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266B1 -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 Google Patents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266B1
KR102618266B1 KR1020230119801A KR20230119801A KR102618266B1 KR 102618266 B1 KR102618266 B1 KR 102618266B1 KR 1020230119801 A KR1020230119801 A KR 1020230119801A KR 20230119801 A KR20230119801 A KR 20230119801A KR 102618266 B1 KR102618266 B1 KR 10261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film
skin
biodegrad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9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이스텐
Priority to KR102023011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복용 편의를 고려한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경구용 약제의 투여의 불편함 없이 녹는 특성을 나타내어 반려동물에의 복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film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by pet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by pets by exhibiting a melting property without inconvenience in administration of oral medications. .

Description

반려동물 복용 편의를 고려한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Biodegradabl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pet use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 복용 편의를 고려한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xamples below relate to a biodegradabl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pet use.

최근 1인 가구 및 1자녀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분양하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반려동물은 이제 단순히 기르는 동물이 아닌 새로운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은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존재로 2015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사육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을 21.8%로 약 457만 가구로 집계됐으며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는 반려동물로는 개가 19.1%, 고양이가 5.2%로 가장 많았으며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의 재료, 종류 및 형태가 점차 전문화 및 세분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에 피부 관련 질병이 발생할 경우 이를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고 특히 반려동물을 위한 경구용 약제를 투여하는 것은 더욱 더 쉽지 않은 현실이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and one-child households increases, the number of households adopting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Additionally, as perceptions of animals change, more and more people are now accepting companion animals as new family members rather than simply keeping them as animals. Companion animals live with people and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imacy. According to 2015 statistical data,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keeping companion animals was 21.8%, or approximately 4.57 million households, and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most widely kept companion animals are dogs (19.1%) and cats (5.2%), and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related marke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materials, types, and forms of products are becoming increasingly specialized and specialized. However, when a skin-related disease occurs in a pet, it is not easy to manage it, and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administer oral medications for the pet.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3834호는 장용 또는 비-장용 코팅된 조성물을 필요로 하는 상기 동물에 경구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을 위한 경구용 약제를 투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Accordingly,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3834 discloses a method comprising orally administering an enteric or non-enteric coated composition to the animal in ne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administer oral medications to companion animal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383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3834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679,657호U.S. Patent Publication No. 5,679,657

Carmela Saturnino et al., “Acetylated Hyaluronic Acid: Enhanced Bioavailability and Biological Studie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ume 2014, Article ID 921549.Carmela Saturnino et al., “Acetylated Hyaluronic Acid: Enhanced Bioavailability and Biological Studie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ume 2014, Article ID 921549.

아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 자체에 의한 피부 개선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별도로 피부로부터 떼어내야 할 필요 없이 녹는 특성을 나타내는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examples below wer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biodegradable film that exhibits a skin improvement function by the polymer itself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melting properties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removal from the skin, and the production thereof. It provides a method.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피부 기능 개선용 필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improving skin function containing a biodegradable polymer.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을 용매 내에서 아세틸화하여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 기능 개선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etylating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in a solvent to obtain a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and obtaining a film by casting and drying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경구용 약제의 투여의 불편함 없이 녹는 특성을 나타내어 반려동물에의 복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to companion animals by exhibiting soluble properties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administering oral med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제조에 사용된 기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1H-NMR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적용 후 욕창 임상 자료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acetyl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of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1 H-NMR spectrum graph of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of clinical data on bedsores after application of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cetyl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e same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반려동물 경구용 필름Pet Oral Film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경구용 필름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film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biodegradable polymer.

특히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 오염에 대한 염려가 없고 경구용 약제의 투여의 불편함 없이 녹는 특성을 나타내어 반려동물에의 복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생분해성 필름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iscovering a biodegradable film tha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to companion animals by showing melting properties without concerns about microbial contamination and inconvenience in the administration of oral medications.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은 급속한 붕해성을 가진다. 급속한 붕해성이란 필름 제형이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로 부서지거나, 허용 가능한 시간 이내에(예를 들면, 투여되는, 즉 반려동물 구강 내에 배치되는 60초 이내에, 45초 이내에, 30초 이내에, 20초 이내에, 또는 15초 이내에) 완전 용해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은 구강 용해 필름 또는 구강 점막 부착형 필름이다. 상기 필름은 구강 점막 등에 부착함으로써 유효 물질이 구강 점막으로 흡수될 수 있다. 구강 점막을 통하여 수송하게 될 경우 경구 투여 보다 흡수력의 차이가 높으며, 소화액, 간 초회통과 및 간 대사를 피할 수 있음으로 훨씬 흡수율이 높다.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apid disintegration properties. Rapid disintegration means that the film formulation breaks down into submicrometer particles or breaks down within an acceptable time (e.g., within 60 seconds, within 45 seconds, within 30 seconds, or within 20 seconds of being administered, i.e., placed in the pet's mouth). , or within 15 seconds) refers to the ability to completely dissolve. In one embodiment, the film is an orally dissolving film or an oral mucosal adhesive film. By attaching the film to the oral mucosa, etc., the effective substance can be absorbed into the oral mucosa. When transported through the oral mucosa, the difference in absorption is higher than when administered orally, and the absorption rate is much higher because digestive juices, first-pass liver, and liver metabolism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천연고분자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생분해성 필름,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앰플, 피부 재생 기능을 갖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반려동물 복용 편의를 고려한 생분해성 필름, 또는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생분해성 필름,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앰플, 피부 재생 기능을 갖는 생분해성 필름 또는 반려동물 복용 편의를 고려한 생분해성 필름, 또는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경피흡수율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욕창 및 화상치료제, 피부미용, 반려동물용 필름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은 피부에 적용 시 녹아 없어진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은 액체가 아닌 표면이 건조된 고체상태이므로 미생물 오염에 대한 염려가 없고 욕창 및 화상치료제, 피부미용제품, 반려동물 가식성 필름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odegradable film containing a natural polymer or a derivative thereof and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function, an ampoule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function, a biodegradable film having a skin regeneration function, or a biodegradable film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by pets. A film o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s provided.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egradable film containing a natural polymer or a derivative thereof and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function, an ampoule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function, a biodegradable film having a skin regeneration function, or a biodegradable film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aking by pets. A film o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s provided.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that can be used as a treatment for bedsores and burns, skin care, and films for pets,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yaluronic acid film with excellent transdermal absorption rate. In one embodiment, the film melts away when applied to the skin. In one embodiment,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olid state with a dried surface rather than a liquid, so there is no concern about microbial contamination and can be applied to bedsores and burn treatments, skin care products, and edible films for pets. .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이며,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도는 50% 내지 80%이다. In one embodiment,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and the degree of acetylation of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is 50% to 80%.

[화학식 1][Formula 1]

. .

아세틸화도 시험방법에 의한 아세틸화도의 측정 및 계산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도는 50% 내지 8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도는 50% 내지 80%이다.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도는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도가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 우수한 생분해 특성 및 용해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 to th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the degree of acetylation using the acetylation degree test method, the degree of acetylation of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is 50% to 80%. More specifically, the degree of acetylation of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is 50% to 80%. The acetylation degree of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is 50% or more, 55% or more, 60% or more, 65% or more; It may be 80% or less, 75% or less, 70% or less, and 65%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iscovering that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exhibits excellent biodegrada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when the degree of acetyla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세틸 히알루론산(Acetyl hyaluronic acid, AcHA)은 친수성(hydrophilic) -OH 기가 양친매성(amphipathic) 성질을 갖는 아세틸기로 치환된 구조로서 그 결과 기존의 히알루론산보다 보습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아세틸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는데, 이 반응에서 핵심은 히알루론산 분자 내에 존재하는 모든 -OH 기(히알루론산 단량체 당 총 4개의 -OH 기가 존재함)에 아세틸화를 시키거나, 또는 어느 특정 -OH 기 (1~4개)에 위치 선택적으로 아세틸화 되도록 하여, 균일한 생성물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수행되는 아세틸화 반응은 아래 반응식 1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etyl hyaluronic acid (AcHA) has a structure in which a hydrophilic -OH group is replaced with an acetyl group having amphipathic properties, and as a result, it has a better moisturizing effect than existing hyaluronic acid. The acetyl hyaluronic acid can be synthesized through the acetylation reaction of hyaluronic acid. The key in this reaction is acetylation of all -OH groups present in the hyaluronic acid molecule (a total of 4 -OH groups exist per hyaluronic acid monomer). It is important to obtain a uniform product by site-selectively acetylating certain -OH groups (1 to 4). The acetylation reaction performed at this tim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Scheme 1 below.

[반응식 1][Scheme 1]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려동물은 반려견 또는 반려묘이다. 상기 반려견은 치와와, 퍼그, 닥스훈트, 스피츠, 잉글리쉬 불독, 시베리안 허스키, 알래스카 말라뮤트, 래드라도 레트리버, 그레이 하운드, 진돗개, 골든 레트리버, 달마시안, 세인트 버나드, 말티즈, 시추, 슈나우저, 요크셔테리어, 코카스파니엘, 쉽독, 미니핀, 푸들 및 포메리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려묘는 브리티시 숏헤어, 페르시안, 메인쿤, 샴 고양이, 렉돌, 스핑크스, 아비시니안, 벵골, 버먼, 아메리칸 숏헤어, 엑조틱 숏헤어, 러시안 블루, 스코티시 폴드, 버마 고양이, 데본 렉스, 시베리안 고양이, 맹크스 고양이, 터키시 앙고라, 아메리칸 밥테일, 코니시 렉스 및 히말리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is a dog or a cat. The above companion dogs include Chihuahua, Pug, Dachshund, Spitz, English Bulldog, Siberian Husky, Alaskan Malamute, Radrador Retriever, Greyhound, Jindo Dog, Golden Retriever, Dalmatian, Saint Bernard, Maltese, Shih Tzu, Schnauzer, Yorkshire Terrier, Cocker Spaniel, It may be a bree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heepdog, mini pin, poodle, and Pomerani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 cats include British Shorthair, Persian, Maine Coon, Siamese Cat, Ragdoll, Sphynx, Abyssinian, Bengal, Birman, American Shorthair, Exotic Shorthair, Russian Blue, Scottish Fold, Burmese Cat, Devon Rex, Siberian Cat, and Mang. It may be a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ritish cat, Turkish Angora, American Bobtail, Cornish Rex, and Himali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필름은 관절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필름,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필름 또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필름이다.In one embodiment, the film is a health functional food film for improving joint health, a pharmaceutical film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hritis, or a quasi-drug film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rthritis.

관절건강은 관절 및 이를 구성하는 연골, 관절 주머니, 관절안, 결합조직, 인대 및 윤활막 등에 염증, 손상, 질환 등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관절건강의 개선은 관절의 마찰에 따른 통증이 감소하거나, 관절의 염증이 감소되거나, 관절 또는 연골의 마모 또는 파괴가 억제되고 그 회복이 증진되거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이 촉진되는 등으로 인해 관절 윤활 작용이 향상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절건강의 개선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을 포함하는 관절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이 지연되거나, 상기 관절 질환의 발병에 따른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Joint health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e absence of inflammation, damage, disease, etc. in joints and the cartilage that constitutes them, joint capsule, joint lining, connective tissue, ligaments, and synovial membrane,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ment of joint health is achieved by reducing pain due to friction of joints, reducing joint inflammation, suppressing wear or destruction of joints or cartilage and improving its recovery, or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hyaluronic acid synthase. Thi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mproving joint lubrication due to stimulation.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ing joint health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delaying the onset or progression of joint diseases including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etc., or improving symptoms resulting from the onset of the joint diseases.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되는 질환으로서, 주요하게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골관절염이란, 뼈와 뼈가 직접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과 마찰을 완화하기 위해 관절 안에 발달한 연골층이 손상되어, 뼈와 뼈가 직접 마찰하면서 통증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어려워지는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골관절염은 주로 무릎, 고관절, 손, 발, 척추 등 하나의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고, 여러 부위의 관절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골관절염은 특정한 기질적 원인이 없이 주로 노화에 의해 많이 발생되며,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관절 구조의 변형으로 보행 장애 등 운동 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그 기전을 살펴보면, 골관절염이 진행될 때 TNF-α, IL-1 등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 등과 같은 MMPs의 분비가 증가되어 관절연골의 파괴가 이루어지게 된다.Arthritis is a disease that causes inflammation and pain in joints, and can be mainly divided into osteo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First, osteoarthritis is when the cartilage layer developed within the joint to relieve the shock and friction that occurs when bones collide directly is damaged, causing pain as the bones rub directly against each other, making movement of the joint difficult. refers to a disease. This type of osteoarthritis can mainly occur in a single joint, such as the knee, hip joint, hand, foot, or spine, but can also occur in joints in multiple areas simultaneously. Osteoarthritis is mainly caused by aging without any specific organic cause, and when it progresses chronically, it is accompanied by movement disorders such as gait disorders due to deformation of the joint structure. Looking at the mechanism, as osteoarthritis progresse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1 increases, and the secretion of MMPs such as collagenase and stromelysin increases, thereby damaging articular cartilage. destruction occurs.

관절염은 세균 또는 외상 등 어떤 원인에 의해 관절 내에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질환으로, 구체적으로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척추관절병증, 강직성 척추염, 건선관절염, 통풍, 세균성 관절염,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경피증, 다발성 경화증, 섬유근통,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베체트병, 라이터 증후군, 라임 관절염, 유착 관절낭염, 오십견, 힘줄 활막염, 팔꿈치머리 주머니염, 드쿼베인 힘줄윤활막염, 류마티스 다발근육통증, 성인형 스틸병 등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rthritis is a disease that collectively refers to inflammatory changes within the joint due to any cause such as bacteria or trauma. Specifically, it includes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spondyloarthropathy, ankylosing spondylitis, psoriatic arthritis, gout, bacterial arthritis,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Lupus, scleroderma, multiple sclerosis, fibromyalgia, polymyositis, dermatomyositis, Behcet's disease, Reiter's syndrome, Lyme arthritis, adhesive capsulitis, frozen shoulder, tendon synovitis, elbowcap pocketitis, DeQuervain's tenosynovitis, polymyalgia rheumatica, adult This includes Still's disease, and more specifically,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은 포공영 추출물, 갈화 추출물, 생강 추출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진피 추출물 및 보스웰리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PGE2(Prostaglandin E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PGE2(Prostaglandin E2)는 프로스탄산 골격을 가지는 일련의 생리 활성 물질 중 하나로, 혈관 확장, 부종, 발열 및 동통 등의 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GE2는 COX-2의 작용에 의하여 분비되어 치주염, 관절염 등 염증질환에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성을 유도하게 되고, 염증을 악화시키거나 조직 파괴 기전 중요한 역할을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lm comprises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achyury extract, lignified extract, ginger extract, tetrahydrocurcumin, dermal extract, and boswellia extract. The extract may inhibit the production of PGE2 (Prostaglandin E2). PGE2 (Prostaglandin E2) is one of a series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with a prostanic acid skeleton, and is known to mediate reactions such as vasodilation, edema, fever, and pain. In addition, PGE2 is secreted by the action of COX-2 and induces the production of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 in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and arthriti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ggravating inflammation or tissue destruction mechanism.

일 구현예에서, 필름은 피부 기능 개선용 필름이다. In one embodiment, the film is a film for improving skin function.

상기 피부 기능 개선은 피부 트러블 캐어, 피부 진정,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다.The skin function improvement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kin trouble care, skin soothing, skin elasticity enhancement,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상기 피부 트러블이란 대식세포에서의 과도한 일산화질소 생성으로 인하여 유발된 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피부 트러블은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되며, 상기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발진, 여드름, 뾰루지, 주사(빨간 코)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트러블 캐어란 부에 트러블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트러블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The skin trouble refers to a skin disease that can be caused by inflammation caused by excessiv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macrophages. The skin trouble includes any type of skin disease related to inflammation, and non-limiting examples of skin diseases related to inflammation include atopic dermatitis, psoriasis, erythematous disease triggered by radiation, chemicals, burns, etc. Acid burns, bullous dermatoses, lichenoid diseases, itching due to allergies, seborrheic eczema, acne rosacea, pemphigus vulgaris, erythema multiforme exudative, erythema nodosum, balanitis, vulvitis, inflammatory hair loss such as alopecia areata, skin T- Cellular lymphoma, etc. specifically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kin rash, acne, pimples, rosacea (red nose), etc. The skin trouble care refers to suppressing 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skin troubles or alleviating trouble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상기 피부 진정이란 피부에 시원함을 주는 것, 피부 온도를 강화시키는 것,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것, 또는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skin soothing means providing coolness to the skin, enhancing skin temperature, providing a refreshing feeling to the skin, or providing a cool feeling to the skin.

상기 피부 탄력이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탄력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 사슬 안에서 가교(cross-links)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상기 피부 탄력 증진이란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The skin elasticity is caused by elastic fibers composed of elastin present in the dermal layer. These elastic fibers have a very low elastic modulus like rubber, so they are easily deformed even by a small force, and when the force is remov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easily. In addition, elastic fibers have microfibrils embedded in an amorphous matrix called elastin, and elastin is a very unique fiber found only in elastic fibers called desmosine and isodesmosine, which are derived from lysine. It is a protein composed of one amino acid. These desmosins and isodesmosins form cross-links within long peptide chains, and this structure gives elastin rubber-like properties. The improvement of skin elasticity means that elastic fibers made of elastin exist together with collagen fibers called collagen, and skin elasticity is maintained in a state where elastin and collagen are sufficiently present.

상기 피부 주름이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The skin wrinkles refer to fine lines that occur as the skin ages, and can be caused by genes, a decrease in collagen and elastin present in the dermis of the skin, and external environments. The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means suppressing 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wrinkles on the skin, or alleviating wrinkles that have already been formed.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은 아줄렌(AZULENE),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및 아데노신(Adenine Ribo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기능 개선 물질을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lm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skin function improving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ZULENE, Niacinamide, Madecassoside, and Adenosine (Adenine Riboside).

상기 아줄렌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마데카소사이드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하고 피부 트러블 방지 및/또는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닌 색소의 이동을 저해하여 피부미백 증대 효과 및 피부 염증 완화,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마데카소사이드는 피부 콜라겐 합성 촉진, 피부 탄력 증대, 진피층의 세포 외 기질 재구성, 피부진정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아데노신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진피층 내 세포증식 강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선제는 아줄렌, 나이아신아마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및 아데노신을 4종 모두 사용하는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줄렌 1 ~ 5 중량부, 마데카소사이드 1 ~ 5 중량부 및 아데노신 0.5 ~ 4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나이아신아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줄렌 1.5 ~ 4.0 중량부, 마데카소사이드 1.5 ~ 4.0 중량부 및 아데노신 1.0 ~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azulene serves to increase the effects of niacinamide and madecassoside and prevent and/or improve skin troubles. In addition, the niacinamide is used to inhibit the movement of melanin pigment to achieve the effect of increasing skin whitening, alleviating skin inflammation, and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Madecassoside is used to promote skin collagen synthesis, increase skin elasticity, reorganize the extracellular matrix of the dermis layer, and have a skin soothing effect, and adenosine is used to improve skin wrinkles, improve skin elasticity, and enhance cell proliferation in the skin dermis layer. It is to be used. When using all four improvers: azulene, niacinamide, madecassoside, and adenosine, 1 to 5 parts by weight of azulene, 1 to 5 parts by weight of madecassoside, and 0.5 parts by weight of adenosine are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niacinamide. It is recommended to use ~ 4 parts by weight, preferably 1.5 ~ 4.0 parts by weight of azulene, 1.5 ~ 4.0 parts by weight of madecassoside, and 1.0 ~ 3.0 parts by weight of adenosin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niacinamide.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기능 개선 물질의 함량은 필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 중량%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기능 개선 물질의 함량은 필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skin function improving material is 1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m.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skin function improvement material is 10% by weight or more, 20%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or 4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m; It may be 70% by weight or less, 60% by weight or less, 50% by weight or less, and 40% by weigh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필름은 피부 재생 촉진 또는 피부 상처 개선용 필름이다.In one embodiment, the film is a film for promoting skin regeneration or improving skin wounds.

상기 피부 재생은 손상에 대한 조직의 회복 과정으로, 주화성(chemotaxis), 세포의 분화 및 복제, 기질 단백질(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의 신생 및 창상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 한편, 상기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화상,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재생 촉진은 질병 또는 외상 등에 의하여 피부조직의 일부가 탈락 또는 결손되면, 탈락조직 주위에 생존하고 있는 피부세포가 분열증식하여 결손부에 이동하여 가는 현상을 피부 세포 재생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The skin regeneration is a process of tissue recovery from damage and is a complex biological process that includes chemotaxis, cell differentiation and replication, matrix protein synthesis, angiogenesis, and wound reconstruction. Meanwhile, the damage may be caused by ultraviolet rays, external contaminants, wounds, trauma, burns, stres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motion of skin regener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when part of the skin tissue is shed or defected due to disease or trauma, the skin cells surviving around the exfoliated tissue divide and proliferate and move to the defect area, thereby ensuring rapid skin cell regeneration. It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can promote

상기 상처는 피부가 물리적인 신체손상으로 인해, 피부 구조물의 정상적인 연속성이 붕괴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좌상(contusion or bruise), 열상(laceration), 결출상(avulsion), 관통상(penetrated wound), 비-치유외상성 상처,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abrasion), 골괴저, 총상(gun shot wound), 절상, 화상, 동상, 피부궤양, 피부 건조, 피부각화증, 갈라짐, 터짐, 피부염, 피부사상균증에 의한 통증, 수술상, 혈관질환상처, 각막상처 등의 상처, 욕창, 와창, 당뇨병 및 순환불량에 관련된 상태, 만성궤양, 성형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상처, 부인과적 상처, 화학적 상처 및 여드름 등 개체의 일부에 대한 손상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상기 상처 치유는 처 후, 피부 또는 신체 조직이 그 불연속성을 저절로 회복하는 복합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상처 치료란 피부상처 치유 과정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과정의 촉진, 개선, 진행, 가속 또는 진전을 의미한다.The wound means that the normal continuity of the skin structure is disrupted due to physical damage to the skin, specifically contusion or bruise, laceration, avulsion, penetrating wound, Non-healing traumatic wounds, destruction of tissue by irradiation, abrasion, bone gangrene, gun shot wound, cut, burn, frostbite, skin ulcer, dry skin, keratosis, cracking, bursting, dermatitis, Pain due to dermatophytosis, surgical wounds, vascular disease wounds, corneal wounds, bedsores, flat sores, conditions related to diabetes and poor circulation, chronic ulcers, suture sites after plastic surgery, spinal injury wounds, gynecological wounds, chemical It comprehensively refers to damage to parts of an object, such as wounds and acne. The wound healing refers to a complex process in which the skin or body tissue spontaneously recovers its discontinuity after treatment. Therefore, ultimately, wound healing means promoting, improving, progressing, accelerating or progressing one or more steps or processes involved in the skin wound healing process.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은 세포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재생 촉진 또는 피부 상처 개선 물질을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lm includes cell growth factor (EGF, Epidermal growth facto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skin regeneration promoting or skin wound improving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1).

상기 성장 인자는 여러 세포의 분열, 성장 및 분화를 촉진하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하며, 상피 세포 성장 인자(EGF),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PDGF-AA),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 형질 전환 성장 인자-β(TGF-β) 또는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growth factor refers to a polypeptide that promotes division,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various cells, including epidermal growth factor (E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PDGF-A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or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상기 상피 세포 성장 인자는 피부뿐만 아니라 구강, 위장과 같은 점막에서도 분비되어 상피 세포의 성장, 분화 및 분열을 촉진하는 성장 인자로, 상피 조직에 손상이 가해지면 이를 빠르게 회복시켜 외부 감염원이나 위액과 같은 내부 인자로부터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는 발생 과정에서 간엽 줄기세포 분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장 인자이다. 발생 과정뿐 아니라 성체에서도 간엽 유래 세포의 성장, 분열 및 이동을 촉진하고, 특히 피부에서는 섬유아세포의 분열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은 기본적으로 체내에서 인슐린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성장 인자로, 골격근 세포, 골 세포, 연골 세포, 간 세포, 신장 세포, 신경 세포, 피부 세포, 조혈 세포 등을 예로 들 수 있는 체내 모든 종류의 세포의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성장 인자는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유아기 때 본 성장 인자가 결핍되면 성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성장이 끝난 후에는 에너지 동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epithelial cell growth factor is a growth factor that is secreted not only from the skin but also from mucous membranes such as the oral cavity and stomach to promote the growth, differentiation and division of epithelial cells. When damage is done to epithelial tissue, it quickly recovers and protects against external infectious agents or gastric juice. It is known to prevent tissue damage from internal factors. The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is a growth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esenchymal stem cell division during development. It is known to promote the growth, division, and migration of mesenchymal-derived cells not only during development but also in adults, and especially in the skin, to promote the division of fibroblasts.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1 is basically a growth factor that acts similar to insulin in the body, and examples include skeletal muscle cells, bone cells, cartilage cells, liver cells, kidney cells, nerve cells, skin cells, and hematopoietic cells. It is known to promote the growth of all types of cells in the body. Additionally, since this growth fact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owth, deficiency of this growth factor in infancy may lead to growth failure, and it is known to play a role in controlling energy assimilation after growth is completed.

상기 형질 전환 성장 인자-β는 세포의 분열, 분화를 조절하여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성장 인자이다. 또한 여러 세포에서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며, 상피 세포와 암세포에서는 분열을 억제하는 인자로 작용한다. 피부에서는 티로시나제를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is a growth factor that plays a role in maintaining cellular homeostasis by regulating cell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It also induces apoptosis in many cells and acts as a factor that inhibits division in epithelial cells and cancer cells. It is known to have a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tyrosinase in the skin.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는 상피 세포의 성장, 분열을 촉진하여 혈관내피세포 성장 인자(VEGF)보다 혈관 신생 효과가 더 뛰어나다. 또한 본 성장 인자는 상처 부위에 새로운 혈관을 만들고, 섬유아세포를 증식시켜 육아 조직을 만들어 상처 회복 과정에 중요한 성장 인자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fibroblast growth factor promotes the growth and division of epithelial cells and has a better angiogenic effect th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addition, this growth factor is known to be involved as an important growth factor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by creating new blood vessels at the wound site and proliferating fibroblasts to create granulation tissu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상피 세포 성장 인자,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제는 각 성장 인자를 1~5 : 1~5 : 1~5, 구체적으로 1~3 : 1~3 : 1~3, 더 구체적으로 1~2 : 1~2 :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상피 세포 성장 인자,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형질 전환 성장 인자-β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제는 각 성장 인자를 1~5 : 1~5 : 1~5 : 1~5 : 1~5, 구체적으로 1~3 : 1~3 : 1~3 : 1~3 : 1~3, 더 구체적으로 1~2 : 1~2 : 1~2 : 1~2 :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regeneration promoter including epithelial cell growth facto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growth factor at 1 to 5: 1 to 5: 1 to 5, specifically. It can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3: 1~3: 1~3, more specifically 1~2: 1~2: 1~2. The skin regeneration promoter comprising epithelial cell growth facto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insulin-like growth factor-1,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growth factor as 1 ~5 : 1~5 : 1~5 : 1~5 : 1~5, specifically 1~3 : 1~3 : 1~3 : 1~3 : 1~3, more specifically 1~2 : 1~ It can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2: 1~2: 1~2: 1~2.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재생 촉진 또는 피부 상처 개선 물질의 함량은 필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 중량%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재생 촉진 또는 피부 상처 개선 물질의 함량은 필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skin regeneration promoting or skin wound improving material is 1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m.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skin regeneration promoting or skin wound improving material is 10% by weight or more, 20%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or 4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m; It may be 70% by weight or less, 60% by weight or less, 50% by weight or less, and 40% by weigh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4 μm 내지 20 μm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의 두께는 4 μm 이상, 5 μm 이상, 6μm 이상, 7 μm 이상, 8 μm 이상, 9 μm 이상, 10 μm 이상, 11 μm 이상, 12 μm 이상; 20 μm 이하, 19 μm 이하, 18 μm 이하, 17 μm 이하, 16 μm 이하, 15 μm 이하, 14 μm 이하, 13 μm 이하, 12 μ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between 4 μm and 20 μm.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4 μm or more, 5 μm or more, 6 μm or more, 7 μm or more, 8 μm or more, 9 μm or more, 10 μm or more, 11 μm or more, 12 μm or more; It may be 20 μm or less, 19 μm or less, 18 μm or less, 17 μm or less, 16 μm or less, 15 μm or less, 14 μm or less, 13 μm or less, and 12 μ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을 포함하는 욕창 및 화상치료제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장품, 미용 용도에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reatment for bedsores and burns comprising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cosmetic, cosmetic applications.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기능 개선 물질은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skin function improvement material can form a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example,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al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al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al essence, pack, soap, cleansing. It may be manufactured in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only used carrier component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nd functional additives and components included in general cosmetic composition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e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additives,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contain components included in general cosmetic compositions, if necessary. Other ingredients included include oils and fat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disinfectant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 pigments, fragrances, and blood circulation agents. Examples include accelerators, cooling agents, antiperspirants, and purified water.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환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티백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일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단순 섭취,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투여 또는 스퀴즈 투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식품 제품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and the formulation of the food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tablets, granules, pills, powders, liquids such as drinks, caramels, gels, bars, and tea bags. It can be formulated as such.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the food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mix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with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and can have a synergistic effect when applied simultaneously with other raw materials. can happen Additionally, the food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The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in various ways, such as simple ingestion, drinking, injection, spray administration, or squeeze administration. Food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 products such as chewing gum, caramel products, candies, ice cream, and confectionery, beverage products such as soft drinks, mineral water, and alcoholic beverages, and health products containing vitamins and minerals, etc. It may be a functional food product.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the like. It may include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In addition, food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ingredi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반려동물 경구용 필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anion animal oral film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을 용매 내에서 아세틸화하여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필름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 기능 개선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etylating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in a solvent to obtain a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and casting and drying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to obtain a film;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for improving skin function, including.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스팅하여 필름을 얻는 단계에 앞서, 아줄렌(AZULENE),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및 아데노신(Adenine Ribo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기능 개선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 및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prior to the step of obtaining the film by casting, improving skin functi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ZULENE, Niacinamide, Madecassoside, and Adenine Riboside. It further includes mixing a solution containing a substance and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to obtain a mixture.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스팅하여 필름을 얻는 단계에 앞서, 세포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재생 촉진 또는 피부 상처 개선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 및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prior to the step of obtaining the film by casting, cell growth factor (EGF, Epidermal growth facto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Obtaining a mixture by mixing a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skin regeneration promoting or skin wound improving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 (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1) and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Includes more.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세틸화는 분자량이 1×103 내지 5×105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 및 분자량이 1×106 내지 4×106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을 혼합한 후 수행된다.In one embodiment, the acetylation is performed after mixing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0 3 to 5×10 5 Da and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0 6 to 4×10 6 Da. .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 내에서 분자량이 1×103 내지 5×105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 및 분자량이 1×106 내지 4×106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각각 0.02 중량% 내지 3.5 중량%이다.In one embodiment, in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10 3 to 5×10 5 Da and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10 6 to 4×10 6 Da. The content is 0.02% to 3.5% by weight, respectively.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건조 온도는 20℃ 내지 30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 온도는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160℃ 이상; 300℃ 이하, 290℃ 이하, 280℃ 이하, 270℃ 이하, 260℃ 이하, 250℃ 이하, 240℃ 이하, 230℃ 이하, 220℃ 이하, 210℃ 이하, 20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drying temperature is 20°C to 300°C. More specifically, the drying temperature is 20°C or higher, 30°C or higher, 40°C or higher, 50°C or higher, 60°C or higher, 70°C or higher, 80°C or higher, 90°C or higher, 100°C or higher, 110°C or higher, and 120°C. or higher, 130°C or higher, 140°C or higher, 150°C or higher, 160°C or higher; It may be 300℃ or lower, 290℃ or lower, 280℃ or lower, 270℃ or lower, 260℃ or lower, 250℃ or lower, 240℃ or lower, 230℃ or lower, 220℃ or lower, 210℃ or lower, and 200℃ or lower, but is limited thereto. no.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용매는 5 내지 50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5 부피% 이상, 6 부피% 이상, 7 부피% 이상, 8 부피% 이상, 9 부피% 이상, 10 부피% 이상; 50 부피% 이하, 40 부피% 이하, 30 부피% 이하, 20 부피% 이하, 10 부피% 이하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solvent is a 5 to 50% by volume aqueous ethanol solution. More specifically, the solvent is present in an amount of 5 volume% or more, 6 volume% or more, 7 volume% or more, 8 volume% or more, 9 volume% or more, 10 volume% or more; It may be an aqueous ethanol solution of 50 vol% or less, 40 vol% or less, 30 vol% or less, 20 vol% or less, and 10 vol% or less of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스팅 속도는 5 내지 80 mm/s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스팅 속도는 5 mm/s 이상, 6 mm/s 이상, 7 mm/s 이상, 8 mm/s 이상, 9 mm/s 이상, 10 mm/s 이상; 80 mm/s 이하, 70 mm/s 이하, 60 mm/s 이하, 50 mm/s 이하, 40 mm/s 이하, 30 mm/s 이하, 20 mm/s 이하, 10 mm/s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casting speed is between 5 and 80 mm/s. More specifically, the casting speed is 5 mm/s or more, 6 mm/s or more, 7 mm/s or more, 8 mm/s or more, 9 mm/s or more, 10 mm/s or more; It may be 80 mm/s or less, 70 mm/s or less, 60 mm/s or less, 50 mm/s or less, 40 mm/s or less, 30 mm/s or less, 20 mm/s or less, and 10 mm/s or less, It is not limited to this.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경피 흡수율이 우수한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욕창 및 화상치료제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film of acetyl hyaluronic acid with excellent transdermal absorption rate, and can be used as a treatment for bedsores and burns.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아세틸 히알루론산을 용해시키고 캐스팅하여 특정 분자량과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경우 경피흡수율이 우수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after confirming that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with excellent transdermal absorption rate could be produced when acetyl hyaluronic acid was dissolved in an ethanol aqueous solution, casted, and dried under specific molecular weight and conditions.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제조방법으로는 분말 형태의 아세틸 히알루론산을 용액으로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히알루론산 용액을 자동도포기에 도포하고, 건조 온도 20℃ 내지 300℃ 조건에서 건조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ducing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solution by dissolving acetyl hyaluronic acid in powder form into a solution, applying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to an automatic applicator, and drying at a temperature of 20°C. The film is manufactured by drying under conditions ranging from 300°C.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to ai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참고예 1>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의 제조<Reference Example 1> Production of film according to prior art

비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의하면 히알루론산 분자 내에 존재하는 4개의 -OH 기 모두에 아세틸화를 시켰다고 개시되어 있어, 이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2종의 문헌에 기술된 대로 실험을 반복한 결과 문헌에서 주장하는 결과를 재현할 수 없었다. 비특허문헌 1의 염기성 촉매 하에서의 반응에서는 히알루론산 단량체 당 4개가 아닌 평균 1~2개의 -OH 기에만 아세틸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허문헌 2의 산성 촉매 조건 반응에서는 히알루론산 출발 물질의 분해가 일어나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According to Non-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it was disclosed that all four -OH groups present in the hyaluronic acid molecule were acetylated, and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is. As a result of repeating the experiment as described in the two document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claimed in the literature could not be reproduced. In the reaction under the basic catalyst of Non-Patent Document 1, it was confirmed that acetylation occurred only on an average of 1 to 2 -OH groups per hyaluronic acid monomer instead of 4, and in the reaction under acidic catalyst conditions in Patent Document 2, the decomposition of the hyaluronic acid starting material was confirmed. The production of acetyl hyaluronic acid could not be confirmed.

<제조예 1>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합성<Preparation Example 1> Synthesis of acetyl hyaluronic acid

분자량이 1×103 내지 5×105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 0.02 중량% 및 분자량이 1×106 내지 4×106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 3.5 중량% 각각을 10 부피%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한 후 호모디스퍼를 이용해 1~12시간 교반하고 용해시켜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수행되는 아세틸화 반응은 아래 반응식 1에 따라 수행된다.Add 0.02% by weight of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0 3 to 5×10 5 Da and 3.5% by weight of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0 6 to 4×10 6 Da to a 10% by volume ethanol aqueous solution. Then, the solution was stirred and dissolved for 1 to 12 hours using a homodisper to prepare a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The acetylation reaction performed at this time is performed according to Scheme 1 below.

[반응식 1][Scheme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제조에 사용된 기구를 나타낸 사진이다.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acetyl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 2> 실시예 1에 따른 필름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film according to Example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자동도포기에 도포한 후 10mm/s의 일정한 속도로 필름을 캐스팅하였다. 캐스팅된 필름은 순환건조기에서 160℃의 조건에서 1시간~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어서, 작두형 재단기를 사용해 5cm × 5cm 크기의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applied to an automatic applicator, and then a film was cast at a constant speed of 10 mm/s. The cast film was dried in a circulation dryer at 160°C for 1 to 48 hours. Subsequently, a film measuring 5 cm × 5 cm was manufactured using a small cutting machine.

<제조예 3> 실시예 2에 따른 필름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film according to Example 2

캐스팅된 필름을 진공건조기 100℃의 조건에서 1시간~48시간 동안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fil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except that the cast film was dried in a vacuum dryer at 100°C for 1 hour to 48 hours.

<제조예 4> 실시예 3에 따른 필름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film according to Example 3

아줄렌(AZULENE),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및 아데노신(Adenine Riboside)(중량비 3:100:3:2)으로 이루어진 피부 기능 개선 물질이 4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Excluding skin function improvement substances consisting of AZULENE, Niacinamide, Madecassoside and Adenosine (3:100:3:2) mixed to 40% by weight. Then, a fil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 5> 실시예 4에 따른 필름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film according to Example 4

세포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A(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1)(중량비 1:1:1)로 이루어진 피부 재생 촉진 또는 피부 상처 개선 물질이 4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Epidermal growth factor (E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PDGF-A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except that the skin regeneration promoting or skin wound improving material (weight ratio 1:1:1) was mixed to 40% by weight.

<제조예 6> 실시예 5에 따른 필름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6> Preparation of film according to Example 5

포공영 추출물, 갈화 추출물, 생강 추출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진피 추출물 및 보스웰리아 추출물(중량비 1:1:1:1:1:1)로 이루어진 물질이 4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Manufactured except that the substance consisting of Pogonyeong extract, lignified extract, ginger extract, tetrahydrocurcumin, dermal extract and Boswellia extract (weight ratio 1:1:1:1:1:1) was mixed to 40% by weight. Th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2.

<참고예 2> 비교예에 따른 필름의 제조<Reference Example 2> Preparation of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아세틸화를 수행하지 아니한 히알루론산 용액을 사용하여 비교예 1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였다. 특허문헌 2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사용하여 비교예 2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특허문헌 1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사용하여 비교예 3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평균 3개의 -OH 기에만 아세틸화가 일어난 히알루론산 용액을 사용하여 비교예 4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였다.A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using a hyaluronic acid solution without acetylation. A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was manufactured using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of Patent Document 2. A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was prepared using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of Non-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a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was prepared using a hyaluronic acid solution in which acetylation occurred only on an average of 3 -OH groups.

<실험예 1> 필름의 두께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film thickness

두께 측정기를 이용해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thickness of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measured using a thickness met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구분 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두께 (μm)Thickness (μm) 1212

<실험예 2> 필름의 형태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Measurement of shape of film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형태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사진이다. 도 2로부터, 표면이 균일한 필름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 Figure 2 is a photograph of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a film with a uniform surface was manufactured.

<실험예 2> 필름의 구조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Measurement of structure of film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에 대하여 600 MHz에서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1H-NMR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본 실험을 통하여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 반응의 핵심은 출발물질인 히알루론산에 존재하는 -OH 기 모두(히알루론산 단량체 당 총 4개의 -OH 기)에 아세틸화가 일어났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구조를 확립할 수 있었다. 1 H-NMR spectrum was measured at 600 MHz for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Figure 3 is a 1 H-NMR spectrum graph of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is experiment, the key to the acetylation reaction of hyaluronic acid was to confirm that acetylation occurred on all -OH groups (a total of 4 -OH groups per hyaluronic acid monomer) present in the starting material, hyaluronic acid. The structure was able to be established.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아세틸화도가 바람직한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세틸 히알루론산에는 애초에 출발물질인 히알루론산에 존재하는 NHAc기(Ac=acetyl, 즉 NH-C(=O)CH3기)와 함께 새롭게 반응에서 생성된 4개의 아세틸기로부터 총 5개의 아세틸기에 15개(3×5)의 수소원자가 존재하게 된다. 반면, 그 이외의 수소원자, 즉 메틴 H는 총 12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아세틸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다른 고분자물질 집합체이므로 1H-NMR 스펙트럼 분석에서 이들 H의 신호가 단일 신호 피크로 보이지는 않으나 아세틸기의 H 들은 보통 화학적 이동, δ = 2 부근에서 나타나는 반면, 메틴 H는 화학적 이동, δ = 3.5~5에서 나타난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 합성한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1H-NMR 스펙트럼에서는 화학적 이동, δ = 3.5~5의 적분값 12.00 에 대하여 화학적 이동, δ = 2 부근의 적분값 15.04 가 얻어졌으므로, 히알루론산에 존재하는 4개의 -OH 기 모두에 아세틸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From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acetylation of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rmed in a desirable range. Acetyl hyaluronic acid contains a total of 5 acetyl groups, including the NHAc group (Ac=acetyl, i.e. NH-C(=O)CH 3 group) present in hyaluronic acid, the starting material, and 4 acetyl groups newly created in the reaction. There are (3 x 5) hydrogen atom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total of 12 other hydrogen atoms, namely methine H. Since the acetyl hyaluronic acid synthesized in this study is a collection of polymer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the H signals do not appear as a single signal peak in the 1 H-NMR spectrum analysis, but the H of the acetyl group usually appears around the chemical shift, δ = 2. On the other hand, methine H appears at a chemical shift, δ = 3.5~5. In fact, in the 1 H-NMR spectrum of acetyl hyaluronic acid synthes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emical shift, an integral value of 15.04 around δ = 2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a chemical shift of 12.00, an integral value of δ = 3.5 to 5, so It can be confirmed that acetylation occurred on all four -OH groups.

<실험예 3> 필름의 욕창 제거력 평가<Experimental Example 3> Evaluation of the pressure ulcer removal ability of the film

욕창 환자에 대하여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필름을 환부에 적용시켰다. 시험 기간인 2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을 교체하였으며, 2주 후 필름의 욕창 제거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적용 후 욕창 임상 자료 사진이다. 도 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의 욕창 제거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or patients with bedsores, the film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was applied to the affected area. During the two-week test period,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was replac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and after two weeks, the film's ability to remove pressure ulcers was confi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4. Figure 4 is a photograph of clinical data on bedsores after application of an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ressure ulcer removal ability.

<실험예 4> 반려동물 기호도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Companion animal preference evaluation

애견 카페에 출입하는 애견 30마리에게 제조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을 경구 투여하였다. 한편, 시중의 피부 상처 개선용 환제와 비교하여(비교예 5), 다시 뱉는 애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The prepared acetyl hyaluronic acid film was orally administered to 30 dogs visiting a dog cafe. Meanwhile, compar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pills for improving skin wounds (Comparative Example 5), the number of dogs spitting up again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구분 division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뱉는 횟수Number of spits 88 77 88 3232

상기 표 2로부터, 애완견들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세틸 히알루론산 필름을 거부감 없이 복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able 2 above, it can be seen that pet dogs take the acetyl hyaluronic acid film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resistance.

<실험예 5> 필름의 PGE2 생성 억제 효능 평가<Experimental Example 5>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film to inhibit PGE2 production

필름의 PGE2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Korean Cell Line Bank(KCLB)로부터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세포를 분양 받아, 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항생제가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low glucose 배지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인큐베이터에서 2~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시행하였다. 이후 상기 RAW 264.7 세포 배양액 내의 PGE2 함량을 효소 면역 분석법(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DMEM low glucose 배지를 이용하여 2×105 cells/ml 농도로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각각의 샘플에 각각 세균성 염증유발물질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혼합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에 제조예에서 제조된 필름을 덮어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PGE2의 생성량을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각 원료들의 농도 별 유효성을 확인한 후, IC50(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The film's efficacy in inhibiting PGE2 production was evaluated.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were purchased from Korean Cell Line Bank (KCLB), and 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low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Fetal Bovine Serum) and 1% antibiotics under 5% CO. Subculture was performed once every 2 to 3 days in an incubator at 37°C in the presence of 2 . Afterwards, the PGE2 content in the RAW 264.7 cell culture was measur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RAW 264.7 cells were distributed in 24-well plates at a concentration of 2×10 5 cells/ml using DMEM low glucose medium, and each sample was mixed with 1 μg/mL of lipopolysaccharide (LPS), a bacterial inflammatory substance. Inflammation was induced and cultured for 24 hours. Accordingly, the film prepared in the production example was covered and treated. After 24 hours,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was taken and the amount of PGE2 produced was measured using ELISA. After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concentration of each raw material, IC50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구분 division 실시예 5Example 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IC50 (ppm)IC50 (ppm) 0.50.5 2020 1717 1212 1414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이며,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1×103 내지 5×105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 및 분자량이 1×106 내지 4×106 Da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이 아세틸화된 것이며,
상기 아세틸화는 하기 화학식 2에 따른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의 -OH 기가 아세틸기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의 아세틸화도는 50% 내지 80%인, 반려동물 경구용 필름:
[화학식 1]
,
[화학식 2]
.
Contains biodegradable polymers as active ingredients,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is an acetylated mixture of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0 3 to 5×10 5 Da and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0 6 to 4×10 6 Da,
The acetylation is where the -OH group of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2) is replaced with an acetyl group,
Oral film for companion animals, wherein the degree of acetylation of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is 50% to 80%:
[Formula 1]
,
[Formula 2]
.
생분해성 히알루론산을 용매 내에서 아세틸화하여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아세틸 히알루론산 용액을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필름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반려동물 경구용 필름의 제조방법.
Obtaining a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by acetylating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in a solvent; and
Obtaining a film by casting and drying the biodegradable acetyl hyaluronic acid solution;
A method for producing an oral fil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230119801A 2023-09-08 2023-09-08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2618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9801A KR102618266B1 (en) 2023-09-08 2023-09-08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9801A KR102618266B1 (en) 2023-09-08 2023-09-08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266B1 true KR102618266B1 (en) 2023-12-27

Family

ID=8937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9801A KR102618266B1 (en) 2023-09-08 2023-09-08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2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834A (en) 2015-01-09 2017-09-13 재규어 애니멀 헬스 How to treat diarrhea in companion animals
KR20190082506A (en) * 2018-01-02 2019-07-10 (주)진우바이오 Preparation Method of Edible Hyaluronate Film for Improving Xerostomia by Automatic Control Coater and Edible Hyaluronate Film for Improving Xerostomia prepare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834A (en) 2015-01-09 2017-09-13 재규어 애니멀 헬스 How to treat diarrhea in companion animals
KR20190082506A (en) * 2018-01-02 2019-07-10 (주)진우바이오 Preparation Method of Edible Hyaluronate Film for Improving Xerostomia by Automatic Control Coater and Edible Hyaluronate Film for Improving Xerostomia prepare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mela Saturnino et al., "Acetylated Hyaluronic Acid: Enhanced Bioavailability and Biological Studie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ume 2014, Article ID 92154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300B2 (en) Hyaluronic acid accumulation promoter
KR101841255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enhancing elasticity
KR101737446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KR20140128675A (en) Probiotics of Lactobacillus gasseri HY7025 for skin wrinkle inhibitory and moisturizing effects and use of thereof as skin anti-wrinkle or moisturizing products
JP2017202990A (en) Cosmetics and food and drink composition
KR20090035180A (en) Biopolymer produced by fermenting the extract of soybean with folic acid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KR20140139949A (en) Agent for activating sirtuin gene containing egg shell membrane ingredient and composition using the same
JP7379152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muscle fibrosis
JPWO2015015816A1 (en) Fibroblast activator
KR102618266B1 (en) Biodegradable film for companion animal has improve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JP2020015672A (en) Skin anti-aging agent and anti-aging related gene expression regulating agent
KR20210012979A (en) Levan-protein nanocomposite and uses thereof
JP6861134B2 (en)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and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food
TWI794766B (en) A composition containing lactobacillus spp. and its use for preventing and/or improving anti-aging of skin
KR102621083B1 (en) Biodegradable film for skin regener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20200005188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compound
RU2679741C2 (en) Means for maintaining non-differentiable state and stimulation of stem cell proliferation
KR10199357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etradecane as active ingredients for improving skin wrinkle, skin moisturizing or skin elasticity
KR101230935B1 (en) Oral composition for beauty of skin
KR20160137079A (en) A composition for promoting stem cell proliferation
CN116650615B (en) Composition with oral care effect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00118974A (en) peptied from collagen and use thereof
JPWO2015015815A1 (en) Fibroblast activator
KR102408169B1 (en) Composition for anti-aging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okanin
JP7454215B2 (en) Stem cell proliferation prom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