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56B1 -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56B1
KR102619256B1 KR1020220047281A KR20220047281A KR102619256B1 KR 102619256 B1 KR102619256 B1 KR 102619256B1 KR 1020220047281 A KR1020220047281 A KR 1020220047281A KR 20220047281 A KR20220047281 A KR 20220047281A KR 102619256 B1 KR102619256 B1 KR 10261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absorbent
mobile phone
extension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8493A (ko
Inventor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어스
Priority to KR102022004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56B1/ko
Publication of KR2023014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폰 케이스에서 충격이 집중되는 네 모서리 부분에 흡수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EDG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의 기능 또한 단순히 통화, 문자 전송의 기능을 넘어 인터넷 검색, 게임, 이메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복합적인 휴대용 컴퓨터 개념으로 확장되어 왔다.
이러한 휴대폰의 사용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휴대폰과 관련된 보호케이스, 거치수단, 액세서리 시장도 크게 동반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액정 또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케이스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휴대폰의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죽이나 인조 피혁을 이용한 지갑 형태의 케이스의 경우는 휴대폰을 일반적인 카드와 동일한 형태로 수납하는 방식으로 삽입하거나, 단순히 지갑 안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후면과 테두리를 모두 동일한 형태로 감싸고 있으므로 휴대폰 케이스를 간이하게 만들면 액정 또는 외관의 보호 기능이 다소 떨어지게 되고, 휴대폰 케이스를 복잡하게 만들거나 모서리 부분이 나오게 만들면 주머니 등에 수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폰은 네 모서리가 주로 손상되는데,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테두리가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휴대폰 케이스의 네 모서리에 별도의 보호장치를 추가한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 방식은 보호장치가 휴대폰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보호장치를 변경할 수 없으며, 보호장치가 휴대폰 케이스의 외관을 크게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 케이스에서 충격이 집중되는 네 모서리 부분에 흡수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부를 연장부에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모서리 부분과 동시에 후면도 보호할 수 있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폰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흡수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흡수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테두리함몰부; 및 테두리함몰부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테두리부를 관통하는 테두리관통부; 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부는 테두리함몰부 및 테두리관통부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테두리함몰부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의 두께는 테두리함몰부가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테두리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면에는 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장함몰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는 연장함몰부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다수의 연장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중 3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흡수부는 테두리부 및 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흡수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흡수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접촉부; 흡수접촉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흡수삽입부; 및 흡수접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흡수연장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흡수부가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삽입되었을 때, 흡수접촉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흡수삽입부의 외측면은 테두리부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상기 흡수삽입부의 높이는 흡수접촉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서 충격이 집중되는 네 모서리 부분에 흡수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휴대폰 케이스를 간이하게 만들면서도 액정 또는 외관의 보호 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부가 연장부에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모서리 부분과 동시에 휴대폰의 후면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흡수부가 탈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재질의 흡수부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의 평면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외측면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하부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가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결합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M)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100), 테두리부(200), 다수의 연장부(300) 및 다수의 흡수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10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며, 휴대폰(M)의 후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안착부(10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색상을 추가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휴대폰(M)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폰, 피처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MP3 또는 게임기를 포함하나, 정의를 만족한다면 그 형태나 명칭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테두리부(200)는 안착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된다. 테두리부(200)는 휴대폰(M)의 측면을 감쌀 수 있으며, 안착부(100)와 동일한 소재로 함께 사출 성형되거나, 안착부(100)와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3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연장부(300)는 휴대폰(M)의 후면을 보호하며, 안착부(100) 및 테두리부(200)와 동일한 소재로 함께 사출 성형되거나, 안착부(100)와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흡수부(4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300)에 결합된다. 상기 흡수부(400)는 4개로 구성되며, 휴대폰(M)의 각 모서리 및 후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흡수부(4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4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3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사용자는 4개의 흡수부(400)를 모두 부착한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4개의 흡수부(400) 중 일부만 부착한 상태에서도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흡수부(400)가 탈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재질의 흡수부(400)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를 간이하게 만들면서도 액정 또는 외관의 보호 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의 평면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외측면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의 하부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연장부(3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 중 3방향에 형성된다. 연장부(300)가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에는 휴대폰(M)의 카메라 등이 노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로부터 비스듬히 사선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300)에는 흡수부(400)가 결합되어 휴대폰(M)의 후면을 보호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흡수부(4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3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부(400)는 하나만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표현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흡수부(4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 4곳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테두리부(20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테두리함몰부(210) 및 테두리함몰부(2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테두리부(200)를 관통하는 테두리관통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함몰부(210)는 테두리부(200)에 함몰 형성될 뿐, 테두리부(200)를 관통하지는 않는다.
상기 테두리관통부(220)를 기준으로 테두리함몰부(210)는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연장부(300)는 테두리관통부(220)가 형성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00)의 상부면에는 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장함몰부(310)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흡수부(400)는 테두리함몰부(210), 테두리관통부(220) 및 연장함몰부(310)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테두리관통부(22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과 내측에는 함몰되는 부분이 배치되어 흡수부(4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수부(400)는 안정적으로 3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300)의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흡수부(400)의 흡수지지면(42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연장지지부(3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장지지부(320)는 흡수부(400)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테두리함몰부(210)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의 두께(D1)는 테두리함몰부(210)가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테두리부의 두께(D2)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폰(M)의 모서리 부분은 상대적으로 충격에 취약하므로 테두리함몰부(210)가 형성되는 테두리부(200) 자체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하여 충격으로부터 휴대폰(M)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테두리부(200)의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흡수삽입부(420)의 흡수탈착면(4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테두리지지면(230)이 테두리관통부(220)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고, 흡수지지면(42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연장지지부(320)가 테두리관통부(220)를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면에는 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장돌출부(33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장돌출부(330)는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휴대폰의 모서리 하부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가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결합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부(400)는 테두리함몰부(210), 테두리관통부(220) 및 연장함몰부(310)에 삽입 결합되고, 휴대폰(M) 모서리의 측면과 하부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흡수부(400)는 테두리부(200) 및 연장부(30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부(400)는 충격에 취약한 휴대폰(M)의 네 모서리를 보호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수부(40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알코올(alcohol)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isocyanate) 사이의 첨가 반응을 통해 우레탄(urethane)기가 반복적으로 만들어지면서 생성되는 고분자를 말하며, 열을 가하면 형태 변형이 생겨 잘 휘어지고 충격 흡수력이 뛰어난 소재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고무의 탄성과 플라스틱의 가소성을 겸비한 고분자 재료로, 고온에서 가소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성형 가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폴리스티렌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 비닐계 등 여러 가지 엘라스토머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수부(400)는, 휴대폰(M)이 안착부(100)에 장착되었을 때, 휴대폰(M)의 모서리에 접촉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접촉부(410), 흡수접촉부(410)의 외측면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흡수삽입부(420) 및 흡수접촉부(41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흡수연장삽입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접촉부(410)는 전술한 테두리함몰부(210)에 삽입되고, 흡수삽입부(420)는 테두리관통부(220)에 삽입되며, 흡수연장삽입부(430)는 연장부(300)에 형성된 연장함몰부(3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흡수부(400)를 테두리부(200) 및 연장부(300)에 삽입하거나 빼냄에 따라 흡수부(400)가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흡수부(400)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400)가 테두리부(200)의 내측면 모서리에 삽입되었을 때, 흡수접촉부(410)는 테두리부(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흡수삽입부(420)의 외측면은 테두리부(200)의 외측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흡수삽입부의 높이(h1)는 흡수접촉부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삽입부(420)의 상단 내측면에는 흡수탈착면(421)이 형성된다. 상기 흡수탈착면(421)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흡수접촉부(410)의 최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흡수부(400)를 테두리부(200)에 결합하였을 때, 흡수탈착면(421)은 전술한 테두리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테두리지지면(230)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 흡수삽입부(420)의 하부면에는 흡수지지면(422)이 형성된다. 상기 흡수지지면(422)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흡수접촉부(410)의 최하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흡수부(400)를 테두리부(200)에 결합하였을 때, 흡수지지면(422)은 전술한 연장부(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연장지지부(320)에 안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안착부 110 : 카메라홀
200 : 테두리부 210 : 테두리함몰부
220 : 테두리관통부 230 : 테두리지지면
300 : 연장부 310 : 연장함몰부
320 : 연장지지부 330 : 연장돌출부
400 : 흡수부 410 : 흡수접촉부
420 : 흡수삽입부 421 : 흡수탈착면
422 : 흡수지지면 430 : 흡수연장삽입부

Claims (10)

  1. 휴대폰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 및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및 연장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흡수부; 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테두리함몰부; 및 테두리함몰부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테두리부를 관통하는 테두리관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상부면에는 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장함몰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흡수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접촉부; 흡수접촉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흡수삽입부; 및 흡수접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흡수연장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관통부에는 흡수삽입부가 삽입되고, 테두리관통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함몰 형성된 테두리함몰부에는 흡수접촉부가 삽입되며, 테두리관통부를 기준으로 하부 내측에 함몰 형성된 연장함몰부에는 흡수연장삽입부가 삽입되어, 테두리부의 내측에서 흡수부의 3면이 접촉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는 연장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흡수삽입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흡수지지면이 지지되고,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테두리지지면이 형성되어 흡수삽입부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흡수탈착면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함몰부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의 두께는 테두리함몰부가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테두리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장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 중 3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테두리부 및 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가 테두리부의 내측면 모서리에 삽입되었을 때, 흡수접촉부는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흡수삽입부의 외측면은 테두리부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삽입부의 높이는 흡수접촉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KR1020220047281A 2022-04-18 2022-04-18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KR10261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81A KR102619256B1 (ko) 2022-04-18 2022-04-18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81A KR102619256B1 (ko) 2022-04-18 2022-04-18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493A KR20230148493A (ko) 2023-10-25
KR102619256B1 true KR102619256B1 (ko) 2023-12-29

Family

ID=8851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281A KR102619256B1 (ko) 2022-04-18 2022-04-18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743B2 (ja) * 1995-07-27 2001-05-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ドアの補強部材の取付構造
US20130331155A1 (en) * 2012-06-08 2013-12-12 A.G. Findings & Mfg. Co., Inc. Mobile device case with removably insertable corners
US20150097009A1 (en) * 2013-10-07 2015-04-09 Thule Organization Solutions, Inc.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743U (ja) * 2011-07-15 2011-09-29 セキセイ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用スタンド付きホルダー
CN105122778A (zh) * 2013-03-15 2015-12-02 Mavip公司 符合人体工程学的耐冲击损伤保护器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743B2 (ja) * 1995-07-27 2001-05-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ドアの補強部材の取付構造
US20130331155A1 (en) * 2012-06-08 2013-12-12 A.G. Findings & Mfg. Co., Inc. Mobile device case with removably insertable corners
US20150097009A1 (en) * 2013-10-07 2015-04-09 Thule Organization Solutions, Inc.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493A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5741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US9467189B2 (en) Bridge strengthener for a case port
KR200486692Y1 (ko) 이중 레이어를 구비한 전자 기기용 케이스
US9451816B2 (en) One piece co-formed exterior hard shell case with an elastomeric lin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10383208B (zh) 低密度电子装置
KR101118708B1 (ko)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US20130319897A1 (en) Protective Cover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40622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619256B1 (ko) 탈부착 모서리 강화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3168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80083200A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558163B1 (ko) 탈부착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TWM543529U (zh) 可攜式電子設備保護套結構
KR1011212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케이스
US20220142315A1 (en)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206790564U (zh) 一种防撞手机套
KR20170002529U (ko)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CN212590791U (zh) 移动终端保护壳
KR102626225B1 (ko) 폴더블 휴대기기용 자동 힌지 보호 케이스
KR200480145Y1 (ko) 휴대폰 케이스
CN215646912U (zh) 一种带屏幕保护的手机三防保护壳
CN210130482U (zh) 电子设备的中框保护套
KR101604767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101393145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