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45Y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45Y1
KR200480145Y1 KR2020160000926U KR20160000926U KR200480145Y1 KR 200480145 Y1 KR200480145 Y1 KR 200480145Y1 KR 2020160000926 U KR2020160000926 U KR 2020160000926U KR 20160000926 U KR20160000926 U KR 20160000926U KR 200480145 Y1 KR200480145 Y1 KR 200480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nk
mobile phone
design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모바일
Priority to KR2020160000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며 디자인이 형성되는 디자인 케이스와, 상기 디자인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디자인 케이스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폰의 장식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화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휴대폰이 아닌, 인터넷 사용이나 각종 업무까지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부품을 작은 공간 안에 모두 탑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휴대폰보다 집적도가 상당히 높아짐에 따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문제되고 있다.
즉 최신 스마트폰의 경우 크기는 줄이되 기능은 늘려야 소비자들의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 상승을 위한 완충 부재의 사용 비율을 줄임에 따라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가장 큰 단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은 각 기종에 적합한 보호 케이스를 스마트폰에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보호 케이스는 실리콘, 플라스틱, 메탈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스마트폰의 외관을 꾸밀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호 케이스는 전체가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다른 형태의 디자인으로 된 케이스로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등록실용 제0301213호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며 디자인이 형성되는 디자인 케이스와, 상기 디자인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디자인 케이스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외측 케이스는 디자인 케이스가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내측 케이스가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케이스의 배면에는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외측 케이스 배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거치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치로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로드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제1힌지연결부분과, 상기 제1힌지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제1링크힌지부분과, 상기 제1링크힌지부분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 및 제2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3링크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4링크 일단과, 상기 제3링크 타단과 제4링크 타단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힌지부분 및, 상기 제2링크힌지부분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폰 케이스의 디자인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거치로드부재에 의해 휴대폰이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춰서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로드부재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변형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안전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결합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서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의 (a)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 하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가 지면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에 대한 일부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에 대한 일부 변형예가 작동되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의 (a)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가 전개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투입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결합도이며, 도 3의 (a)는 도 2에서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100)는 도 1과 같이 휴대폰 본체(102)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160)와, 상기 외측 케이스(160)의 내측에 위치되며 디자인이 형성되는 디자인 케이스(140)와, 상기 디자인 케이스(140)를 외측 케이스(160)의 내측에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내측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케이스(120)는 디자인 케이스(140)를 외측 케이스(160)의 내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며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디자인 케이스(140)나 외측 케이스(160)에 비하여 경도가 높다.
그리고 디자인 케이스(140)는 내측 케이스(120)와 외측 케이스(160)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외측면과 후면 전체에 인쇄가 가능한 얇은 필름 재질이다.
상기 외측 케이스(160)는 내측 케이스(120)와 디자인 케이스(140)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고 신축성이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의 탄성재질 소재이다.
두께에 대해 정리하면, 도 3의 (b)와 같이 내측 케이스(120)의 제1두께(t1)와, 디자인 케이스(140)의 제2두께(t2)와, 외측 케이스(160) 중 내측 케이스(120)와 디자인 케이스(140)가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제3두께(t3) 및, 외측 케이스(160) 중 내측 케이스(120)와 디자인 케이스(140)가 내측에 위치되지 않는 부분의 제4두께(t4) 중에 제4두께(t4)가 가장 두껍고, 제3두께(t3), 제1두께(t1), 제2두께(t2) 순으로 두께가 얇아지며, 제4두께(t4)는 제1두께(t1)와 제2두께(t2) 및 제3두께(t3)를 합한 것과 같다.
따라서, 외측 케이스(160)에 내측 케이스(120)와 디자인 케이스(140)가 내측에 위치되면 외측 케이스(160)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제4두께(t4)와 같이 일정하다.
내측 케이스(120)는 디자인 케이스(140)를 외측 케이스(160)에 밀착시키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두께가 얇고 약간의 경도가 있을수록 좋고, 디자인 케이스(140)는 외관이 미려하게 디자인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최대한 두께가 얇으면서 인쇄가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소재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 케이스(16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디자인 케이스(140)가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내측 케이스(120)가 끼워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는 도 4와 같이 내측 케이스(120)와 외측 케이스(160)는 교체하지 않고, 디자인 케이스(140)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하트형(140-1)에서 별형(140-2)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폰 케이스의 디자인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5의 (a)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 하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가 지면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외측 케이스(160)의 배면에는 거치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170)는 외측 케이스(160) 배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홈(172)과, 상기 거치홈(172)에 형성되는 힌지축(174)과, 상기 힌지축(174)에 연결되어 거치홈(172)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치로드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로드부재(180)는 거치홈(172)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지면에 경사지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즉 인터넷 동영상을 보는 등의 경우에 휴대폰을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힌지축(17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지면으로부터 휴대폰을 일정 경사로 기울어지게 작용된다.
그런데, 상기 거치부(170)는 단순하게 거치 작용만 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각도 조절이 안되고,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고 다니거나 누어서 볼 때 휴대폰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은 없다.
도 6은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에 대한 일부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에 대한 일부 변형예가 작동되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100)의 거치로드부재(180)에 대한 일부 변형예는 거치로드부재(180)가 상기 힌지축(174)에 연결되는 제1힌지연결부분(182)과, 상기 제1힌지연결부분(182)에 형성되는 제1링크힌지부분(184)과, 상기 제1링크힌지부분(184)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링크(186)의 일단 및 제2링크(188)의 일단과, 상기 제1링크(186)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3링크(190) 일단과, 상기 제2링크(188)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4링크(192) 일단과, 상기 제3링크(190) 타단과 제4링크(192) 타단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힌지부분(194) 및, 상기 제2링크힌지부분(194)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분(196)을 포함한다.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100)의 거치로드부재(180)는 도 7의 (a)와 같이 길이를 L1과 같이 최대로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링크(186)와 제2링크(188)를 제1링크힌지부분(184)을 중심으로 벌리면, 제1링크(186)에 힌지 결합된 제3링크(190)와 제2링크(188)에 힌지 결합된 제4링크(192) 사이도 제2링크힌지부분(194)을 중심으로 각도가 벌어져 도 7의 (b)와 같이 길이를 L2로 줄일 수 있고, 도 7의 (c)와 같이 길이를 더 줄여 L3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휴대폰이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춰서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8의 (a)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가 전개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의 거치로드부재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휴대폰 케이스(100)의 거치로드부재(180)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작동되는 과정은 도 8의 (a)와 같이 거치로드부재(180)가 거치홈(172)으로부터 힌지축(174)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1링크(186)와 제2링크(188)를 제1링크힌지부분(184)을 중심으로 벌리면, 제1링크(186)에 힌지 결합된 제3링크(190)와 제2링크(188)에 힌지 결합된 제4링크(192) 사이도 제2링크힌지부분(194)을 중심으로 각도가 벌어지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휴대폰을 안전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휴대폰 케이스 102: 휴대폰 본체
120: 내측 케이스 140: 디자인 케이스
160: 외측 케이스 170: 거치부
172: 거치홈 174: 힌지축
180: 거치로드부재 182: 제1힌지연결부분
184: 제1링크힌지부분 186: 제1링크
188: 제2링크 190: 제3링크
192: 제4링크 194: 제2링크힌지부분
196: 제2힌지연결부분

Claims (5)

  1. 휴대폰 본체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며 디자인이 형성되는 디자인 케이스와,
    상기 디자인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의 내측에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디자인 케이스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케이스는 디자인 케이스가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내측 케이스가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스의 배면에는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외측 케이스 배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거치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치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로드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제1힌지연결부분과,
    상기 제1힌지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제1링크힌지부분과,
    상기 제1링크힌지부분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 및 제2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3링크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4링크 일단과,
    상기 제3링크 타단과 제4링크 타단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힌지부분 및,
    상기 제2링크힌지부분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연결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160000926U 2016-02-22 2016-02-22 휴대폰 케이스 KR200480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26U KR200480145Y1 (ko) 2016-02-22 2016-02-22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26U KR200480145Y1 (ko) 2016-02-22 2016-02-22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45Y1 true KR200480145Y1 (ko) 2016-04-19

Family

ID=5591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926U KR200480145Y1 (ko) 2016-02-22 2016-02-22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4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703U (ko) * 2010-11-18 2012-05-29 김대완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61407Y1 (ko) * 2012-01-26 2012-07-12 박채은 휴대폰 케이스
JP3179719U (ja) * 2012-09-03 2012-11-15 タイヘイ化成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用ケース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336159B1 (ko) * 2012-11-23 2013-12-03 주식회사 애니모드 접이식 거치대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식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703U (ko) * 2010-11-18 2012-05-29 김대완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61407Y1 (ko) * 2012-01-26 2012-07-12 박채은 휴대폰 케이스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JP3179719U (ja) * 2012-09-03 2012-11-15 タイヘイ化成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用ケース
KR101336159B1 (ko) * 2012-11-23 2013-12-03 주식회사 애니모드 접이식 거치대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식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6663B2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9912368B2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9661116B1 (en) Card-receptible semiautomatic slide case for mobile phone
US8805461B2 (en)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devices
KR20120005719U (ko)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58313Y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JP3159716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KR101197173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480145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1212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케이스
US20030111940A1 (en) Turning cover of a detachable typ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085472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스킨
KR20170002529U (ko)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US20130016457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459713B1 (ko) 휴대용 통신 단말의 보호 케이스
KR20160114955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38444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KR10143114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KR102626225B1 (ko) 폴더블 휴대기기용 자동 힌지 보호 케이스
KR200463842Y1 (ko) 터치 인식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KR200390744Y1 (ko) 휴대전화용 키패드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