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61B1 -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61B1
KR102619361B1 KR1020220187169A KR20220187169A KR102619361B1 KR 102619361 B1 KR102619361 B1 KR 102619361B1 KR 1020220187169 A KR1020220187169 A KR 1020220187169A KR 20220187169 A KR20220187169 A KR 20220187169A KR 102619361 B1 KR102619361 B1 KR 10261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reaved
pet
main body
pouch
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길
Original Assignee
김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길 filed Critical 김한길
Priority to KR102022018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반려동물의 모습을 3차원 프린팅 기법으로 복원하고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된 친환경적으로 유골을 담지하는 파우치가 구비된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를 제공한다.
상기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오픈 시 상기 본체의 내부가 개방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반려동물의 유골을 담지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반려동물의 실물의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3차원 프린팅으로 제작되고, 상기 파우치는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FIGURES FOR PET MEMORIAL BOXES THAT STORE PET'S ASHE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모습을 3차원 프린팅 기법으로 복원하고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된 친환경적으로 유골을 담지하는 파우치가 구비된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고독한 삶을 보완하고자 단순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을 넘어 동물을 가족과 같이 생각하여 정서를 공유하는 반려동물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최근 동물의 권리(Animal's Right)에 대한 신장의 목소리가 높아지며, 반려동물 사후의 예우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례 절차 이 후에 반려동물의 유골을 유골함에 넣어 추모공원이나 납골당 등에 안치하고, 유족들은 특정 기일이나 반려동물이 생각날 때마다 납골당을 방문하여 반려동물을 기리는 추모문화가 이뤄지고 있다.
한편, 반려동물 사후에 유골을 보관하는 추모함의 경우 유골 자체와 추모함의 부패에 의해 결국에는 폐기되고 있으며, 이 경우, 추모함이 친환경적인 재질로 형성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정부의 환경규제 정책의 변화에 따라 친환경 소재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플라스틱의 비중을 줄이고, 재활용이 쉬운 용기를 제작하거나, 지류를 이용한 포장지 등에 대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생분해성 물질의 사용은 생분해성 물질의 환경친화성으로 인해 지난 수년간 성장세였다. 이러한 물질의 사용은 광범위하며,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제작 물품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더욱 환경친화적인 포장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매립되었을 때 생분해될 수 있는 많은 폴리머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생분해성 폴리머들은 각각이 매우 독특한 특성을 가지며 이점과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아미드는 강성이 강하나 가요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전분, 식물체 등의 천연성분을 이용한 경우 가공이 어렵거나 가공비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유골은 수분노출 등의 환경에 직면하게 되므로 온도변화 및 습도변화에도 수분 및 산소에 대한 배리어 특성을 온전히 발휘하기 쉽지 않다. 이에 따라서 온도, 습도의 변화가 많은 환경에서도 산소,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뛰어나고, 생분해되는 특성을 온전히 발휘하는 친환경적인 추모함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동물의 모습을 3차원 프린팅 기법으로 복원하고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된 친환경적으로 유골을 담지하는 파우치가 구비된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 피규어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오픈 시 상기 본체의 내부가 개방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반려동물의 유골을 담지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반려동물의 실물의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3차원 프린팅으로 제작되고, 상기 파우치는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는 반려동물의 생전의 모습을 3차원 프린팅 제작 기법에 의해 복원하여 외형이 형성되므로, 유족의 반려동물에 대한 추모감을 영속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는 본체 내에 반려동물의 유골이 친환경적이며 배리어 특성이 뛰어난 파우치에 밀봉되어 내장되므로, 반려동물의 유골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폐기되는 경우 생분해성으로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에서 유골이 담지된 파우치가 배출되는 시점에서 가장 많이 반려동물을 추모한 유족의 추모 사진이 다른 유족에게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에서 유골이 담지된 파우치가 배출되는 시점에서 가장 많이 반려동물을 추모한 유족의 추모 사진이 다른 유족에게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100)는 본체(10)와 도어(20)와 파우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는 윤곽선이 반려동물의 실물의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3차원 프린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동물의 생전에 3차원 스캐너로 반려동물을 스캐닝한 데이터로, 반려동물의 사후에 스캐닝 데이터를 3차원 프린터에 입력하여 동일한 비율로 축소되거나 확대된 아웃라인을 가지는 추모함 피규어를 제작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어(20)는 본체(10)에 형성되어 오픈 시 본체(10)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는 여닫이식 도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슬라이딩 형태 또는 미닫이식 도어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20)가 열리면 외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고 도어(20)가 닫히면 외부와 단절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파우치(30)는 본체(10)에 내장되며 반려동물의 유골을 담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파우치(30)는 도어(2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포켓에 안치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30)는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유골을 오래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폐기되는 경우 생분해되어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은 외부의 수분 및 산소가 밀봉된 유골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 보관 기간을 늘릴 수 있으며, 폐기 시 생분해적인 특징에 의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환경친화적).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은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및 판상의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하는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은 필름으로 성형되기에 용이하고, 생분해성이 있는 공지의 고분자 화합물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은 발효에 의해서 제조된 반합성 폴리에스테르(예를들어, PHB 및 PHBV),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은 천연 폴리머 및 이들의 유도체들, 예컨대 녹말, 셀룰로오스, 다른 다당류 및 단백질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유래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PBSA), 폴리에틸렌 숙시네이트(PES),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TAT), 폴리히드록시알칸오에이트(PH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열가소성 녹말(TPS), 폴리히드록시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발레레이트(PHV),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히드록시발레레이트 코폴리머(PHBV), 폴리카프로락톤(PCL), ecoflex, 지방족-방향족 코폴리머, Eastar Bio, 다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머,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Bak,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인 Biomax, novamont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들 중에서 구입의 용이성, 재료의 원가 및 재생 가능한 농업 생성물로부터 유래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며, 중금속,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물질 없는 점을 고려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락트산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호모폴리머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글리콜라이드, 락톤 또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은 폴리-L-락티드, 폴리-D-락티드, 폴리-DL-락티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과 함께 구비되는 몬모릴로나이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산소투과 및 수분투과를 방지하는 배리어물질로서 구비되며,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 내 분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를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된 매트릭스 일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무기코팅층은 쉽게 박리될 수 있고,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의 측면 쪽에서 무기코팅층과 상기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산소의 투과를 방 지하기 어려울 수 있어서 매트릭스 내 분산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판상의 형태를 가지며, 평균입경이 1 ~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5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판상의 형태는 수분과 산소가 투과하는 투과경로를 길고, 복잡하게 하며, 이를 통해 다른 형상의 몬모릴로나이트나, 다른 형상의 무기 배리어물질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비해 우수한 산소 및 수분 배리어 특성을 발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평균입경이 위의 범위를 만족 시에 폴리락트산인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의 열적특성을 향상시켜 이축연신이 가능하면서 산소 및 수분 배리어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폴리락트산은 산소나 수분 배리어 물질로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고분자화합물에 대비해 산소나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 열적특성이 열위에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특히 상술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로서 폴리락트산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폴리락트산이 갖는 산소,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을 보완하는 것에 나아가 이들 효과에 있어서 상승된 효과를 발현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 전체 중량 기준 40 ~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일 40중량% 미만일 경우 산소,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만일 60중량%를 초과해서 구비될 경우 필름형성성이 저하되거나, 필름의 가요성이 저하되어 외부충격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필름 표면이 갈라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이 폴리락트산(PLA)인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필름으로 형성 시 불량이 과도히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은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로서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며,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의 주면에 평행하게 몬모릴로나이트의 주면이 배향되도록 이축연신된 것일 수 있다. 판상의 몬모릴로나이트는 상술한 것과 같이 수분 및 산소의 투과경로를 복잡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데, 필름의 주면에 평행하게 판상의 몬모릴로나이트의 주면이 배향될 경우 필름의 수평방향으로 투과경로가 형성되어 수분과 산소의 필름 두께 방향 투과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배향 시 판상의 몬모릴로나이트가 지그재그로 적층될 수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투과되던 수분이나 산소가 판상의 몬모릴로나이트의 측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더라도 다시 이에 인접 배향된 다른 몬모릴로나이트의 주면에 의해 두께방향의 투과경로가 막힘에 따라서 수분과 산소의 투과경로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된 매트릭스 내 판상의 몬모릴로나이트 주면이 필름의 주면과 평행하게 배향시키는 것은 제1 생분해성 필름의 이축연신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축연신은 필름분야의 통상적인 이축연신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이 폴리락트산일 경우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서 결정화가 어렵고, 이로 인해 갖는 열적특성의 한계에 따라서 소정의 열을 가해 연신된 후 열고정되는 통상적인 이축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몬모릴로나이트가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한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분해성 고분자화합물로 폴리락트산이 사용될 때 발생하는 이축연신 공정 수행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며, 나트륨이나 칼슘과 같은 양이온을 함유한 통상적인 몬모릴로나이트에 대비해 수분 및 산소 배리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은 테트라메틸암모늄 양이온, 테트라에틸암모늄 양이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양이온, 테트라뷰틸암모늄 양이온, 테트라펜틸암모늄 양이온, 테트라헥실암모늄 양이온, 테트라헵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에틸메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뷰틸에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메틸데실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옥틸메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펜틸뷰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헥실메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헥실펜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헵틸메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펜틸뷰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헵틸헥실암모늄 양이온, 다이메틸다이헥실암모늄 양이온, 다이프로필다이헥실암모늄 양이온, 헵틸다이메틸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N-다이프로필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N-다이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프로필-N,N-다이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프로필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뷰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펜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노닐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프로필-N-뷰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프로필-N-펜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프로필-N-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프로필-N-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뷰틸-N-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뷰틸-N-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펜틸-N-헥실암모늄 양이온, 트라이메틸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에틸-N-메틸-N-프로필암모늄 양이온, N,N-다이에틸-N-메틸-N-펜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에틸-N-메틸-N-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에틸메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에틸프로필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에틸펜틸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에틸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프로필-N-메틸-N-에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프로필-N-메틸-N-펜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프로필-N-뷰틸-N-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뷰틸-N-메틸-N-펜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뷰틸-N-메틸-N-헥실암모늄 양이온, 트라이옥틸메틸암모늄 양이온, N-메틸-N-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 양이온,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은 메틸기나 에틸기를 2 ~ 3개 포함하고, 나머지 2 ~ 1개는 탄소수 4 ~ 7인 알킬기를 구비한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N,N-다이에틸-N-메틸-N-펜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에틸-N-메틸-N-헵틸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헥실암모늄 양이온, N,N-다이메틸-N-에틸-N-헵틸암모늄 양이온 등 일 수 있다. 만일 1개 또는 2개의 탄소수 4 ~ 7인 알킬기가 없고 이보다 탄소수가 작은 알킬기만 구비한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은 산소 및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에 있어서 상승된 효과를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만일 탄소수 7을 초과하는 알킬기를 구비한 알킬암모늄 양이온을 사용할 경우 폴리락트산의 결정화를 방해해서 열적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필름 형성이 어렵거나, 형성되더라도 이축연신 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한 몬모릴로나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를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이 용해된 유기용액에 함침시킨 뒤 소정의 시간 교반을 통해 몬모릴로나이트에 함유된 나트륨 양이온을 치환하는 것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이 용해된 유기용액은 테트라알킬 암모늄을 함유한 이온성 액체를 톨루엔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축연신은 바람직하게는 일축 연신한 뒤, 이에 수직하는 타축으로 일축 연신하는 순차 이축연신이 좋다. 동시에 이축연신을 수행할 경우 몬모릴로나이트의 배향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축연신 시 연신비는 2.5 ~ 3.0일 수 있으며, 만일 연신비가 2.5 미만일 경우 목적한 수준으로 몬모릴로나이트의 배향이 되지않아 수분, 산소 배리어 특성의 향상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연신비가 3.0을 초과할 경우 필름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연신 시 온도 조건, 연신속도 등은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의 열적 특성을 고려한 공지된 연신 조건을 적절히 채용하고 변경해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은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구체적 종류는 필름에 구비되는 공지된 것을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채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은 두께가 50 ~ 1000㎛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인 제2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이 2장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이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 사이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분 및 산소에 대한 배리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구비된 경우 폴리락트산이 구비된 제1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의 이축연신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적층된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의 최외측 및 최내측에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적층된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에 대한 보호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최내측에 배치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파우치(30)의 내측 간을 열이나 초음파를 통해 밀봉할 때 보다 용이하게 밀봉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경우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서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다른 종류의 재질을 갖는 필름에 대비해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파우치(30)는 온도, 습도의 변화가 많은 환경에서도 산소, 수분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뛰어나 유골을 보존기간이 긴 특징이 있으며, 생분해되는 특성을 온전히 발휘함에 따라서 친환경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100)에서 유골이 담지된 파우치가 배출되는 시점에서 가장 많이 반려동물을 추모한 유족의 추모 사진이 다른 유족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100)는 외부의 복수의 유족 단말기와 통신하여 복수의 유족 단말기가 피규어에 근접하는 경우 근접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모듈(미도시)과, 통신모듈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피규어의 인근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포켓에 배치되어 파우치(30)가 담지되는 시점과 배출되는 시점을 센싱하여 담지 신호와 배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미도시, 일 예로, 실시간으로 포켓내에서 파우치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서버는 통신모듈의 근접 신호와 센서의 담지 신호와 배출 신호를 수신하여 반려동물이 사망하여 파우치(30)가 담지되는 시점에서부터 유골의 부패로 파우치(30)를 배출하는 시점까지 복수의 유족 단말기에서 근접 신호를 가장 많이 발생시킨 유족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메인 서버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선택된 유족 단말기의 근접 신호발생 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복수의 유족 단말기 중 선택된 유족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유족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추모함용 3D피규어(100)에서는 복수의 유족 중에서 추모함용 피규어를 가장 많이 조문한 유족을 선택하여 나머지 유족에게 공시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사후에 유족들이 추모함용 피규어를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메인 서버와 통신하여 촬영 이미지를 복수의 유족 단말기 중 선택된 유족 단말기에 송신하는 피규어에 있어서,
    포켓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포켓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
    상기 본체의 포켓에 내장되며 반려동물의 유골을 담지하는 파우치;
    상기 복수의 유족 단말기가 3D 피규어에 근접할 시 근접 신호를 발생하는 통신 모듈;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규어의 인근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의 포켓에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파우치가 담지되는 시점과 배출되는 시점을 센싱함으로써, 담지 신호와 배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근접 신호와 담지 신호와 배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본체의 포켓에 담지된 시점에서부터 배출되는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유족 단말기에서 근접 신호를 가장 많이 발생시킨 유족 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유족 단말기 중 선택된 유족 단말기의 근접 신호가 발생한 경우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족 단말기 중 선택된 유족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유족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본체는 반려동물의 실물의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3차원 프린팅으로 제작되고,
    상기 파우치는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KR1020220187169A 2022-12-28 2022-12-28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KR10261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169A KR102619361B1 (ko) 2022-12-28 2022-12-28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169A KR102619361B1 (ko) 2022-12-28 2022-12-28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361B1 true KR102619361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169A KR102619361B1 (ko) 2022-12-28 2022-12-28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791A (ja) * 2002-12-27 2004-07-29 Kanebo Ltd 棺桶
KR20080061118A (ko) * 2006-12-28 2008-07-02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한 이중벽 중공 구조의 일체형화장 및 매장용 관
KR20100110198A (ko) * 2009-04-02 2010-10-12 (주)서울장사개발 생분해성 사람용 또는 애완동물용 분골함
KR101823564B1 (ko) * 2016-01-29 2018-01-30 조현목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KR102148518B1 (ko) * 2020-04-20 2020-08-27 (주)도일에코텍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식품 포장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791A (ja) * 2002-12-27 2004-07-29 Kanebo Ltd 棺桶
KR20080061118A (ko) * 2006-12-28 2008-07-02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한 이중벽 중공 구조의 일체형화장 및 매장용 관
KR20100110198A (ko) * 2009-04-02 2010-10-12 (주)서울장사개발 생분해성 사람용 또는 애완동물용 분골함
KR101823564B1 (ko) * 2016-01-29 2018-01-30 조현목 반려동물 형상의 기능성 유골함
KR102148518B1 (ko) * 2020-04-20 2020-08-27 (주)도일에코텍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식품 포장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lendez-Rodriguez et al. Electrospun antimicrobial films of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containing eugenol essential oil encapsulated in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Sarfraz et al. Nanocomposite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An overview
Arrieta et al. On the use of PLA-PHB blends for sustainable food packaging applications
Sanchez‐Garcia et al. Novel clay‐based nanobiocomposites of biopolyesters with synergistic barrier to UV light, gas, and vapour
KR100789050B1 (ko) 생분해성 시이트 및 이 시이트를 이용한 성형체와 그성형체의 제조 방법
EP1640286A1 (en) Packag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020514447A5 (ko)
JP2004204128A (ja) 熱成形用ポリ乳酸系重合体組成物、熱成形用ポリ乳酸系重合体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熱成形体
Lagaron et al. Nanocomposites of moisture-sensitive polymers and biopolymers with enhanced performance for flexible packaging applications
WO2004007197A1 (ja) 生分解性積層シート、及びこの生分解性積層シートを用いた成形体
KR101805103B1 (ko) 환경친화형 다층 필름
KR102619361B1 (ko) 반려동물의 유골을 보관하는 반려동물 추모함용 피규어
Iglesias-Montes et al. Migration and degradation in composting environment of active polylactic acid bilayer nanocomposites films: Combined role of umbelliferone, lignin and cellulose nanostructures
KR101775070B1 (ko) 생분해성 배리어 필름
US11820881B2 (en) Plastic pro-biodegradation additives, biodegradable plastic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A3192757A1 (en) Ultra-fast marine-biodegradable composite film
JP6420318B2 (ja) マルハナバチを閉じ込める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ラミネート材料の使用
JP2009012481A (ja) 熱折り曲げ成形用ポリ乳酸系積層シート
DE102007043773A1 (de) Feuchtigkeitsabsorbierende Mehrschichtfolien und daraus hergestellte Verpackungen
AT8751U1 (de) Metallisierte mehrschichtfolie
Swain et al. Polymer-based bionanocomposites for future packaging materials
JP6436439B2 (ja) 包装体及び包装体の製造方法
GB2436323A (en) A biodegradable container
JP5055804B2 (ja) 包装袋
JPH10291247A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