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06B1 -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06B1
KR102619206B1 KR1020180081968A KR20180081968A KR102619206B1 KR 102619206 B1 KR102619206 B1 KR 102619206B1 KR 1020180081968 A KR1020180081968 A KR 1020180081968A KR 20180081968 A KR20180081968 A KR 20180081968A KR 102619206 B1 KR102619206 B1 KR 10261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mon balm
flavor
beverage
erythrito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093A (ko
Inventor
신주연
Original Assignee
신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연 filed Critical 신주연
Priority to KR102018008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093A/ko
Priority to KR1020210091371A priority patent/KR2021009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4Sucralose, halogenated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02Erythrit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조성물은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갖는 성분 및 저칼로리 감미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조성물{BEVERAGE COMPOSITIOIN}
본 발명은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은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자존감의 저하 등의 심리적인 요인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간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비만이 있으면 당뇨병 및 고지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이 커진다. 또한, 비만이 있으면 담석증이 생길 수 있으며, 비만은 암의 발생과도 일부 연관이 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다. 비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더불어 행동요법이 필요하다. 식이 요법은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1000kcal 정도를 덜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비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진 성분을 섭취하는 식이 요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정보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63706호(2005.09.29.)] 그러나,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진 성분들은 대부분 단맛이 없으며 그 성분들의 특유의 향미로 인해 평소 즐겨먹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하는 제품을 먹는 식이 요법을 시행해보더라도 그 제품의 맛이 없어 그 식이 요법을 장기간 시행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지는 음료를 맛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음료를 맛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음료에서 단맛이 나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만, 단맛이 나게 하는 성분들은 보통 칼로리가 높기 때문에, 음료에 단맛이 나게 하는 성분들은 첨가하게 하면 음료의 칼로리가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지는 음료가 칼로리가 높아지게 되면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지는 음료 그 본래의 의미 즉, 비만을 벗어나기 위한 목적이 퇴색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지는 음료를 맛있게 먹을 수 있게 하되, 음료의 칼로리가 높아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갖는 성분 및 저칼로리 감미료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갖는 성분은, 레몬밤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공액리놀레산 및 녹차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스테비오사이드 및 아스파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몬밤 추출물, 레몬밤의 향미를 마스킹하는 성분 및 저칼로리 감미료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레몬밤의 향미를 마스킹하는 성분은, 과일향 착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몬밤 추출물, 풋사과향 착향료, 에리스리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수크랄로스 및 상기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10 내지 1:30 또는 1:15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레몬밤 추출물 및 상기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0.5 내지 1:2 또는 1:0.75 내지 1:1.34일 수 있다.
유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 및 상기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1 내지 1:3 또는 1:1.5 내지 1:2.5일 수 있다.
소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금 및 상기 수크랄로스의 중량 비율은, 1:1 내지 1:4 또는 1:2 내지 1:3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지는 음료를 맛있게 먹을 수 있게 하되, 음료의 칼로리가 높아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만을 벗어나기 위해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진 성분을 섭취하는 식이 요법의 성공 가능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조성물은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갖는 성분 및 저칼로리 감미료를 포함한다. 한편, 음료 조성물은 액상 및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갖는 성분은 레몬밤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공액리놀레산 및 녹차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레몬밤 추출물은 레몬밤 특유의 향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 레몬밤의 향미에 대해서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린다. 레몬밤의 향미는 레몬밤 특유의 떫은 맛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 대부분은 이 레몬밤의 향미를 기피한다. 따라서, 누구나 레몬밤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료 조성물에 레몬밤의 향미를 마스킹하는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레몬밤 추출물 외 다른 추출물들의 경우에도 떫은 맛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레몬밤의 향미를 마스킹하는 성분은 과일향 착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과일향 착향료는 액상 및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과일향은 풋사과향, 딸기향, 포도향, 복숭아향, 청포도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풋사과는 본래 떫은 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레몬밤 추출물이 포함된 풋사과 맛의 음료를 마시는 경우, 레몬밤 특유의 향미를 풋사과의 떫은 맛으로 착각하여 레몬밤 특유의 향미를 인지하지 못하고 단순히 풋사과 맛의 음료를 마시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다. 이에, 풋사과향 착향료를 첨가하여 풋사과 맛의 음료를 만드는 경우, 적은 양의 풋사과향 착향료만으로도 레몬밤의 향미가 완벽하게 마스킹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몬밤의 향미를 마스킹함으로써 누구나 레몬밤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착향료의 경우, 가격이 비싸 음료에 다량 첨가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크다. 따라서, 시중에 음료를 판매하면서 셀링포인트를 잡기 위해 체지방 분해기능을 가진 레몬밤을 음료 등에 첨가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하더라도, 레몬밤 특유의 향미를 마스킹할 수 없거나, 레몬밤 특유의 향미를 경제적으로 마스킹할 수 없어 현실상 레몬밤을 첨가하더라도 레몬밤을 실질적인 체지방 분해기능을 갖지 못하는 정도의 소량밖에 첨가하지 못할 것이다. 한편, 레몬밤 특유의 향미를 경제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는 것은 떫은 맛이 강한 청포도 맛의 음료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한편, 착향료는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 중 차지하는 가격 비중이 제일 크기 때문에(보통, 착향료의 가격 비중은 음료의 30~60%를 차지), 착향료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는 것은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즉, 착향료의 양을 조금이라도 줄이게 되면 음료 조성물의 원가 절감에 큰 도움이 된다. 한편, 특정 과일 맛의 음료를 만드는 경우, 과일향 착향료와 함께 감미료, 산미료, 소금의 양이 달라져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과일 농축 분말은 과일향 착향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다.
아래의 표 1은 물 300mL에 포함된 레몬밤 추출물 1500mg의 향미를 마스킹하기 위해 필요한 과일향 착향료의 양(단위: mg)을 나타낸다. 이 시험 자료는 20대에서 50대 사이의 성인 10명을 기준으로, 과일향 착향료의 양을 500mg에서 20mg씩 증가시키면서, 8명 이상이 레몬밤 추출물의 향미가 느껴지지 않는 최소 과일향 착향료의 양을 구한 것이다. 아래의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몬밤 추출물의 향미를 가장 잘 마스킹하는 것은 풋사과향 착향료였다.
풋사과향 딸기향 포도향 복숭아향 청포도향
720mg 940mg 960mg 1020mg 800mg
저칼로리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스테비오사이드 및 아스파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크랄로스는 에리스리톨보다 단맛이 강하다. 그러나, 수크랄로스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 쓴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수크랄로스를 다량 첨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그리고, 에리스리톨을 다량 첨가하는 경우, 케이킹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에리스리톨을 다량 첨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또한, 수크랄로스와 에리스리톨을 적당량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만 설탕의 단맛을 가깝게 재현해낼 수 있다. 즉, 수크랄로스와 에리스리톨은 상호 보완적으로 단맛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에리스리톨과 수크랄로스를 조합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리스리톨은 경우에 따라 말토덱스트린이나 포도당의 부형제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크랄로스 및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10 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며, 1:15 내지 1:2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레몬밤 추출물 및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0.5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며, 1:0.75 내지 1:1.34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음료 조성물은 산미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미료는 유기산 및 무기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산은 예를 들어, 구연산일 수 있다. 이때, 유기산 및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1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며, 1:1.5 내지 1:2.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음료 조성물은 소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금은 정제염 및 천일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금 및 수크랄로스의 중량 비율은 1:1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며, 1:2 내지 1:3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타겟 과일의 맛을 달리할 때마다 감미료, 산미료, 소금의 첨가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맛 과일(예: 레몬향)을 타겟으로 하는 경우 산미료의 양이 더 많아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말 조성물의 경우, 고결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결방지제는 이산화규소 및 제3 인산칼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을 물에 첨가하여 체지방 분해 기능을 가진 저칼로리 음료를 만들 수 있다.

Claims (12)

  1. 레몬밤 추출물, 과일향 착향료 및 저칼로리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저칼로리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및 에리스리톨을 포함하고,
    상기 레몬밤 추출물 및 상기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0.5 내지 1:2 또는 1:0.75 내지 1:1.34이고
    상기 수크랄로스 및 상기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10 내지 1:30 또는 1:15 내지 1:25이고,
    유기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기산 및 상기 에리스리톨의 중량 비율은, 1:1 내지 1:3 또는 1:1.5 내지 1:2.5인, 음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81968A 2018-07-15 2018-07-15 음료 조성물 KR102619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68A KR102619206B1 (ko) 2018-07-15 2018-07-15 음료 조성물
KR1020210091371A KR20210090598A (ko) 2018-07-15 2021-07-13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68A KR102619206B1 (ko) 2018-07-15 2018-07-15 음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371A Division KR20210090598A (ko) 2018-07-15 2021-07-13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093A KR20200008093A (ko) 2020-01-23
KR102619206B1 true KR102619206B1 (ko) 2023-12-28

Family

ID=69368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968A KR102619206B1 (ko) 2018-07-15 2018-07-15 음료 조성물
KR1020210091371A KR20210090598A (ko) 2018-07-15 2021-07-13 음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371A KR20210090598A (ko) 2018-07-15 2021-07-13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92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2992A1 (en) 2003-06-17 2005-01-06 Mccleary Edward Larry Foods, beverages, condiments, spices and salad dressings with specialized supplements
JP2005263706A (ja) * 2004-03-19 2005-09-29 Combi Corp 脂肪代謝促進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20090148554A1 (en) 2004-11-15 2009-06-11 Kao Corporation Packed Beverage For Lipid Combustion Promotion
US20150224158A1 (en) 2006-06-16 2015-08-13 Kefiplant Inc. Fermented plant extract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US20170354175A1 (en) 2017-05-15 2017-12-14 Senomyx, Inc. Sweeten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920B1 (ko) * 2012-02-24 2013-12-02 웅진식품주식회사 체중조절용 식사대용식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2992A1 (en) 2003-06-17 2005-01-06 Mccleary Edward Larry Foods, beverages, condiments, spices and salad dressings with specialized supplements
JP2005263706A (ja) * 2004-03-19 2005-09-29 Combi Corp 脂肪代謝促進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20090148554A1 (en) 2004-11-15 2009-06-11 Kao Corporation Packed Beverage For Lipid Combustion Promotion
US20150224158A1 (en) 2006-06-16 2015-08-13 Kefiplant Inc. Fermented plant extract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US20170354175A1 (en) 2017-05-15 2017-12-14 Senomyx, Inc. Sweeten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093A (ko) 2020-01-23
KR20210090598A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109C1 (ru) Диетические напитки на основе колы
RU2505244C2 (ru) Напиток, подслащенный ребаудиозидом а и подслащивающим количеством ребаудиозида d
RU2500301C1 (ru) Белковый восстанавливающий напиток
RU2424733C2 (ru) Чайные экстракты для ослабле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вкуса некалорийных подсластителей
JP5291276B2 (ja) 麦芽を原料とする低カロリー醸造酒の製造方法
US20030228393A1 (en) Multi-phase food & beverage
US20050238779A1 (en) Low-calorie beverages and sweetener composition with improved palatability
TWI492715B (zh) Containing polymerized catechins
CN104125780A (zh) 营养饮料
Alizadeh et al. Effect of Stevia as a substitute for suga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uit based milk shake
JP2010521175A (ja) アニス酸修飾ステビオール配糖体で甘味付与された飲料製品
JPH11318379A (ja) 飲食品の風味改善方法および風味改善剤
JP5836579B2 (ja) 高甘味度甘味料を含む柑橘系フレーバー含有酸性茶飲料
EP3541201B1 (en) Taste improvement for stevia sweetened beverages with miracle fruit
CN104939263A (zh) 营养饮料
US2018022819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aste modulation compounds, their use and foodstuff comprising them
Sharma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 rich low calorie functional bitter gourd (Memordica charantia L) spiced squash
JP2009240297A (ja) 呈味改善方法
JP4056905B2 (ja) 食酢飲料
KR102619206B1 (ko) 음료 조성물
JP2011527189A (ja) 体重管理用の酢酸イソアミル
EP3528641B1 (en) Glucose beverage comprising exogenous flavor source and color
US20080254144A1 (en) Beverage health formulations
JP5671561B2 (ja) 麦芽を原料とする低カロリー醸造酒の製造方法
Farhan et al. Preparation of energy drink using jackfruit seed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