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481B1 -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 Google Patents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481B1
KR102618481B1 KR1020230075093A KR20230075093A KR102618481B1 KR 102618481 B1 KR102618481 B1 KR 102618481B1 KR 1020230075093 A KR1020230075093 A KR 1020230075093A KR 20230075093 A KR20230075093 A KR 20230075093A KR 102618481 B1 KR102618481 B1 KR 10261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eaning
ball
defective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제
금태련
김용훈
류선호
이강진
장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조창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조창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Priority to KR102023007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2Spherically shaped p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2209/053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2209/055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측에는 세정볼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세정볼투입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세정볼투입관; 상기 정상볼배출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상볼배출관; 상기 몸체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볼투입관과 정상볼배출관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이 형성된 선별배관; 상기 세정볼투입관과 선별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으로 이송되는 세정볼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곡선형이음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을 통과한 불량볼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볼배출관; 상기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는 전,후측으로 개구된 몸체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후측 각각에 탈부착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SPONGE DEFECTIVE BALL SORTER FOR CONDENSER TUB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기에 설치되어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는 세정볼 중 섞여있는 불량볼을 선별하기 위하여 유속의 흐름을 변화시켜 정상볼보다 크기가 작은 불량볼을 용아하게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불량볼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크게 원자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태양열 발전소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복합 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중 화력 발전소(Thermoelectric Power Plant)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킨 열을 이용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를 만들고, 이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증기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화력 발전소의 발전설비 순환계통은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압/고온의 증기가 공급배관을 통하여 증기터빈으로 공급되어 증기터빈을 회전시킨 후 연결배관을 통하여 복수기로 배출된다.
복수기에서는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고압/고온의 증기를 해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냉각수로 사용된 해수를 배수로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복수기 내에서 냉각된 증기는 체적이 감소하게 되며 이때 응축되지 않은 증기는 대기로 방출되고, 응축된 응축수는 다시 급수펌프를 통하여 보일러로 재공급된 후 보일러에서 재가열되어 증기터빈으로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설비에 설치된 복수기(Condenser)는 발전용량에 따라 다수 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복수기는 냉각수관의 세정을 위하여 세정볼이 내부에 투입되고, 투입된 세정볼이 냉각수관을 순환하게 된다.
이때, 순환하는 세정볼의 표면에는 마모가 발생되고, 특정 주기가 되면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 세정볼을 교체하는 과정은 마모가 발생된 세정볼을 별도의 측정기를 이용하여 마모 정도를 측정하고, 마모가 발생된 세정볼을 따로 선별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선별에 많은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0792호(2016.09.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는 세정볼(10) 중 섞여있는 불량볼(30)을 선별하기 위하여 유속의 흐름을 변화시켜 정상볼(20)보다 크기가 작은 불량볼(30)을 용아하게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불량볼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다른 과제는 제1조절부의 제1경사조절부와 제2조절부의 제2경사조절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불량볼 선별률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선별된 불량볼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는 타측에는 세정볼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세정볼투입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세정볼투입관; 정상볼배출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상볼배출관; 몸체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세정볼투입관과 정상볼배출관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이 형성된 선별배관; 세정볼투입관과 선별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으로 이송되는 세정볼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곡선형이음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을 통과한 불량볼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볼배출관;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 및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는 세정볼(10) 중 섞여있는 불량볼(30)을 선별하기 위하여 유속의 흐름을 변화시켜 정상볼(20)보다 크기가 작은 불량볼(30)을 용아하게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불량볼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조절부의 제1경사조절부와 제2조절부의 제2경사조절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불량볼 선별률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선별된 불량볼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커버 및 가스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선별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1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1조절부 동작에 의해 물의 흐름이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2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2조절부 동작에 의해 물의 흐름이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는 세정볼(10) 중 섞여있는 불량볼(30)을 선별하기 위하여 유속의 흐름을 변화시켜 정상볼(20) 보다 크기가 작은 불량볼(30)을 용아하게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불량볼(30)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세정볼(10)은 정상볼(20)과 불량볼(30)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정상볼(20)은 세정볼(10)로부터 불량볼(30)을 선별한 후, 나머지를 의미하고, 불량볼(30)은 선별과정에서 세정볼(10)로부터 선별된 불량을 의미한다.
즉 세정볼(10)과 정상볼(20) 및 불량볼(30)이 서로 다른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세정볼(10)로부터 정상볼(20)과 불량볼(30)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세정볼(10)은 적당한 유연성, 탄력성, 내마모성을 가지기 위해 주로 천연 고무 또는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등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는 복수기에 설치되어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30)을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0), 세정볼투입관(200), 정상볼배출관(300), 선별배관(400), 곡선형이음관(500), 불량볼배출관(600), 제1조절부(700) 및 제2조절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투입된 세정볼(10)이 정상볼(20)과 불량볼(30)로 선별되어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타측에는 세정볼(10)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14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20)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전,후측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되는 커버(110)가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몸체(100)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폐가 가능한 유체 배출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배출구(130)는 몸체(10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몸체(100) 내측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체 배출구(1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커버 및 가스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커버(110)는 전,후측으로 개구된 몸체(100)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후측 각각에 볼트 체결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버(1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몸체(100)와 결합되는 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부분은 몸체(100) 내측 공간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유리와 같은 투명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켓(120)은 몸체(100)와 커버(110) 사이에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가스켓(120)은 EPDM(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몸체(100)의 전,후측 각각에 커버(110)가 결합되면, 기밀을 유지하여 몸체(100)의 내측 공간을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커버(110)는 몸체(10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 각각에서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몸체(10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는 커버(110) 중 선택된 하나의 커버(110)를 탈거하여 후술되는 제1조절부(700)의 각도조절 및 제2조절부(800)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배관은 세정볼(10)이 투입되어 통과하면서 정상볼(20)과 불량볼(30)을 선별하여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세정볼투입관(200), 정상볼배출관(300), 선별배관(400), 곡선형이음관(500) 및 불량볼배출관(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정볼투입관(200)은 세정볼투입부(14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세정볼(10) 몸체(10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
정상볼배출관(300)은 정상볼배출부(15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세정볼(10)이 후술되는 선별배관(400)을 통과하면서 불량볼(30)로 선별되지 않은 나머지 정상볼(20)이 정상볼배출관(30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선별배관(400)은 세정볼투입관(200)과 정상볼배출관(300) 사이에 구비되며, 몸체(100)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410)이 형성된다.
즉 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개구된 형태의 장공(410)이 형성된다.
이때, 장공(410)의 좌,우측 폭은 선별배관(40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세정볼(10)이 선별배관(4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세정볼(10)이나 마모가 소량 발생된 세정볼(10)은 장공(410)의 좌,우측 폭 보다 큰 직경을 갖기 때문에 장공(410)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선별배관(400)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된 후, 정상볼배출관(300)을 통해 배출되어 순환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불량볼(30)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선별배관(4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에 의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장공(410)을 통과한 후, 후술되는 불량볼배출관(600)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장공(410)의 좌,우측 폭과 세정볼(10)의 직경, 즉 크기 차이에 의해 정상볼(20)과 불량볼(30)을 선별할 수 있다.
곡선형이음관(500)은 세정볼투입관(200)과 선별배관(400)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400)으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곡선형이음관(500)은 선별배관(400)이 상,하측으로 장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세정볼투입관(200)과 선별배관(400)을 연결한다.
불량볼배출관(600)은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410)을 통과한 불량볼(30)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불량볼배출관(600)은 선별배관(400)으로부터 불량으로 선별되어 배출된 불량볼(30) 들이 후술되는 제2조절부(800)를 통과한 후, 불량볼배출관(60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선별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선별배관(400)은 도 3에서와 같이, 장공(410)의 좌,우측 폭이 상측과 하측 모두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선별배관(400)에 형성된 장공(410)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선별배관(4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측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측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공(410)의 좌,우측 폭이 가장 긴 길이는 선별배관(400)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정상볼(20)은 불량볼(3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장공(410)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선별배관(400)을 따라 중력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불량볼(30)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장공(410)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장공(410)의 좌,우측 폭이 점점 넓어지거나 또는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다수 개의 불량볼(30)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순차적으로 장공(4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의 (a)의 경우, 크기가 작은 불량볼(30)이 장공(410)의 상측에서 먼저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불량볼(30)이 장공(410)의 하측에서 나중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불량볼(30)의 선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1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1조절부 동작에 의해 물의 흐름이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조절부(700)는 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경사조절공(710) 및 제1경사조절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조절부(7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후측 각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제1상부공(711)과 상기 제1상부공(711)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1하부공(712)으로 이루어진 제1경사조절공(710)이 몸체(100) 내측 공간 전,후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경사조절부(72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의 기울기를 갖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판의 전,후측 각각에 절곡되어 타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상부공(711)과 제1하부공(712) 각각에 끼워져, 제1상부공(711)과 제1하부공(7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조절볼트(721)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조절부(700)는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제1경사조절부(72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경사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이 제1경사조절부(720)의 경사면을 따라 완만하게 흐르게 되고, 이에, 유체의 흐름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려는 강한 힘이 발생되어 선별배관(400)을 통과하는 세정볼(10)이 장공(410) 측으로 강한 힘을 받아 불량볼(30) 선별이 강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불량볼(30) 선별률이 높아지도록 한다.
반대로, 제1경사조절부(72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경사면이 급격한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됨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하측으로 이동시키려는 강한 힘이 발생되어 선별배관(400)을 통과하는 세정볼(10)의 불량볼(30) 선별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한다.
즉 제1조절부(700)는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함에 따라, 불량볼(30) 선별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커버(110)는 제1조절부(700)의 전,후측 각각에 구비되는 제1경사조절공(710)이 안내되도록 중간부분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삭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삭부(111)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1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한 면에 내측으로 절삭되어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조절부(700)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절삭부(111)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조절부(7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2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에서 제2조절부 동작에 의해 물의 흐름이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조절부(800)는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2경사조절공(810), 제2경사조절부(820), 배출가이드부(830) 및 이탈방지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2조절부(80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후측 각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상부공(811)과 상기 제2상부공(811)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2하부공(812)으로 이루어진 제2경사조절공(810)이 몸체(100) 내측 공간 전,후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경사조절부(82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측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의 기울기를 갖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판의 전,후측 각각에 절곡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2상부공(811)과 제2하부공(812) 각각에 끼워져, 제2상부공(811)과 제2하부공(8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조절볼트(821)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조절부(800)는 제1조절부(700)와 더불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사조절부(820)를 제2상부공(811)과 제2하부공(812)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경사각이 완만한 형태로 이루어져 유체의 흐름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강하게 흐르도록 하고, 반대로, 제2경사조절부(820)를 제2상부공(811)과 제2하부공(812)을 따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경사각이 급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강하게 흐르도록 한다.
이에, 제1조절부(700)와 제2조절부(800) 각각에 구비되는 제1경사조절부(720)와 제2경사조절부(82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불량볼(30) 선별률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가이드부(83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별배관(400)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고, 타측 일부분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일측 나머지 일부분은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불량볼배출관(600)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배출가이드부(830)는 불량볼(30)로 선별되어 장공(410)을 통해 배출된 불량볼(30)들이 배출가이드부(830)를 따라 불량볼배출관(600)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제2조절부(800)는 몸체(100)의 전,후측 각각에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별배관(400)으로부터 선별되어 배출된 불량볼(30) 들이 제2조절부(800) 배출가이드부(830)를 통해 불량볼배출관(600)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제2조절부(800) 상측으로 잘못 이송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제2조절부(800) 상단에 전,후측을 커버하는 이탈방지부(8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840)는 제2조절부(800)의 상측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여 불량볼(30)이 제2조절부(800) 상측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결속부(841) 및 차단부(8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속부(841)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조절부(800)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차단부(842)는 결속부(841) 끝단에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별배관(400)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선별배관(400)으로부터 선별되어 배출된 불량볼(30) 들은 상기 선별배관(400) 보다 상측에 위치한 차단부(842)에 의해 제2조절부(800) 상측으로 이송되지 않고, 하측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불량볼배출관(60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단부(842)는 유체는 통과하고, 불량볼(30)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불량볼(30)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을 갖는 그리드(망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는 세정볼(10) 중 섞여있는 불량볼(30)을 선별하기 위하여 유속의 흐름을 변화시켜 정상볼(20)보다 크기가 작은 불량볼(30)을 용아하게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불량볼(30)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700)의 제1경사조절부(720)와 제2조절부(800)의 제2경사조절부(82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불량볼(30) 선별률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선별된 불량볼(30)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세정볼 20 : 정상볼
30 : 불량볼
100 : 몸체 110 : 커버
120 : 가스켓 130 : 유체 배출130구
140 : 세정볼투입구 150 : 정상볼배출부
200 : 세정볼투입관
300 : 정상볼배출관
400 : 선별배관 410 : 장공
500 : 곡선형이음관
600 : 불량볼배출관
700 : 제1조절부 710 : 제1경사조절공
711 : 제1상부공 712 : 제1하부공
720 : 제1경사조절부 721 : 제1조절볼트
800 : 제2조절부 810 : 제2경사조절공
811 : 제2상부공 812 : 제2하부공
820 : 제2경사조절부 821 : 제2조절볼트
830 : 배출가이드부 840 : 이탈방지부
841 : 결속부 842 : 차단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타측에는 세정볼(10)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14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20)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150)가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세정볼투입부(14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세정볼투입관(200);
    상기 정상볼배출부(15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상볼배출관(300);
    상기 몸체(100)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정상볼배출관(300)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410)이 형성된 선별배관(400);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선별배관(400)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400)으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곡선형이음관(50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410)을 통과한 불량볼(30)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볼배출관(600);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700); 및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별배관(400)은
    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개구된 형태의 장공(410)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4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측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좌,우측 폭이 점점 넓어지거나 또는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좌,우측 폭이 가장 긴 길이는 선별배관(40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5. 타측에는 세정볼(10)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14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20)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150)가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세정볼투입부(14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세정볼투입관(200);
    상기 정상볼배출부(15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상볼배출관(300);
    상기 몸체(100)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정상볼배출관(300)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410)이 형성된 선별배관(400);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선별배관(400)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400)으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곡선형이음관(50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410)을 통과한 불량볼(30)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볼배출관(600);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700); 및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100)는
    전,후측으로 개구된 몸체(100)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후측 각각에 탈부착되는 커버(110); 및
    상기 몸체(100)와 커버(110)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는 커버(110) 중 선택된 하나의 커버(110)를 탈거하여 제1조절부(700)의 각도조절 및 제2조절부(80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조절부(700)는
    전,후측 각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제1상부공(711)과 상기 제1상부공(711)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1하부공(712)으로 이루어진 제1경사조절공(710); 및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의 기울기를 갖되, 상기 제1상부공(711)과 제1하부공(712) 각각에 끼워져, 제1상부공(711)과 제1하부공(7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조절볼트(721)가 구비된 제1경사조절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110)는
    중간부분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삭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조절부(700) 일부분은 절삭부(111) 내로 안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7. 타측에는 세정볼(10)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14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20)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150)가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세정볼투입부(14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세정볼투입관(200);
    상기 정상볼배출부(15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상볼배출관(300);
    상기 몸체(100)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정상볼배출관(300)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410)이 형성된 선별배관(400);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선별배관(400)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400)으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곡선형이음관(50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410)을 통과한 불량볼(30)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볼배출관(600);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700); 및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조절부(800)는
    전,후측 각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상부공(811)과 상기 제2상부공(811) 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2하부공(812)으로 이루어진 제2경사조절공(810); 및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의 기울기를 갖되, 상기 제2상부공(811)과 제2하부공(812) 각각에 끼워져, 제2상부공(811)과 제2하부공(8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조절볼트(821)가 구비된 제2경사조절부(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8. 삭제
  9. 타측에는 세정볼(10)이 투입되기 위한 세정볼투입부(14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정상볼(20)이 배출되기 위한 정상볼배출부(150)가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세정볼투입부(14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세정볼투입관(200);
    상기 정상볼배출부(15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상볼배출관(300);
    상기 몸체(100)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정상볼배출관(300)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좌,우측 폭을 갖는 장공(410)이 형성된 선별배관(400);
    상기 세정볼투입관(200)과 선별배관(400)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배관(400)으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곡선형이음관(50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장공(410)을 통과한 불량볼(30)이 배출되도록 하는 불량볼배출관(600);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700); 및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조절부(800)는
    상측을 커버하는 이탈방지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840)는
    상기 제2조절부(800)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결속부(841); 및
    상기 결속부(841) 끝단에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차단부(8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부(842)는
    상기 선별배관(400)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11. 청구항 4, 5, 6, 7, 9 및 10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폐가 가능한 유체 배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12. 청구항 4, 5, 6, 7, 9 및 10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800)는
    상기 선별배관(400) 측면의 하측에 형성되고, 타측 일부분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일측 나머지 일부분은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불량볼배출관(600)과 연결되는 배출가이드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KR1020230075093A 2023-06-12 2023-06-12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KR10261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093A KR102618481B1 (ko) 2023-06-12 2023-06-12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093A KR102618481B1 (ko) 2023-06-12 2023-06-12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481B1 true KR102618481B1 (ko) 2023-12-28

Family

ID=8938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093A KR102618481B1 (ko) 2023-06-12 2023-06-12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48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891U (ja) * 1982-01-22 1983-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浄体選別器
JPH04108194U (ja) * 1991-02-13 1992-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洗浄ボール選別装置
JP2010230301A (ja) * 2009-03-30 2010-10-1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復水器洗浄ボール滞留防止具
KR20160110792A (ko) 2015-03-12 2016-09-22 (주)금우산기 복수기 튜브 세척 시스템에 설치되는 세척볼 분류장치
KR20170066016A (ko) * 2015-12-04 2017-06-14 (주)제스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
KR20170066017A (ko) * 2015-12-04 2017-06-14 (주)제스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
KR101939041B1 (ko) * 2018-08-01 2019-01-17 (주)제스엔지니어링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불량 세정볼 선별장치
KR102407936B1 (ko) * 2021-09-10 2022-06-10 김영옥 세척 및 선별 정확도가 향상된 조개류 세척 및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891U (ja) * 1982-01-22 1983-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浄体選別器
JPH04108194U (ja) * 1991-02-13 1992-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洗浄ボール選別装置
JP2010230301A (ja) * 2009-03-30 2010-10-14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復水器洗浄ボール滞留防止具
KR20160110792A (ko) 2015-03-12 2016-09-22 (주)금우산기 복수기 튜브 세척 시스템에 설치되는 세척볼 분류장치
KR20170066016A (ko) * 2015-12-04 2017-06-14 (주)제스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
KR20170066017A (ko) * 2015-12-04 2017-06-14 (주)제스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
KR101939041B1 (ko) * 2018-08-01 2019-01-17 (주)제스엔지니어링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불량 세정볼 선별장치
KR102407936B1 (ko) * 2021-09-10 2022-06-10 김영옥 세척 및 선별 정확도가 향상된 조개류 세척 및 선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54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и газ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DE102004002888B4 (de) Gasturbinen-Endrohrdichtungsanordnung
KR102039938B1 (ko)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KR102618481B1 (ko)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 불량볼 선별기
US20180245582A1 (en) Pipe device including slam mitigating means
AU2006327452A1 (en) Solar thermal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heating medium supply system, and temperature fluctuation suppressing device
DE10002084C2 (de) Gas- und Dampfturbinenanlage
KR20150100886A (ko) 복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증기터빈 플랜트
CN109089993A (zh) 一种鱼苗筛选装置
KR20170022892A (ko) 발전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GB2458263A (en) Cooling system expansion tank
JP2017500478A (ja) 燃料導管の洗浄を改善するためのバイパス導管を有するガスタービン
KR101811275B1 (ko)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자동공급장치
KR101939041B1 (ko)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불량 세정볼 선별장치
KR20110129886A (ko) 연속 흐름식 증발기
KR890000151B1 (ko)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EP1548383A1 (en) Condenser
KR20200011254A (ko) 용수 도관용 띠 드립
KR102607368B1 (ko)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볼 콜렉터
KR102518000B1 (ko) 복수기의 세정장치
KR102134803B1 (ko) 냉각효율이 향상된 체크 밸브 조립체
CN108915962A (zh) 一种地热能发电系统
JP5339073B2 (ja) 蒸気システム
KR102065119B1 (ko) 보일러의 물/에어 분리기
KR102268978B1 (ko) 쉐브론 베인 및 이를 포함하는 습분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