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93B1 - 혈액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혈액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93B1
KR102619093B1 KR1020180136665A KR20180136665A KR102619093B1 KR 102619093 B1 KR102619093 B1 KR 102619093B1 KR 1020180136665 A KR1020180136665 A KR 1020180136665A KR 20180136665 A KR20180136665 A KR 20180136665A KR 102619093 B1 KR102619093 B1 KR 10261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unit
image
image acquisition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718A (ko
Inventor
이홍종
Original Assignee
노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와; 스테이지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광조사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에 도말된 혈액 중 광조사부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와; 스테이지부 및 이미지획득부 사이에 위치되어, 이미지획득부가 서로 다른 배율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배율을 가지는 제1배율렌즈부와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를 포함하는 광학계와; 이미지획득부가 검체 플레이트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검체 플레이트가 안착된 스테이지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와; 제1배율렌즈부를 통한 저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1차이미지획득과정과 1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 후 제2배율렌즈부를 통한 고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2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을 위하여 검체 플레이트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혈액진단장치{Blood diagnostic apparatus}
본 발명은 혈액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말된 혈액에 대하여 이미지를 획득하여 질병감염여부를 진단하는 혈액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진단장치는, 혈액을 도말하여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혈구 세포 또는 기생충 등의 형태를 관찰하여 질병감염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기생충들이 적혈구에 침입하여 감염되는 것인 바, 혈액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본래 핵이 없는 적혈구에서 기생충에 의한 핵이 관찰되므로 말라리아에 감염되었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말라리아 등의 기생충 질환에 감염될 경우, 대개 신속 진단법(RDT : Rapid Diagnostic Test)과 혈액도말검사법 등이 이용되며, 신속 진단법의 경우 저비용의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신속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혈액도말검사법은, 환자의 혈액을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염색한 뒤, 염색된 혈액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혈액도말검사법은, 전문가의 수작업을 통해 질병감염여부를 진단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혈액도말검사법은, 숙련된 전문가를 필요로 하며, 혈액을 도말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할 수 있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혈액도말검사법에 따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경우, 사람이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게 되는 경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자동으로 초점을 맞춘다고 하더라도 초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의 이동은 나노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인데 반해, 슬라이드글라스의 수평 또는 혈액의 도말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평오차는 밀리미터 단위로서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데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1) KR 10-1808218 B1
(특허문헌 2) KR 10-2016-0063160 A
(특허문헌 3) JP 2008-139143 A
(특허문헌 4) WO 2008/007725 A1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동으로 포커싱을 진행하여 혈액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질병감염여부를 진단하는 혈액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스테이지부(100) 및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이미지획득부(300)가 서로 다른 배율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배율을 가지는 제1배율렌즈부(410)와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를 포함하는 광학계(400)와; 이미지획득부(300)가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제1배율렌즈부(410)를 통한 저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1차이미지획득과정과 1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 후 제2배율렌즈부(420)를 통한 고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2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을 위하여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획득과정에서 측정된 제1배율렌즈부(410)의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제1배율렌즈부(410)의 심도(D1) 내에서 진단대상 혈액에 대한 상기 제2배율렌즈부(42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200)는, 광학계(400)의 제1배율렌즈부(410) 및 제2배율렌즈부(420)에 각각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각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 Y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와의 상관관계를 학습시키고,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 수행 전에 상기 검체 플레이트(1) 상에서 미리 설정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기준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 Zn을 샘플링하고, 샘플링 결과인 n개의 Xn, Yn, Zn 및 검체 플레이트(1) 상의 각 X, Y 좌표를 입력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해당 위치 X, Y 좌표에서의 추정 초점거리(Z)를 구하고, 구해진 Z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1차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1차이미지로부터 측정위치 내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구성성분의 크기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 확인시 백혈구 포함여부를 판정하고 백혈구가 포함된 경우, 백혈구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제1측정이미지를 획득한 후, 적혈구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제2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확인된 구성성분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해당 구성성분에 대한 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상기 1차이미지 내 색상 및 크기를 기준으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 확인시 기생충 포함여부를 판정하고 기생충이 포함된 경우 제1측정이미지 획득 전 기생충의 크기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기생충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1차 이미지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를 미리 측정된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 및 측정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로부터 계산된 1차방정식을 기준으로 계산되고, 계산된 초점거리(Zn+1)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혈액진단장치의 진단대상질병은 말라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진단장치는, 숙련된 전문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혈액진단장치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간편해지고 정확한 혈액진단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듀얼렌즈를 이용한 구조를 이용하여 혈액에 대한 포커싱을 자동으로 진행함으로써, 진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고배율의 광학계를 이용함으로써 고화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혈액에 대한 포커싱을 진행함에 있어, 초점거리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듈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진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적혈구, 백혈구 또는 기생충의 여부를 분별하여 포커싱을 진행함으로써, 각각의 대상에 따른 최적화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초점거리를 추정함에 따라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평오차에 대한 보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어 진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혈액진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혈액진단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3은, 혈액진단장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혈액진단장치의 광학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혈액진단장치의 샘플링을 위한 기준위치에 대한 일실시예이다.
도 6은, 혈액진단장치에서 수평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포커싱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혈액진단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진단장치는,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이미지획득부(300)가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스테이지부(100) 및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계(400)와; 이미지획득부(300)가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이미지획득부(300), 광학계(400) 및 수평이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혈액진단장치는, 혈액을 염색하고 도말하여 광학적으로 혈액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질병감염여부를 진단하는 일련의 수행과정을 거치는 장치로서, 검체 플레이트(1)를 포함하는 테스트키트를 로딩하는 로딩 영역(13)이 형성되는 몸체(11)와 진단과정 및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진단장치는, 테스트키트에 표시된 환자의 인적사항, 혈액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바코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바코드인식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진단장치는, 말라리아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체 플레이트(1)는, 검체(T)인 혈액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혈액을 염색한 후 도말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체 플레이트(1)는, 혈액을 염색한 후 도말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 테스트키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홈이 파여서 일정한 높이로 혈액이 도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100)는,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이지부(100)는, 검체 플레이트(1)의 하부에서 검체 플레이트(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검체 플레이트(1)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검체 플레이트(1)의 하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으나, 검체 플레이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만을 지지하는 구성인 것이 하측의 광원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광조사부(200)는,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조사부(200)는, LED 등으로 구성된 광원(210)과 상기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하여 검체 플레이트(1)에 조사하는 집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210)은, 백색광인 것이 바람직하나, 혈액에서 진단하고자 하는 구성에 따라 파장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색을 다르게 구성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부(220)는, 하나 이상의 집광렌즈(221)를 포함하면서 상기 광학계(400)와 대응하여 이미지획득부(300)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위치에 광을 조사하도록 집광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획득부(300)는,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획득부(300)는, CMOS, CCD 등의 이미지 센서와 같은 이미지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400)는, 이미지획득부(300)가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스테이지부(100) 및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계(400)는, 대물렌즈와 조리개 및 접안렌즈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들은 글래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미지획득부(300)에 결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400)는, 후술하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면서 이미지획득부(300)에 상이 맺히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계(400)의 렌즈 간의 거리조정에 의해 초점거리 자체가 변화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400)는, 렌즈 간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어 초점거리가 일정하고, 광학계(400)와 검체 플레이트(1) 간의 거리변화를 통해 이미지획득부(300)에 상이 맺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400)는, 다양한 배율을 가질 수 있으며, 혈액진단의 목적에 맞게 확대된 배율로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학계(400)는, 제1배율을 가지는 제1배율렌즈부(410)와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배율렌즈부(410)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의 1차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를 이용하여 좁은 범위의 더 확대된 2차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대물렌즈가 제1배율렌즈부(410) 및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로 이루어질 경우, 광조사부(200) 및 이미지획득부(300) 중 적어도 하나가 제1배율 및 제2배율렌즈부(410, 420)와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광조사부(200)와 이미지획득부(300)가 각각 하나씩 제1배율 및 제2배율렌즈부(410, 420)와 대응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이동부(500)는, 이미지획득부(300)가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이동부(500)는,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의 전범위에 대하여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 플레이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혈액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스테이지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부(500)는, 모터 등을 이용한 컨베이어 형태로 스테이지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 스테이지부(100), 광조사부(200), 이미지획득부(300), 광학계(400), 수평이동부(500) 전반에 대하여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이미지획득부(300)에 결상되도록 포커싱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측정 대상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광학시스템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측정 대상물이 대물렌즈의 정해진 초점 거리에 위치해야 하며, 초점이 맞은 것으로 인식되는 범위를 심도라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측정 대상물인 혈액이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에서 심도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초점이 맞는 혈액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함에 있어서, 먼저 검체 플레이트(1)와 수직으로 넓은 범위(R1)에서의 Z값에 대하여 초점이 맞는 값을 획득한 후, 그 초점이 맞는 값이 포함되는 보다 좁은 범위(R2)에서 다시 포커싱을 진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광학계(4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광학계(400)가 제1배율렌즈부(410) 및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를 포함하는 경우, 제1배율렌즈부(410) 및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도 있는 혈액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제1배율렌즈부(410)를 통한 저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1차이미지획득과정과 1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 후 제2배율렌즈부(420)를 통한 고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2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을 위하여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2차이미지획득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획득과정에서 측정된 제1배율렌즈부(410)의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제1배율렌즈부(410)의 심도(D1) 내에서 진단대상 혈액에 대한 제2배율렌즈부(420)의 초점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율렌즈부(410)의 대표 제1초점거리는 1차이미지획득과정에서 가장 초점이 잘 맞는 초점거리인 Z값일 수 있으며, 가장 초점이 잘 맞는지의 여부는 이미지의 데이터를 변환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점이 잘 맞는 초점거리인 Z값은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RGB 데이터를 하이패스 필터 등을 이용하여 일부 신호만을 추출하여 연산 처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의 심도는 제1배율렌즈부(410)의 심도보다 얕기 때문에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의 심도는 제1배율렌즈부(410)의 심도 내에 존재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스테이지부(100) 상의 검출 플레이트(1)가 검출 플레이트(1)를 향해 평행하게 배치된 제1배율렌즈부(410)와 제2배율렌즈부(410) 사이를 교대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배율렌즈부(410)와 제2배율렌즈부(420) 사이를 교대로 이동하면서 제1배율렌즈부(410)의 심도 내에서 제2배율렌즈부(420)가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제1배율렌즈부(410)와 제2배율렌즈부(420)가 교번으로 검출 플레이트(1)를 향하도록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조사부(200)와 이미지획득부(300)가 하나씩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배율 및 제2배율렌즈부(410, 420)가 함께 배치되어 대물렌즈만이 교체되면서 혈액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에 대한 초점이 맞는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인공지능 모듈에 학습시켜 추정 초점거리(Z)를 구하도록 광학계(4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각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 Y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와의 상관관계를 학습시키고,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 수행 전에 상기 검체 플레이트(1) 상에서 미리 설정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기준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 Zn을 샘플링하고, 샘플링 결과인 n개의 Xn, Yn, Zn 및 검체 플레이트(1) 상의 각 X, Y 좌표를 입력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해당 위치 X, Y 좌표에서의 추정 초점거리(Z)를 구하고, 구해진 Z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대량의 훈련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을 시켜서 작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글의 딥마인드랩, IBM의 왓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검체 플레이트(1)의 지면과 평행한 X, Y 좌표에 대응되는 초점거리인 Z를 입력하면 통계적인 최적화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층, 은닉층 및 출력층으로 이루어지며, 입력층은 검체 플레이트(1)의 일정한 지점에서의 X, Y 좌표가 입력되며, 출력층은, 입력값에 대응되는 초점거리 Z가 출력되며, 은닉층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의 공개되지 않는 층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이용되는 인공지능 모듈은 이전의 학습을 통해 이미 학습이 완료된 상태로, 최적화된 값으로 설정되어 입력과 출력간에 소정의 상관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학습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추정함에 있어서, 정확도를 위해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 수행 전에 검체 플레이트(1) 상에서 미리 설정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기준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 Zn을 샘플링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샘플링은, 검체 플레이트(1)의 중심의 X, Y 좌표에 대응되는 Z를 포함할 수 있고, n이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샘플링은 검체 플레이트(1)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샘플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적인 초점이 맞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구해진 Z를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다시 포커싱을 진행하도록 하여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1차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1차이미지로부터 측정위치 내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구성성분의 크기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라리아의 경우, 기생충이 적혈구에 침입하여 감염되는 것으로, 말라리아 감염 여부는 본래 핵이 없는 적혈구에서 기생충에 의한 핵이 발견되는 것으로 판단 가능하며, 이에 따라 혈액 속의 물질 중 적혈구에 대해서만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말라리아 감염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백혈구와 적혈구의 경우 크기와 두께에서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나노 단위에서 포커싱을 진행함에 있어 초점거리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진단대상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 확인시 백혈구 포함여부를 판정하고 백혈구가 포함된 경우, 백혈구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제1측정이미지를 획득한 후, 적혈구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제2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확인된 구성성분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해당 구성성분에 대한 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진단대상의 신뢰성 높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확인된 구성성분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이미지에 대한 초점거리를 획득하여 이를 피드백하여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초점거리에 대한 기울기, 평균값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1차이미지 내 색상 및 크기를 기준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색상 및 크기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 확인시 기생충 포함여부를 판정하고 기생충이 포함된 경우 제1측정이미지 획득 전 기생충의 크기를 기준으로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기생충측정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액 내 구성성분이 적혈구, 백혈구 또는 기생충인지에 따라 구성성분의 두께가 상이한 바, 초점거리를 제어하는 데 있어 확연한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적혈구와 백혈구의 경우 2배 가까이 크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배율의 광학계(400)를 이용할 수도 있고, 초점거리를 추정하고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도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1차 이미지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모듈에 1차 이미지에 따른 혈액 내 구성성분에 대하여 학습시키고, 학습이 완료된 후에는 1차 이미지를 입력하여 혈액 내의 구성성분을 분별할 수 있도록 하고, 분별된 혈액 내의 구성성분에 따라 다르게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를 미리 측정된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 및 측정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로부터 계산된 1차방정식을 기준으로 계산되고, 계산된 초점거리(Zn+1)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속하여 검체 플레이트(1) 또는 광학계(400)가 이동하면서 검체 플레이트(1) 상의 혈액의 다른 지점에 대하여 포커싱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기획득된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피드백하는 형식으로 다음 위치에서의 이상적인 초점거리를 추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의 초점거리가 증가하는 추세라면 제3위치에서의 초점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광학계(400)가 제어되면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스테이지부 200 : 광조사부
300 : 이미지획득부 400 : 광학계
500 : 수평이동부 600 : 제어부

Claims (18)

  1.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상기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상기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 및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서로 다른 배율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배율을 가지는 제1배율렌즈부(410)와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를 포함하는 광학계(4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상기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상기 제1배율렌즈부(410)를 통한 저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1차이미지획득과정과 상기 1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 후 상기 제2배율렌즈부(420)를 통한 고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2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을 위하여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각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 Y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와의 상관관계를 학습시키고,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 수행 전에 상기 검체 플레이트(1) 상에서 미리 설정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기준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 Zn을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 결과인 n개의 Xn, Yn, Zn 및 검체 플레이트(1) 상의 각 X, Y 좌표를 입력하여 미리 학습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해당 위치 X, Y 좌표에서의 추정 초점거리(Z)를 구하고, 구해진 Z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1차이미지획득과정에서 측정된 상기 제1배율렌즈부(410)의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배율렌즈부(410)의 심도(D1) 내에서 진단대상 혈액에 대한 상기 제2배율렌즈부(42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200)는, 상기 광학계(400)의 제1배율렌즈부(410) 및 제2배율렌즈부(420)에 각각 대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1차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1차이미지로부터 측정위치 내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상기 구성성분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1차 이미지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7.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상기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상기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 및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서로 다른 배율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배율을 가지는 제1배율렌즈부(410)와 상기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을 가지는 제2배율렌즈부(420)를 포함하는 광학계(4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상기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상기 제1배율렌즈부(410)를 통한 저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1차이미지획득과정과 상기 1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 후 상기 제2배율렌즈부(420)를 통한 고배율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2차이미지획득과정의 수행을 위하여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를 미리 측정된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 및 측정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로부터 계산된 1차방정식을 기준으로 계산되고,
    계산된 초점거리(Zn+1)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8.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상기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상기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지부(100) 및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계(4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상기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상기 광학계(400) 및 상기 수평이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각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 Y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와의 상관관계를 학습시키고,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 수행 전에 상기 검체 플레이트(1) 상에서 미리 설정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기준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 Zn을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 결과인 n개의 Xn, Yn, Zn 및 검체 플레이트(1) 상의 각 X, Y 좌표를 입력하여 미리 학습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하여 해당 위치 X, Y 좌표에서의 추정 초점거리(Z)를 구하고, 구해진 Z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1차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1차이미지로부터 측정위치 내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상기 구성성분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1차 이미지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모듈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1.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상기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상기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지부(100) 및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계(4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상기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상기 광학계(400) 및 상기 수평이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1차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1차이미지로부터 측정위치 내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상기 구성성분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 확인시 백혈구 포함여부를 판정하고 백혈구가 포함된 경우,
    백혈구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제1측정이미지를 획득한 후, 적혈구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제2측정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을 확인하고, 확인된 구성성분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해당 구성성분에 대한 측정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상기 1차이미지 내 색상 및 크기를 기준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 확인시 기생충 포함여부를 판정하고 기생충이 포함된 경우 제1측정이미지 획득 전 기생충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검체 플레이트(1) 상의 측정위치 X, Y 좌표에서 기생충측정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이미지로부터 혈액 내 구성성분은, 1차 이미지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모듈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7. 질병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진단 대상 혈액이 도말된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100)와;
    상기 스테이지부(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진단위치에 위치된 혈액에 진단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00)와;
    상기 광조사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 중 상기 광조사부(200)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부분에 대한 혈액의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지부(100) 및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계(4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가 상기 검체 플레이트(1)에 도말된 혈액에 대한 진단대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플레이트(1)가 안착된 상기 스테이지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00)와;
    상기 이미지획득부(300), 상기 광학계(400) 및 상기 수평이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검체 플레이트(1)의 상의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를 미리 측정된 측정위치 Xn-1, Yn-1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1) 및 측정위치 Xn, Yn에 대응되는 초점거리(Zn)로부터 계산된 1차방정식을 기준으로 계산되고,
    계산된 초점거리(Zn+1)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400)의 초점거리를 제어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5 및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진단장치의 진단대상질병은 말라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진단장치.
KR1020180136665A 2018-11-08 2018-11-08 혈액진단장치 KR10261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65A KR102619093B1 (ko) 2018-11-08 2018-11-08 혈액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65A KR102619093B1 (ko) 2018-11-08 2018-11-08 혈액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18A KR20200053718A (ko) 2020-05-19
KR102619093B1 true KR102619093B1 (ko) 2023-12-29

Family

ID=709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665A KR102619093B1 (ko) 2018-11-08 2018-11-08 혈액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195B1 (ko) * 2021-04-07 2022-07-27 (주)유아이엠디 도말된 슬라이드의 최적 검사 영역 검출 방법
KR102562741B1 (ko) * 2022-09-29 2023-08-02 노을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적혈구 검체에서 말라리아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7725A1 (fr) * 2006-07-12 2008-01-17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Analyseur et son utilisation
JP2008139143A (ja) * 2006-12-01 2008-06-19 Sysmex Corp 標本画像作成方法及び装置
KR101808218B1 (ko) * 2016-09-27 2018-01-18 울산과학기술원 이미지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이미지 분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8B1 (ko) * 2014-11-26 2017-03-09 (주)피엘엠 듀얼 카메라에 의한 혈류 및 적혈구의 관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7725A1 (fr) * 2006-07-12 2008-01-17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Analyseur et son utilisation
JP2008139143A (ja) * 2006-12-01 2008-06-19 Sysmex Corp 標本画像作成方法及び装置
KR101808218B1 (ko) * 2016-09-27 2018-01-18 울산과학기술원 이미지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이미지 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18A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3418B2 (ja) オーバビューコントラスト画像を生成及び解析する方法
KR101099333B1 (ko) 측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624901B2 (en) Self-calibrating and directional focusing systems and methods for infinity corrected microscopes
JP6783778B2 (ja) 顕微鏡を基体上に自動的に合焦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US97411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wo optical boundary surface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JP2010169503A5 (ko)
KR20200041983A (ko) 실시간 오토포커스 포커싱 알고리즘
KR102619093B1 (ko) 혈액진단장치
US99708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t least one particle in a bodily fluid, and associated method for diagnosing meningitis
US11243389B2 (en) Optical scanning arrangement and method
JP2015227940A5 (ko)
EP3588162B1 (en) Microscopic device, observation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microscopic device
CN108291870A (zh) 用于确定样本介质的波长相关折射率的光显微镜和方法
KR20220035867A (ko) 슬라이드 스캐닝 시스템의 실시간 포커싱
KR20190031563A (ko) 촬영 화상 평가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CN114994895A (zh) 用于试样的光片显微镜检测的方法和装置
JP2019136023A (ja) 細菌検出装置及び細菌検出方法
US20220404258A1 (en) Automatic calibration
US20220406080A1 (en) Automatic calibration using machine learning
EP4235568A1 (en)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apparatus
US20230070373A1 (en) Method for evaluating measurement data from a light field microscope, and apparatus for light field microscopy
CN220104862U (zh) 比浊稀释卡
KR101873318B1 (ko)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
CN114442296B (zh) 一种用于显微镜的采图方法及医学检测装置、存储介质
WO2021181482A1 (ja) 顕微鏡画像撮像方法および顕微鏡画像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