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703B1 -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703B1
KR102618703B1 KR1020230077873A KR20230077873A KR102618703B1 KR 102618703 B1 KR102618703 B1 KR 102618703B1 KR 1020230077873 A KR1020230077873 A KR 1020230077873A KR 20230077873 A KR20230077873 A KR 20230077873A KR 102618703 B1 KR102618703 B1 KR 10261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
chamber
evaporator
liquid
stirr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선
박동수
Original Assignee
(주)송산피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산피엔이 filed Critical (주)송산피엔이
Priority to KR102023007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6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 B01D1/065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by film evap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6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 B01D1/12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and forced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4Evaporating with heated gases or vapours or liquids in contact with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를 이용하여 VOC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공급되는 액상의 VOC를 증발 및 농축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증발튜브를 타고 흘어 떨어지는 VOC를 저장하는 교반챔버; 상기 교반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교반시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반부; 및 상기 교반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인출하여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부에 액유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 액배출구가 마련되는 유입챔버; 상기 유입챔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유입구의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액상의 VOC가 고일 수 있도록 상기 유입챔버 상부에 횡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단 개구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 공간과 소통되는 다수의 증발튜브; 및 상기 증발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액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액상 제품이 상기 공간에 흘러든 다음 상기 증발튜브의 내벽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면서 증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Apparatus For VOC's Deodorization Using Falling Film Evaporator}
본 발명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VOC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규모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VOC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VOC(volatile organic compound)는 끓는점이 50~100˚C에서 240~260˚C 사이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총칭으로, 지방족, 방향족 탄화수소, 알데히드, 케톤류 등이 포함된다. VOC는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NOx)과 함께 광화학반응으로 오존 등 광화학산화제를 생성하여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기도 하고, 벤젠과 같은 물질은 발암성물질로서 인체에 매우 유해하며, 스티렌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VOC는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로 분류된다. VOC의 주요 배출원으로는 유기용제사용시설, 도장시설, 세탁소, 저유소, 주유소 및 각종 운송수단의 배기가스 등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VOC로부터 특히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0077호는 각종 무기 및 유기성 악취에 포함된 먼지와 황화수소 등을 1차적으로 처리하는 습식 바이오 스크러버에서 사용되는 물로는 활성오니 처리시 일정 온도 이상을 유지하는 활성오니 처리 수를 이용하고, 상기 습식 바이오 스크러버에 의해 1차 처리된 악취 속에 포함된 VOCs 등을 제거하는 바이오필터 내의 담체는 미생물 교반 탈리수단이 구비된 박스에 담아 수단으로 적층 설치하되, 상기 습식 바이오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수조는 지중에 매설하여 많은 량의 악취를 짧은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겨울철에도 동결 및 미생물의 사멸의 염려 없이 지속적으로 악취 처리를 할 수 있고, 또 격자식 교반구를 통해 교반시켜 담체에 과다 서식중인 미생물의 일부와 부산물 등을 자동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공적인 생물학적인 탈취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미생물의 안정적 서식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악취 탈취장치 자체의 운전 중지 없이 미생물의 과다 서식으로 인한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탈취장치의 운전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그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은 장치의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어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작은 규모의 기업체에서 자체적으로 VOC를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6064호의 탈취장치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007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6064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VOC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규모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VOC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며, 탈취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VOC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공급되는 액상의 VOC를 증발 및 농축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증발튜브를 타고 흘어 떨어지는 VOC를 저장하는 교반챔버;
상기 교반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교반시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반부; 및
상기 교반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인출하여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부에 액유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 액배출구가 마련되는 유입챔버; 상기 유입챔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유입구의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액상의 VOC가 고일 수 있도록 상기 유입챔버 상부에 횡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단 개구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 공간과 소통되는 다수의 증발튜브; 및 상기 다수의 증발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액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액상 제품이 상기 상부 공간에 흘러든 다음 상기 다수의 증발튜브의 내벽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면서 증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반챔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반챔버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장탱크의 외벽에는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챔버 및 저장탱크의 외벽 전부 또는 일부는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반챔버 내부로 스팀 및 질소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질소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스팀과 질소가스는 상기 교반챔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노즐공(43a)이 타공되어 있는 링형의 제1 분배관(43)을 통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반챔버 내부에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분배관(45)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분배관(4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덕터(47, eductors)가 상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VOC가 상기 제2 분배관(45)과 이덕터(47)를 통해 상기 교반챔버 내부에도 공급되어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증발가스가 상기 유입챔버의 중심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챔버(3) 내부 중앙에는 설치되는 증발가스유도관(53);
하단이 상기 유입챔버(3)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증발가스유도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외측이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55); 및
상기 경사판(55)의 상면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 형태로 요철부(57a)가 마련되어 있는 오버플로우관(57)을 포함하며;
유입된 VOC는 상기 오버플로우관(57)의 상단을 넘쳐 그의 외부로 흐르며 경사판(55) 상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다가 상기 경사판(55)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액배출공(13)을 통해 상기 증발튜브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VOC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규모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VOC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며, 탈취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VOC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력한 교반을 통해 탈취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측에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는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의 전체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의 증발기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의 교반부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의 유압챔버의 개략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의 증발챔버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는 공급된 액상의 VOC를 순환시키면서 증발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증발 및 농축시킴으로써 탈취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증발기(1)는 공급되는 액상의 VOC를 증발 및 농축시키며 본 발명에 의하면 직립 설치된 다수의 증발튜브(7) 상부에서 그 내부로 액상 제품을 투하함으로써 액상물질이 증발튜브(7)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동안 증발이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의 증발기이다. 이를 일반적으로 강하막식 증발기(falling film evaporator)라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을 경료한 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152305호). 그러므로 이하에서 증발기(1)의 구성은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증발기(1)는 유입챔버(3), 증발튜브(7) 및 증발챔버(9)를 포함한다.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유입챔버(3)의 상부에는 액유입구(11)와 배기구(12)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액배출공(13)이 마련된다. 상기 유입챔버(3)에는 액유입구(11)보다 낮은 위치에 상부플레이트(15)가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부플레이트(15)는 유입되는 액상의 VOC가 유입챔버(3)의 저장공간에 고일 수 있도록 한다.
다수 개의 증발튜브(7)가 상부플레이트(15)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 설치된다. 증발튜브(7)의 개수, 직경 및 길이는 정해진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조정된다.
각 증발튜브(7)에서 동시에 증발이 이루어지며, 증발튜브(7)의 외측에는 원통형상의 증발챔버(9)가 모든 증발튜브(7)를 에워싸도록 설치된다. 유입챔버(3)가 증발챔버(9)의 상단에 얹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증발챔버(9)의 하단은 후술되는 교반챔버(17)의 상판에 연결된다. 증발튜브(7)의 하단은 하부플레이트(19)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증발챔버(9)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유닛(unit) 형태로 조립된 다음 유입챔버(3)의 하단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증발튜브(7)의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5)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됨으로써 증발튜브(7)의 상단 개구부가 상부플레이트(15)의 상부 공간과 소통되게 된다. 액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액상의 VOC는 이 공간에 흘러든 다음 상기 증발튜브(7)의 내벽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면서 증발되게 된다. 증발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튜브(7)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열에 의해 증발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증발튜브(7)와 증발챔버(9)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고온의 물질을 투입함으로써 증발튜브(7)를 가열하는 방식을 취한다. 고온의 물질은 제1 스팀공급부(25)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스팀유입구(21)와 제1스팀배출구(23)가 증발챔버(9)의 측벽에 마련되고 있다. 스팀을 대신하여 오일, 전열히터 또는 열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증발에 의해 생기는 가스(gas)는 비중이 낮기 때문에 유입챔버(3)의 상단에 마련되는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체는 증발튜브(7)의 하부로 낙하하여 교반챔버(17)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즉 교반챔버(17)에는 증발되지 않은 액이 일정 한도까지 축적되게 된다.
교반챔버(17)는 증발기(1)의 직하부에 위치되며, 다리(27)에 의해 지면에 직립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챔버(17)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인출하여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순환부(28)가 포함된다. 순환부(28)는 교반탱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액배출구(29)와, 일단이 액배출구(29)에 연결되는 순환관(31)과, 순환관(31)의 중간에 설치되는 펌프(33)와, 순환관(31)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유입챔버(3)에 마련되어 있는 액유입구(11)를 포함한다. 순환유량과 펌프(33)의 온오프는 소정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챔버(17)에서 배출된 순환VOC는 2곳으로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한 곳은 유입챔버(3)이고 다른 곳은 교반챔버(17)일 수 있다. 동일한 유량으로 또는 비율로 나뉘어져 공급될 수도 있지만, 처리 속도 등 작업상황에 따라 분배율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튜브(7)로 공급되는 유량이 과다하여 증발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을 경우, 초과유량을 교반챔버(17)로 보내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반챔버(17)에도 교반을 목적으로 증발튜브(7)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챔버(17) 내부로 모인 VOC를 교반하여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반부(37)가 포함된다. 교반부(37)는 교반챔버(17)의 내부로 VOC, 스팀 또는 질소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VOC는 순환부(28)에 의해 공급될 수 있으며, 스팀은 제2스팀공급부(35)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질소가스는 질소가스 공급부(4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스팀과 질소가스는 교반챔버(17)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노즐공(43a)이 타공되어 있는 링형의 제1 분배관(43)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스팀과 질소가스는 교반챔버(17)의 바닥판을 향해 분출됨으로써 교반챔버(17)에 가라앉아 있는 물질이 부상하여 교반되도록 한다.
그리고 VOC는 제1 분배관(43)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링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분배관(45)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제2 분배관(4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덕터(47, eductors)가 상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덕터(47)의 배출구(47a)는 배출유체가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K, 예를 들어, 15°)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교반챔버(17)의 외벽에는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교반챔버(17)의 외벽 전부 또는 일부는 단열재(49)가 설치될 수 있다.
가열수단은 교반챔버(17)의 외벽에 나선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나선관 형태의 자켓(51)과, 이 자켓(51) 내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제3스팀공급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자켓(51)은 접촉면적을 늘이기 위하여 단면이 반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자켓(51)의 일측에는 제2스팀유입구(51a)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2스팀배출구(51b)가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강하막식 증발기(1)의 액유입구(11)로 투입된 액은 증발튜브(7)를 타고 교반챔버(17) 내부로 떨어진다. 이 과정에서 증발이 이루어지고 증발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 또는 수증기는 배기구(12)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고 미도시된 콘덴서, 필터 등으로 공급되어 처리되거나 대기로 방출된다. 도 2에서 증발가스는 점선 화살표로, 농축된 VOC는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교반챔버(17)로 떨어진 액은 교반부(37)에 의해 교반된다. 교반과정에서 VOC, 스팀 및 질소가스가 공급되어 서로 반응을 일으키며 탈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탈취는 공급되는 수분, 질소와 VOC 성분이 흡착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교반챔버(17)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작업은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의해 구체화되는 되는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기존에 본 발명자가 특허를 경료한 증발기(국내 특허등록 제10-1152305호)와 상이한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증발기(1)의 유입챔버(3)에는 배플판(52)이 설치된다. 배기과정에서 투입되고 있는 액상물질이 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입챔버(3) 내부 중앙에는 증발가스가 중심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증발가스유도관(53)이 설치된다. 증발가스유도관(53)은 하단이 유입챔버(3)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증발가스유도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경사판(55)에 의해 설치된다. 경사판(55)은 외측이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증발가스는 중심으로 모이면서 상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경사판(55)의 상면 중간부분에는 오버플로우관(57)이 증발가스유도관(53) 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오버플로우관(57)의 상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 형태로 요철부(57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액유입구(11)는 엘(L)자로 절곡된 유도관(59)과 연결되고 유도관(59)의 배출구는 증발가스유도관(53)과 오버플로우관(57)의 사이에 개구되어 있다. 유입된 VOC는 오버플로우관(57)의 상단을 넘쳐 그의 외부로 흐르며 경사판(55) 상면을 따라 아래로 흐른다. 한편 경사판(55)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액배출공(13)이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VOC는 이 액배출공(13)을 통해 유입챔버(3)와 증발챔버(9)를 연결하고 있는 깔때기 형태의 연결확관(61)의 내벽을 타고 하방으로 흐른다. 연결확관(61)을 타고 떨어진 VOC는 상부플레이트(15) 상에 모인 다음 어댑터(63)를 통해 증발튜브(7)로 유입된다. 이 어댑터(63)는 상기 특허등록 제10-1152305호의 어댑터(공보의 도면부호 17)를 참조하면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65,67은 맨홀이며, 69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창이며, 71은 사다리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증발기 3 : 유입챔버
7 : 증발튜브 9 : 증발챔버
11 : 액유입구 12 : 배기구
13 : 액배출공 15 : 상부플레이트
17 : 교반챔버 19 : 하부플레이트
21 : 제1스팀유입구 23 : 제1스팀배출구
25,35,39 : 제1,2,3 스팀공급부
27 : 다리 28 : 순환부
29 : 액배출구 31 : 순환관
33 : 펌프 37 : 교반부
41 : 질소가스 공급부 43,45 : 제1,2분배관
47 : 이덕터(eductors) 49 : 단열재
51 : 자켓 53 : 증발가스유도관
55 : 경사판 57 : 오버플로우관
61 : 연결확관 63 : 어댑터
65,67 : 맨홀 69 : 투시창
71 : 사다리

Claims (6)

  1. 공급되는 액상의 VOC를 증발 및 농축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증발튜브를 타고 흘어 떨어지는 VOC를 저장하는 교반챔버;
    상기 교반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교반시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반부; 및
    상기 교반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VOC를 인출하여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부에 액유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 액배출구가 마련되는 유입챔버; 상기 유입챔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유입구의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액상의 VOC가 고일 수 있도록 상기 유입챔버 상부에 횡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단 개구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 공간과 소통되는 다수의 증발튜브; 및 상기 다수의 증발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액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액상 제품이 상기 공간에 흘러든 다음 상기 다수의 증발튜브의 내벽을 타고 하방으로 흐르면서 증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챔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챔버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챔버 내부로 스팀 및 질소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질소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스팀과 질소가스는 상기 교반챔버(17)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노즐공(43a)이 타공되어 있는 링형의 제1 분배관(43)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챔버 내부에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분배관(45)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분배관(4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덕터(47, eductors)가 상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VOC가 상기 제2 분배관(45)과 이덕터(47)를 통해 상기 교반챔버 내부에도 공급되어 교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증발가스가 상기 유입챔버의 중심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챔버(3) 내부 중앙에는 설치되는 증발가스유도관(53);
    하단이 상기 유입챔버(3)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증발가스유도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외측이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55); 및
    상기 경사판(55)의 상면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 형태로 요철부(57a)가 마련되어 있는 오버플로우관(57)을 포함하며;
    유입된 VOC는 상기 오버플로우관(57)의 상단을 넘쳐 그의 외부로 흐르며 경사판(55) 상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다가 상기 경사판(55)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액배출공(13)을 통해 상기 증발튜브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KR1020230077873A 2023-06-19 2023-06-19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KR10261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873A KR102618703B1 (ko) 2023-06-19 2023-06-19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873A KR102618703B1 (ko) 2023-06-19 2023-06-19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703B1 true KR102618703B1 (ko) 2023-12-28

Family

ID=8938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873A KR102618703B1 (ko) 2023-06-19 2023-06-19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54270A (zh) * 2024-05-13 2024-08-09 辽宁牧和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蒸汽搅拌的植物油精炼脱臭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436B1 (ko) * 1998-06-11 2001-05-02 김재국 고농도폐수복합처리방법
KR100860077B1 (ko) 2007-05-30 2008-09-24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KR101056064B1 (ko) 2008-11-26 2011-08-10 서정석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KR101152305B1 (ko) * 2011-10-31 2012-06-11 (주)송산피엔이 증발기
KR102464461B1 (ko) * 2020-08-07 2022-11-10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고염 및 고농도 폐수 증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436B1 (ko) * 1998-06-11 2001-05-02 김재국 고농도폐수복합처리방법
KR100860077B1 (ko) 2007-05-30 2008-09-24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KR101056064B1 (ko) 2008-11-26 2011-08-10 서정석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KR101152305B1 (ko) * 2011-10-31 2012-06-11 (주)송산피엔이 증발기
KR102464461B1 (ko) * 2020-08-07 2022-11-10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고염 및 고농도 폐수 증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54270A (zh) * 2024-05-13 2024-08-09 辽宁牧和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蒸汽搅拌的植物油精炼脱臭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3174B1 (en) Liquid evaporation system with heated liquid
US88407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iosolids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JPH02141487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1591849B1 (ko) 세정식 탈취장치
KR201800978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618703B1 (ko) 강하막식 증발기를 이용한 voc 탈취장치
KR10181384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102345126B1 (ko) 슬러지 처리장치
US3883329A (en) High efficiency vapor control system
KR102004032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1855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46831B1 (ko) 다단 적층 구조형 멀티 팩타워
KR100816488B1 (ko) 분뇨 응축건조장치
KR102221037B1 (ko) 악취 가스 내 악취 유발 성분 세정식 탈취기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EP3580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oduce drinking water by evaporation
KR200156952Y1 (ko) 활성부식질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313141B1 (ko)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KR102604804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472186B1 (ko) 밀폐순환식 악취제거 열풍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KR1006127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탈취 장치
KR102539454B1 (ko) 악취제거시스템용 열교환장치
KR20230136306A (ko) 음식물 쓰레기 인덕션 건조기
RU2116815C1 (ru) Выпарно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