 차 추가 라는 중복혜택이 표기되어 있다)
도11처럼 표기하면, 특정의 조건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이 해석되는 것이 무난할 것이다.
2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만 추가로 공급되고,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와 차만 추가로 공급되고,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서는 음료수와 차와 포도주가 추가로 공급)
여기에서는, 주로, 도10처럼 공동구매 공시가 될때 도11처럼 추가 공급상품이 구성될것이라고 고지되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설명을 계속 하겠다.
도10의 결과 부분을 살펴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개가 되었고, 도5와 관련된 설명원리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가격은 10,000원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은 음료수와 차가 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차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와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그러나, 다시 한번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10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개가 되었고,
구매신청현황을 살펴보면, 일단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10,000원에 추가상품이 없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40개, 누계는 40개,
10,000원에 음료수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130개, 누계는 170개,
10,000원에 음료수와 차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180개, 누계는 350개,
10,000원에 음료수와 차와 포도주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140개, 누계는 490개이다.
(만약,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10,000원에 추가상품이 없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40개, 누계는 40개,
10,000원에 음료수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130개, 누계는 170개,
10,000원에 차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180개, 누계는 350개,
10,000원에 포도주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구매신청수량은 140개, 누계는 490개이다.)
1,2,3번 구간의 구매신청수량구간 조건의 하한이 해당 구매신청수량 누계보다 더 작으므로, 1,2,3번 구간의 "만족여부"란이 "만족"이다. "만족여부"란이 "만족"인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인 3번 구간의 구매신청혜택인 가격은 10,000원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음료수와 차가 추가상품이 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어, 1번, 2번, 또는 3번 구간의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즉,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구매신청한 누적 구매신청수량인 350개는 구매체결된 구매자에게 가격은 10,000원이면서 음료수와 차가 추가로 공급된다.
(만약, 판매자에 따라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은 차만 되겠다.)
4번 구간의 구매신청수량구간 조건의 하한(500개)가 해당 구매신청수량 누계(490개)보다 더 크므로, 4번 구간의 "만족여부"란이 "불만족"인 관계로, 4번 구간 조건의 구매신청혜택으로는 낙찰되지 못하여, 10,000원이면서 음료수와 차와 포도주가 추가로 공급되는 구매신청혜택으로는 상품이 공급되지 못한다. 그래서, 만약, 구매신청시에 10,000원을 미리 결제하면서,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구매신청하였다면, 4번 구간의 조건의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에게는 개당 10,000원씩을 환급해주면 된다.
상기와 같은 결론을 내는 과정은 도5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어졌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도5는 도22처럼 나타낼 수 있는데, 도5와 도22의 의미는 동일하다.
도12는 오븐을 판매하는 것을 예를 들었다.
도12는 도10처럼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500,000원으로 변동이 없으면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공급되는 상품이 더 추가(더 가치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는 것으로 공시되고 있다.
도12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개가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가격은 500,000원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은 저울과 프라이팬이 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프라이팬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이제, 가격은 무료이면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상품이 더 추가 (더 가치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는 예를 알아보자.
이는 주로, 인터넷 가입, 보험 가입 상품과 같은, 서비스 계약에 이용될 수 있는 사례이다. 이러한 서비스에 가입할 때에는 가입시에는 비용이 들어가지 않지만, 일정기간 주기로(예: 1달마다) 고정비용이 들어가는 상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인터넷 가입 상품에 대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KT라는 인터넷망 공급회사의 상품 중에는 1달에 30,000원씩 지불해야하는 초고속 인터넷 상품이 있다. 그런데 3년 이상 계속 사용한다고 약정을 하면서 가입하면, 1달에 25,000원씩만 지불하면된다. 구매자 입장에서는 가입비 명목으로는 대부분의 경우에 돈이 필요하지 않는다.(첫 달분에 해당하는 요금을 미리 지불하게 공동구매 공시할 수도 있지만, 이번 실시 예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하겠다.)
도13은 KT, 초고속 인터넷, 월 25,000원, 3년 약정 상품 가입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 및 결과를 나타낸 예이다.
도10처럼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0원(=무료)으로) 변동이 없으면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공급되는 상품이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되고 있다.
도13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건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가격은 0원(=무료)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은 마우스와 MP3이 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MP3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는 1달에 25,000원씩 지불하면 된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그리고, 혜택이 현금인 경우도 알아보자.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현금 혜택을 공급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현금을 준다는 것이다.
도19은 KT, 초고속 인터넷, 월 25,000원, 3년 약정상품 가입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 및 결과를 나타낸 예이다.
도10처럼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0원(=무료)으로) 변동이 없으면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공급되는 상품이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되고 있다.
도19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건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가격은 0원(=무료)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현금 6만원(=1만원+2만원+3만원)이 구매자에게 입금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3만원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는 1달에 25,000원씩 지불하면 된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그리고, 구매신청수량 단위가 금액인 경우도 알아보자.
예를 들어, 도14와 같이 어떤 제과점에서 특정 종류의 몇 가지 빵들에 대하여 공동구매를 추진하고자 한다.
공동구매 대상이 되는 몇 가지 종류(또는 1가지 종류도 상관없고, 모든 종류도 상관없다) 빵을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에 구매하는데 있어서, 공동구매에 구매신청되는 구매신청수량(=구매신청금액)이 증가함에 따라서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대비 할인율이 대응될 수도 있다.(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이 아니라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시점의 가격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매자는 구매신청할 때, 자기는 얼마어치의 빵을 구매하겠다고 의사표명하면서 구매신청하면 된다.
그렇게 해서, 도14의 (다수의 구매자의) 구매신청한 결과를 살펴보니,
구매신청수량 단위가 만원이므로,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만원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구매신청에 합격한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하면서 구매하겠다고 의사표명한 금액만큼의 빵을 45%(=0%+15%+30%)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30%할인된 금액으로만 구입할 수 있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구매체결된 각 구매자별로 낙찰혜택에 해당하는 할인된 퍼센트의 가격으로 자기가 구매신청한 금액만큼의 빵을 실제로 구매할 수 있게 되는 조건이므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시점의 가격기준으로 자기가 구매신청한 금액만큼 미리 결제한다고 하여도 환급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낙찰혜택이 결정된 후에,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기준으로 구매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제할 수도 없으므로, 환급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가격이 변동 주기가 짧으면서, 마진도 박한 상품에 더욱 적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휘발유가 그러하다.
도15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도14처럼 도15의 구매신청수량 단위도 금액이다.
예를 들어, 도15와 같이 어떤 주유소에서 특정 종류의 몇 가지 기름들에 대하여 공동구매를 추진하고자 한다.
공동구매 대상이 되는 몇 가지 종류(또는 1가지 종류도 상관없고, 모든 종류도 상관없다) 기름을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에 구매하는데 있어서, 공동구매에 구매신청되는 구매신청수량(=구매신청금액)이 증가함에 따라서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대비 할인율이 대응될 수도 있다.(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이 아니라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시점의 가격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매자는 구매신청할 때, 자기는 얼마어치의 기름을 구매하겠다고 의사표명하면서 구매신청하면 된다.
그렇게 해서, 도15의 (다수의 구매자의) 구매신청한 결과를 살펴보니,
구매신청수량 단위가 만원이므로,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만원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구매신청에 합격한 각 구매자는 구매신청하면서 구매하겠다고 의사표명한 금액만큼의 휘발유를 3%(=0%+1%+2%)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2%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구매체결된 각 구매자별로 낙찰혜택에 해당하는 할인된 퍼센트의 가격으로 자기가 구매신청한 금액만큼의 기름을 실제로 구매할 수 있게 되는 조건이므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시점의 가격기준으로 자기가 구매신청한 금액만큼 미리 결제한다고 하여도 환급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낙찰혜택이 결정된 후에,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기준으로 구매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제할 수도 없으므로, 환급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휘발유 같은 경우는 구매신청수량 단위가 리터일수도 있다.
도16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구매신청수량 단위가 리터이므로,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리터가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구매신청에 합격한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하면서 구매하겠다고 의사표명한 부피(단위: 리터)만큼의 휘발유를 3%(=0%+1%+2%)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2%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구매체결된 각 구매자별로 낙찰혜택에 해당하는 할인된 퍼센트의 리터당 가격으로 자기가 구매신청한 부피만큼의 휘발유를 실제로 구매할 수 있게 되는 조건이므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미리 결제하는 경우에는, 자기가 구매신청한 할인된 퍼센트의 리터당 가격에 신청한 부피를 곱한 금액에서 낙찰혜택에 해당하는 할인된 퍼센트의 리터당 가격에 신청한 부피를 곱한 금액을 뺀 차이나는 비용이 환급될 것이다.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공동구매 공시를 하는 시점의 가격기준으로 자기가 구매신청한 금액만큼 미리 결제하는 경우에는, 리터당, 자기가 구매신청한 할인된 퍼센트의 리터당 가격에서 낙찰혜택에 해당하는 할인된 퍼센트의 리터당 가격을 뺀 차이나는 비용이 환급될 것이고(도16의 환급란 참조-할인이 없을 때의 리터당 가격이 100원인 경우로 가정하였음),
낙찰혜택이 결정된 후에, 구매자가 방문하여 구매하는 시점의 가격기준으로 구매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제할 수도 없으므로, 환급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미도시).
이제는, 추가 혜택에 기간이 연장되는 혜택이 포함되는 예에 대하여 알아보자.
에어로빅 6개월 강습 상품을 공동구매 추진할 때, 도17과 같은 공동구매 공시와 결과가 있을 수 있다.
도17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건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가격은 300,000원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은 1개월 연장과 2개월 연장, 총 3개월 연장이 되겠다. 즉, 기본 6개월 강습권에 3개월(=없음+1개월+2개월) 연장이 됨에 따라서 총 9개월간 강습받을 수 있게 된다.(판매자에 따라서는 ,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2개월 연장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추가되는 상품은 없으면서, 가격만 낮아지거나
가격은 변동하지 않으면서, 추가되는 상품만 누적되거나 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혜택만 예를 들었으나,
도18처럼 가격도 낮아지면서, 추가되는 상품도 누적되거나 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대체되는 혜택이 있을 수 있다.
도18은 휴대폰 가입상품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와 그 결과에 관한 예이다.
특정 휴대폰을 구입하면서, 특정 통신사로 휴대폰 서비스 회사를 옮기면서, 기본요금으로서 1달에 50,000원을 지불해야 하는 서비스를 2년간 사용하기로 계약을 하는 상품이라고 가정한다.
구매신청수량 구간 중 1번 구간에서는 휴대폰을 구입함에 따라서, (구형이라면 공짜도 가능하겠지만, 최신 휴대폰이라서) 휴대폰 대금으로 300,000원을 지불해야 한다.(참고로, 요금제나 사용기간을 구매자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특정 휴대폰의 700,000원 정도로 비싸진다.)
1번에서 2번구간으로 변경될 때에는 휴대폰 대금은 변동 없지만, 1만원 상당의 휴대폰 고리가 추가로 공급된다.
2번에서 3번구간으로 변경될 때에는 휴대폰 대금도 1만원 더 낮아 지면서, 추가되는 상품이 1만원 상당의 휴대폰 고리에서 2만원 상당 스타일러스 펜으로 더 추가(또는 변경)된다.
3번에서 4번구간으로 변경될 때에는 휴대폰 대금은 1만원 더 낮아지는데, 추가되는 상품은 없다.
도18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건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구매신청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휴대폰 가격은 290,000원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은 1만원 상당의 휴대폰 고리와 2만원 상당의 스타일러스 펜이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휴대폰 가격은 290,000원 이면서, 2만원 상당의 스타일러스 펜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는 기본요금이 1달에 50,000원인 요금제를 2년간 사용하는 서비스에 가입이 된다.
이제는 구매신청 수량이 증가할수록 추가 또는 변경되는 혜택이 복합적인 것에 대하여 알아보자. 현금, 상품권, 할인율, 또는 일반 공산품이 추가 또는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혜택들이 복합될 수 있지만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현금과 일반공산품이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로 공급되는 것으로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도20은 KT, 초고속 인터넷, 월 25,000원, 3년 약정상품 가입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 및 결과를 나타낸 예이다.(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13 관련 설명 참조)
도10처럼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하여도 가격은 0원(=무료)으로 변동이 없으면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할수록 공급되는 상품이 더 추가(더 가치 있는 상품으로 변경되는 것도 포함됨) 되고 있다.
도20의 결과 부분을 보면, 총 구매신청수량이 490건이 되었고,
도5 또는 도1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3번 구간에 해당하는 혜택이 낙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낙찰된 혜택이라는 것은 가격은 0원(=무료)이면서,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누적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추가로 현금 6만원(=1만원+2만원+3만원)과 1만원상당의 마우스와 5만원상당의 MP3가 구매자에게 공급되겠다.(판매자에 따라서는, 추가 혜택 적용 방법을 "개별 혜택 적용 방법"으로 적용한다고 공동구매 공시 정보에서 고지하였다면, 현금 3만원과 MP3(5만원 상당)만 추가로 공급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는 1달에 25,000원씩 지불하면 된다.
그리고, 구매신청시에 1번, 2번, 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3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으로 구매체결되는 것이고, 구매신청시에 4번 (구매신청수량)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면서 구매신청한 구매자는 구매체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매체결 원리는 도5 또는 도10과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도10~도21 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동안, 혜택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매신청가격(또는 할인율)과 추가 공급 상품으로 혜택에 대한 요소를 나누어 설명하였다. 구매신청가격은 구매체결된 후에 판매자의 의무 이행조건으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의무적으로 결제하도록 시행할 수도 있는 금액이고, 추가 공급 상품은 판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이므로, 구매자와 판매자의 의무사항을 나누어 놓았을 뿐이다. 할인율은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입금해야할 금액에 대한 할인율 일수도 있고, 실제 상품을 전달받을 때 구매자가 할인받을 수 있는 금액일 수도 있으므로, 할인율은 구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이 표기되는 란에 적혀있어야 더 효율적일 수도 있고, 판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이 표기되는 란에 적혀있어야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어쨋든, 혜택에 관한 요소들을,
구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과 판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을 구매자들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 혜택에 관한 내용을 명확히 한 상태로,
한꺼번에 동일한 란에 표기할 수도 있고, 표기자 임의로 나누어 표기할 수도 있다. 나누어 표기하는 데 있어서도, 구매신청가격(또는 할인율)과 추가 공급 상품이라는 2가지 요소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 2가지 이상의 요소로 나누어 표기할 수도 있다.
이제 본원에서 포괄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내용을 종합해 보자.
이하의 각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왜냐하면,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만 낮아지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거래에서, 다음에 나오는 기법들의 핵심 사항이, 특히 도5에 관한 설명에서, 아주 상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중요한 사항도 아니고, 앞의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하여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매비용을 미리 결제하고 환급하는 과정, 구매보증금을 결제하고 환급하는 과정, 판매보증금을 결제하고 환급하는 과정을 포함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만 낮아지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거래에서는 설명되었으나 다음에서 설명하지 않은 기법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5와 관련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적용방법은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다음의 권리주장 내용 설명은, 주로,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만 낮아지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설명에서의 "구매신청가격"이 "구매신청혜택"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었고,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의 의미는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의 의미로,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의 의미는 "초과의 구매신청혜택"의 의미로 대체되었다. 왜냐하면,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혜택은 서로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구매신청가격이 높아지면, 구매신청혜택은 낮아지는 것이고,구매신청가격이 낮아지면, 구매신청혜택은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변경 부분에 대한 설명은 굳이 하지 않아도 구매신청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만 낮아지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설명을 참조 하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 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 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들로 이루어진다.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도10처럼 특정의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조건을 판매자가 사이트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사이트 운영자가 입력하거나 판매자가 직접 입력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공동구매 공시에 서로 다른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지 않고, 서로 다른 평상시 가격 대비 특정의 할인율이 대응되어 있어도 서로 다른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자명하며, 본원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왜냐하면, 평상시 가격에 할인율을 적용하면 할인된 가격이 도출되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혜택이라는 것은 서로 비교가 되는 2개 이상의 조건이 있어야 하지만, 본원에서는 각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대응되어 있는 구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과 판매자가 이행해야할 사항 자체를 혜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에 '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이라는 한정적인 어구를 추가하여 더 좁은 범위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 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변형 단계는 도10, 도11, 도12, 도18, 도19, 또는 도20과 같이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대응되어 있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의 내용 중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동되어도 가격에 대하여 변동이 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한다는 단계(또는 수단)이며, 구매자입자에서는, 실질적으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동됨에 따라 추가 상품만 변경되는 형식이어서, 구매자 입장에서는 가격은 어떠한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택 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가격이 유료인 상품도 유용하지만, 보험가입, 인터넷 가입, 휴대폰 가입상품처럼 애초부터 가격이 무료이며, 계약서만 필요한 상품에는 더욱 유용할 것이며, 판매자에게는 마진 측면에서 더욱 이득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들은 가격에 대하여 변동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하여서는 상관없이,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구매신청수량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후속 단계(또는 수단)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기술되는 단계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도10(~도20)처럼 특정의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조건을 판매자가 사이트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사이트 운영자가 입력하거나 판매자가 직접 입력한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특정의 할인율이 적용될 때,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이 되는 것을 권장하지만, 서로 다른 구간임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같은 할인율이 적용되도록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의 할인율이 0%일 수도 있다. 즉, 평상이 가격이 적용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에 '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이라는 한정적인 어구를 추가하여 더 구체적인 단계(또는 수단)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변형 단계는 도10, 도11, 도12, 도18, 도19, 또는 도20과 같이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대응되어 있는 구매신청혜택 조건의 내용 중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동되어도 가격에 대하여 변동이 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한다는 단계(또는 수단)이며, 구매자입자에서는, 실질적으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동됨에 따라 추가 상품만 변경되는 형식이어서, 구매자 입장에서는 가격은 어떠한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택 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가격이 유료인 상품도 유용하지만, 보험가입, 인터넷 가입, 휴대폰 가입상품처럼 애초부터 가격이 무료이며, 계약서만 필요한 상품에는 더욱 유용할 것이며, 판매자에게는 마진 측면에서 더욱 이득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가격을 낮추는 것보다는 낮출려고 했던 가격만큼의 상품(또는 그 이상의 상품이라도)을 구매자에게 추가로 공급하는 것이 더 이익인 경우가 많다.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의 원가는 어차피 더 공급되는 상품의 가격 이하이기 때문이다.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이 원래부터 공동구매를 의뢰한 판매자가 취급하고 있었던 상품이라면 원가는 더욱 낮아질 것이며,
추가로 공급되는 상품이 공동구매를 의뢰한 판매자가 취급하지 않았던 상품이었더라도, 어차피 공동구매 대량물량이므로 판매자가 조달하는 원가가 더 낮아질 것이다.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들은 가격에 대하여 변동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하여서는 상관없이,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구매신청수량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후속 단계(또는 수단)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기술되는 단계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혜택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혜택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12)를 통하여 공동구매 서버(16)에 접속한 후, 공동구매 서버(16)가 제공하는 판매 상품들에 대한 공동구매 공시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공동구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신청가능시간 내에 자신이 원하는 구매신청가격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는 것과 구매신청수량을 구매신청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구매신청정보가 공동구매 서버(16)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매신청혜택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에서의 도10(~도20)을 통한 예를 든 설명에서처럼 공동구매 서버(16)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구매신청혜택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구매신청혜택 글자를 일일이 입력할 수도 있고, 제공된 구매신청혜택 글자와 관련된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하여 선택입력방법은 다양하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도4 또는 도5를 가지고 예들 들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이정도로 해서 설명으로 끝내겠다.
그리고, 구매신청수량이 1개이면 별도로 구매신청수량을 입력하지 않아도 구매신청수량이 1개로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구매신청수량이 1인 경우를 포함한 특정의 구매신청수량에 대해서는 별도로 구매신청수량을 입력하지 않아도 구매신청수량이 자동으로 입력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구매자는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까지는 자기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혜택을 변경할 수 있게 운영할 수도 있다. 변경하는 방법의 예를 들자면, 새로운 구매신청혜택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이전의 구매신청을 취소하고 새로운 구매신청혜택으로 새롭게 구매신청할 수도 있다.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하였다면, 변경된 가격 결제규칙에 따라 추가로 결제하거나 환급될 수 있다.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각 구매자가 구매신청하면서 자신이 신청하는 구매신청혜택에 반영되어 있는 구매신청가격과 구매신청수량에 따른 구매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하여 자신의 구매신청을 보증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만약, 구매자가 구매비용을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주로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아무런 제약 없이 구매신청을 취소하여 판매자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구매체결되었음에도 구매신청을 취소하는 경우 일부 금액을 구매취소 위약금 형식으로 환수받기 위해 또는 구매의사를 강력히 피력하기 위해 미리 결제 받는 것이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공동구매 서버(16)가 각 구매신청혜택 별 구매신청수량이나 각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에 대한 구매신청현황을 집계 또는 제공한다.
여기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이란, 구매자 입장에서 해당 구매신청혜택과 같거나 해당 구매신청혜택보다 좋지 않은 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모든 구매신청수량에 대한 합계 수량을 말한다.
예컨대, 공동구매 서버(16)는 도10(~도20)의 "누계"열에 표시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10(~도20)의 "누계"가 각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나타낸다.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 이상의 혜택으로 낙찰혜택이 결정되면서,
낙찰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혜택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혜택을 초과한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공동구매신청 기한 종료에 따라 낙찰혜택이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 구매자로 나뉘어지는 것을 포함한 거래성사 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따라서, 종래의 공동구매 방법과 다르게, 공동구매임에도,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존재함에도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발생될 수도 있다. )
이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도5 또는 도10(~도20)의 예를 들어 자세히 가장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따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그리고, 어떤 혜택 이하의 혜택이라는 것은, 구매자 입장에서 어떤 혜택과 같거나 어떤 혜택보다 좋지 않은 혜택을 말한다. 따러서, 어떤 혜택 초과의 혜택이라는 것은, 구매자 입장에서 어떤 혜택보다 더 좋은 혜택을 말한다.
물론, 사이트 운영자 재량 또는 판매자 재량 또는 별도의 구제 방법에 의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인정 또는 구제해주어서, 인정 또는 구제받은 구매자가 구매신청한 구매신청수량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매체결되게 하거나 일부 비용지원이 되게 할 수는 있다.
나중에 설명될 단계(또는 수단)인,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미리 결제한 (주로 구매희망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보다 큰 경우 그 차이나는 비용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에서, 환급금액이 산출되고 나서, 사이트 운영자 재량 또는 판매자 재량에 의하여 산출된 환급금액보다 더 많이 환급해 줄 수도 있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미리 결제된 차이나는 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공동구매 서버(16)가 공동구매 종료 후에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을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해주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 중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미리 결제된 비용(이상)을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해주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즉, 최종 판매가는 낙찰가격으로 결정되는 바, 최초에 구매자가 자신의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산출하여 미리 결제한 금액 중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제하고 나머지는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해주는 것이다.
거의 그럴 리는 없겠지만, 상기 '나머지' 금액보다 환급을 더 많이 해 줄 수도 있다. 그래서 차이나는 비용 '이상'을 환급해 준다고 한것이다. 그리고, 본원의 다른 부분에서의 다른 비용의 환급에서의 '이상' 이라는 단어도 같은 의도에서 사용한 단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결제된 금액 중 일부 금액을 환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는 것이 아니므로, 즉, 전자상거래에 관련 특허 분야 중 전자결제에 관한 특허 출원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카드로 미리 결제한 금액에 대해 환급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 하자면,
즉, 카드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금액을 미리 결제한 구매자에게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이상)을 환급해주는 방법에 대하여 몇 가지 언급하자면 아래와 같다.(다른 방법들도 가능할 것이다.)
1. 미리 (카드)결제된 것이 취소되고, 새롭게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이 결제되는 것을 자동화한다.
2. 카드 청구서에 미리 결제한 금액을 플러스 금액로 청구하고, 차이나는 비용( =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마이너스 금액으로 청구하여, 결과적으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결제하는 것으로 정리(현재도 항공사에서 예약변경시에 가격변동이 있으면 이런 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3. 카드사에서 고객의 통장에 차이나는 비용을 송금
4. 판매자가 고객의 통장에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송금(판매자가 카드 수수료 손해감수)
5.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카드사에 포인트 적립 또는 사이버 머니 적립(언제든 현금화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6. 미리 결제한 금액에서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운영 싸이트에 포인트 또는 사이버 머니 적립(언제든 현금화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또는 수단)가 더 추가 될 수도 있다.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본 단계(또는 수단)는 구매자가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미리 결제한 금액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보다 더 적었을 때 부족분만큼 더 결제한다는 뜻으로 , 본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어느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의 구매취소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받아들여지면, 구매신청이 취소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구매신청을 취소하여 판매자에게 손해를 야기할 수 있을 경우에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약금으로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하여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의 손실을 보전해주고, 거래의 신뢰성이 보증되도록 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즉, 판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신청한 모든 구매자는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면 반드시 구매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박리다매식 이익 계산을 통해 판매가격을 최대한 낮추어 판매신청하여 상품을 판매하였는데, 구매자가 나중에 구매신청을 취소해 버리면, 낙찰받은 상품을 판매하여도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이익이 훨씬 줄어들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구매신청을 취소하는 구매자에게는 소정의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 변동혜 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도출되었음에도 판매를 취소하거나 상품 제공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의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하여, 판매자로부터 판매보증금을 (주로 판매신청시에)미리 결제 받아두었다가 추후 판매자가 자신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제 받은 판매보증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며,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매자가 정당한 이유없이 판매를 취소하거나 상품 제공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는 경우 구매체결된 구매자들의 손실을 보상해주기 위하여 판매자가 미리 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환급할 것이다.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새로운 구매자가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전체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거나
상기 낙찰혜택 초과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상기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비용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결제 완료되는 것이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상기 낙찰혜택으로 구매신청하는 것이 받아들여져서,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혜택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 또는 새로운 구매자일지라도 낙찰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기회가 더 주어지면,
-새로운 구매자는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결제하면 되고,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부족하게 결제한 금액을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이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에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을
뺀 금액을
구매자가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부족하게 결제한 금액을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이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낙찰가격에다가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구매신청시에 주문한 구매신청수량을 곱한 금액에서 구매자가 미리 결제한 금액을
뺀 금액을
구매자가 추가로 결제하는 단계(또는 수단)가 더 필요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아니면,
미리 결제한 것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취소 되게 한 후에,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대금 전체를 다시 한번 결제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자동으로 이 단계(또는 수단)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구매신청정보 입력시에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자동으로 여기 이 단계(또는 수단)가 진행되도록 한다는 말은 부족한 금액 만큼이 자동으로 결제되게 하거나 구매대금 전체가 결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혜택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댓글, 쪽지, 게시판을 포함한 수단으로 합리적인 낙찰가격을 포함한 낙찰혜택에 대한 예측, 토론을 포함한 정보교류를 할 수 있게 하는 단계(또는 수단)이다.
적절한 낙찰혜택 예측에 대한 충분한 정보습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리하여, 적당한 가격 선이라면 반드시 구매하려고 하였던 구매자 중에서, 정보가 부족하여 너무 낮은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결과로 구매에 실패하는 구매자 수를 최소화한다.
낙찰혜택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각 구매신청혜택 별로 ,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혜택에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 추가 혜택이 적용되어 낙찰혜택이 결정되는 단계(또는 수단)
- 본 단계(또는 수단)에서 대하여서는 자세한 설명없이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다.
본원의 방법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경우에 "각 구매신청혜택 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혜택"이 낙찰혜택으로 결정되는 규칙으로 실시되겠지만, 판매자(또는 사이트 관리자)의 재량 또는 특정의 규칙을 적용하여 "각 구매신청혜택 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혜택"보다 소정의 혜택을 추가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혜택 결정 방법이라는 것이 다음과 같은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낙찰가격 = A - B
A :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
B : 추가할인금액 = C * D/E
상기 B에 대한 계산식에서,
C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D은 총구매신청 수량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 숫자를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E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다음 구간의 하한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상기의 숫자들은 확정된 숫자가가 아니라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를 포함한 사람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숫자일 수도 있다.)
- 본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혜택"이라는 것은 다음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 가격 또는 가격이 낮아지는 것.
2. 할인율 또는 할인율이 높아지는 것.
3. 상품(=재화나 용역) 또는 상품(=재화나 용역)이 추가되는 것.
- 본 단계(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Claims (30)

  1.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혜택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혜택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 이상의 혜택으로 낙찰혜택이 결정되면서,
    낙찰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혜택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혜택을 초과한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차이나는 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청구항 2]
    제15항에 있어서,
    "혜택"이라는 것은 다음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 가격 또는 가격이 낮아지는 것.
    2. 할인율 또는 할인율이 높아지는 것.
    3. 상품(=재화나 용역) 또는 상품(=재화나 용역)이 추가되는 것.
  2.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혜택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혜택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혜택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혜택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 이상의 혜택으로 낙찰혜택이 결정되면서,
    낙찰혜택 이하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혜택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받으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혜택을 초과한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구매신청수량 구간이 변경되어도 가격이 변동없거나 가격변동이 극히 미미한 구간이 존재하도록,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혜택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혜택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어느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의 구매취소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받아들여지면, 구매신청이 취소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수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선택된 구매신청혜택 조건 내용 중에 구매신청가격 또는 낙찰혜택 조건 내용중 가격이 유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낙찰혜택이 결정된 이후에,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전체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거나
    상기 낙찰혜택 초과의 구매신청혜택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상기 낙찰혜택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비용이 (변동혜택을 감안해서) 결제 완료되는 것이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상기 낙찰혜택으로 구매신청하는 것이 받아들여져서,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혜택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혜택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혜택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낙찰혜택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각 구매신청혜택 별로, 그 구매신청혜택 이하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혜택 중에서 가장 좋은 구매신청혜택에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 추가 혜택이 적용되어 낙찰혜택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혜택 결정 방법이라는 것이 다음과 같은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낙찰가격 = A - B
    A :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
    B : 추가할인금액 = C * D/E

    상기 B에 대한 계산식에서,
    C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D은 총구매신청 수량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 숫자를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E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다음 구간의 하한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상기의 숫자들은 확정된 숫자가가 아니라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를 포함한 사람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숫자일 수도 있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혜택"이라는 것은 다음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 가격 또는 가격이 낮아지는 것.
    2. 할인율 또는 할인율이 높아지는 것.
    3. 상품(=재화나 용역) 또는 상품(=재화나 용역)이 추가되는 것.

  16. .
  17. .
  18. .
  19. .
  20. .

  21.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가격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가격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가격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면서,
    낙찰가격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을 초과한 차이나는 비용(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2.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또는 공동구매 서버와 1명 이상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매신청단말기와 판매자가 이용할 수 있는 판매신청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동구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거래 대상 상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구매신청수량 구간별로 구매신청가격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공동구매 공시 정보가 구매신청단말기 ( 또는 판매신청단말기 : SS ?) 를 포함한 접속한 단말기로 받아 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각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구매신청가격 중 어느 하나의 구매신청가격이 선택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구매신청수량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매신청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로 전송 (되어 상기 공동구매 서버에 저장 : SS ?) 되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구매신청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구매신청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 구매신청수량 또는 각 구매신청가격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각 구매신청가격 별 누적 구매신청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신청현황이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집계되는 단계(또는 수단);

    공동구매신청 종료 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구간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낙찰가격이 결정되면서,
    낙찰가격 이상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격이라는 동일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하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가 도출되는 단계(또는 수단);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상)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고,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을 판매자에게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정보가 전송받아지는 시점을 포함한 낙찰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판매보증금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받아들여지는 단계(또는 수단);

    구매체결된 구매자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신청단말기로부터 판매 취소가 받아들여지거나 판매자에게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판매자가 이행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미리 결제된 판매보증금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거나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 판매보증금(이상)을 판매자에게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된 구매자 중 어느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의 구매취소가, 구매체결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받아들여지면, 구매신청이 취소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수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환급되는 단계(또는 수단); 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낙찰가격이 결정된 이후에,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상기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전체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거나
    상기 낙찰가격 미만의 구매신청가격으로 구매신청한 관계로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진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미리 결제된 구매비용이 상기 낙찰가격이 반영된 구매비용 대비 부족한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가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이용하는 구매신청단말기로부터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비용이 (변동비용을 감안해서) 결제 완료되는 것이 받아들여저서,
    새로운 구매자 또는 구매체결되지 못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매 서버를 통하여 구매신청단말기 또는 판매신청단말기를 포함한 단말기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이 제공되는 단계(또는 수단);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매 방법.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낙찰가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각 구매신청가격 별로, 그 구매신청가격 이상으로 구매신청된 누적 구매신청수량이, 구매신청수량 구간 조건의 하한 수량보다 더 큰 것에 대응하는 구매신청가격 중에서 가장 낮은 구매신청가격에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가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추가 할인이 적용되어 낙찰가격이 결정 방법이라는 것이 다음과 같은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낙찰가격 = A - B
    A :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
    B : 추가할인금액 = C * D/E

    상기 B에 대한 계산식에서,
    C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에서의 구매신청가격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 구매신청수량이 더 큰 쪽으로의) 다음 구간의 구매신청가격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D은 총구매신청 수량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 숫자를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E은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다음 구간의 하한에서 총구매신청 수량이 속하는 구간의 하한을 뺀 숫자(또는 그에 근접한 숫자)이다.
    (상기의 숫자들은 확정된 숫자가가 아니라 판매자 또는 사이트 운영자를 포함한 사람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숫자일 수도 있다.)
KR1020220125919A 2020-11-02 2022-10-03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220159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19A KR20220159301A (ko) 2020-11-02 2022-10-03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08A KR20200126961A (ko) 2020-11-02 2020-11-02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10104231A KR20210118775A (ko) 2020-11-02 2021-08-07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20125919A KR20220159301A (ko) 2020-11-02 2022-10-03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231A Division KR20210118775A (ko) 2020-11-02 2021-08-07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301A true KR20220159301A (ko) 2022-12-02

Family

ID=7342937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08A KR20200126961A (ko) 2020-11-02 2020-11-02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10104231A KR20210118775A (ko) 2020-11-02 2021-08-07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10104242A KR20210116361A (ko) 2020-11-02 2021-08-08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20125919A KR20220159301A (ko) 2020-11-02 2022-10-03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08A KR20200126961A (ko) 2020-11-02 2020-11-02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10104231A KR20210118775A (ko) 2020-11-02 2021-08-07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0210104242A KR20210116361A (ko) 2020-11-02 2021-08-08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001269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727A (ko) 2021-12-23 2023-06-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에 기초한 공동 구매 서비스 플랫폼, 이를 이용한 공동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저장 매체
CN114417905A (zh) * 2022-01-26 2022-04-29 多点(深圳)数字科技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961A (ko) 2020-11-09
KR20210118775A (ko) 2021-10-01
KR20210116361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4544B2 (en) Comprehensive online bidding and sales management system for merchant processing services
US20120215659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Bank Transactions, Prepaid Access, Payment Based Promotions, and Payment Networks
WO2005076181A1 (en) Information buying and selling system
KR2022015930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TW201112153A (en) Methods and system of conducting business-to-business operations by registered sellers and buyers using an internet accessible platform
WO2006092726A2 (en) Electronic system for exchanging goods and services
WO2011046469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KR101553329B1 (ko) 판매 수익의 2배 적립에 의한 현금결제 연동방법 및 이의 연동 시스템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KR20200119746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90069368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CN110929155B (zh) 产品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77509B1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8005942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30104372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JP5567631B2 (ja) 対象の要素に係る取引サーバ、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支援方法
KR101873584B1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620004B1 (ko)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00086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80073543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483855B1 (ko) 상거래에 연계한 쇼핑연금, 쇼핑보너스, 판매연금, 판매보너스 지급 시스템 및 방법
WO2013043900A2 (en) Service based certificate
JP4548704B2 (ja) 取引サーバ、取引プログラム及び取引支援方法
AU2010235905B2 (en) Merchant offer program
KR2012011652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