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472B1 - 호스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472B1
KR102619472B1 KR1020230074392A KR20230074392A KR102619472B1 KR 102619472 B1 KR102619472 B1 KR 102619472B1 KR 1020230074392 A KR1020230074392 A KR 1020230074392A KR 20230074392 A KR20230074392 A KR 20230074392A KR 102619472 B1 KR102619472 B1 KR 102619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hoses
hose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택
이행섭
이병인
유인창
안희구
Original Assignee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호스 견인 장치는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호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2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견인 장치{DEVICE FOR HOSE TOWING}
본 발명은 호스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오물통으로부터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호스를 견인하는 호스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로를 주행하는 철도차량(또는 열차)은 많은 승객이 탑승하여 장시간 동안 이용하게 되므로, 열차 객실 내에서 소변 및 대변을 해결하여야 되고, 이에 따라 열차의 각 객실 단측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장시간 동안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불편함이 없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더불어 화장실의 일측에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어 손을 깨끗이 씻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승객이 열차의 실내에서 대소변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화장실에는 양변기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분뇨 저장실이 마련된다.
한편, 최근의 고속 열차는 화장실의 내부 구조가 모듈화되어 있으며, 모듈화된 내부 공간에는 양변기와 함께 세면기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 오물을 저장하는 분뇨 저장실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열차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 및 세면대는 철로 위를 달리는 열차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인해 수도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어 사용자가 바닥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누름 레버를 밟아주게 되면 공압 또는 유압의 압력에 의해 멤브레인 물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강제로 밀어내어 세면대에 갖추어져 있는 토수관을 통해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철도차량기지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화장실에서 각각 외부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분뇨저장실 및 급수탱크와 연결된 라인을 갖는 개폐구, 차량 외부에서 상기 개폐구의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 연결되고 각각 분뇨이송라인과 급수세척라인 및 압축공기라인으로 분리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관, 연결관을 이루는 분뇨이송라인과 급수세척라인 및 압축공기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신호 값에 따라 해당 라인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밸브, 연결관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신호 값에 따라 분뇨이송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분뇨 및 폐수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탱크, 급수세척라인을 통해 화장실에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 급수세척라인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뇨 저장실에 저장되는 분뇨는 열차가 차량 기지에 도착하게 되면 분뇨 저장탱크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진공 펌프식의 오물배출 장치는 오물 수거를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열차의 오물통의 오물량을 체크하고 오물통에 호스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차량 정비 효율의 저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1442호(2015.10.20 공고일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오물수거 시 호스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호스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오물수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호스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스 견인 장치는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호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2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호스의 무게를 절반 이하로 낮춰 작업자의 피로도를 절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1 오물 수거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오물 수거 회전휠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1 청수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고, 승강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복수 개의 호스를 자동으로 철도차량의 오물처리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동력장치보다 상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오물 수거 회전휠보다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오물 수거 회전휠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오물 수거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제1 청수 회전휠보다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2 오물 수거 회전휠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1 청수 회전휠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청수 회전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복수 개의 호스를 자동으로 철도차량의 오물처리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만곡된 형상의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마주하는 만곡된 형상의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사이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와 구름 접촉하는 프런트 가이드 휠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상측에 하단부를 힌지 결합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1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제1 가이드 웨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는 제1 가이드 와이어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 웨이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복수 개의 호스를 자동으로 철도차량의 오물처리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의 타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마주하는 만곡된 형상의 백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백 프레임의 사이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와 구름 접촉하는 백 가이드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복수 개의 호스를 자동으로 철도차량의 오물처리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동력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이동시키는 급수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급수 회전휠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복수 개의 호스를 자동으로 철도차량의 오물처리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2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부에 연결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제2 가이드 웨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는 제2 가이드 와이어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2 가이드 웨이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철도차량의 오물처리 과정에서 복수 개의 호스의 무게를 절반 이하로 낮춰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3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제3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부에 연결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제3 가이드 웨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는 제3 가이드 와이어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3 가이드 웨이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철도차량의 오물처리 과정에서 복수 개의 호스의 무게를 절반 이하로 낮춰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호스의 무게를 절반 이하로 낮춰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철도차량의 오물 수거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오물수거 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철도차량의 오물 수거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철도차량의 오물수거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에서 오물처리부와 무선단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의 제1 결합 커넥터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A'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제1 연결 커넥터에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을 우측면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오물 수거호스와 청수 호스를 이동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에서 오물처리부와 무선단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의 제1 결합 커넥터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A-A'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제1 연결 커넥터에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을 우측면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서 오물 수거호스와 청수 호스를 이동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은 오물처리부(100), 무선단말부(200), 복수 개의 호스(330), 호스 견인부(300), 오물스테이션(400) 및 진공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오물처리부(100)는 철도차량(1) 등의 객실에 설치된 화장실과 연결될 수 있다. 오물처리부(100)는 오물통(110)과 오물수위 측정장치(미도시)와 탁도 측정장치(미도시)와 세척수 저장탱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처리부(100)는 외부의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 커넥터(111)를 설치할 수 있다. 오물통(110)은 철도차량(1)의 화장실의 분뇨 등과 같은 오물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오물통(110)은 외부의 호스 등을 연결하여 내부의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제1 연결 커넥터(111)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제2 연결 커넥터(미도시)를 일측부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111) 및 제2 연결 커넥터는 외부의 호스 등을 오물통(1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111) 및 제2 연결 커넥터는 단부에 자석에 부착되는 철(Fe), 스테인리스(stainless),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니켈(Ni) 등과 같은 금속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처리부(100)는 무선단말부(2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제1 통신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장치는 오물수위 측정장치 및 탁도 측정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오물수위 측정장치 및 탁도 측정장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무선단말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수위 측정장치는 오물통(110)에 설치되어 오물통(110)의 내부에 저장된 오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오물수위 측정장치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형성되고, 오물통(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탁도 측정장치는 오물통(110)에 설치되어 오물통(110)의 내부에 저장된 오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탁도 측정장치는 오물통(110)의 내측에 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무선단말부(200)는 탁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낮거나 높은 가를 판단하여 오물통(110) 내부의 청소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단말부(200)는 탁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같거나 낮으면 오물통(110) 내부의 청소를 2회 이하로 실시하도록 오물스테이션(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탁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보다 높으면 오물통(110) 내부의 청소를 3회 이상 실시하도록 오물스테이션(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세척수 저장탱크는 화장실에 공급되는 세척수(물)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세척수 저장탱크는 외부의 호스 등을 연결하여 내부에 세척수를 보충하기 위한 제3 연결 커넥터(미도시)를 일측부에 설치할 수 있다. 제3 연결 커넥터는 외부의 호스 등을 세척수 저장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처리부(100)는 화장실의 변기와 오물통(110)을 연결하는 분뇨이송라인과 변기의 분뇨를 배출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변기에 공급하는 압축공기라인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무선단말부(200)는 무선 통신을 하고, 원격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호스 견인부(300) 및 오물스테이션(4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무선단말부(2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이동식 로보트 등일 수 있다. 무선단말부(200)는 오물처리부(100)와 소정 거리 접근하면 오물처리부(100)의 제1 통신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여 오물통에 저장된 오물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오물의 수위에 따른 오물 수거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호스(330)는 오물처리부(100)에 연결되거나 오물처리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호스(330)는 고무, 실리콘, 합성고무, 연성의 플라스틱, 합성 플라스틱 등의 유연한 소재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호스(330)는 오물처리부(100)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는 오물처리부(100)에 설치된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와 연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는 일단부에 자성을 갖는 자석부재(334)를 설치할 수 있다. 자석부재(334)는 링 형상을 형성하고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의 일단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의 일단부의 테두리부는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와 연결되는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의 일단부의 테두리부는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와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가 연결될 시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를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의 일단부의 내측 둘레부중 테두리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부위에 고무링(335)을 설치하고,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와의 사이를 씰링(sealing) 처리 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와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가 분리될 시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와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의 사이를 이동한 오물 또는 청수 또는 물 등과 같은 액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석부재(334)는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와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가 연결될 시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된 금속 소재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즉 자석부재(334)는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를 제1 연결 커넥터(111) 또는 제2 연결 커넥터 또는 제3 연결 커넥터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자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호스(330)는 오물 수거호스(331), 청수 호스(332), 급수 호스(333)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커넥터(331a, 332a, 333a)는 오물 수거호스(331)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결합 커넥터(331a)와, 청수 호스(332)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 결합 커넥터(332a)와, 급수 호스(333)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3 결합 커넥터(333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결합 커넥터(331a)는 제1 연결 커넥터(111)와 연결되고, 제2 결합 커넥터(332a)는 제2 연결 커넥터와 연결되고, 제3 결합 커넥터(333a)는 제3 연결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오물 수거호스(331)는 오물통(110)에 연결되고, 오물통(110)의 내부에 저장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다. 오물 수거호스(331)는 청수 호스(332) 및 급수 호스(333)보다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오물 수거호스(331)는 일단부를 제1 이송부(36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청수 호스(332)는 오물통(110)에 연결되고, 오물통(11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세정제 또는 물 또는 세정제를 혼합한 물 등과 같은 청수를 공급할 수 있다. 청수 호스(332)는 오물통(110)의 내부에 저장된 오물을 오물 수거호스(330)로 수거 완료한 후 오물통(110) 내부에 청수를 투입하여 오물통(1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청수는 오물통(110)의 내부에 설치된 오물수위 측정장치 등을 청소할 수 있다. 청수 호스(332)는 일단부를 제1 이송부(36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청수 호스(332)는 오물 수거호수(331)와 연결되고, 오물 수거호수(3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급수 호스(333)는 오물처리부(100)의 세척수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세척수 저장탱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 호스(333)는 일단부를 제2 이송부(37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견인 장치는 호스 견인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호스 견인부(300)는 복수 개의 호스(330)를 오물처리부(100)에 연결하거나 복수 개의 호스(330)를 오물처리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호스 견인부(300)는 메인 프레임(310), 제1 이송부(360), 제2 이송부(370), 제1 견인부(380), 제2 견인부(390) 및 제2 통신장치(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은 호스 견인부(300)의 몸체를 형성하고,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이송부(360)는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를 오물통(110)을 향해 이동하거나 오물통(110)의 반대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제1 이송부(360)는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부(360)는 제1 동력장치(361),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 제1 청수 회전휠(363), 제2 동력장치(364),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 제2 청수 회전휠(366) 및 이송 가이드부(367)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동력장치(361)는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동력장치(361)는 전기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동력장치(361)는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은 제1 동력장치(361)의 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물 수거호스(331)를 오물통(110) 방향 또는 오물통(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은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메인 프레임(310)의 일측부인 메인 프레임(310)이 철도차량(1)을 향하는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은 제1 동력장치(361)와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동력장치(361)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은 오물 수거호스(33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휠일 수 있다.
제1 청수 회전휠(363)은 제1 동력장치(361)의 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청수 호스(332)를 오물통(110) 방향 또는 오물통(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청수 회전휠(363)은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메인 프레임(310)의 일측부인 메인 프레임(310)이 철도차량(1)을 향하는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청수 회전휠(363)은 제1 동력장치(361)와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동력장치(361)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청수 회전휠(363)은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과 동일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동력장치(361)의 동력에 의해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청수 회전휠(362)은 청수 호스(33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휠일 수 있다.
제2 동력장치(364)는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력장치(364)는 전기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동력장치(364)는 메인 프레임(310)에서 제1 동력장치(361)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메인 프레임(31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은 메인 프레임(310)에서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은 제2 동력장치(364)의 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물 수거호스(331)가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로 이동하거나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의 상측에서 유도할 수 있다. 즉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은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과 동일 회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여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오물 수거호스(3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은 제2 동력장치(364)와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동력장치(364)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은 오물 수거호스(33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휠일 수 있다.
제2 청수 회전휠(366)은 메인 프레임(310)에서 제1 청수 회전휠(36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청수 회전휠(366)은 제2 동력장치(364)의 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청수 호스(332)가 제1 청수 회전휠(363)로 이동하거나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청수 호스(332)의 상측에서 유도할 수 있다. 즉 제2 청수 회전휠(366)은 제1 청수 회전휠(363)과 동일 회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여 제1 청수 회전휠(363)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청수 호스(33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청수 회전휠(366)은 제2 동력장치(364)와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동력장치(364)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청수 회전휠(366)은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과 동일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제2 동력장치(364)의 동력에 의해 제2 오물 수거 회전휠(36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청수 회전휠(366)은 청수 호스(33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휠일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367)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가이드부(367)는 오물 수거호스(331)와 연결되고, 승강하며 오물 수거호스(33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367)는 가이드 몸체(367a), 프런트 프레임(367b), 프런트 가이드 휠(367c), 링크부(367d), 제1 가이드 와이어(367e), 제1 가이드 와이어 휠(367f), 제1 가이드 웨이트(367j) 및 제1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67k)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367a)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몸체(367a)는 만곡된 판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프레임(367b)은 가이드 몸체(367a)의 일측에 가이드 몸체(367a)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마주하게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367b)은 가이드 몸체(367a)와 대응되게 만곡된 판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가이드 휠(367c)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가이드 몸체(367a)와 프런트 프레임(367b)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런트 가이드 휠(367c)은 각각 회전축의 일단부를 가이드 몸체(367a)의 테두리부에 고정 결합하고, 회전축의 타단부를 프런트 프레임(367b)의 테두리부에 고정 결합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몸체(367a)의 테두리부와 프런트 프레임(367b)의 테두리부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오물 수거호스(331)는 가이드 몸체(367a)와 프런트 프레임(367b)의 사이를 통과하게 안착되고, 가이드 몸체(367a)와 프런트 프레임(367b)의 사이 안착된 오물 수거호스(331)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복수 개의 프런트 가이드 휠(367c)이 구름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부(367d)는 하단부를 가이드 몸체(367a)의 정중앙부 상측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몸체(367a), 프런트 프레임(367b), 프런트 가이드 휠(367c) 및 링크부(367d)는 오물 수거호스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와이어(367e)는 일단부를 링크부(367d)의 상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와이어(367e)는 타단부를 제1 가이드 웨이트(367j)의 상부 정중앙부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웨이트(367j)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의 역할을 하고, 오물 수거호스(331)가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와이어 휠(367f)은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와이어 휠(367f)은 서로 이격되고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와이어 휠(367f)은 제1 가이드 와이어(367e)와 구름 접촉하고, 제1 가이드 와이어(367e)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67k)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가이드 웨이트(367j)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67k)는 내부에 제1 가이드 웨이트(367j)의 승강 이동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고, 상단에 제1 가이드 와이어(367e)의 이동을 위한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오물 수거호스 안착부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오물 수거호스(331)는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에 의해 오물통(110) 측으로 이동하면 오물 수거호스 안착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는데 제1 가이드 와이어(367e)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웨이트(367j)의 무게에 의해 천천히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오물 수거호스(331)가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에 의해 오물통(110)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면 오물 수거호스 안착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제1 가이드 와이어(367e)에 의해 연결된 제1 가이드 웨이트(367j)의 무게의 의해 천천히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가이드부(367)는 승강하며 오물 수거호스(331)와 함께 청수 호스(33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가이드부(367)는 백 프레임(367m), 백 가이드 휠(367n)을 형성할 수 있다.
백 프레임(367m)은 가이드 몸체(367a)의 타측에 가이드 몸체(367a)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마주하게 위치할 수 있다. 백 프레임(367m)은 가이드 몸체(367a)와 대응되게 만곡된 판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백 가이드 휠(367n)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가이드 몸체(367a)와 백 프레임(367m)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백 가이드 휠(367n)은 각각 회전축의 일단부를 가이드 몸체(367a)의 테두리부에 고정 결합하고, 회전축의 타단부를 백 프레임(367m)의 테두리부에 고정 결합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몸체(367a)의 테두리부와 백 프레임(367m)의 테두리부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청수 호스(332)는 가이드 몸체(367a)와 백 프레임(367m)의 사이를 통과하게 안착되고, 가이드 몸체(367a)와 백 프레임(367m)의 사이에 안착된 청수 호스(332)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복수 개의 백 가이드 휠(367n)이 구름 접촉할 수 있다. 즉 오물 수거호스 안착부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청수 호스(332)는 오물 수거호스(331)의 승강 이동과 함께 승강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청수 회전휠(363)은 제1 오물 수거 회전휠(362)과 함께 작동하면서 청수 호스(332)의 승강 이동을 도울 수 있다.
제2 이송부(370)는 급수 호스(333)를 세척수 저장탱크를 향해 이동하거나 세척수 저장탱크의 반대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부(370)는 제1 이송부(360)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이송부(370)는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370)는 제3 동력장치(371), 급수 회전휠(372) 및 릴부(377)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동력장치(371)는 급수 호스(333)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동력장치(371)는 전기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동력장치(371)는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회전휠(372)은 제3 동력장치(371)의 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급수 호스(333)를 세척수 저장탱크 방향 또는 세척수 저장탱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급수 회전휠(372)은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메인 프레임(310)의 일측부인 메인 프레임(310)이 철도차량(1)을 향하는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 회전휠(372)은 제1 이송부(360)와 이격될 수 있다. 급수 회전휠(372)은 제3 동력장치(371)와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동력장치(371)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310)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회전휠(372)은 급수 호스(333)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휠일 수 있다.
릴부(377)는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릴부(377)는 급수 회전휠(372)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급수 호스(333)를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제1 견인부(380)는 오물 수거호스(33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오물 수거호스(331)의 일단부가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견인할 수 있다. 제1 견인부(380)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견인부(380)는 제2 가이드 와이어(381), 제2 가이드 웨이트(382), 제2 가이드 와이어 휠(383),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84)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와이어(381)는 일단부를 오물 수거호스(331)의 일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 와이어(381)는 타단부를 제2 가이드 웨이트(382)의 상부 정중앙부에 연결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웨이트(382)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의 역할을 하고, 오물 수거호스(331)의 이동중 일단부가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무게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 웨이트(382)의 무게는 오물 수거호스(331)의 일단부 및 오물 수거호스(331)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결합 커넥터(331a)를 합친 무게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웨이트(382)에 의해 오물 수거호스(331)의 무게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와이어 휠(383)은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와이어 휠(383)은 서로 이격되고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 와이어 휠(383)은 제2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고, 제2 가이드 와이어(381)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310)은 상부에 제2 가이드 와이어(381)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이동로(3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로(311)는 메인 프레임(310)의 일측으로 연장된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위를 제2 가이드 와이어(381)가 관통하며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로(311)는 이동하는 제2 가이드 와이어(381)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84)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2 가이드 웨이트(382)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84)는 내부에 제2 가이드 웨이트(382)의 승강 이동 가능한 슬롯을 형성을 형성하고, 상단에 가이드 와이어(381)의 이동을 위한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견인부(390)는 급수 호스(333)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급수 호스(333)의 일단부가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견인할 수 있다. 제2 견인부(390)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견인부(390)는 제3 가이드 와이어(391), 제3 가이드 웨이트(392), 제3 가이드 와이어 휠(393),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94)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와이어(391)는 일단부를 급수 호스(333)의 일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 와이어(391)는 타단부를 제3 가이드 웨이트(392)의 상부 정중앙부에 연결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웨이트(392)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의 역할을 하고, 급수 호스(333)의 이동중 일단부가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무게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제3 가이드 웨이트(392)의 무게는 급수 호스(333)의 일단부 및 급수 호스(333)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3 결합 커넥터(333a)를 합친 무게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가이드 웨이트(392)에 의해 급수 호스(331)의 무게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제3 가이드 와이어 휠(393)은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가이드 와이어 휠(393)은 서로 이격되고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와이어 휠(393)은 제3 가이드 와이어(39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94)는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3 가이드 웨이트(392)를 수용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94)는 내부에 제3 가이드 웨이트(392)의 승강 이동 가능한 슬롯을 형성을 형성하고, 상단에 가이드 와이어(381)의 이동을 위한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94)는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84)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94)와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384)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물스테이션(400)은 복수 개의 호스(33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호스(330)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오물스테이션(400)은 유량측정기(410), 압력센서(420), 진공밸브(440), 급수밸브(450), 제어부(460)를 형성할 수 있다.
유량측정기(410)는 오물 수거호스(331)에 연결되고, 오물 수거호스(331)의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센서(420)는 오물 수거호스(331)에 연결되고, 오물 수거호스(331)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진공밸브(440)는 오물 수거호스(331)에 연결되고, 오물 수거호스(331)에 압축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급수 밸브(450)는 청수 호스(332)와 급수 호스(333)에 연결되고, 청수 호스(332)와 급수 호스(333)에 공급되는 청수, 세척수 등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유량측정기(410), 압력센서(420), 진공밸브(440), 급수밸브(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량측정기(410)와 압력센서(420)로부터 각각 전기 신호를 받아 측정된 유량과 압력을 판단하여 진공밸브(440), 급수밸브(450)를 각각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6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단말부(2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부를 포함하고, 작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오물스테이션(400)은 진공 시스템(500)과 연결될 수 있다. 진공 시스템(500)은 오물저장조(510), 진공탱크(520), 로브펌프(530), 진공펌프(540), 배기필터(550), 공압설비(560), 급수펌프(570), 급수 저장탱크(58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저장조(510)는 오물 수거호스(331)와 연결되고, 오물 수거호스(331)를 통해 수거된 오물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진공탱크(520)는 오물저장조(510)와 연결되고, 오물저장조(510) 내부의 공기를 내부에 저장하여 오물저장조(5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진공펌프(540)는 진공탱크(520)와 연결되고, 진공탱크(5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기필터(550)는 진공펌프(540)와 연결되고, 진공펌프(540)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로부터 환경에 유해한 요소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로브펌프(530)는 오물 수거호스(331) 및 오물저장조(5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로브펌프(530)는 철도차량(1)과 호스 견인부(300)와의 거리가 짧고 오물의 용량이 적을 경우 오물 수거호스(331)로부터 직접 오물을 하수종말처리장 등으로 배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로브펌프(530)는 철도차량(1)과 호스 견인부(300)와의 거리가 길고 오물의 용량이 많을 경우 오물 수거호스(331)로부터 직접 오물을 배출하지 않고, 오물저장조(510)에 저장된 오물을 하수종말처리장 등으로 배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로브펌프(53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로브 펌프(lobe pump)일 수 있다. 공압설비(560)는 진공밸브(440)에 압축공기 유동 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진공밸브(440)를 통해 오물 수거호스(331)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저장탱크(580)는 청수 호스(332)와 급수 호스(333)에 공급되는 청수, 세척수 등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급수펌프(570)는 급수 저장탱크(580) 및 급수 밸브(450)와 연결되고, 급수 저장탱크(580)에 저장된 청수, 세척수 등이 급수 밸브(450)를 통해 청수 호스(332)와 급수 호스(333)에 각각 공급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철도 차량(1)이 철도차량기지에 도착하여 정차하면 철도 차량(1)의 일측부의 오물처리부(100)를 덮고 있는 도어(door)를 열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가 로봇팔, 이동식 로보트 또는 작업자에 의해 오물처리부(100)의 인근으로 이동하면 오물처리부(100)의 제1 통신장치와 무선단말부(200)가 서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오물통(110)에 설치된 오물수위 측정장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 받아 오물통(110) 내부의 오물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오물통(110) 내부의 오물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호스 견인부(300)의 제2 통신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여 오물 수거호스(331), 청수 호스(332)를 오물처리부(100)의 오물통(110)에 자력의 힘으로 연결하고, 급수 호스(333)를 오물처리부(100)의 세척수 저장탱크에 자력의 힘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오물스테이션(400)의 제어부(460)와 무선통신을 하여 오물 수거호스(331)를 통해 오물통(110) 내부의 오물을 수거하고 오물통(110) 내부의 오물이 수거되면 청수 호스(332)를 통해 오물통(110)의 내부를 세척수로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오물통(110) 내부의 탁도 측정장치가 무선단말부(200)로 전기 신호를 보내고 무선단말부(200)는 오물통(110) 내부에 저류된 세척수의 탁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오물통(110) 내부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오물 수거호스(331)로 오물통(110) 내부를 수거하고 청수 호스(332)로 오물통(110) 내부를 청소하고 탁도 측정장치가 오물통(110) 내부의 세척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오물통(110) 내부의 세척수의 탁도가 기설정된 탁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오물통(110) 내부를 오물 수거호스(331)로 완전히 수거한 후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를 오물통(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는 자력에 의해 오물통(110)에 연결되기 때문에 호스 견인부(300)가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오물통(110)으로부터 오물 수거호스(331)와 청수 호스(332)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세척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된 수위 측정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 신호에 의해 세척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판단하고 세척수 저장탱크 내부의 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라고 판단하면 오물스테이션(400)의 제어부(460)와 무선통신을 하여 급수 호스(333)를 통해 세척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단말부(200)는 수위 측정장치로부터 전송 받는 전기 신호에 의해 세척수 저장탱크 내부의 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 되면 급수 호스(333)로의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급수 호스(333)를 세척수 저장탱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급수 호스(333)는 자력에 의해 세척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었기 때문에 호스 견인부(300)가 급수 호스(333)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세척수 저장탱크로부터 급수 호스(333)를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철도차량
100: 오물처리부
110: 오물통
111: 제1 연결 커넥터
200: 무선단말부
300: 호스 견인부
310: 메인 프레임
311: 이동로
330: 복수 개의 호스
331: 오물 수거호스
331a: 제1 결합 커넥터
332: 청수 호스
332a: 제2 결합 커넥터
333: 급수 호스
333a: 제3 결합 커넥터
334: 자석부재
335: 고무링
360: 제1 이송부
361: 제1 동력장치
362: 제1 오물 수거 회전휠
363: 제1 청수 회전휠
364: 제2 동력장치
365: 제2 오물 수거 회전휠
366: 제2 청수 회전휠
367: 이송 가이드부
367a: 가이드 몸체
367b: 프런트 프레임
367c: 프런트 가이드 휠
367d: 링크부
367e: 제1 가이드 와이어
367f: 제1 가이드 와이어 휠
367j: 제1 가이드 웨이트
367k: 제1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
367m: 백 프레임
367n: 백 가이드 휠
370: 제2 이송부
371: 제3 동력장치
372: 급수 회전휠
377: 릴부
380: 제1 견인부
381: 제2 가이드 와이어
382: 제2 가이드 웨이트
383: 제2 가이드 와이어 휠
384: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
390: 제2 견인부
391: 제3 가이드 와이어
392: 제3 가이드 웨이트
393: 제3 가이드 와이어 휠
394: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
400: 오물스테이션
410: 유량측정기
420: 압력센서
440: 진공밸브
450: 급수밸브
460: 제어부
500: 진공 시스템
510: 오물저장조
520: 진공탱크
530: 로브펌프
540: 진공펌프
550: 배기필터
560: 공압설비
570: 급수펌프
580: 급수 저장탱크

Claims (8)

  1.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호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2 견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1 오물 수거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오물 수거 회전휠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1 청수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고, 승강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동력장치보다 상측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오물 수거 회전휠보다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오물 수거 회전휠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오물 수거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제1 청수 회전휠보다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2 오물 수거 회전휠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1 청수 회전휠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청수 회전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만곡된 형상의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마주하는 만곡된 형상의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사이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와 구름 접촉하는 프런트 가이드 휠과,
    상기 가이드 몸체의 상측에 하단부를 힌지 결합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1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제1 가이드 웨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는 제1 가이드 와이어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 웨이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의 타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마주하는 만곡된 형상의 백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백 프레임의 사이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와 구름 접촉하는 백 가이드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6.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호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2 견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동력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이동시키는 급수 회전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급수 회전휠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7.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호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2 견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2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부에 연결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제2 가이드 웨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는 제2 가이드 와이어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2 가이드 웨이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8.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호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호스의 일단부를 상측에서 견인하는 제2 견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호스 중 다른 하나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3 가이드 와이어와,
    상기 제3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부에 연결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제3 가이드 웨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와이어와 구름 접촉하는 제3 가이드 와이어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3 가이드 웨이트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3 가이드 웨이트 슬라이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견인 장치.
KR1020230074392A 2023-06-09 2023-06-09 호스 견인 장치 KR102619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392A KR102619472B1 (ko) 2023-06-09 2023-06-09 호스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392A KR102619472B1 (ko) 2023-06-09 2023-06-09 호스 견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472B1 true KR102619472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392A KR102619472B1 (ko) 2023-06-09 2023-06-09 호스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502U (ko) * 1979-01-19 1980-07-25
JPH10165536A (ja) * 1996-12-10 1998-06-23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ホースカー用の荷役装置
JPH10330046A (ja) * 1997-06-02 1998-12-15 Tone Corp ホースリール装置
KR101561442B1 (ko) 2015-04-08 2015-10-20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철도 차량기지에서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502U (ko) * 1979-01-19 1980-07-25
JPH10165536A (ja) * 1996-12-10 1998-06-23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ホースカー用の荷役装置
JPH10330046A (ja) * 1997-06-02 1998-12-15 Tone Corp ホースリール装置
KR101561442B1 (ko) 2015-04-08 2015-10-20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철도 차량기지에서의 차량 분뇨 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673B1 (en) Dump facility for cassette sewage tanks
US7757634B2 (en) Milk pump system
CN109291864A (zh) 用于交通工具的灰水污物收集系统、控制方法及交通工具
KR102619472B1 (ko) 호스 견인 장치
US11220243B1 (en) RV waste tank control system
KR102662405B1 (ko) 오물 수거 시스템
RU2276642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ации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поездов
CN2855857Y (zh) 固定式真空卸污装置
CN206704196U (zh) 一种列车用餐车废水收集系统
CN210610625U (zh) 一种全自动智能宠物厕所
CN107554541A (zh) 车辆灰水回收处理再利用装置
CN110696859A (zh) 列车真空保持式集便系统车上污物箱
RU109069U1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вухэтаж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JP3203572U (ja) 脱着式トイレコンテナ
CN111688745B (zh) 一种列车用集便系统、控制方法以及列车
CN109930669B (zh) 一种马桶
CN206155345U (zh) 一种房车及其集便系统
CN202952999U (zh) 高速动车组废水污物收集装置
RU5809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ожнения туалетных баков-сборников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RU22439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в туалета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2091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туал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CN217022507U (zh) 一种用于列车上的改进型集便器
CN217575196U (zh) 一种适用于列车的车下污水箱
CN213705437U (zh) 用于轨道工程车的自动排污装置
CN219719388U (zh) 喷淋机构及宠物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