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618B1 -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618B1
KR102618618B1 KR1020210114671A KR20210114671A KR102618618B1 KR 102618618 B1 KR102618618 B1 KR 102618618B1 KR 1020210114671 A KR1020210114671 A KR 1020210114671A KR 20210114671 A KR20210114671 A KR 20210114671A KR 102618618 B1 KR102618618 B1 KR 10261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vel
test
base frame
sea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163A (ko
Inventor
이만기
최용
홍영진
김정준
김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6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1Testing of furniture, e.g. seats or matt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블모터; 상기 스위블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위블기어; 상기 스위블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위블플레이트;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테스트 시트; 및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스트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Swievel Seat Test Bed for Autonomous Vehicles}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블플레이트 상에 테스트 시트를 장착하고 시트의 회전 속도와 각도 위치를 조절하며 시험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는 승객에게 편안한 승차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시트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트랙 장치, 승객의 다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레그 레스트 등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면서,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차량 시트에 대한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이 중,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시트로, 일반적인 주행모드 외에 승객간 대화모드, 릴렉스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시트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 구조의 예로,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위블 메커니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위블 메커니즘을 갖는 차량용 시트는 다목적 차량(Multi Purpose Vehicle)의 2열 또는 자율주행 차량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 스위블이 적용된 차량 시트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매뉴얼 사양이 다수 적용되었기 때문에 승객이 직접 레버를 잡아당겨 시트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스위블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레버 및 락킹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차량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위블 시트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감성 품질을 감안해야 한다. 스위블 시트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스위블 시트를 회전시켜서 시험하는 테스트장치는 현재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48820호
본 발명은 스위블플레이트 상에 테스트 시트를 장착하고 시트의 회전 속도와 각도 위치를 조절하며 시험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블모터; 상기 스위블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위블기어; 상기 스위블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위블플레이트;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테스트 시트; 및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스트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블모터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는 베벨기어박스;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아래에 장착되고 상기 베벨기어박스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스위블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스위블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블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블플레이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캠팔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블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테스트 시트의 회전 속도 및 각도 위치를 제어하는 유선리모컨과, 상기 유선리모컨과 GPIO에 의해 연결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와 CAN 통신하며 상기 스위블모터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와, 상기 제어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리모컨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의 스위블 각도 위치를 지정하는 스위블 위치 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 회전 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의 회전 속도를 가감하는 회전속도 조절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의 기억된 스위블 각도 위치로 이동시키는 특정위치 선택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베드에 이상 발생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에 의하면, 스위블플레이트 상에 테스트 시트를 장착하고 시트의 회전 속도와 각도 위치를 조절하며 시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에 테스트 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나타내는 상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나타내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의 전장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리모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에 테스트 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나타내는 상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나타내는 하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100)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블모터(120), 스위블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위블기어(150), 스위블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위블플레이트(170),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테스트 시트(190), 및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테스트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레벨링 풋(115)을 통해 지면 또는 바닥에 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레벨링 풋(115)은 각각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안착 높이를 조절하고 그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스위블모터(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스위블모터(120)는 모터브라켓에 모터축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스위블모터(120)는 정역회전 가능한 전기모터로서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블기어(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심 아래에 배치되고 스위블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스위블기어(150)는 회전축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스퍼기어일 수 있다.
스위블플레이트(170)는 스위블기어(15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스위블모터(120)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스위블플레이트(170)는 원형 디스크 형태로 구성되고 그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블플레이트(170)의 상면에는 테스트 시트(190)가 장착될 수 있다. 테스트 시트(190)는 시험 대상이 되는 시트로서, 스위블플레이트(17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92)과,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석부(194)와, 좌석부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테스트 시트(190)의 프레임 구조와 그 구동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92) 사이에는 좌석부(194)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되고, 등받이부(196)에는 좌석부(194)에 대해 등받이부(196)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스위블플레이트(17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테스트 시트(19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래서, 테스트 시트(190)에 착석한 사용자가 스위블모터(1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테스트 시트(190)의 스위블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테스트 시트(190)의 회전 방향, 속도, 각도 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모터(120)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는 베벨기어박스(130), 및 베이스 프레임(110)의 아래에 장착되고 베벨기어박스에 의해 회전되어 스위블기어(15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벨기어박스(130)는 스위블모터(12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수평방향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바꾸어 전달한다. 스위블모터(120)의 모터축에 결합된 구동 베벨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베벨기어는 그 회전축이 베이스 프레임(110)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종동 베벨기어의 회전축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동기어(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아래에 장착되고 베벨기어박스(130)에 의해 회전되어 스위블기어(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어(140)는 스위블기어(150)보다 작은 스퍼기어로서, 구동기어(140)와 스위블기어(150)를 통해 스위블모터(120)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스위블플레이트(1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과 스위블플레이트(170) 사이에 장착되고 스위블기어(15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스위블플레이트(17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모듈(16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 중심에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스위블기어(150)의 회전축 상부가 베어링모듈(16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모듈(160)의 상면에는 스위블플레이트(170)가 복수의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모듈(160)의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위블플레이트(170)에도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스위블플레이트(17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캠팔로워(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캠팔로워(cam follower, 180)는 스위블플레이트(17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6개가 배열될 수 있다. 캠팔로워(18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체결되는 장착브라켓(182)에 장착될 수 있다. 각 캠팔로워(180)는 그 회전축이 스위블플레이트(17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는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구조의 테스트 시트와 이에 착석한 무거운 사람을 소정 속도로 함께 회전시키며 각종 내구성과 감성 등을 시험할 수 있다.
도 5는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의 전장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리모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스위블모터(120)를 제어하여 테스트 시트의 회전 속도 및 각도 위치를 제어하는 유선리모컨(210)과, 유선리모컨과 GPIO(220)에 의해 연결되는 제어보드(230)와, 제어보드와 CAN(240) 통신하며 스위블모터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250)와, 제어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매니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리모컨(210)은 제어부(200)의 제어보드(230)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테스트 시트(190)에 착석한 사람이 더욱 쉽게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유선리모컨(210)은 스위블모터(120)를 제어하여 테스트 시트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각도 위치 등을 제어하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어보드(23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으로서, 예를 들어 STM32F407VET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보드(230)의 일측에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220)가 구비되어 유선리모컨(210)이 연결될 수 있다. GPIO(2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주변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범용으로 사용되는 입력 출력 포트로서, 유선리모컨(210)의 전선과 통신선이 접속될 수 있다.
모터드라이버(250)는 제어보드(2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보드(2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블모터(120)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드라이버(250)는 제어보드(230)와 CAN(240)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이다.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은 CA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CAN 통신은 메시지 기반 프로토콜이며 최근에는 차량 뿐만 아니라 산업용 자동화기기나 의료용 장비에서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 CAN은 각 제어기들 간의 통신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non-host 버스 방식의 메시지 기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아울러, 스위블모터(120)에는 엔코더(270)가 구비되어 스위블모터(120)의 회전 속도 및 스위블 각도 위치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보드(230)와 모터드라이버(250)는 엔코더(270)의 측정값을 실시간 전송받아 스위블모터(120)를 피드백 제어하여 구동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60)는 제어보드(230)와 이를 통해 스위블모터(120)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60)는 24V DC 입력 전력을 DC 12V, 5V, 3.3V로 변환하여 각각 제어보드(230)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리모컨(210)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211)와, 테스트 시트(190)의 스위블 각도 위치를 지정하는 스위블 위치 스위치(212)와, 테스트 시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 회전 스위치(213)와, 테스트 시트의 회전 속도를 가감하는 회전속도 조절스위치(214)와, 테스트 시트의 기억된 스위블 각도 위치로 이동시키는 특정위치 선택스위치(215)와, 테스트 베드에 이상 발생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211)는 유선리모컨(21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스위블 위치 스위치(212)는 운전자가 테스트 시트(190)의 스위블 각도 위치를 특정한 각도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블 위치 스위치(212)는 테스트 시트(190)를 기준 방향인 전방을 기준으로 하여 45도, 90도, 135도, 180도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회전 스위치(213)는 테스트 시트(190)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회전형 레버 형태의 스위치일 수 있다. 시트 회전 스위치(2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테스트 시트(19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시트 회전 스위치(21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테스트 시트(190)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형 레버를 소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테스트 시트(190)가 소정의 단위 각도(예를 들면, 10도)만큼 회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회전속도 조절스위치(214)는 테스트 시트(190)의 회전 속도를 가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회전속도 조절스위치(214)는 "-"와 "+"의 2가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위치 선택스위치(215)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테스트 시트(190)의 스위블 각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정위치 선택스위치(215)는 테스트 시트(190)의 현재 위치를 기억하도록 누르는 버튼과, 기억되어 있는 특정한 회전 각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누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정지 스위치(216)는 테스트 베드(100) 내지 움직이는 테스트 시트(190)에 이상 발생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이다. 즉, 비상정지 스위치(216)는 테스트 시트(190) 또는 테스트 베드(100)의 특히 움직이는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장치가 파손되거나 탑승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베드(100) 전체의 작동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에 의하면, 운전자가 테스트 시트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테스트 시트를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테스트 시트의 회전 작동을 유선리모컨을 통해 매우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시트의 회전 시작시 가속도와 회전 정지시 감속도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탑승자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되는 스위블플레이트 상면에 다양한 형태의 스위블 시트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스위블 시트를 호환가능하게 장착하여 시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110: 베이스 프레임 115: 레벨링 풋
120: 스위블모터 130: 베벨기어박스
140: 구동기어 150: 스위블기어
160: 베어링모듈 170: 스위블플레이트
180: 캠팔로워 182: 장착브라켓
190: 테스트 시트 192: 가이드레일
194: 좌석부 196: 등받이부
200: 제어부
210: 유선리모컨 211: 전원스위치
212: 스위블 위치 스위치 213: 시트 회전 스위치
214: 회전속도 조절스위치 215: 특정위치 선택스위치
216: 비상정지 스위치 220: GPIO
230: 제어보드 240: CAN
250: 모터드라이버 260: 파워 매니저
270: 엔코더

Claims (6)

  1.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블모터;
    상기 스위블모터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는 베벨기어박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아래에 장착되고 상기 베벨기어박스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아래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스위블기어;
    상기 스위블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원형 디스크 형태의 스위블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스위블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블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블플레이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모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된 장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복수의 캠팔로워;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테스트 시트; 및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스트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시트는 상기 스위블플레이트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블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테스트 시트의 회전 속도 및 각도 위치를 제어하는 유선리모컨과,
    상기 유선리모컨과 GPIO에 의해 연결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와 CAN 통신하며 상기 스위블모터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와,
    상기 제어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리모컨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의 스위블 각도 위치를 지정하는 스위블 위치 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 회전 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의 회전 속도를 가감하는 회전속도 조절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시트의 기억된 스위블 각도 위치로 이동시키는 특정위치 선택스위치와,
    상기 테스트 베드에 이상 발생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KR1020210114671A 2021-08-30 2021-08-30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KR10261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671A KR102618618B1 (ko) 2021-08-30 2021-08-30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671A KR102618618B1 (ko) 2021-08-30 2021-08-30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63A KR20230032163A (ko) 2023-03-07
KR102618618B1 true KR102618618B1 (ko) 2023-12-27

Family

ID=8551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671A KR102618618B1 (ko) 2021-08-30 2021-08-30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6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327B1 (ko) * 2015-12-11 2017-10-11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무한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굴삭기 시뮬레이터
KR102133395B1 (ko) * 2018-10-29 2020-07-13 (주)이노시뮬레이션 다자유도 모션 시스템
KR102148820B1 (ko) * 2018-08-30 2020-08-2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609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상신정공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327B1 (ko) * 2015-12-11 2017-10-11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무한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굴삭기 시뮬레이터
KR102148820B1 (ko) * 2018-08-30 2020-08-2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KR102133395B1 (ko) * 2018-10-29 2020-07-13 (주)이노시뮬레이션 다자유도 모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63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4130B2 (en) Transfer seat with locking mechanism
US11890972B2 (en) Vehicle access seating
CN107380178B (zh) 一种可自动调整姿态的地铁无人驾驶台
US10676002B2 (en) Vehicle seat with cantilevered headrest assembly and positioning system
WO2014010364A1 (ja) 車両の運転席用シート装置
US8983634B2 (en) Vehicular entertainment stage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US7735930B2 (en) Width control device of armrest for vehicles
KR102618618B1 (ko) 자율주행차의 스위블 시트 테스트 베드
JP2020083204A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20110090495A (ko) 조타실 의자
KR100700669B1 (ko) 열차용 회전식 의자시스템
JP2009160303A (ja) 自動車用乗降補助装置
CN207120756U (zh) 一种地铁无人驾驶控制台
CN215921980U (zh) 汽车儿童安全座椅头托高度无级调节机构
KR101441666B1 (ko) 차량용 전동시트 높낮이 구동유니트
CN220410832U (zh) 一种船用防眩晕座椅
CN216508019U (zh) 汽车儿童安全座椅侧翼宽度无级调节机构
JP2819138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駆動機構
CN217022287U (zh) 一种一体式长行程头枕
CN214396522U (zh) 用于汽车的汽车床及汽车
CN215663055U (zh) 一种一体式电动调节头枕
CN215752065U (zh) 带电动扶手的座椅
CN116279624A (zh) 一种手自一体司机座椅
JPH0629000B2 (ja) 自動車の座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