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141B1 -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41B1
KR101313141B1 KR1020110081571A KR20110081571A KR101313141B1 KR 101313141 B1 KR101313141 B1 KR 101313141B1 KR 1020110081571 A KR1020110081571 A KR 1020110081571A KR 20110081571 A KR20110081571 A KR 20110081571A KR 101313141 B1 KR101313141 B1 KR 10131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input
air
hot air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556A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Priority to KR102011008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1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이 텅 비어 있으며,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인풋이 형성되고 상기 인풋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아웃풋이 타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켓과; 상기 인풋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과;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가열하여 상기 자켓의 내벽을 가열하는 동시에 아웃풋을 통해 배출된 공기를 자켓의 내측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시켜 파이프와 접촉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아웃풋 측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HOT AIR SUPPLYING APPARATUS REMOVING BAD SMELL}
본 발명은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비어있고,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인풋 및 배출을 위한 아웃풋이 형성되며 상기 인풋으로 공급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내벽을 따라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켓과; 상기 인풋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과;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가열하여 상기 자켓의 내벽을 가열하는 동시에 아웃풋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아웃풋 측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 식당, 축사, 산업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이나 가축분뇨 또는 산업용 슬러지로 인해 각종 처리시설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슬러지 건조가 이루어지는 사업장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탈취 방법에는 포집한 악취를 활성탄 등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흡착법, 열을 이용하여 악취 물질을 산화시키는 연소법, 용액으로 흡수시켜 제거하는 세정법, 미생물 또는 미생물을 담지한 담체를 충진한 탑(tower)에 악취를 통과시켜 제거하는 미생물 탈취법 및 소, 탈취제를 뿌려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탈취 방법에 따라 각 악취 물질별 제거 효율은 많은 차이를 보인다. 흡착법과 연소법은 거의 모든 악취 물질에 대해 유효하고, 나머지 방법들은 각 악취 물질에 따라 제거 효율에 큰 차이가 있다.
흡착법은 대체로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흡착법은 초기 투자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활성탄을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설비의 유지비 및 운영 비용이 많이 든다.
연소법에는 포집된 악취 물질을 연료를 이용하여 직접 연소시키거나 촉매를 이용하여 연소시킨 다음 대기중에 방출하는 방법이 있다.
연소법의 경우에는 설비의 작동 및 관리가 용이하여 화학공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설비가 고가이며, 배기가스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연료비도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의 악취제거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6338호에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설비를 통해 악취가 제거된 고온의 공기를 건조기 또는 보일러와 같이 고온의 공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설비에 투입 가능한 열풍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고,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인풋 및 배출을 위한 아웃풋이 형성되며 상기 인풋으로 공급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내벽을 따라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켓과; 상기 인풋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과;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가열하여 상기 자켓의 내벽을 가열하는 동시에 아웃풋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아웃풋 측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는 인풋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자켓 내부를 따라 장시간 체류하면서 가열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원으로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는 슬러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제거된 고온의 공기를 보일러나 건조장치와 같이 고온의 열풍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재투입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의 파이프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내측이 텅 비어 있으며,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인풋(11)이 형성되고 상기 인풋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13)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아웃풋(12)이 타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켓(10)과; 상기 인풋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20)과;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30); 및 상기 파이프를 가열하여 상기 자켓의 내벽을 가열하는 동시에 아웃풋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아웃풋 측에 설치되는 가열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켓(10)은 내측이 텅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자켓의 일측에 인풋(11)이 형성되고, 상기 인풋으로부터 투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풋(12)이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켓의 내부에는 상기 인풋(11)과 아웃풋(12)을 연결하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통로(13)가 형성되며, 상기 인풋(1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로(13)를 따라 이동하여 아웃풋(12)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상기 아웃풋(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자켓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로(13)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인풋(11)을 통해 투입된 공기가 자켓(10)의 내부에서 장시간 체류하면서 아웃풋(12)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풋(11)의 외측에는 공기를 원활하게 투입하기 위한 팬(20)이 설치되며, 상기 팬(20)은 인풋(11)에 공기를 투입하여 통로(13)를 따라 아웃풋(12)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30)와, 상기 파이프를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장치(40)는 상기 자켓(10)의 아웃풋(12) 측에 설치되며, 고온의 화염을 분출하여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를 가열하여 고온으로 발열되도록 하고, 상기 가열된 파이프의 열로 인해 자켓의 내벽 또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통로(13)를 따라 이동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프(30)는 녹는점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 고온으로 가열되었을 때 그 열을 공기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철, 구리,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녹는점이 약 1530℃이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풋(11)에 투입된 공기는 자켓(10) 내부에 형성된 통로(13)를 따라 아웃풋(12) 측으로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가열되고, 상기 아웃풋(12)으로 배출된 공기는 자켓의 내측에 채워진 복수의 파이프(30)와 접촉하면서 악취는 제거되고 고온으로 가열된 열풍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켓(10)에 구비되는 배출구(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형성되어 자켓(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출구(50)로 배출되어 보일러나 건조장치와 같은 설비에 열원으로 재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10 : 자켓 11 : 인풋
12 : 아웃풋 13 : 통로
20 : 팬 30 : 파이프
40 : 가열장치 50 : 배출구

Claims (3)

  1. 내부가 비어있고,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인풋 및 배출을 위한 아웃풋이 형성되며 상기 인풋으로 공급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내벽을 따라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켓과;
    상기 인풋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과;
    상기 자켓의 내측에 채워지는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가열하여 상기 자켓의 내벽을 가열하는 동시에 아웃풋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파이프와 접촉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아웃풋 측에 설치되는 가열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인풋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자켓 내부를 따라 장시간 체류하면서 가열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원으로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KR1020110081571A 2011-08-17 2011-08-17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KR101313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571A KR101313141B1 (ko) 2011-08-17 2011-08-17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571A KR101313141B1 (ko) 2011-08-17 2011-08-17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56A KR20130019556A (ko) 2013-02-27
KR101313141B1 true KR101313141B1 (ko) 2013-09-30

Family

ID=4789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571A KR101313141B1 (ko) 2011-08-17 2011-08-17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3998B (zh) * 2018-06-12 2024-04-02 福建优净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出风口装置及其杀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650A (ja) 2002-09-12 2004-04-02 Shinnetsu Kogyo Kk 脱臭器
KR20060055785A (ko) * 2004-11-19 2006-05-24 장현태 탈취 겸용 열풍기
JP2006207864A (ja) 2005-01-25 2006-08-10 Trinity Ind Corp 燃焼脱臭装置、及び燃焼脱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650A (ja) 2002-09-12 2004-04-02 Shinnetsu Kogyo Kk 脱臭器
KR20060055785A (ko) * 2004-11-19 2006-05-24 장현태 탈취 겸용 열풍기
JP2006207864A (ja) 2005-01-25 2006-08-10 Trinity Ind Corp 燃焼脱臭装置、及び燃焼脱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56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044B1 (ko) 정수처리 또는 하수처리에 사용되는 활성탄 여과제 재생 시스템
JP2013154316A (ja) 有機系廃棄物の発酵処理方法及び同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1792782B1 (ko) 일체형 슬러지 건조장치 및 슬러지 건조방법
KR100406496B1 (ko)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KR1021698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101313141B1 (ko) 악취가 제거된 열풍 공급장치
KR101154826B1 (ko)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102123818B1 (ko) 열수탄화를 이용한 고형 폐기물 처리방법
KR20130035435A (ko) 악취제거장치
KR101807244B1 (ko) 바이오가스 제조 장치
KR101293939B1 (ko) 하수 및 폐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제거를 위한 탈취장치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1003374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925234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645171B1 (ko) 반도체 및 VOCs 배출공정에서 발생되는 난분해성 유해폐가스 처리 시스템
KR101236850B1 (ko)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70063013A (ko) 정화수를 이용한 탈취모듈
KR101083033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 보일러
KR101619195B1 (ko) 악취 열분해 장치
KR101229985B1 (ko) 오염공기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101146831B1 (ko) 다단 적층 구조형 멀티 팩타워
KR102472186B1 (ko) 밀폐순환식 악취제거 열풍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CN207950226U (zh) 一种电子除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